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859B1 - 휴대용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859B1
KR101738859B1 KR1020160180769A KR20160180769A KR101738859B1 KR 101738859 B1 KR101738859 B1 KR 101738859B1 KR 1020160180769 A KR1020160180769 A KR 1020160180769A KR 20160180769 A KR20160180769 A KR 20160180769A KR 101738859 B1 KR101738859 B1 KR 10173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ase
frame
control unit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귀
Original Assignee
강성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귀 filed Critical 강성귀
Priority to KR102016018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41Electric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하는 펌프가 구비된 소화탱크를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브라켓을 케이스에 착,탈되는 커버의 상부면에 결합 구성하며, 브라켓의 외주면에는 화염센서를 등 간격으로 결합 구성하여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유입되고, 그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프가 펌핑 작동하면서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분사노즐을 통해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있는 소화액이 분사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시 튀는 불꽃으로 인해 발생 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용접 장치 { welding device }
본 발명은 휴대용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하는 펌프가 구비된 소화탱크를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브라켓을 케이스에 착,탈되는 커버의 상부면에 결합 구성하며, 브라켓의 외주면에는 화염센서를 등 간격으로 결합 구성하여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유입되고, 그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프가 펌핑 작동하면서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분사노즐을 통해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있는 소화액이 분사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시 튀는 불꽃으로 인해 발생 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으며, 브라켓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은 무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여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회전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화재 진화를 빠른 시간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장소로 분사되는 소화액으로 인하여 작업자도 화재 발생 장소를 파악할 수 있어 화재의 초기 진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염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기 때문에 용접하는 작업자가 자리에 없더라도 무빙수단에 의해 분사노즐이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회전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에 들어있는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화할 수 있으며,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내주면에는 나선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소화액을 먼 곳까지 분사할 수 있고,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분기관을 케이스의 내부 상부에 결합하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연결관 또는 분기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각각 설치 구성하여 상황에 따라 용접 장치를 하는 장소 또는 용접 장치의 내부에 발생 되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내부에는 히트싱크의 설치 높이를 방열팬과 동일한 높이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설치 구성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및 트랜스포머에서 발생 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이란 서로 분리된 금속 재료를 열, 압력 또는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해서 접합하는 것의 총칭으로서, 부재의 접합부를 국부 가열로 녹여 접합하는 융접과, 접합부 사이에 녹는점이 낮은 다른 금속을 놓고 이것을 녹여 합금화시켜 붙이는 납땜으로 대별된다.
상기 용접융접은 다시 아크용접, 가스 용접, 저항용접, 특수용접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금속을 접합(coalescence)시키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하므로 전기용접이라고도 한다.
상기 전기용접은 전극과 모재에 전기를 가하여 전극과 모재를 통해 강한 전류(약 10 ~ 500A)가 흐르도록 하여 그때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금속을 녹여서 접합시킨다.
전기 용접에 사용되는 강한 전류는 용접기 인버터를 사용하여 얻고 있으며, 용접기 인버터는 상용전원을 정류하여 직류로 만들고, 그 직류를 다수의 전자스위치로 스위칭하여 교류로 변환한 다음, 변압기로 전압을 변환하고 정류하여 직류를 얻는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용접 장치는 대형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용접하는 장소로 이동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 공개된 특허 제 2010-0094688 호와 같이 휴대를 간편하기 할 수 있는 휴대용 인버터 용접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종래의 휴대용 용접 장치는 손잡이가 구비된 인버터 몸체와, 상기 인버터 몸체에 결합 되는 박스 형태의 커버와, 인버터 몸체의 후면 중앙에 결합 되는 방열팬으로 대별된다.
상기 인버터 몸체는 손잡이가 구비된 좌,우측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 몸체 사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판이 볼트로 체결되며, 그 중 하나의 기판에는 외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증폭하는 트랜스포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인버터 몸체에 설치된 기판과 트랜스포머에서 발생 된 열을 방열하는 히터싱크가 볼트로 체결된다.
