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951B1 -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951B1
KR101738951B1 KR1020150174889A KR20150174889A KR101738951B1 KR 101738951 B1 KR101738951 B1 KR 101738951B1 KR 1020150174889 A KR1020150174889 A KR 1020150174889A KR 20150174889 A KR20150174889 A KR 20150174889A KR 101738951 B1 KR101738951 B1 KR 10173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m2
level
disease
lp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경호
조명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ORM2(Orosomucoid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ORM2는 소교세포에서 산화질소(NO) 수준의 감소, 전염증성 인자인 TNFα, IL1β, iNOS, IL-6 등의 발현의 감소를 통하여 소교세포의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써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신경염증 과정 동안 ORM2의 양이 증가하므로 신경염증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neuro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ORM2}
본 발명은 ORM2(Orosomucoid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중추신경계는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신경교세포는 전체 뇌세포의 약 90%를 차지하며, 부피로는 뇌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신경교세포는 다시 성상세포(astrocytes), 소교세포(microglia) 및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s)의 세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소교세포는 분화된 대식세포(specialized macrophage)의 일종으로, 뇌에 널리 분포한다. 소교세포는 조직 잔해 및 죽은 세포들을 삼키는 식세포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뇌의 생체방어활동에 참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성상세포는 중추신경계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세포 유형으로 염증성 자극의 존재 하에서 활성화되며 단백질 발현이 변화된다.
신경염증은 신경계의 면역 반응의 일종으로,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을 포함하는 많은 퇴행성 신경 질환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현재 퇴행성 신경 질환의 전형적 특징으로 생각되고 있다. 신경염증 반응은 선천성 면역 세포(소교세포)의 활성화, 염증 매개체 예컨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방출, 대식세포 침윤을 포함하며, 이는 신경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소교세포 및 성상세포의 염증 활성화는 병리학적 마커 및 퇴행성 신경 질환의 진행에 있어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생각되어진다. 소교세포 활성의 엄격한 조절은 뇌 항상성을 유지하고 감염 및 염증 질환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다.
한편, ORM2(Orosomucoid2)는 AGP(alpha-1 acid glycoprotein)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리포칼린의 하위 그룹인 이뮤노칼린에 속하는 급성기 단백질(acute phase protein)이다. ORM2는 대부분 간에서 합성되어 곧 혈장으로 분비된다. 마우스에서 ORM2의 혈장 농도는 0.2-0.4 mg/ml이며 물리적 외상, 박테리아성 감염과 같은 다양한 스트레스성 자극에 반응하여 10 내지 200배 증가한다. 또한 ORM2는 대부분 간세포, 지방세포, 유조직세포(parenchymal cell)에서 합성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뇌에서 ORM2의 발현 및 기능에 관해서, 특히 신경염증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신경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시도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광범위한 신경염증성 질환에 적용 가능하도록 그 효과가 명확히 검증되고 상용화된 물질이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교세포의 활성화 및 신경염증 반응을 다각적으로 저해함으로써 광범위한 신경염증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 결과, ORM2가 신경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ORM2(Orosomucoid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RM2(Orosomucoid 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ORM2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과 비교하여, ORM2 수준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 신경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물질이 투여된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보다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이 낮은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ORM2는 소교세포에서 산화질소(NO) 수준의 감소, 전염증성 인자인 TNFα, IL1β, iNOS, IL-6 등의 발현의 감소를 통하여 소교세포의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써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신경염증 과정 동안 ORM2의 양이 증가하므로 신경염증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LPS를 주입한 뇌에서 ORM의 mRNA 발현 변화를 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일차 성상세포 및 일차 소교세포에서 LPS 및 IFN-γ의 처리에 따른 ORM2의 mRNA 발현 변화를 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일차 성상세포에서 LPS 및 IFN-γ의 처리에 따른 ORM2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웨스턴 블롯팅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BV2 소교세포에서 재조합 ORM2의 처리에 따른 LPS-유도된 NO 수준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일차 소교세포에서 재조합 ORM2의 처리에 따른 LPS-유도된 NO 수준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BV2 소교세포에서 재조합 ORM2의 처리에 따른 LPS-유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 수준 변화를 real-time 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LPS에 의해 유도된 신경염증에 대한 ORM2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설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LPS의 주입에 따라 활성화된 소교세포의 수 변화에 대한 ORM2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LPS에 의해 유도된 전염증성 인자의 발현에 대한 ORM2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ORM2 넉다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설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ORM2 넉다운 마우스에서 LPS-유도된 전염증성 인자의 mRNA 발현 수준을 real-time 