KR101738998B1 -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998B1
KR101738998B1 KR1020160038520A KR20160038520A KR101738998B1 KR 101738998 B1 KR101738998 B1 KR 101738998B1 KR 1020160038520 A KR1020160038520 A KR 1020160038520A KR 20160038520 A KR20160038520 A KR 20160038520A KR 101738998 B1 KR101738998 B1 KR 10173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reference coordinate
value
geofencing
work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원희
박정현
권혁순
김정국
Original Assignee
(주)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트 filed Critical (주)네트
Priority to KR102016003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07C9/001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04W4/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W4/04

Abstract

본 발명은 승무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해상 시설, 조선소,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 기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을 설정하여, 지오펜싱에 진입하는 승무원의 휴대기기의 유무를 모니터링 하는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Geo-fencing)을 설정하는 맵 설정부와, AP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휴대기기를 감시하고,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WORKER POSITION USING GEO-FENCING}
본 발명은 승무원의 작업장 이동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승무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해상 시설, 조선소,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 기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을 설정하여, 지오펜싱에 진입하는 승무원의 휴대기기를 모니터링 하는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와 같이 해양구조물 작업장에 대한 인원 안전 및 작업장 현황 실시간 관리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육상에 적용된 최신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와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융합하여 해상 환경에도 적용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Smart-Ship으로 변화하는 트렌드 속에서 현 육상 보편화 서비스인 무선 통신 환경 역시 선박에 우선 적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작업장에서 승무원의 출입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은 작업장 곳곳에 RFID 리더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RFID 태그를 소지하고 다니는 것으로 실시되어왔다. 또한, 세부적인 승무원의 위치 추적은 작업장 곳곳에 비콘 모듈을 설치하는 것으로 구현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RFID 태그를 인식하는 별도의 RFID reader 안테나의 설치가 필요하고, 비콘 모듈에는 개별적으로 전원 공급을 위해 배터리가 삽입되기 때문에 초대형 선박과 같이 넓은 작업 공간에 설치된 수백 개의 비콘 모듈을 관리하는 것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등록특허공보 10-1352945 : 작업자 위치 추적 및 동작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승무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해상 시설, 조선소,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 기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을 설정하여, 지오펜싱에 진입하는 승무원의 휴대기기를 모니터링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은,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Geo-fencing)을 설정하는 맵 설정부와; 상기 AP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휴대기기를 감시하고, 상기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맵 설정부는 상기 AP장치의 MAC주소 및 설치된 위치 정보가 저장된 기지국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 설정부는 상기 작업장에 대한 구조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기지국 저장부에 저장된 AP장치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 설정부는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AP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고, 복수개의 지오펜싱이 설정되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오펜싱에 해당 지오펜싱 영역에 진입한 휴대기기의 목적이 자동으로 판단될 목적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장의 기준좌표계(WGS84) 값을 획득하는 GPS수신부와; 상기 GPS수신부에서 획득한 상기 기준좌표계 값과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로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좌표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산출부는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과, 과거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작업장의 이동량을 산출하며,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상기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을 기준으로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수신부는 방위 값도 획득하고, 상기 좌표산출부가 산출하는 상기 작업장의 이동량에는 상기 방위 값을 통해 판단되는 상기 작업장의 자세정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AP장치에 연결된 휴대기기의 신호 강도 값을 수신하여 AP장치로부터 상기 휴대기기가 이격된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AP장치에 연결될 승무원별 휴대기기의 고유정보를 기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진입한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은 맵 설정부가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단계; 모니터링부가 상기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맵 설정부가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작업장의 구조도 및 상기 AP장치의 MAC 주소와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구조도에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AP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구조도 상에 도시된 방들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맵 설정부가 상기 지오펜싱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휴대기기의 목적이 자동으로 판단될 목적설정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 설정부가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단계 다음으로, 좌표산출부가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과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로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상기 작업장의 기준좌표계(WGS84)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기준좌표계 값과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로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과, 과거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작업장의 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상기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을 기준으로 재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량은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방위 값을 통해 판단되는 상기 작업장의 자세정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어느 한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어느 한 AP장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가 어느 한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AP장치에 연결된 상기 휴대기기의 신호 강도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신호 강도 값으로 상기 AP장치와 상기 휴대기기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휴대기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가 어느 한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가 기 저장된 휴대기기의 고유정보를 통해 상기 어느 한 AP장치에 연결된 휴대기기를 소유한 승무원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어느 한 AP장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첫째, 작업장 곳곳에 설치된 AP장치에 승무원의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모니터링부가 감시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장의 승무원 진입 여부와, 승무원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기존 작업장에 설치된 AP장치를 그대로 이용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작업장에도 용이하게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작업장에 설치된 AP장치 및 AP장치에 연결된 승무원의 휴대기기가 작업장의 구조도 상에 표시됨에 따라, 시각적으로 승무원의 유무와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좌표산출부가 작업장의 어느 한 지점에서 수신된 기준좌표계(WGS84) 값으로 AP장치들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함에 따라, 작업장 실내에 설치된 AP장치가 직접 기준좌표계 값을 획득할 수 없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해소된다.