따라서, 방열팬에서 공급되는 바람은 인버터 몸체 바닥면 중앙에 설치된 히트싱크로 공급되고, 그 공급된 바람을 이용하여 히트싱크는 기판 및 트랜스포머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방열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문제점은 기판 및 트랜스포머가 설치되는 인버터 몸체에는 용접 작업시 사방으로 튀는 불꽃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 되더라도 그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치가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용접 작업 중에 발생 되는 불꽃이 사방으로 튀어서 인화 물질에 붙게 되면, 처음에는 불꽃으로 인하여 작은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데, 작업자가 용접 장소에서 발생 되는 작은 불꽃을 감지하지 못하고 작은 불꽃을 진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접 장소를 비우게 될 시에는 작은 불꽃은 큰 불꽃으로 번지게 되는 데, 종래의 용접 장치에는 작은 불꽃으로 인해 발생 된 화재를 진화시키는 소화장치가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아 화재로 인하여 대형 사고인 인명 사고 내지 재산 피해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버터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기판과 트랜스포머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가 상기 인버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히트싱크는 방열팬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방열팬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은 히트싱크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상기 히트싱크는 기판 및 트랜스포머에서 발생 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기판 및 트랜스포머가 열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하는 펌프가 구비된 소화탱크를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브라켓을 케이스에 착,탈되는 커버의 상부면에 결합 구성하며, 브라켓의 외주면에는 화염센서를 등 간격으로 결합 구성하여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유입되고, 그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프가 펌핑 작동하면서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분사노즐을 통해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있는 소화액이 분사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시 튀는 불꽃으로 인해 발생 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으며, 브라켓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은 무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여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회전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화재 진화를 빠른 시간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장소로 분사되는 소화액으로 인하여 작업자도 화재 발생 장소를 파악할 수 있어 화재의 초기 진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염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기 때문에 용접하는 작업자가 자리에 없더라도 무빙수단에 의해 분사노즐이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회전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에 들어있는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화할 수 있으며,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내주면에는 나선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소화액을 먼 곳까지 분사할 수 있고,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분기관을 케이스의 내부 상부에 결합하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연결관 또는 분기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각각 설치 구성하여 상황에 따라 용접 장치를 하는 장소 또는 용접 장치의 내부에 발생 되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내부에는 히트싱크의 설치 높이를 방열팬과 동일한 높이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설치 구성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및 트랜스포머에서 발생 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용접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커버가 착,탈되는 케이스의 내부와 후면에는 기판과 방열팬을 각각 결합하며, 기판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히트싱크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용접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측 상단 전,후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기판에 장착된 제어부와;
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장착홀과;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소화탱크와;
장착홀에 돌출되게 커버의 상부면에 결합 되며, 소화탱크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브라켓과;
화재가 발생 된 장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화재 감지 신호를 발송할 수 있게 브라켓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화염센서와;
그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되면서 분사노즐를 통해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장소로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로 이루어진 소화수단을 케이스와 커버에 설치 구성하며,
상기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장소로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분사노즐을 회전시키는 무빙수단을 브라켓에 설치 구성하되,
상기 무빙수단은, 브라켓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끼움홀과;
끼움홀의 내벽에 베어링이 결합 되는 끼움부가 하부 중앙 돌출 형성되며, 소화탱크와 연결된 연결관의 끝단이 실링 베어링으로 결합 되는 챔버가 내부에 구비된 무빙캡과;
챔버와 연통 되게 무빙캡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나선돌기가 내주면에 구비된 분사노즐과;
끼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이너기어와;
이너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On/Off 작동되면서 무빙캡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화재 발생지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판에 의해 장착되는 모터;로 구성하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를 방열팬과 동일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에 높이조절수단을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하는 펌프가 구비된 소화탱크를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브라켓을 케이스에 착,탈되는 커버의 상부면에 결합 구성하며, 브라켓의 외주면에는 화염센서를 등 간격으로 결합 구성하여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유입되고, 그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프가 펌핑 작동하면서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분사노즐을 통해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있는 소화액이 분사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시 튀는 불꽃으로 인해 발생 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은 무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 구성하여 화염센서에서 감지된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회전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화재 진화를 빠른 시간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장소로 분사되는 소화액으로 인하여 작업자도 화재 발생 장소를 파악할 수 있어 화재의 초기 진화를 빠른 시간에 할 정확하게 진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염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기 때문에 용접하는 작업자가 자리에 없더라도 무빙수단에 의해 분사노즐이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회전된 상태에서 소화탱크에 들어있는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내주면에는 나선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소화액을 먼 곳까지 분사할 수 있고,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분기관을 케이스의 내부 상부에 결합하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연결관 또는 분기관을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각각 설치 구성하여 상황에 따라 용접 장치를 하는 장소 및 용접 장치의 내부에 발생 되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는 히트싱크의 설치 높이를 방열팬과 동일한 높이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설치 구성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및 트랜스포머에서 발생 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시켜 장시간 용접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기판 및 트랜스포머가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용접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유도판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기판에 설치되는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용접 장치의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용접 작업시 사방으로 튀는 불꽃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 되더라도 그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게 용접 장치에 소화수단을 케이스(1)의 내부와 그 케이스(1)에 착,탈되는 커버(300)에 설치 구성한 것입니다.
또한,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30)이 설치 높이를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 구성하여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170)과 트랜스포머(130)에서 발생 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상기 용접 장치는 도 1과 같이 히트싱크(30) 및 기판(170), 트랜스포머(130)가 설치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면에 착,탈되는 커버(3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접 장치에 설치되는 소화수단은 도 2와 같이 케이스(1)의 내측 상단 전,후로 한 쌍의 수평프레임(10)을 설치하고,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170)에는 제어부(5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케이스(1)에 착,탈되는 커버(300)의 상부면에는 장착홀(301)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의 바닥면(1a)에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하는 펌프(410)가 구비된 소화탱크(400)를 결합한다.