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ORM2 넉다운 마우스의 해마에서 활성화 성상세포 및 활성화 소교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Boyden 챔버를 이용한 실험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ORM2의 BV2 소교세포 이동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5는 ORM2가 신경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ORM2(Orosomucoid 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ORM2(Orosomucoid 2)"는 간세포, 지방세포, 유조직세포(parenchymal cell)에서 합성되며 다양한 스트레스성 자극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ORM2는 재조합 ORM2 단백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상기 화합물과 부가염을 형성한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 부가염의 예로는 황산, 염산, 질산, 인산, 브롬산, 과염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옥살산, 구연산, 숙신산, 타타르산,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리콜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p-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기 부가염의 예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기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에 의해 형성된 염기 부가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ORM2는 통상인 방법에 의해 그의 염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염의 제조는 별도의 설명이 없이도 단백질의 구조를 바탕으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경염증성 질환"은 신경계의 염증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발성 경화증, 신경모세포종, 뇌졸중,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루게릭 병, 헌팅턴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정신분열증, 및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신경염증성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라 함은 신경염증성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질환 또는 질병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ORM2는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 조건 하에서 소교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NOS, IL-6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산화질소(NO)의 생성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ORM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 및 소교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켜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ORM2의 신경염증 억제 효과를 시험관내 및 생체내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ORM2가 신경염증 과정에서 발현이 증가하며, 경쟁적 결합을 통해 CCL4가 CCR5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고 전염증성 인자의 발현, 활성화된 소교세포, 소교세포의 NO 수준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ORM2가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를 들면,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과 같은 경구 투여용 담체, 및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담체 등이 있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또는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보존제, 항산화제, 완충액 및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인 주사용 제형으로는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 등이 있으며,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환약, 에멀젼, 시럽 및 캡슐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RM2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하는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 대상인 개체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이 될 수 있으며,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대뇌내 주사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ORM2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입되는 ORM2의 양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0.1-50mg/회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각종 식품, 건강기능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각종 건강보조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으며,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RM2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이외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에 있어서, 상기 ORM2 또는 이의 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식품 전체의 부피 100 ml 를 기준으로 0.001 g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g 내지 10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진단"이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란, 시료에 포함된 ORM2의 발현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제제를 의미하는데, 바람직하게는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real-time RT-PCR),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 등의 방법에 사용되는 표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라이머"란,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즉, DNA 폴리머레이즈 또는 역전사효소)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하에서 DNA 합성이 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란, 유전자 또는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는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라벨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ORM2가 신경염증의 발생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이용하면 신경염증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핵산 또는 항체 이외에 유전자 발현량이나 유전자 발현량이나 발현 패턴의 분석 방법 또는 단백질 존재량이나 존재 패턴의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용액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가 유전자의 발현량이나 발현 