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108B1 -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108B1
KR101738108B1 KR1020160164564A KR20160164564A KR101738108B1 KR 101738108 B1 KR101738108 B1 KR 101738108B1 KR 1020160164564 A KR1020160164564 A KR 1020160164564A KR 20160164564 A KR20160164564 A KR 20160164564A KR 101738108 B1 KR101738108 B1 KR 10173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unit
filling means
mattre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김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김근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로서, 베이스매트; 상기 베이스매트의 상층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옵션층; 및, 내부에 상기 베이스매트 및 상기 옵션층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A Mattress Including Optional Layer}
본 발명은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체형 및 수면습관에 맞도록 다양한 재질로 구성된 옵션층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수명 저하에 따른 교체가 간편한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식 주거생활을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요와 이불로 이루어진 좌식 침구를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그러나 요와 이불의 경우 접어서 이불장에 넣고 빼는 번거로움이 있어, 서양식 침구가 도입된 이래로 매트리스를 구비한 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침대에 구비하는 매트리스는 적용되는 소재나 쿠션방식에 따라 스프링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메모리폼 매트리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 및 체형에 맞추어 다양한 매트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스프링 매트리스는 스프링의 완충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개의 스프링이 스프링 조립체로 구성됨에 따라 어느 한 쪽에 외력이 집중 작용할 시 전체적으로 요동치게 되는 단점이 있어, 다수의 취침자가 함께 취침하는 경우 한 사람이 뒤척이거나 움직이게 되면 나머지 한 사람은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메모리폼 매트리스의 경우 스프링 매트리스에 구비되는 금속재 스프링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사용시 소음이 적고 뒤척임에 따른 요동침이 없으나, 공기의 유동이 불가능하여 쾌적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라텍스 매트리스는 그 수명이 길고 스프링 매트리스에 비해 안락함이 뛰어나며 항균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나, 습기 및 열에 굉장히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어 그 취급에 보다 조심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매트리스의 장점을 최대화하고, 장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재질이 적층된 복합 매트리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대한 고안으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09-0003445호에 ‘기능성 매트리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기능성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 중, 하 및 좌우에 각각 다른 쿠션기능 또는 쿠션감을 구별시켜 구성함으로 인체에 제공하는 쿠션이 현저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하는 동시에 질병의 예방과 통증완화에 기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안은 종래 매트리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부직포나 스펀지·양모·화학솜, 견지 등으로 구성되는 제1패드에 스프링(포켓스프링포함)구조물과 이 스프링구조물에 제2매트를 중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매트 상에 탄성을 달리하거나 동일한 쿠션재를 복수 개로 분할하되 쿠션재를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구조물을 공지의 매트리스 커버로 씌워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상기 고안은 하나의 침대매트리스에서 고, 중, 저탄성부로 구분함으로 남녀 부부간에 고탄성부와 저탄성부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오랜 병으로 장시간 누워있는 사용자들이 고 탄성부와 저 탄성부에 의한 혈액순환 촉진 및 안락성을 증대하고 산모와 간난 아기가 구분되는 탄성부에 의해 간난 아기들의 안전성 및 수요자들이 원하는 탄성의 매트리스를 제공하여 기능성과 함께 상품성을 증대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경우 분할된 쿠션재를 교체 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의 체형을 고려한 맞춤 매트리스를 제공하기엔 어렵다는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로서, 사용자의 체형 및 수면습관에 맞도록 다양한 재질로 구성된 옵션층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수명 저하에 따른 교체가 간편한 신규하고 진보한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 및 수면습관에 맞도록 다양한 재질로 구성된 옵션층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수명 저하에 따른 교체가 간편한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옵션층을 여러개의 단위체로 구성하여 신체 각 부위별로 서로 다른 재질의 단위체가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숙면에 최적화된 매트리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옵션층에 구비된 단위체를 개별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척 및 교체를 보다 편리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로서, 베이스매트; 상기 베이스매트의 상층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옵션층; 및, 내부에 상기 베이스매트 및 상기 옵션층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옵션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매트와, 상기 단위매트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매트외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커버는, 결착수단을 통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옵션층은, 적어도 상면과 하면을 갖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위매트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매트는, 매트의 물리적 탄성특성을 제공하는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을 감싸면서 적어도 일 측에 상기 걸림홈이 구비된 보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옵션층은, 적어도 상면과 하면을 갖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위매트와, 양 단에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구비되어 이웃한 한 쌍의 