그리고 펌프(410)와 연결관(470)으로 결합 되는 분사노즐(460)이 구비된 브라켓(420)을 상기 장착홀(301)에 돌출되게 커버(300)의 상부면에 결합한다.
상기 커버(300)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결합 되는 브라켓(420)의 외주면에는 화재가 발생 된 장소를 감지하는 화염센서(430)를 제어부(500)와 연결되게 등 간격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브라켓(420)의 외주면에 설치된 화염센서(430)에서 화재가 발생 된 장소를 감지함과 동시에 그 감지 신호는 기판(170)에 설치된 제어부(500)로 유입되고, 그 제어부(500)는 소화탱크(400)에 구비된 펌프(410)로 제어 신호를 보내 상기 펌프(410)를 On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펌프(410)의 펌핑 작동으로 인해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은 연결관(470)을 통해 분사노즐(460)로 공급되고, 상기 분사노즐(460)로 공급된 소화액은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소화액을 분사하면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한다.
이때, 분사노즐(460)이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향해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브라켓(420)에는 무빙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무빙수단은, 브라켓(42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끼움홀(421)에 베어링(442)이 결합 되는 끼움부(444)가 하단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소화탱크(400)의 펌프(410)와 연결된 연결관(470)의 끝단이 실링 베어링(443)으로 결합 되는 챔버(441)가 구비된 무빙캡(440)을 도 3의 (b)와 같이 결합한다.
그리고 챔버(441)와 연통 되는 분사노즐(460)을 무빙캡(44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하는 데, 상기 분사노즐(460)의 내주면에는 나선돌기(461)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펌프(410)의 펌핑 작업으로 인해 챔버(441)의 내부로 공급된 소화액이 분사노즐(460)을 통해 화재 발생 장소로 분사 시 나선돌기(461)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사되기 때문에 소화액의 분사 거리를 늘릴 수 있게 한다.
즉, 챔버(441)로 공급된 소화탱크(400)에 구비된 소화액은 펌프(410)의 펌핑 작업에 의해 분사노즐(460)을 통해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데, 상기 분사노즐(460)의 내주면에는 도 3의 (b)와 같이 나선돌기(461)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나선돌기(461)에 의해 소화액은 와류가 발생 되면서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분사 되므로, 용접 장치의 먼 장소까지 소화액을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460)이 돌출 형성된 무빙캡(440)을 화염센서(430)가 감지된 장소로 향하도록 상기 끼움부(444)의 내주면에 이너기어(445)를 형성하고, 이너기어(445)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51)가 구비된 구동모터(450)를 수평프레임(10)에 결합한다.
상기 구동모터(450)를 수평프레임(10)에 결합할 수 있게 수평프레임(10)의 일면에는 결합판(11)을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450)를 결합판(11)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구동모터(45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분사노즐(460)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때, 구동모터(450)가 설치되는 결합판(11)은 커버(300)의 내측 상부면에 설치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용접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 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있게 소화탱크(400)와 분사노즐(460)을 연결하는 연결관(470)에는 분기관(480)을 케이스(1)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분기관(480)의 하부에는 무화노즐(482)를 등 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연결관(470)을 개폐 작동하는 제1 밸브(471)를 연결관(470)의 내부에 설치하고, 분기관(480)의 내부에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제2 밸브(481)를 설치 구성하며, 케이스(1)의 내부에는 화염센서(431)를 기판(170)과 연결되게 설치 구성한다.
이와 같이 소화수단이 설치되는 용접 장치의 케이스(1)의 전면에는 한 쌍의 연결잭(2)을 결합 구성하여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용접봉이 결합 되는 스틸홀더 및 부재에 결합 되는 클램퍼를 후설하는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170)과 연결되게 한다.
연결잭(2)이 전면에 결합 된 케이스(1)의 후면 중앙에 케이스(1)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방열팬(210)을 결합한다.
상기 연결잭(2)과 방열팬(210)이 전,후면에 각각 결합 된 케이스(1)의 내부 상단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ㄱ'자 모양의 수평프레임(10)을 결합하고,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이격 되게 높이조절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이 설치되는 데, 제1 수직프레임(20)의 하단은 케이스(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 되게 수평프레임(10)에 설치되고, 제2 수직프레임(20a)은 케이스(1)의 바닥면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후설하는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의 사이로 설치되는 히트싱크(30)의 설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케이스(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 되게 수평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수직프레임(20)의 하단에는 연결잭(2)과 연결단자(3)로 연결되는 기판(170)을 원터치 또는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ㄴ'자 모양의 기판결합부(21)를 전,후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기판결합부(21)에 결합 되는 기판(170)에 도 3과 같이 트랜스포머(130)를 결합한다
상기 트랜스포머(130)는 도 9의 (a), (b)와 같이 규소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넛 형상의 코어(140)를 형성하고, 코어(140)의 외주면에는 코일체(141)를 권취 한다.