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인 경우에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성분을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RT-PCR 키트는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mRNA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외에도 구체적인 실시 양상에 따라 예를 들어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데옥시뉴클레오티드 (dNTPs), Taq-폴리머라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 (DEPCwater), 멸균수, 정량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트가 단백질의 존재량이나 존재 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인 경우에는, 이 키트는 예를 들어 ELIS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성분을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ELISA 키트는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성분들, 예를 들어 표지된 2차 항체, 발색단 (chromopores), 효소 (예를 들어, 항체와 접합된 효소) 및 그의 기질, 및 정량 대조군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양상에 따라서는, 상기 키트는 DNA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ORM2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과 비교하여, ORM2 수준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 신경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ORM2가 LPS의 처리에 의해서 소교세포가 아닌 성상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시료에서 ORM2 수준의 측정은 성상세포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이 될 수 있고 상기 시료는 개체에서 분리한 뇌세포, 뇌조직, 뇌척수액, 혈액, 타액 또는 소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a)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물질이 투여된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보다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이 낮은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후보물질"은 신경염증을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제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염증성 자극 후 ORM2 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
신경염증 과정에서 ORM의 발현이 상향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LPS를 주입한 후 뇌에서 ORM의 3가지 동형 단백질(isoform)의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LPS(E.coli 0111:B4 유래, Sigma-Aldrich (St. Louis, MO))를 5mg/kg으로 수컷 C57BL/6 마우스에 복강내 주입한 뒤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뇌를 분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에는 식염수를 주입하였다. TRIzol 시약(QIAGEN)을 사용해서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총 RNA(total RNA)를 추출하였다. RNA를 Superscript II (Invitrogen) 및 oligo(dT)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역전사하였고,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셋트로 어닐링 온도를 55-60℃에서 25-30 사이클 이상으로 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내적 대조군으로는 GAPDH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가지 단백질은 정상 마우스의 뇌에서 거의 발현하지 않으나, LPS의 주입 후 마우스의 뇌에서 ORM2의 발현이 매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다음, ORM2가 발현하는 뇌세포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서, LPS(100ng/ml)를 단독으로 또는 LPS(100ng/ml) 및 50U/ml의 재조합 마우스 IFN-γ(Sigma-Aldrich (St. Louis, MO))를 함께 처리하고 6시간 후에, 일차 성상세포 및 일차 소교세포에서 ORM2의 mRNA 발현 변화를 RT-PCR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ORM2의 발현이 일차 성상세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일차 소교세포에서는 이러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LPS에 의해 뇌의 성상세포에서 ORM2의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차 성상세포에서 LPS 및 IFN-γ의 처리에 따른 ORM2의 단백질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재조합 마우스 IFN-γ(Sigma-Aldrich (St. Louis, MO))를 처리한 일차 성상세포 및 일차 소교세포를 차가운 RIPA 용해 완충액(Thermo Scientific)에 용해시키고 Bradford protein assay 키트 (Bio-Rad, Hercules, CA)로 세포 용해물에 존재하는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여 동량의 단백질을 12%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였다. 이를 PVDF 필터 맴브레인(Amersham Biosciences, Piscataway, NJ)에 이동시킨 뒤, 5% 스킴 밀크로 차단하고 일차 항체[염소 모노클로날 항-α1-acid glycoprotein 항체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마우스 항-α-tubulin (Sigma-Aldrich)], 및 HRP 접합된 이차 항체 [항-염소 IgG 항체 (Santa Cruz, Dallas, TX) 및 항-마우스 IgG 항체(Thermo Scientific)]와 배양한 뒤 ECL 검출(Thermo Scientific)을 수행하였다. 웨스턴 블롯팅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가 처리되지 않은 일차 성상세포에 비해서 LPS 및 IFN-γ를 처리한 일차 성상세포에서 ORM2의 단백질 발현량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신경염증 과정 중 성상세포에서 ORM2의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활성화된 소교세포에 대한 재조합 ORM2 의 효과 확인
신경염증 과정에서 상향 조절된 ORM2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BV2 소교세포에 1μg/ml의 재조합 ORM2(Lee, S., et al., Lipocalin-2 is an autocrine mediator of reactive astrocytosis. J Neurosci, 2009. 29(1): p. 234-49에 기재된 바에 따라 제조) 단백질의 존재 또는 부존재 하에 LPS(100mg/ml)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후, Griess 분석법에 따라 NO(산화질소)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고 MTT 분석법에 의해서 세포 독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염증 반응의 강력한 표지인 NO(nitric oxide)의 수준은 nitrite(NO2 -)의 양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50μl의 시료를 50μl의 Griess 시약(1% 설파닐아미드/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 인산)과 96-웰 플레이트에서 혼합하였다. 550nm에서 흡광도를 읽었으며, NaNO2를 표준으로 하여 NO2 농도를 계산하였다.