도 1은 기존 RFID를 이용한 승무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비교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장의 구조도 상에 도시된 방들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장의 구조도 상에 지오펜싱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의 좌표산출부가 AP장치 및 지오펜싱에 진입한 휴대기기의 기준좌표계 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AP장치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Wi-Fi 신호의 강도 변화를 측정한 예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가 지오펜싱에 진입한 승무원을 검출하여 저장한 히스토리의 예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에서 맵 설정부의 세부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에서 좌표산출부의 세부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에서 모니터링부의 세부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와 같은 해상 시설이나, 조선소,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 기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활용하여 승무원 또는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Wi-Fi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AP장치(200)는 작업장 내에 포설된 전원선 및 이더넷 네트워크 회선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Wi-Fi는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서의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이고, 선박 및 해양플랜트와 같이 다수개의 격벽으로 구획된 작업장에서는 무선통신의 유효 범위가 더 짧다. 따라서 어느 한 AP장치(200)의 무선통신망에 승무원의 휴대기기(300)가 연결되면 해당 휴대기기(300)와 그것을 소유한 승무원이 상기 어느 한 AP장치(200)의 인근에 있음을 추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작업장의 구조도 상에 각 AP장치(200)가 설치된 실제 위치를 매칭하고, 각 AP장치(200)를 중심으로 하는 복수개의 지오펜싱(Geo-fencing)을 설정하여, 승무원의 휴대기기(300)가 AP장치(200)에 연결되면, 연결된 휴대기기(300)가 지오펜싱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통해 승무원이 특정 구역으로 진출입하는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승무원이 특정 구역으로 진출입하는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승무원이 작업장에 진입하고 떠나는 여부로 자동으로 승무원이 출퇴근을 체크할 수 있고, 작업장에 체류하고 있는 승무원을 파악하거나, 진입이 금지된 구역에 접근하는 승무원을 파악하는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본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또는 AP장치(200)와 동일한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컴퓨터장치, 컴퓨터장치에 설치 및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승무원의 휴대기기(300)란, AP장치(200)의 Wi-Fi 신호에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과 같은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100)은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Geo-fencing)을 설정하는 맵 설정부(120)와, AP장치(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휴대기기(300)를 감시하고, AP장치(200)에 휴대기기(300)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니터링부(180)를 포함한다.
맵 설정부(120)는 작업장의 구조도가 저장되고, 구조도 상에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가상울타리설정부(122)와, AP장치(200)의 MAC주소 및 설치된 위치 정보가 저장된 기지국 저장부(124)를 포함한다.
맵 설정부(120)의 가상울타리설정부(122)는 작업장에 대한 구조도를 포함하는데, 이 때, 작업장의 구조도란 실측에 따라 작업장의 구조를 축소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도면 자료가 될 수 있다. 만약 작업장이 복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구조도는 복수개의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AC주소는 모든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장치에서 고유한 값을 가지기 때문에 각각의 AP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인자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란, 실제 AP장치(20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구조도 상의 위치가 되며, 구조도의 어느 한 지점을 기준으로 x, y 좌표 값으로 실시될 수 있다. 작업장이 복층으로 구성될 경우 AP장치(200)의 위치 정보에는 높이를 의미하는 z 좌표 값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맵 설정부(120)의 가상울타리설정부(122)는 구조도 상에 기지국 저장부(124)에 저장된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매칭할 수 있게 된다. 구조도 상에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것은 도면상에 AP장치(200)가 설치된 위치를 표기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구조도에 포함된 도면은 작업장의 구조를 축소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관리자가 구조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맵 설정부(120)에 입력된 구조도가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에서 먼저 작업장에 형성된 방들을 설정하고, 이어서 구조도에 지오펜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맵 설정부(120)의 가상울타리설정부(122)는 구조도 상에 AP장치(200)를 기준으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고, AP장치(200)가 복수개여서 지오펜싱도 복수개로 설정되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오펜싱에 해당 지오펜싱 영역에 진입한 휴대기기(300)의 목적이 자동으로 판단될 목적설정을 할 수 있다.