상기 코어(140)에 권취 되는 코일체(141)는 구리 재질로 길게 형성되는 코일(142)과 코일(1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의 와이어(143)를 형성하며, 상기 와이어(143)를 감싸도록 유리섬유(144)를 결합하여 교류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고, 트랜스포머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므로 용접 작업시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70) 및 트랜스포머(130)가 설치된 제1 수직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2 수직프레임(20a)의 사이로 히트싱크(30)를 설치 구성하여 기판(170) 및 트랜스포머(130)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히트싱크(30)는 도 4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몸체부(31)를 형성하고, 몸체부(31)의 저면에는 방열 면적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방열핀(32)을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31)와 방열핀(32)으로 이루어진 히트싱크(30)를 케이스(1)의 후면 중앙에 설치된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할 수 있게 각각의 마주보는 제1 수직프레임(20)과 제2 수직프레임(20a)의 일면에 각각 이동홈(50)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이동홈(50)과 연통되는 한 쌍의 고정홈(5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마주보는 각각의 제1 수직프레임(20)과 제2 수직프레임(20a)을 연결하는 높이조절프레임(60)을 결합 구성하여 상기 높이조절프레임(60)에 히트싱크(30)를 결합하고, 상기 높이조절프레임(6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높이조절프레임(60)에 결합 된 히트싱크(30)의 설치 높이를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바(70)를 상기 높이조절프레임(60)의 중앙을 중심으로 도 4와 같이 대칭되게 설치한다.
상기 높이조절바(70)는 도 7의 (a), (b)와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몸체(80)를 힌지(83)로 결합 구성하여, 상기 힌지(83)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고정홈(51)의 내측에 끼워져 히트싱크(30)가 결합 된 높이조절프레임(6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81)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83)를 중심으로 타단에는 고정부(81)의 벌어진 간격을 조절하여 높이조절프레임(60)이 이동홈(50)을 따라 상,하로 이동을 허용하는 간격조절부(82)를 구비하며, 상기 간격조절부(80)의 내면에는 수축스프링(84)을 결합한다.
그리고 한 쌍의 높이조절바(70)가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된 높이조절프레임(60)의 상부면에는 출몰홀(61)을 설치하고, 상기 출몰홀(61)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장착홈(63)을 높이조절프레임(60)의 내부에 설치한다.
상기 출몰홀(61)에는 수축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83)를 중심으로 간격이 좁혀진 고정부(81)의 간격을 벌려 상기 고정부(81)가 고정홈(51)의 내측에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출몰스위치(100)를 장착홈(63)의 내부에 장착하는데, 그 출몰스위치(100)는 장착홈(63)에 탄발스프링(114)을 설치하고, 상기 탄발스프링(114)에 탄지되게 출몰스위치(10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탄발스프링(114)에 탄지 되게 높이조절프레임(60)에 설치되는 출몰스위치(100)는 도 7의 (a)와 같이 탄발스프링(114)의 상단에 결합 되는 스위치몸체(110)를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몸치(110)의 상부면에는 간격조절부(8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11)를 단차지게 형성하며, 상기 밀착부(111)의 상부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면(113)이 구비된 유도부(112)를 돌출 형성하며, 작업자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115)가 상기 유도부(112)의 상부면에 출몰홀(61)에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때, 밀착부(111)에 밀착되는 요홈(83a)을 마주보는 간격유지부(82)의 내면에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압력을 가압부(115)에 가하지 않을 시에는 장착홈(63)에 구비된 탄발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스위치(100)의 밀착부(111)는 높이조절바(70)에 구비된 간격조절부(82)의 요홈(83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높이조절바(70)의 타측인 고정부(81)는 힌지(83)를 중심으로 도 8의 (a)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고정부(81)를 고정홈(51) 내측에 끼워지게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인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히트싱크(30)가 결합 된 높이조절프레임(6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가압부(115)에 압력이 가하게 되면, 출몰스위치(100)는 도 7의 (b)와 같이 출몰홀(61)의 내측으로 유입과 동시에 높이조절바(70)의 간격조절부(82)는 수축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경사면(113)을 따라 좁혀지게 되므로, 힌지(83)로 결합 된 고정부(81) 역시 고정홈(51)으로부터 빠져나와 이동홈(50)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81)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81)는 고정홈(51)로부터 빠져나와 이동홈(50)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홈(50)으로 이동된 고정부(81)로 인하여 히트싱크(30)가 설치된 높이조절프레임(60)의 상,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히트싱크(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출몰홀(61)의 내측면에는 제1 경사면(113)가 대응되는 제2 경사면(6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경사면(113)과 대응되는 제2 경사면(62)을 출몰홀(61)의 내면에 형성하여 탄발스프링(114)에 출몰작동되는 출몰스위치(100)가 높이조절프레임(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높이조절바(70)에 구비된 고정부(81)는 높이조절프레임(60)의 양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높이조절바(70)가 높이조절프레임(60)에 결합 됨을 밝히는 바이다.
