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530B1 -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530B1
KR101738530B1 KR1020140121790A KR20140121790A KR101738530B1 KR 101738530 B1 KR101738530 B1 KR 101738530B1 KR 1020140121790 A KR1020140121790 A KR 1020140121790A KR 20140121790 A KR20140121790 A KR 20140121790A KR 101738530 B1 KR101738530 B1 KR 10173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main body
anion
supply modu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738A (ko
Inventor
한충수
강태환
오명민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5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8Treatment of plants and seeds with radioactive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기 설정된 높이로 이루어지는 스탠드부와, 작물이 심어진 화분 또는 생육배드 등이 수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는 작물설치부와, 상기 작물설치부 상측으로 상기 스탠드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물설치부 측으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발생모듈 및 상기 작물설치부 상측으로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물설치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형 음이온 발생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Growing plants apparatus having ventilating-type ion generator module}
본 발명은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함과 동시에 일정 위치에서만 효율적으로 음이온의 방사가 가능한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생육은 유효 성분들과 광합성에 필요한 태양광 등으로 분류하면서 생장 자체에 필요한 성분은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인산(P),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유황(S), 철(Fe), 붕소(B), 아연(Zn), 망간(Mn), 몰리브덴(Mo), 염소(Cl), 구리(Cu) 등 16종의 필수원소를 들고 있으며 이들 중 탄소는 대기상태의 이산화탄소에서 수소는 물에서, 산소는 공기 중에서 얻을 수 있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13가지 원소들은 토양 중 모암에서 직접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런 기초 성분을 공급하면서 전기자극을 주어 식물을 성장시키는 것 이외에도 음이온을 방사하면 식물이 성장 촉진되어 결실이 많아지므로 음이온 발생모듈이 적용된 작물재배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모듈의 위치를 작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서 변형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 공개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868호(발명의 명칭: 음이온 공기 청정 시스템)에 기재된 발명을 보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와 이를 거치하기 위한 삽입부와 컨트롤러를 가지는 거치대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음이온을 공급한다는 구성일뿐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는 작물에 적용시키면 음이온을 작물에 적절한 방향과 적정한 위치에서 공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이온 발생모듈의 위치를 작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서 변형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넓은 범위까지 음이온의 방사가 가능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음이온공급부 등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모듈 등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물이 구비된 화분 또는 생육배드 등이 수용되는 작물설치부와, 상기 작물설치부 상측에 구비되는 음이온공급모듈 및 상기 음이온공급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공급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방출홀이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본체부 내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 시 함께 유동되어 상기 방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음이온이 방사되도록 설치되는 음이온공급부를 포함하는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송풍팬설치부가 구비되되, 상기 송풍팬설치부에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음이온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단면상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음이온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동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스크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음이온발생모듈을 상기 작물설치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단면상 사각 형상을 이루되,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위치마다 상기 음이온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물이 구비된 화분 등이 수용되는 작물설치부와, 상기 작물설치부 상측에 구비되는 음이온공급모듈 및 상기 음이온공급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공급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중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상기 내부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 시 음이온이 함께 외부로 방사되도록 설치되는 음이온공급부를 포함하는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 방식에 의하여 음이온이 본체부 외측으로 소정의 송풍압에 의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음이온공급모듈의 크기를 콤팩트(compact)하게 하면서도, 송풍의 강함 정도를 조절하여 넓음 범위까지 음이온의 방사가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음이온공급모듈의 본체부 내측에 스크류부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 내측을 따라 음이온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이온의 외부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음이온공급모듈의 본체부 외부 일부를 덮어 감싸는 덮개부를 구비하여 일정 방향으로만 집중적으로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용 음이온공급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용 음이온공급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장치는 작물설치부(110), 지지부(120) 및 음이온공급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작물설치부(110)는 작물이 구비된 화분 등이 상측에 수용되는 구조물을 이루며, 도시된 것처럼, 테이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물설치부(110) 상측으로는 작물이 구비된 화분 또는 생육배드 복수 개가 정렬 배치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각 화분 화분 또는 생육배드에 대응되는 영역마다 칸막이부 또는 리브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작물설치부(110) 상측으로 상기 음이온공급모듈(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작물설치부(110) 양측에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며 고정되게 설치되되, 길이 가변이 가능한 스탠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120)는 하부지지부(122)와 상기 하부지지부(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지지부(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부(122)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상부지지부(121)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5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부(122)와 