목적설정에는 출퇴근을 의미하는 지오펜싱 설정, 관계자의 출입만이 허용되는 지오펜싱 설정, 위험구역을 의미하는 지오펜싱 설정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설정이 출퇴근으로 정의된 지오펜싱으로 승무원이 진입하면, 모니터링부(180)는 자동으로 해당 승무원이 출근 또는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승무원의 출근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100)은 작업장의 기준좌표계(WGS84) 값을 획득하는 GPS수신부(140)와, GPS수신부(140)에서 획득한 기준좌표계 값과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로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좌표산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GPS수신부(140)는 직접 GPS 위성과 연결되어 기준좌표계를 획득하는 GPS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작업장에 기 설치된 GPS장치에 연결되어 기준좌표계 값을 전달받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기준좌표계는 지구상의 현재 위치를 경도와 위도로 나타낸 것으로, 현재 작업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장 위치에 대한 기준좌표계 값을 획득하는 것은 해상에서 이동하는 선박에서 매우 유용하다.
장거리를 운항하는 선박은 거대한 규모를 가지기 때문에 선박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된 GPS모듈로 검출된 기준좌표계 값과, 선박 내 곳곳에 설치된 AP장치(200)의 실제 기준좌표계가 크게 상이하다. 하나의 선박에 탑승한 승무원이더라도 선박의 규모에 따라서는 서로의 직선거리가 수백 미터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선 내에 탑승한 승무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좌표계의 값이 필요할 때가 존재한다.
좌표산출부(160)는 GPS수신부(140)로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에 기 저장되어 있는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적용하여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함으로 써, 각 AP장치(200)의 정확한 기준좌표계를 획득할 수 있고, AP장치(200)에 연결된 휴대기기(300)의 기준좌표계도 유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100)은 구조도 상에서 어느 한 지점을 기준 점으로 하는 자체적인 좌표계를 통해 구조도 상에 AP장치(20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점은 GPS모듈이 설치된 위치가 될 수 있다. 좌표산출부(160)는 구조도 상에 표기된 기준 점과 AP장치(200) 사이의 가로(x), 세로(y) 이격 거리를 실측으로 변환한 후,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의 위도, 경도 값에 적용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구할 수 있음에 따라, AP장치(200)에 연결된 휴대기기(300)도 무선 통신의 유효 거리만큼을 오차범위로 하는 기준좌표 값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선박이 해상에서 항해중일 경우 선박 내에 위치한 각 AP장치(200)들의 위치도 선박의 이동에 대응하여 지구상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도 상이해지게 된다. 따라서 좌표산출부(160)는 GPS수신부(140)를 통해 획득된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과, 과거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을 비교하여 작업장의 이동량을 산출하며,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상기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을 기준으로 재 산출하게 된다. 작업장의 이동량은 두 기준좌표계 값 사이의 직선거리 및 변화된 경도 축 상의 거리와 위도 축 상의 거리가 포함될 수 있다.
항해하는 선박은 항해 방향, 해류의 방향 등의 요인으로 선박의 자세, 즉 선박의 선수가 향하는 방향이 상이해지게 된다. 따라서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할 때에는 선박의 자세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GPS수신부(140)는 방위 값도 획득하고, 좌표산출부(160)가 산출하는 작업장의 이동량에는 방위 값을 통해 판단되는 상기 작업장의 자세정보도 포함된다.