또한, 높이조절수단(40)에 의해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을 따라 아래로 이동되는 히트싱크(30)의 이동거리는 상기 히트싱크(30)의 하단이 제1 수직프레임(20)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거리만큼 이동됨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방열팬(210)을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급되는 바람이 히트싱크(30)로 직접 공급되도록 제2 수직프레임(20a)의 후면에 유도판(120)을 착,탈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유도판(120)이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유도판(12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부(121)를 형성하고, 슬릿부(121)와 대응되는 슬릿홈(122)을 도 8의 (b)와 같이 제2 수직프레임(20a)의 후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방열팬(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은 유도판(120)으로 인해 히트싱크(30)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기판(170) 및 트랜스포머(130)로부터 발생 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판(170) 및 트랜스포머(130)가 과열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히트싱크(30)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온도센서(150)를 설치하여 기판(170) 및 트랜스포머(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한다.
이때, 온도센서(150)는 장착바(160)를 이용하여 히트싱크(3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 된다.
그리고 기판(170)은 도 3과 같이 히트싱크(30)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 되는 데, 그 기판(170)을 연결하는 연결선(180)을 고정하는 연결선고정부(200)를 제2 수직프레임(20a)의 전면에 설치하여 커버(300)를 케이스(1)에 결합 하는 과정에서 연결선(180)의 피복이 벗겨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높이조절수단(40)의 높이조절프레임(60)을 각각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출몰스위치(100)에 구비된 가압부(115)를 도 6의 (a)와 같이 가압한다.
이때, 높이조절프레임(6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에 각각 결합 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높이조절프레임(60)을 한 손으로 잡아야 하며, 이로 인하여 높이조절프레임(60)에 결합 되는 한 쌍의 출몰스위치(100)의 이격 거리는 한 손으로 눌러지는 거리로 이격 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가압부(115)가 가압 됨에 따라서 탄발스프링(114)에 탄지 된 출몰스위치(100)는 출몰홀(6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출몰스위치(100)가 출몰홀(61)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높이조절바(70)에 구비된 간격조절부(82)는 수축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유도부(112)에 구비된 제1 경사면(113)을 따라 간격이 좁혀지는 즉, 힌지(83)를 중심으로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부(81)의 간격을 좁히게 되고, 그 간격이 좁혀진 높이조절바(70)의 고정부(81)를 제1 수직프레임(20)과 제2 수직프레임(20a)에 각각 형성된 이동홈(50)의 내측으로 끼워 결합한다.
상기 높이조절바(70)의 고정부(81)가 이동홈(50)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면, 작업자는 가압부(115)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한다.
상기 가압부(115)에 압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출몰스위치(100)의 스위치몸체(110)는 도 6의 (b)와 같이 장착홈(63)에 장착된 탄발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높이조절바(70)에 구비된 간격조절부(82)의 간격을 도 7의 (a)와 같이 힌지(83)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높이조절바(70)의 고정부(81)는 고정홈(51)의 내측을 끼워져 높이조절수단(40)의 높이조절프레임(60)을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 사이로 도 5와 같이 결합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60)이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에 결합 되면, 방열핀(32) 사이로 형성된 홈(33)이 상기 높이조절프레임(6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90)의 체결단(91)에 끼워지도록 히트싱크(30)를 높이조절프레임(60)에 결합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의 높이조절프레임(60)에 결합 된 히트싱크(30)의 설치 높이가 케이스(1)의 후면에 결합 된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다시 가압부(115)를 가압하여 출몰스위치(100)를 출몰홀(61)로 내부로 유입한다.
상기 출몰스위치(100)가 출몰홀(61)로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고정홈(51)에 결합 된 높이조절바(70)의 고정부(81)는 힌지(83)를 중심으로 간격인 좁아진 즉, 내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이동홈(5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홈(50)으로 이동된 높이조절바(70)로 인하여 높이조절프레임(60)은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 사이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히트싱크(30)를 케이스(1)의 후면에 설치된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수단(40)에 의해 히트싱크(30)의 설치 높이가 방열팬(210)과 동일한 위치로 조절되면 제1 수직프레임(20)의 하단에 구비된 기판결합부(21)에 트랜스포머(130)가 결합 된 기판(170)을 결합하며, 상기 기판(170)에 장착된 온도센서(150)를 온도센서장착부(160)를 이용하여 히트싱크(3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유도판(120)을 제2 수직프레임(20a)의 후면에 각각 결합한다.