단위매트를 연결시키는 연장결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결합수단은, 상기 단위매트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고정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부를 양 측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웃한 상기 단위매트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탄성계수보다 작은 제2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이음부로 구성되어, 상기 단위매트 사이가 벌어지더라도 상기 이음부를 통해 벌어진 이격공간을 가림으로써 상기 옵션층을 하나의 단위체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단위매트 사이에서 벌어진 이격공간에는, 상기 단위매트와 맞닿는 부위를 향해 전후면이 볼록하게 연장되어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한 채움수단이 위치하되, 상기 채움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두 단위매트의 평균 물리적 탄력특성을 갖춘 상태에서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매트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해 둥글게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에 실장되어 상기 채움수단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보조채움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채움수단과 상기 보조채움수단이 서로 밀어내려는 성질로 인해 상기 이격공간을 채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조채움수단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가 포함되고, 상기 채움수단의 내부에는, 상기 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와 대응되는 함입면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자기력에 의해 당겨지는 한 쌍의 자성체가 서로 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채움수단의 전후면을 수축시켜 높이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연장결합수단에 텐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는,
1) 사용자의 체형 및 수면습관에 맞도록 다양한 재질로 구성된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를 제공하며,
2) 옵션층을 여러개의 단위매트로 구성하여 신체 각 부위별로 서로 다른 재질의 단위매트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숙면에 최적화된 매트리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3) 옵션층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매트를 개별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척 및 교체를 보다 편리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매트 및 옵션층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매트와 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매트에 연장결합수단을 적용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장결합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단위매트 사이에 채움수단을 적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매트에 보조채움수단을 적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적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옵션층(200)을 구비한 매트리스는, 옵션층(200)을 구비한 매트리스로서, 베이스매트(100); 상기 베이스매트(100)의 상층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가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옵션층(200); 및, 내부에 상기 베이스매트(100) 및 상기 옵션층(200)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320)을 구비한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베이스매트(100)는 일반적인 매트리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프링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메모리폼 매트리스 등 다양한 재질의 매트리스가 베이스매트(100)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베이스매트(100)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매트(100) 상면에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옵션층(200)이 구비되는데, 이 옵션층(200)은 커버(300)를 통해 별도 분리가 가능하므로 매트리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옵션층(200)의 교체를 통해 매트리스를 교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매트 및 옵션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옵션층(200)은, 일정한 폭, 길이,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매트(400)와, 상기 단위매트(400)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매트외피(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도면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세 개의 단위매트(400)가 매트외피(230)에 수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실제 구성에서 단위매트(400)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2 내지 10개 정도의 단위매트(400)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단위매트(400)로 인해, 서로 다른 재질 및 경도를 지닌 단위매트(400)가 신체의 각 부위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혹은 수면 습관에 따라 부위별로 단위매트(400)의 재질을 변경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숙면에 최적화된 매트리스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매트외피(230)에는 지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지퍼를 통해 매트외피(230)를 개폐함으로서 내장된 단위매트(400)를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매트외피(230)를 열어 단위매트(400)를 빼낸 후 옵션층(200)의 세척 역시 가능하여 기존의 매트리스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매트와 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더불어 단위매트(400)의 교체를 위해 커버(300) 역시 결착수단(310)을 구비하여 개폐 가능하므로, 결착수단(310)을 통해 커버(300)의 수용공간(320)에서 옵션층(200)을 꺼낸 뒤, 옵션층(200)에 구비된 지퍼를 개폐하여 매트수용부에 수용된 단위매트(400)를 교체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결착수단(310)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벨크로, 지퍼, 단추 등 섬유류의 개폐를 위한 다양한 수단 등이 결착수단(310)으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맞춤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옵션층(200)은, 적어도 상면과 하면을 갖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410)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위매트(4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0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홈(410)에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단위매트(400)의 형상은 상면과 하면을 갖는 다면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대표적인 형상은 육면체를 들 수 있다. 