GPS수신부(140)는 작업장이 이동하며 발생하는 기준좌표계 값의 변화로부터 방위 값을 산출하거나, 나침반을 통해 방위 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100)의 모니터링부(180)는 AP장치(200)에 연결된 휴대기기(300)의 신호 강도 값을 수신하여 AP장치(200)로부터 휴대기기(300)가 이격된 거리를 산출한다. AP장치(200)와 작업자의 휴대기기(300)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 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링부(180)는 AP장치(200)와 연결된 휴대기기(300)의 신호 강도 값을 통해 AP장치(200)와 휴대기기(300) 상이의 거리를 유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니터링부(180)는 AP장치(200)에 연결될 휴대기기(300)가 어떤 승무원의 소유인지 확인하기 위해 승무원별 휴대기기(300)의 고유정보를 기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AP장치(200)의 Wi-Fi 신호에 연결될 수 있는 휴대기기(300)는 모두 고유한 MAC주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승무원은 작업장에 진입하기 전에 먼저 승무원의 신분 정보와, 소유한 휴대기기(300)의 MAC주소를 모니터링부(180)에 등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80)는 기 저장된 MAC주소를 가지는 휴대기기(300)에 AP장치(200)에 연결되면 어떠한 승무원이 지오펜싱에 진입했는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니터링부(180)는 휴대기기(300)가 지오펜싱 영역에 진입한 시간을 저장한다. 승무원이 작업장 내를 이동하여 휴대기기(300)가 연결되는 AP장치(200)가 달라지면, 모니니터링부는 승무원의 이동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승무원의 이동은 도면과 같이 테이블에 저장됨으로 승무원이 과거 작업장에서 이동한 히스토리를 남길 수 있게 된다. 특히 승무원의 위치에 대한 위도 값과 경도 값이 함께 저장되면, 검출된 시간에 선박이 해상의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지도 알 수 있게 되어, 특정 시간대의 어떠한 해상 환경에서 승무원이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지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은 맵 설정부(120)가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장치(200)를 기준으로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단계(S100)와, 좌표산출부(160)가 GPS수신부(140)를 통해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과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로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S200), 모니터링부(180)가 AP장치(200)에 휴대기기(300)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또한, S100 단계는 맵 설정부(120)가 작업장의 구조도 및 AP장치(200)의 MAC 주소와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20), 맵 설정부(120)가 구조도 상에 도시된 방들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단계(S130)(도 4 참조), 맵 설정부(120)가 구조도에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S140), 맵 설정부(120)가 구조도 상에 AP장치(200)를 기준으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60), 지오펜싱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휴대기기(300)의 목적이 자동으로 판단될 목적설정을 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또한, S200 단계는 좌표산출부(160)가 GPS수신부(140)를 통해 작업장의 기준좌표계(WGS84) 값을 획득하는 단계(S220)와, 좌표산출부(160)가 기준좌표계 값과 AP장치(200)의 위치 정보로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S240)와, 좌표산출부(160)가 GPS수신부(140)를 통해 획득된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과, 과거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을 비교하여 작업장의 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S260)와, 좌표산출부(160)가 AP장치(200)의 기준좌표 값을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을 기준으로 재 산출하는 단계(S280)를 포함한다.
이 때, 이동량은 GPS수신부(140)를 통해 획득된 방위 값을 통해 판단되는 작업장의 자세정보도 포함된다.
또한, S300 단계는 모니터링부(180)가 어느 한 AP장치(200)에 휴대기기(300)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S310), 모니터링부(180)가 기 저장된 휴대기기(300)의 고유정보를 통해 어느 한 AP장치(200)에 연결된 휴대기기(300)를 소유한 승무원을 식별하는 단계(S320), 모니터링부(180)가 AP장치(200)에 연결된 휴대기기(300)의 신호 강도 값을 수신하는 단계(S330), 모니터링부(180)가 신호 강도 값으로 AP장치(200)와 휴대기기(300)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S340), 모니터링부(180)가 구조도 상에 휴대기기(300)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S350), 모니터링부(180)가 어느 한 AP장치(200)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60), 모니터링부(180)가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S370)(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120 : 맵 설정부
122 : 가상울타리설정부
124 : 기지국 저장부
140 : GPS수신부
160 : 좌표산출부
180 : 모니터링부
200 : AP장치
300 : 휴대기기

Claims (20)

  1.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Access Point)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Geo-fencing)을 설정하는 맵 설정부와;
    상기 AP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휴대기기를 감시하고, 상기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맵 설정부는 상기 AP장치의 MAC주소 및 설치된 위치 정보가 저장된 기지국 저장부와, 상기 작업장에 대한 구조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기지국 저장부에 저장된 AP장치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며,
    상기 맵 설정부는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AP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고, 복수개의 지오펜싱이 설정되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오펜싱에 해당 지오펜싱 영역에 진입한 휴대기기의 목적이 자동으로 판단될 목적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기준좌표계(WGS84) 값을 획득하는 GPS수신부와;
    상기 GPS수신부에서 획득한 상기 기준좌표계 값과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로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좌표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산출부는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과, 과거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작업장의 이동량을 산출하며,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상기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을 기준으로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GPS수신부는 방위 값도 획득하고,