이와 같이 히트싱크(30) 및 유도판(120) 및 트랜스포머(130) 및 기판(170) 등이 케이스(1)에 결합 되면, 커버(300)를 도 2와 같이 케이스(1)에 결합한 후에 용접 장치를 용접하는 장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연결잭(2)에 용접봉이 결합 되는 스틸홀더와 모재에 결합 되는 클램퍼(도면 미 도시)를 각각 결합하여 작업자는 용접 작업을 한다.
용접 작업을 하는 도중에 발생 되는 불꽃이 사방으로 튀게 되는 데, 이 불꽃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과 동시에 브라켓(420)의 외주면에 결합 된 다수의 화염센서(430)는 화재를 감지한다.
화염센서(430)에서 감지한 장소와 무빙캡(440)에 구비된 분사노즐(460)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기판(170)에 설치된 제어부(500)는 무빙수단의 구동모터(450)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450)를 가동한다.
이때, 브라켓(420)의 상부면에는 화염센서(430)와 대응되는 위치감지센서(490)를 제어부(500)와 연결되게 설치 구성하여 분사노즐(460)의 방향을 감지한다.
따라서, 위치감지센서(490)와 화염센서(430)에서 감지된 방향이 서로 다를 경우 제어부(500)는 구동모터(450)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On 작동한다.
상기 구동모터(450)의 회전력은 구동기어(451)와 맞물린 이너기어(445)로 전달되면서 화염센서(430)가 화재를 감지한 장소로 무빙캡(440)에 구비된 분사노즐(460)를 회전한다.
상기 분사노즐(460)이 화재가 발생 된 장소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어부(500)는 제1 밸브(471)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연결관(470)을 개방하고, 이와 반대로 제어부(500)는 제2 밸브(481)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분기관(480)의 내부를 차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소화탱크(400)에 구비된 펌프(410)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펌프(410)를 작동한다.
상기 펌프(410)의 작동으로 인하여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은 연결관(470)을 통해 무빙캡(440)의 내부에 구비된 챔버(441)로 소화액을 보냄과 동시에 분사노즐(460)을 통해 화재가 발생 된 장소로 소화액이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화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170) 및 트랜스포머(130)의 과열로 인해 용접 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화염센서(431)는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화재 감지신호를 보낸다.
화재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부(500)는 제1 밸브(471)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연결관(470)의 내부를 차단함과 동시에 제2 밸브(481)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연결관(470)에 연결된 분기관(480)을 개방한다.
상기 분기관(480)이 개방과 동시에 제어부(500)는 소화탱크(400)에 구비된 펌프(410)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개방된 분기관(48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분기관(480)의 내부로 유입된 소화액은 무화노즐(482)를 통해 외부로 커버(300)가 결합 된 케이스(1)의 내부로 소화액이 분사되기 때문에 용접 장치의 내부에 발생 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펌프(410)가 구비된 소화탱크(400)와 연결되는 분사노즐(460)을 무빙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무빙캡(440)에 결합하고, 상기 무빙캡(440)이 결합 되는 브라켓(420)의 외주면에 화염센서(430)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므로, 화염센서(430)에서 화염을 감지한 방향으로 무빙캡(440)이 회전된 상태에서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분사노즐(46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기 때문에 초기의 화재 진화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화염센서(430)가 감지된 방향으로 무빙캡(440)이 회전되고, 그 회전된 무빙캡(440)에 구비된 분사노즐(460)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화하므로, 용접 작업을 하는 장소에 작업자가 없더라도 용접 장치에 구비된 소화수단을 통해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사노즐(460)의 내부에는 나선돌기(461)를 돌출 형성하므로, 나선돌기(461)로 인해 분사노즐(460)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액은 회전되면서 분사되기 때문에 소화액이 먼 장소까지 분사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용접장치에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거리 감지 센서가 제어부(500)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분사노즐(460)의 통해 분사되는 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함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케이스(1)의 내부에는 화염센서(431)를 설치하고, 화염센서(431)에서 화재 감지시 분기관(481)에 구비된 무화노즐(482)를 통해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팬(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은 유도판(120)을 통해 직접 히트싱크(30)로 공급되기 때문에 트랜스포머(130)와 기판(170)에서 발생 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어 트랜스포머(130)와 기판(170)이 과열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30)의 설치 높이는 높이조절수단(40)으로 인하여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방열팬(210)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은 유도판(120)을 통해 직접 히트싱크(30)로 전달되기 때문에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높이조절바(70)의 고정몸체(80)는 도 7의 (a), (b)와 같이 좌,우측으로 길게 형성하기 때문에 히트싱크(30)가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6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바(70)에 구비된 고정부(81)는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에 