MTT 분석법을 위해서는 세포를 처리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0.5mg/ml; Sigma-Aldrich)를 처리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불용성 formazan 결정을 DMSO에 완전히 녹이고 570nm에서 흡광도를 읽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BV2 소교세포에서 ORM2와 LPS를 동시 처리한 경우 LPS에 의해 유도된 NO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시험에 사용된 농도의 ORM2의 세포 독성은 유의적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ORM이 LPS의 lipid A 부위에 결합해서 LPS가 유도하는 염증 반응을 차단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마우스 일차 소교세포에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ORM2 단독 처리(Orm2); DeORM2 처리(DeOrm2); LPS 단독 처리(LPS); ORM2 및 LPS를 동시 처리(Orm2+LPS); DeORM2 및 LPS를 동시 처리(DeOrm2+LPS); ORM2 단독 처리 하고 세척 후 LPS 처리(Orm2→Wash→LPS); ORM2 단독 처리 후 LPS 처리(Orm2→LPS); LPS 단독 처리 후 ORM2 처리(LPS→Orm2). 여기서 DeORM2(Denatured Orm2 protein)는 재조합 ORM2 단백질에 열처리하여 단백질 고차구조를 파괴해 생물활성을 없앤 것으로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처리 후 상기와 같이 NO 수준을 측정하고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ORM2를 세척한 뒤 LPS를 처리해주었을 때도 LPS로 유도되는 NO 수준의 증가가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ORM2가 LPS와 결합하여 LPS와 그의 수용체의 결합을 막는 것으로 항염증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다른 메커니즘을 통하여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ORM2의 세척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ORM2를 사전 처리한 실험군과 비슷한 정도로 NO 수준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가 일차 소교세포에서 ORM2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며, ORM2는 LPS에 결합이 아닌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서 염증 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BV2 소교세포를 다양한 조건[ORM2 단독 처리(Orm2); LPS 단독 처리(LPS); ORM2 및 LPS를 동시 처리(Orm2+LPS); ORM2 단독 처리 하고 세척 후 LPS 처리(Orm2→Wash→LPS); ORM2 단독 처리 후 LPS 처리(Orm2→LPS)]으로 처리한 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iNOS의 mRNA 발현을 real-time PCR로 확인하였다. real-time PCR은 the One-Step SYBRPrime ScriptTMRT-PCR 키트(PerfectRealTime;TakaraBio,Tokyo)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ABI Prism 7000 Sequence Detection System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을 이용하여 측정했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의 주입에 의해 유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수준이 재조합 ORM2 단백질의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데이터를 통하여, 성상세포에서 유래된 ORM2가 소교세포에서 측분비 방식(paracrine manner)으로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LPS 에 의해 유도된 신경염증에 대한 ORM2 의 효과 확인
신경 교세포 활성화는 신경염증을 나타내는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LPS 자극 후 뇌에 발생하는 염증반응에서 ORM2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도 7과 같이 실험을 설계하고 이를 수행하였다.
면역조직화학을 통해 도 7과 같이 처리된 마우스와 정상 마우스에서 신경 교세포 활성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에 재조합 ORM2 단백질(2.7μg)을 대뇌내 주입한 후 30분 뒤 LPS(5mg/kg, 복강내)를 주입하고 24-48시간 후에 에터 흡입에 의해 마우스를 희생하였다. 이 때 대조군에는 LPS 대신 식염수를 주입하였다. 마우스 뇌를 분리하여 0.1M PBS(pH 7.4) 내 용해된 0.9% NaCl 및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를 사용해 고정하였다. 분리된 뇌를 72시간 동안 4% PFA에 담가두었다. cryoprotection을 위해, 상기 뇌를 0.1M PBS 내 희석된 30% 수크로오스로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OCT(optimal cutting temperature) 화합물(Tissue-Tek; Sakura,Torrance, CA)에 임베딩한 뒤 20μm 두께로 관상 또는 시상 절단하였다. 상기 절단을 0.1% 트리톤 X-100에서 투과성 있게 하였고 1% BSA 및 5% 정상 당나귀 혈청으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차단하였다. 뇌 절단을 일차 항체[토끼 항 GFAP (1:500 희석; DakoCytomation, Glostrup), 토끼 폴리클로날 항-Iba-1 (1:500 희석; Wako, Osaka) 항체]와 함께 4℃에서 밤새 배양하였고, 이차 항체(FITC 접합된 당나귀 항-토끼 IgG 항체; Jackson ImmunoResearch Laboratories, West Grove, PA)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DAPI를 포함하는 젤라틴을 이용해서 대비 염색하고 CCD 컬러 비디오 카메라(Olympus D70)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얻었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Iba는 소교세포의 마커로, GFAP는 성상세포의 마커로, DAPI는 핵의 마커로 사용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를 복강내 주입하고 24시간 후에 해마 및 대뇌 피질에서 활성화된 소교세포의 수(Iba-1+ 세포)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한 반면, 활성화된 성상세포의 수에는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화된 소교세포는 여러 종류의 전염증성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도 8에서 확인된 활성화된 소교세포의 감소가 이러한 인자의 발현에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에 재조합 ORM2 단백질(2.7μg)을 대뇌내 주입한 후 30분 뒤 LPS(5mg/kg, 복강내)를 주입하고 24시간 후에 에터 흡입에 의해 마우스를 희생하였다. 이 때 대조군에는 LPS 대신 식염수를 주입하였다. 마우스 뇌의 해마를 분리하여 RNA를 추출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에서 ORM2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6, iNOS)의 발현 수준을 PCR로 확인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를 복강내 주입하고 24시간 후에 해마에서 전염증성 인자의 발현이 ORM2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ORM2가 활성화된 소교세포의 수를 감소시켜 활성화된 소교세포가 분비하는 전염증성 인자의 발현을 줄여 신경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ORM2 넉다운(ORM2 knockdown)이 신경염증을 증가시킴을 확인