상부지지부(121)는 원형 파이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상부지지부(121)가 하부지지부(122) 내측에 삽입된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21)의 상단에는 음이온공급모듈(140)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2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123)은 지지하고자 하는 음이온공급모듈(140)의 외관 하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이온공급모듈(140)은 본체부(130), 송풍팬(145), 음이온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30)는 단면상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소정 길이를 가지는 드럼 형태를 이루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방출홀(135)이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45)은 상기 본체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30)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서 외부공기가 공급되어 내측 중공부를 따라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부(130)의 일측에는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중앙부에 관통부(144)가 형성된 송풍팬설치부(142)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설치부(142)에 상의 관통부(144)기 송풍팬(145)이 설치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송풍팬설치부(142)에 전원의 인가 시에 상기 송풍팬(142)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설치부(142)에는 상기 본체부(130) 내측으로 발생된 음이온이 공급될 수 있는 형태로 음이온공급부(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음이온공급부(150)는 상기 송풍팬(145)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에 의하면, 가변이 가능한 지지부(120)를 통하여 음이온공급모듈(140)의 위치를 작물로부터 소정 상부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본체부(130) 일측에 구비된 송풍팬(145)과 음이온공급부(150)를 이용하여 송풍 방식으로 본체부(130)를 따라서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하되, 방출홀(135)을 통하여 내부 송풍압에 의하여 음이온이 외부로 강하게 방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상당한 공간에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에만 송풍팬(145)과 음이온공급부(1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요 구성의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하여 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는 상기 음이온공급모듈(140) 상부로 길이 가변이 가능하면서도 작물 측으로 식생에 유리한 빛을 파장하는 LED램프(185)가 구비된 램프설치보드(1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작물설치부(110)의 일측으로는 가변 가능하게 다수단(171,172)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지지부(170)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부(170)의 상측으로 힌지(175)에 의하여 상기 보조지지부(170)로부터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177)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브라켓(177)에 상기 램프설치보드(180)가 고정볼트(70)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성을 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제시된 음이온공급모듈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의 주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의 경우 상기 본체부(130)의 외측 일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별도의 덮개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160)는 별도의 자석부(165)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30)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30)는 상기 자석부(165)에 대응되는 위치로 자석부가 구비되거나 금속성의 물질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은 상기 본체부(130) 내측을 따라서 스크류부(138)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부(138)는 본체부(130)의 일측에서 송풍 방식에 의하여 공급되는 음이온이 상기 본체부(130)의 내측면을 따라서 용이하게 유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을 적용 시에는 일측에서 송풍팬(145)에 의하여 공급되는 음이온이 본체부(130) 내측면을 따라서 소용돌이 치는 방식으로 회동하며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체부(130)에 구비된 방출홀(135)을 통하여 음이온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60)를 이용하여 본체부(130)의 일측을 덮어 감싸는 경우에는 타측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보다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음이온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음이온의 배출방향 및 공급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240)은 내측으로 음이온이 유동하는 중공부가 구비된 본체부(230)가 단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방출홀(278) 및 개방부(279)가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240)도 본체부(230)의 일측으로 송풍팬(245)이 구비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본체부(230)의 일측에는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송풍팬설치부(242)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설치부(242)의 중앙 관통부(243)에 상기 송풍팬(245)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30)에 구비된 각각의 개방부(279)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덮개부(2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80) 중앙 부위에는 음이온공급부(250)가 구비되며, 상기 음이온공급부(250) 주위로 상기 덮개부(280)에 또한 음이온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출홀(27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중공된 본체부(330)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3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상기 내부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송풍팬(345)이 설치된다. 즉, 상기 본체부(3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에 각각 상기 송풍팬(345)이 설치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345)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 시 음이온이 함께 외부로 방사되도록 상기 송풍팬(345) 각각에 음이온공급부(350)가 설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송풍팬(345)의 전반측에 각각 음이온공급부(350)가 설치되며, 상기 음이온공급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본체부(330)에는 다량의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하는 음이온발진부(37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 또한 작물설치부(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작물설치부(1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상하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게 구성된 중앙스탠드(142)가 구비되되, 상기 중앙스탠드(142)의 상부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식생에 유리한 빛을 파장하는 LED램프(185)가 구비된 램프설치보드(180)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은 상기 작물설치부(110)의 양측으로 측부스탠드(141, 143)가 구비된다.