형성된 고정홈(51)에 깊게 결합 되기 때문에 히트싱크(30)가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60)이 이동하는 도중에 충격에 의해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수단(40)의 높이조절프레임(60) 하단에 체결단(91)이 구비된 체결부(90)를 돌출 형성하여 히트싱크(30)를 상기 높이조절프레임(60)에 원터치로 결합하고, 상기 히트싱크(30)에 설치되는 기판(170)은 제1 수직프레임(20)의 하단에 형성된 기판결합부(21)에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원터치로 결합되기 때문에 용접 장치의 조립 시간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30)는 제1 수직프레임(20)과 제2 수직프레임(20a)으로 인하여 케이스(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용접 장치르 이동하는 도중에 발생 되는 충격이 직접 히트싱크(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미 설명된 도면 부호 4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으로 용접 장치의 용접 온도를 작업자가 알 수 있게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며, 그 디스플레이(4)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다이얼스위치(5)는 용접되는 직류 전압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1: 케이스, 1a: 바닥면,
2: 연결잭, 3: 연결단자,
4. 디스플레이, 5: 다이얼스위치,
10: 수평프레임. 11: 결합판,
20: 제1 수직프레임, 20a: 제2 수직프레임,
30: 히트싱크, 31: 몸체부,
32: 방열핀, 33: 홈,
40: 높이조절수단, 50: 이동홈,
51: 고정홈, 60: 높이조절프레임,
61: 출몰홀, 62: 제2 경사면,
63: 장착홈, 70: 높이조절바,
80: 고정몸체, 81: 고정부,
83: 힌지, 84: 수축스프링,
90: 체결부, 91: 체결단,
100: 출몰스위치, 110: 스위치몸체,
111: 밀착부, 112: 유도부,
113: 제1 경사면, 114: 탄발스프링,
115: 가압부, 120: 유도판,
121: 슬릿부, 122: 슬릿홈,
130: 트랜스포머, 140: 코어,
141: 코일체, 142: 코일,
143: 와이어, 144: 유리섬유,
150: 온도센서, 160: 온도센서장착부,
170: 기판, 180: 연결선,
200: 연결선고정부, 210: 방열팬,
300: 커버, 301: 장착홀,
400: 소화탱크, 410: 펌프
420: 브라켓, 421: 끼움홀,
430,431: 화염센서, 440: 무빙캡,
441: 챔버, 442: 베어링,
443: 실링 베어링, 444: 끼움부,
445: 이너기어, 450: 구동모터,
451: 구동기어, 460: 분사노즐,
461: 나선돌기, 470: 연결관,
471: 제1 밸브, 480: 분기관,
481: 제2 밸브, 482: 무화노즐,
490: 위치감지센서, 500: 제어부,

Claims (4)

  1. 커버(300)가 착,탈되는 케이스(1)의 내부와 후면에는 기판(170)과 방열팬(210)을 각각 결합하며, 기판(170)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히트싱크(30)를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용접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1)의 내측 상단 전,후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0)과;
    기판(170)에 장착된 제어부(500)와;
    커버(3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장착홀(301)과;
    케이스(1)의 바닥면(1a)에 형성되는 소화탱크(400)와;
    장착홀(301)에 돌출되게 커버(300)의 상부면에 결합 되며, 소화탱크(400)와 연결관(470)으로 연결되는 분사노즐(460)이 구비된 브라켓(420)과;
    화재가 발생 된 장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화재 감지 신호를 발송할 수 있게 브라켓(42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화염센서(430)와;
    그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핑 작동되면서 분사노즐(460)를 통해 화염센서(430)에서 감지된 장소로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410);로 이루어진 소화수단을 케이스(1)와 커버(300)에 설치 구성하며,
    상기 화염센서(430)에서 감지된 장소로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분사노즐(460)을 회전시키는 무빙수단을 브라켓(420)에 설치 구성하되,
    상기 무빙수단은,
    브라켓(42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끼움홀(421)과;
    끼움홀(421)의 내벽에 베어링(442)이 결합 되는 끼움부(444)가 하부 중앙 돌출 형성되며, 소화탱크(400)와 연결된 연결관(470)의 끝단이 실링 베어링(443)으로 결합 되는 챔버(441)가 내부에 구비된 무빙캡(440)과;
    챔버(441)와 연통 되게 무빙캡(44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나선돌기(461)가 내주면에 구비된 분사노즐(460)과;
    끼움부(44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이너기어(445)와;
    이너기어(445)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51)가 구비되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On/Off 작동되면서 무빙캡(440)에 구비된 분사노즐(460)을 화재 발생지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0)의 내측면에 결합판(11)에 의해 장착되는 구동모터(450);로 구성하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30)를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0)에 높이조절수단(40)을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접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케이스(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분기관(480)을 연결관(470)과 연결되게 더 결합하고,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제1 밸브(471)를 분기관(48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관(470)의 내부에 설치하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하는 제2 밸브(481)를 분기관(480)의 내부에 설치하고,
    분기관(480)의 외주면에는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170) 및 그 기판(170)에 구비된 트랜스포머(130)에서 화재 발생 시 소화탱크(4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소화액을 상기 분기관(480)을 통해 분사하는 무화노즐(482)을 등 간격으로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접 장치.