다만, 육면체의 형상 또한 정육면체나 직육면체 등의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단위매트(400)의 형상이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평면형상으로 구성되지 않고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상면 및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4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300)의 내측에는 걸림홈(410)에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더 구비되는데, 이 결착돌기가 걸림홈(410)에 삽입됨으로써 단위매트(400)가 커버(300) 내부의 특정 지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매트리스의 특성 상 수면 중인 사용자의 뒤척임이 심하거나 외부로부터 강한 외력을 받은 경우, 커버(300) 내측에 내장된 단위매트(40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심한 경우 뒤섞여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매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단위매트(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단위매트(400)는 매트의 물리적 탄성특성을 제공하는 탄성층(401)과, 상기 탄성층(401)을 감싸면서 적어도 일 측에 상기 걸림홈(410)이 구비된 보호층(402)으로 구성된다. 즉, 탄성층(401)은 물리적 탄성특성을 제공하는 일종의 코어로서 작용하여 전체 단위매트(400)의 탄성정도를 제어할 수 있고, 보호층(402)은 이 탄성층(401)을 둘러쌈과 동시에 보호층(402)에 걸림홈(410)이 구비되어 탄성층(401)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보호층(402)에 형성된 걸림홈(410)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앞서 옵션층(200)이 두 가지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었다고 하였는데, 바로 이 단위매트(400)의 재질을 다르게 형성하여 두 개 이상의 단위매트(400)를 옵션층(200)으로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물리적 탄성특성이 높아 가장 단단한 성질을 갖는 단위매트(400)와, 물리적 탄성특성이 낮아 비교적 덜 단단한 성질을 갖는 단위매트(400)를 활용하는 경우, 두 가지의 재질을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모두 경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매트에 연장결합수단을 적용한 개념도이다.
옵션층(200)은, 적어도 상면과 하면을 갖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410)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위매트(400)와, 양 단에 상기 걸림홈(410)과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구비되어 이웃한 한 쌍의 단위매트(400)를 연결시키는 연장결합수단(5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위매트(400)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면 및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410)이 구비된다. 이 때, 이 걸림홈(410)을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걸림홈(410)과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웃한 한 쌍의 단위매트(400)를 연결시키는 연장결합수단(50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장결합수단(500)을 활용하더라도 앞선 실시예를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연장결합수단(500)에서 결착돌기가 형성된 부분의 대향면에 걸림홈(410)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홈을 더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장결합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서 연장결합수단(500)은 상기 단위매트(40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고정부(510)와, 한 쌍의 상기 고정부(510)를 양 측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웃한 상기 단위매트(400)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탄성계수보다 작은 제2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이음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고정부(510)가 이음부(520)보다 탄성계수가 커 상대적으로 단단하면서 수축 및 이완이 덜 되도록 구성하여 연장결합수단(500)이 단위매트(400)에 고정된 이후, 고정된 부위인 고정부(510)는 잘 변형되지 않아 고정을 용이하게 유지하면서도, 양 고정부(510) 사이에 위치한 이음부(520)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하여 단위매트(400)가 움직이거나 형태가 변하는 상황에서도 단위매트(400)와 단위매트(4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이 연장결합수단(500)을 통해 계속해서 가릴 수 있어 복수개의 단위매트(400)로 옵션층(200)을 형성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마치 하나의 단위매트(400)로 옵션층(200)을 형성한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단위매트 사이에 채움수단을 적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서로 마주보는 단위매트(400) 사이에서 벌어진 이격공간에는, 단위매트(400)와 맞닿는 부위를 향해 전후면이 볼록하게 연장되어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한 채움수단(60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이 채움수단(600)은 맞닿은 상기 단위매트(400)의 평균 물리적 탄력특성을 갖춘 상태에서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즉, 채움수단(600) 또한 스프링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메모리폼 매트리스 등 다양한 재질의 매트리스나 혹은 그와 유사한 물리적 성질을 가질 수 있는 스폰지나 실리콘, 겔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채움수단(600)이 서로 마주보는 단위매트(400)를 향해 볼록하게 연장되어 있어, 두 단위매트(400) 사이의 이격공간이 벌어지거나 외부 압력 등에 의해 변형되었을 때에 이 채움수단(600)이 적절하게 변형되어 이격공간을 메울 수 있어 복수의 단위매트(400)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외관은 마치 하나의 단위매트(400)로 형성된 옵션층(200)을 사용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매트에 보조채움수단을 적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단위매트(400)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해 둥글게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42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420)에는 상기 안착홈(420)에 실장되어 상기 단위매트(400)의 외측이자 채움수단(600)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보조채움수단(7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채움수단(600)과 유사한 것으로서, 단위매트(400)의 측면에 내측을 향해 둥글게 함입된 안착홈(420)을 형성하되, 이 안착홈(420)에는 단위매트(4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보조채움수단(700)을 실장하는 것이다. 