    상기 좌표산출부가 산출하는 상기 작업장의 이동량에는 상기 방위 값을 통해 판단되는 상기 작업장의 자세정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AP장치에 연결된 휴대기기의 신호 강도 값을 수신하여 AP장치로부터 상기 휴대기기가 이격된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AP장치에 연결될 승무원별 휴대기기의 고유정보를 기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진입한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10. 맵 설정부가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단계;
    모니터링부가 상기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맵 설정부가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단계는 (a1)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작업장의 구조도 및 상기 AP장치의 MAC 주소와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구조도에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a3)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AP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지오펜싱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휴대기기의 목적이 자동으로 판단될 목적설정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 다음으로
    상기 맵 설정부가 상기 구조도 상에 도시된 방들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13. 삭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맵 설정부가 지오펜싱을 설정하는 단계 다음으로,
    좌표산출부가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과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로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상기 작업장의 기준좌표계(WGS84)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기준좌표계 값과 상기 AP장치의 위치 정보로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과, 과거 획득된 기준좌표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작업장의 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산출부가 상기 AP장치의 기준좌표 값을 상기 현재의 기준좌표계 값을 기준으로 재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은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획득된 방위 값을 통해 판단되는 상기 작업장의 자세정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어느 한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어느 한 AP장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가 어느 한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AP장치에 연결된 상기 휴대기기의 신호 강도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신호 강도 값으로 상기 AP장치와 상기 휴대기기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구조도 상에 상기 휴대기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가 어느 한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가 기 저장된 휴대기기의 고유정보를 통해 상기 어느 한 AP장치에 연결된 휴대기기를 소유한 승무원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어느 한 AP장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지오펜싱에 승무원이 입장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방법.
  20. 일정한 작업장 내에 설치된 AP장치를 기준으로 지오펜싱을 설정하고, 상기 AP장치에 휴대기기가 연결되면 승무원이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 1항, 5항, 6항, 7항, 8항,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60038520A 2016-03-30 2016-03-30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3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520A KR101738998B1 (ko) 2016-03-30 2016-03-30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520A KR101738998B1 (ko) 2016-03-30 2016-03-30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998B1 true KR101738998B1 (ko) 2017-05-24

Family

ID=5905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520A KR101738998B1 (ko) 2016-03-30 2016-03-30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15A (ko) * 2018-04-19 2019-10-29 (주)네트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802B1 (ko) * 2010-07-16 2012-08-02 주식회사 레오테크 위험작업장에서의 위치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802B1 (ko) * 2010-07-16 2012-08-02 주식회사 레오테크 위험작업장에서의 위치추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15A (ko) * 2018-04-19 2019-10-29 (주)네트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075006B1 (ko) * 2018-04-19 2020-02-10 (주)네트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31B1 (ko) Ble 비콘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527B1 (ko) Ble 비콘 기반 항만 출입 차량 관리와 위치 추적 스마트 포트 시스템
US7584048B2 (en) Portable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CN1322334C (zh) 卫星定位系统
CN104183131B (zh) 使用无线通信检测车道的装置和方法
CN108917758B (zh) 一种基于ar的导航方法及系统
US20220371705A1 (en)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specific machine learning model
EP3761062A1 (en) Position determination of mobile objects
CN110045669A (zh) 一种船舶航行状态监控及报警系统
US20210216948A1 (en) Autonomous vehicles performing inventory management
KR20170056098A (ko) 수직 이착륙 무인기의 상대위치 정밀 산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인기 착륙 안내 시스템
JP6554679B2 (ja) 測位システム
KR101496446B1 (ko) 무선주파수 인식 방식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38998B1 (ko) 지오펜싱을 이용한 승무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038A (ko) 선내 위치 및 경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가 적용되는 선박
KR102283968B1 (ko) 이미지 학습 기반 시정 관측 정보 생성 및 공유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01644B1 (ko) 타워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CN113945960A (zh) 一种无人机查找定位方法及系统
CN116734842A (zh) 船内应急物品的定位结果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3791898A (zh) 一种建筑物内部导航方法及电子设备
CN112543505A (zh) 港口区域定位系统及方法
KR20080038564A (ko) Ais와 gps가 내장된 trs를 이용한 선박위치관제방법
CN113821056A (zh) 一种航海无人机安全测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57749A (ko) 정밀한 위치확인 방법 및 지능적인 근거리 위치 단말 식별 장치 및 방법
Da Costa et al. Hotlog: An IoT-based embedded system for intelligent tracking in shipy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