ORM2의 잠재적인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뇌에서 ORM2 수준을 넉다운시키기 위해 shRNA를 코딩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실험 설계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ORM2 shRNA 렌티바이러스를 수컷 C57BL/6 마우스에 대뇌내 주입하였다. 바이러스를 주입하고 4일 후, LPS를 복강내 주입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바이러스 주입 4일 후 식염수를 주입하였다. LPS 또는 식염수를 주입하고 24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하였고 해마를 분리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에서 ORM2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 iNOS)의 발현 수준을 real-time PCR로 확인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ORM2 넉다운 마우스의 해마에서 ORM2가 거의 발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ORM2가 넉다운된 경우 LPS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성 인자의 발현 수준이 매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Scrambled shRNA를 이용하여 만든 바이러스를 주입한 군(control knockdown)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으므로, 이러한 효과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효과가 아니라 ORM2가 넉다운되어 나타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마 단면을 항-Iba-1(소교세포 마커, 녹색) 항체, DAPI(핵, 청색), 항-GFAP(성상세포 마커) 항체로 염색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ORM2가 넉다운된 경우 해마에서 소교세포의 활성화 증가가 나타난 반면 ORM2 활성화된 성상세포의 수에는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ORM2는 신경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ORM2가 소교세포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ORM2 의 기능이 CCR5 결합에 의해 매개됨을 확인
본 발명자들은 ORM2가 CCR5에 결합하여 전염증성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4-웰 Boyden 챔버(NeuroProbe, Gaithersburg, MD)를 이용한 chemotaxis assay를 수행하였다.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는 폴리비닐피롤리딘이 없는 폴리카보네이트 필터(8 μm 구멍 크기; 25 x 80 mm; BD FALCON)로 분리되어 있다. BV2 소교세포를 상부 챔버에 첨가하였다. 재조합 ORM2 단백질(1μg/ml) 또는 Maraviroc(CCR5 길항제, 100ng/ml)을 BV2 소교세포(3x104 세포/웰)에 사전처리하였다. 상기 세포를 CCL4(R&D systems)의 존재 또는 부존재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날 때, 막의 윗면에 붙어있는 이동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였다. 하부에 있는 이동한 세포를 4% 포름알데히드로 10분 동안 고정시키고 Mayer's Hematoxylin(Dakocytomation, Glostrup)로 20분 동안 염색했다. 이동한 세포를 Olympus CK2(Tokyo)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ORM2의 존재 하에서 BV2 소교세포의 이동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ORM2가 CCL4와 CCR5의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소교세포의 활성화 및 염증 부위로의 이동을 저해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신경염증 과정에서 활성화된 성상세포가 CCR5의 리간드인 CCL4를 포함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방출하고, ORM2 또한 발현되어 활성화된 성상세포로부터 방출되며 ORM2는 CCL4가 소교세포 막에 발현한 CCR5와 결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소교세포의 활성화 및 염증 부위로의 이동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 이러한 메커니즘을 규명하였고 이를 도 15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제제예 1. 의약품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ORM2 20mg
유당 100mg
탈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ORM2 2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ORM2 2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ORM2 2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ORM2 2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ORM2 2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예, 영양캔디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ORM2 20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3)

  1. ORM2(Orosomucoid 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염증성 질환은 다발성 경화증, 신경모세포종, 뇌졸중,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루게릭 병, 헌팅턴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정신분열증, 및 근위축성측색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염증성 질환은 뇌염증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RM2는 소교세포의 활성화 억제를 통하여 신경염증을 억제하는 것인,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RM2는 CCL4와 CCR5의 결합을 억제하는 것인,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ORM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인, 신경염증 진단용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용 키트.