  3.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케이스(1)의 내부에 화재를 감지하는 화염센서(431)를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접 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40)은,
    방열팬(210)과 동일한 높이로 히트싱크(30)를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으로부터 이격 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과;
    각각의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이 마주보는 일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이동홈(50)과;
    이동홈(50)과 연통 되게 형성되며,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51)과;
    제1 수직프레임(20) 및 제2 수직프레임(20a)의 사이로 각각 끼워지는 높이조절프레임(60)과;
    좌,우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몸체(80)를 힌지(83)로 결합 구성하여 힌지(83)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고정홈(51)의 내측에 끼워지는 고정부(8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고정부(81)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부(81)가 이동홈(50)을 따라 상,하로 이동을 허용하는 간격조절부(82)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프레임(60)의 내부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바(70)와;
    간격조절부(82)에 결합 되는 수축스프링(84)과;
    간격조절부(8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프레임(60)에 형성되는 출몰홀(61)과;
    출몰홀(61)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높이조절프레임(60) 내부에 형성되며, 탄발스프링(114)이 설치되는 장착홈(63)과;
    출몰홀(61)에 출몰가능하게 탄지스프링(114)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탄발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홀(61)로부터 유출시 고정부(81)가 고정홈(51)에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고, 출몰홀(61)에 유입 시 수축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81)의 간격을 좁혀 높이조절프레임(60)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출몰스위치(100);로 구성하되,
    상기 출몰스위치(100)는, 탄발스프링(114)에 탄지 되는 스위치몸체(110)와;
    간격조절부(82)의 내면에 밀착되게 스위치몸체(110) 상부면에 단차 지게 형성되는 밀착부(111)와;
    밀착부(111)의 상부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면(113)이 구비된 유도부(112)와;
    출몰홀(61)에 돌출되게 유도부(11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압부(11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접 장치.
KR1020160180769A 2016-12-28 2016-12-28 휴대용 용접 장치 KR10173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69A KR101738859B1 (ko) 2016-12-28 2016-12-28 휴대용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69A KR101738859B1 (ko) 2016-12-28 2016-12-28 휴대용 용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859B1 true KR101738859B1 (ko) 2017-05-23

Family

ID=5905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769A KR101738859B1 (ko) 2016-12-28 2016-12-28 휴대용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4027A (zh) * 2018-12-07 2019-03-26 湖州艺雅斋湖笔有限公司 一种用于工艺品的焊接装置
CN117840622A (zh) * 2024-03-06 2024-04-09 山东开锐食品设备有限公司 一种啤酒发酵罐生产用焊接装置及焊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4027A (zh) * 2018-12-07 2019-03-26 湖州艺雅斋湖笔有限公司 一种用于工艺品的焊接装置
CN117840622A (zh) * 2024-03-06 2024-04-09 山东开锐食品设备有限公司 一种啤酒发酵罐生产用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117840622B (zh) * 2024-03-06 2024-05-03 山东开锐食品设备有限公司 一种啤酒发酵罐生产用焊接装置及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859B1 (ko) 휴대용 용접 장치
KR101167958B1 (ko) 플라즈마 토치, 플라즈마 토치의 노즐 및 플라즈마 가공기
CN101693229B (zh) 用于喷涂机器人的防爆旋转装置
CN111195405A (zh) 一种电气开关柜自动灭火装置
CN205621681U (zh) 漏电断路器
KR102554737B1 (ko) 피뢰기능을 갖는 배전선 고정장치
US4947405A (en) DC arc furnace
KR101738858B1 (ko) 방열 및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인버터 용접 장치
KR20140011566A (ko) 냉각팬이 구비된 건식 변압기용 보호케이스
US20210187650A1 (en) Stud welding gun
CN216706280U (zh) 一种手持式超声波焊接机
CN202162376U (zh) 烧嘴法兰盘保护装置
CN114272532B (zh) 一种变压器运行监测装置
US20040050822A1 (en) Welding torch having integral collet and collet bod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4117234B2 (ja) スタータ
CN205316734U (zh) 设有散热片的制冷芯片
CN215072187U (zh) 一种防爆开关电源
US2287770A (en) Metal spray gun
KR200410278Y1 (ko)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 장치
CN203316893U (zh) 一种带保护套的水冷式电焊机焊枪头
CN215497904U (zh) 一种监测温度自降温的高低压开关柜
CN205487628U (zh) 一种电力变压器
CN213421000U (zh) 一种灯具用铝型材中柱连杆
KR20170057000A (ko) 스폿 용접건
CN114192966B (zh) 一种手持式超声波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