상기 측부스탠드(141, 143) 또한 길이 가변이 가능한 구성을 이루며 공지된 기술인 다단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양측 프레임을 일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고정볼트(470)가 적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스탠드(141, 142, 143)에는 송풍팬(345)과 음이온공급부(350)가 적용되는 본체부(3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측부스탠드(141, 143)에 설치되는 본체부(330)는 소정 각도에서 고정 가능한 힌지부(413)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설치된 작물의 재배에 용이한 각도로 음이온이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에 의하면, 송풍 방식에 의하여 음이온이 본체부 외측으로 소정 송풍압에 의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음이온공급모듈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하면서도, 송풍의 강함 정도를 조절하여 넓은 범위까지 음이온의 방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음이온공급모듈의 본체부(130) 내측에 스크류부(138)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 내측을 따라 음이온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이온의 외부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체부(130) 외부 일부를 덮어 감싸는 덮개부(160)를 구비하여 일정 방향으로만 집중적으로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음이온공급부(250)가 별도로 설치 적용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유지 및 운영상의 편리성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작물설치부 120: 지지부
123: 지지브라켓 130, 230, 330: 본체부
135, 277, 278: 배출홀 140, 240: 음이온공급모듈
142, 242: 송풍팬설치부 145, 245, 345: 송풍팬
150, 350: 음이온공급부

Claims (6)

  1. 작물이 구비된 화분 또는 생육배드가 수용되는 작물설치부와, 상기 작물설치부 상측에 구비되는 음이온공급모듈 및 상기 음이온공급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공급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방출홀이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본체부 내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 시 함께 유동되어 상기 방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음이온이 방사되도록 설치되는 음이온공급부를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음이온발생모듈을 상기 작물설치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이온공급모듈에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 일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별도의 덮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부가 각각 구비되어 자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2. 작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작물이 구비된 화분이 수용되는 작물설치부와,
    상기 작물설치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상하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게 구성된 중앙스탠드;
    상기 작물설치부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길이가변이 가능한 측부스탠드;
    상기 각 스탠드에는 설치되는 송풍팬과 음이온공급부가 적용되는 본체부;가 구성되며,
    상기 측부스탠드에 설치되는 본체부는 소정 각도에서 고정 가능한 힌지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21790A 2014-09-15 2014-09-15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KR10173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90A KR101738530B1 (ko) 2014-09-15 2014-09-15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90A KR101738530B1 (ko) 2014-09-15 2014-09-15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38A KR20160031738A (ko) 2016-03-23
KR101738530B1 true KR101738530B1 (ko) 2017-05-22

Family

ID=5564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790A KR101738530B1 (ko) 2014-09-15 2014-09-15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19A (ko) * 2019-05-08 2020-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경재배용 살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68Y1 (ko) * 2002-11-27 2003-03-03 김경훈 음이온 공기 청정 시스템
JP4789390B2 (ja) * 2002-08-07 2011-10-12 シャープ株式会社 生産施設の除菌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390B2 (ja) * 2002-08-07 2011-10-12 シャープ株式会社 生産施設の除菌方法及び装置
KR200305868Y1 (ko) * 2002-11-27 2003-03-03 김경훈 음이온 공기 청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19A (ko) * 2019-05-08 2020-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경재배용 살균장치
KR102264047B1 (ko) * 2019-05-08 2021-06-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경재배용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38A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135B1 (ko) 실내용 다목적 인삼 수경재배 장치
US9357715B2 (en) Vertical planter
JP5971623B2 (ja) 光照射装置、イチゴ栽培システムおよびイチゴ栽培方法
JP2018512888A (ja) 模擬自然照明条件での植物の屋内栽培用システム
KR101301470B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JP5945836B2 (ja) 植物栽培槽及び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2471773B1 (ko) 새싹 인삼 재배 시스템
KR20140072632A (ko) 광원이용률 및 공간활용도가 개선된 식물공장용 조명-식재베드 세트 및 이것이 적용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JP2011205991A (ja) 植物栽培機
JP2009273481A (ja) 温室栽培の炭酸ガス施与装置
KR20140141066A (ko) Led 식물 생육장치
MXPA01004499A (es) Aparato y metodo para cultivar productos de enredaderas.
KR101376094B1 (ko)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
KR101845603B1 (ko) 송풍 기능과 조사 기능이 구비된 저면관수식 화분
CN103759205A (zh) 一种盆栽花卉用led补光灯及其制造方法
KR101738530B1 (ko) 송풍 방식 음이온공급모듈이 구비된 작물재배장치
JP4101272B2 (ja) 植物育成システム、植物育成プラント及び植物育成方法
KR20160053399A (ko) 난 재배장치
JP2003219736A (ja) 育苗用の開放型空調装置
KR101260430B1 (ko) 실내용 식물재배장치
KR20170044787A (ko) 실험용 재배장치
JP3174497U (ja) きのこ栽培装置
JP2019106965A (ja) 植物の栽培施設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KR20230045907A (ko) 광 조사 거리조절이 가능한 포그포닉 스마트팜
RU2008141405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в офис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