  10. (a)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된 ORM2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분리된 시료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과 비교하여, ORM2 수준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 신경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염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RM2 수준의 측정은 성상세포에서 수행되는 것인, 신경염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RM2의 수준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eal-time RT-PCR) 및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의하여 측정되는 것인, 신경염증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a)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물질이 투여된 시료에서 ORM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보다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ORM2의 수준이 낮은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150174889A 2015-12-09 2015-12-09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89A KR101738951B1 (ko) 2015-12-09 2015-12-09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89A KR101738951B1 (ko) 2015-12-09 2015-12-09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951B1 true KR101738951B1 (ko) 2017-05-23

Family

ID=5905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889A KR101738951B1 (ko) 2015-12-09 2015-12-09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8870A (zh) * 2021-05-31 2021-09-07 中国药科大学 Orm2蛋白在制备诊断区分前列腺癌和良性前列腺增生的试剂盒中的应用
KR20230105731A (ko) 2022-01-04 2023-07-1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8870A (zh) * 2021-05-31 2021-09-07 中国药科大学 Orm2蛋白在制备诊断区分前列腺癌和良性前列腺增生的试剂盒中的应用
CN113358870B (zh) * 2021-05-31 2022-04-05 中国药科大学 Orm2蛋白在制备诊断区分前列腺癌和良性前列腺增生的试剂盒中的应用
KR20230105731A (ko) 2022-01-04 2023-07-1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Improvement of functional recovery by chronic metformin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enhanced alternative activation of microglia/macrophages and increased angiogenesis and neurogenesis following experimental stroke
CN110151749B (zh) 冬凌草甲素在制备预防或治疗nlrp3炎症小体相关疾病的药物中的应用
US10682373B2 (en) Method for treating a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orders comprising administering ASM inhibitor
US2020038400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Kunda et al. Lipopolysaccharides and trophic factors regulate the LPS receptor complex in nodose and trigeminal neurons
KR101738951B1 (ko) Orm2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106625A (ja) Il−34アンチセンスオリゴヌクレオチ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Xiong et al. Effect of sutellarin on neurogenesis in neonatal hypoxia–ischemia rat model: potential mechanisms of action
KR20190063950A (ko) Mecp2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8304B1 (ko)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40097236A (ko) 신경 교아종 치료제
CN112716928B (zh) 辣椒素在抑制nlrp3炎症小体活化中的应用
KR102328471B1 (ko) Lcn2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성 신경손상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589329B (zh) 一种应用迷迭香酸降低脑卒中脑损伤的药物组合物
KR101473965B1 (ko) 소라페닙 및 이미다조피리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3164B1 (ko) Tt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유도 인슐린 저항성 진단용 또는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101724585B1 (ko) Pd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염증성 통증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3511A (ko) Pat4를 포함하는 만성통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87800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organoselenium compound for treatment of skeletal muscle atrophy
KR102135614B1 (ko) Gn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2157A (ko)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성 쇼크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90064132A (ko) 오르니틴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폐섬유화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04997B1 (ko) PI3KC2γ를 표적으로 하는 염증 질환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6697B1 (ko) Pd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염증성 통증 치료용 조성물
KR101844816B1 (ko)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식욕부진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