이 보조채움수단(700)도 채움수단(600)과 유사하게 단위매트(400) 사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 단위매트(400) 사이의 이격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채움수단(700)은 채움수단(600)과 달리 안착홈(420) 내부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단위매트(400)가 외력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더라도 이 보조채움수단(700)이 적절하게 이동되어 복수의 단위매트(400)를 마치 하나의 단위매트(400)처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적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더 나아가 보조채움수단(7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710)가 포함되고, 상기 채움수단(600)의 내부에는 상기 자성체(71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710)와 대응되는 함입면(611)이 형성된 스페이서(6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조채움수단(7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710)를 포함함으로써 마주보는 두 단위매트(400) 사이에서 보조채움수단(700)을 서로 당겨 이격공간을 확실하게 채울 수 있다. 다만 너무 자성체(710)에 의존하는 경우, 자성체(710)가 위치한 부위만 닳는 등의 외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채움수단(600)에서 보조채움수단(700)의 자성체(710)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자성체(710)와 대응되는 함입면(611)이 형성된 스페이서(610)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이 스페이서(610)는 일종의 도넛 또는 원반형상 및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채움수단(600)에 위치한 스페이서(610)의 중앙부에는 함입면(611)이 형성되는데, 이 함입면(611)에 자성체(710)가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자성체(710)로써 인력이 매우 강한 네오디뮴과 같은 자석을 사용하더라도, 네오디뮴 사이에 위치한 채움수단(600) 및 스페이서(610)를 통해 보조채움수단(700)과 채움수단(600)의 표면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더러 나아가 스페이서(610)가 항상 자성체(71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어 단위매트(400)가 오래되어 낡아져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나 보조채움수단(700)을 채움수단(600)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채움수단(600)과 보조채움수단(700)의 성질을 모두 활용할 수 있어 단위매트(400)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베이스매트 200: 옵션층
230: 매트외피 300: 커버
310: 결착수단 320: 수용공간
400: 단위매트 401: 탄성층
402: 보호층 410: 걸림홈
420: 안착홈 500: 연장결합수단
510: 고정부 520: 이음부
600: 채움수단 610: 스페이서
611: 함입면 700: 보조채움수단
710: 자성체

Claims (10)

  1.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로서,
    베이스매트;
    상기 베이스매트의 상층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상면과 하면을 갖는 다면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구비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매트와, 상기 단위매트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매트외피 및, 양 단에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구비되어 이웃한 상기 단위매트를 연결시키는 연장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옵션층;
    내부에 상기 베이스매트 및 상기 옵션층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결착수단을 통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결착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매트는,
    매트의 물리적 탄성특성을 제공하는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을 감싸면서 적어도 일 측에 상기 걸림홈이 구비된 보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결합수단은,
    상기 단위매트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고정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부를 양 측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웃한 상기 단위매트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탄성계수보다 작은 제2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이음부로 구성되어,
    상기 단위매트 사이가 벌어지더라도 상기 이음부를 통해 벌어진 이격공간을 가림으로써 상기 옵션층을 하나의 단위체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8.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단위매트 사이에서 벌어진 이격공간에는,
    상기 단위매트와 맞닿는 부위를 향해 전후면이 볼록하게 연장되어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한 채움수단이 위치하되,
    상기 채움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두 단위매트의 평균 물리적 탄력특성을 갖춘 상태에서 수축 및 연장이 가능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매트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을 향해 둥글게 함입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에 실장되어 상기 채움수단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보조채움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채움수단과 상기 보조채움수단이 서로 밀어내려는 성질로 인해 상기 이격공간을 채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채움수단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가 포함되고,
    상기 채움수단의 내부에는,
    상기 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와 대응되는 함입면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자기력에 의해 당겨지는 한 쌍의 자성체가 서로 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채움수단의 전후면을 수축시켜 높이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연장결합수단에 텐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KR1020160164564A 2016-10-26 2016-12-05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KR101738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58 2016-10-26
KR20160140258 2016-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108B1 true KR101738108B1 (ko) 2017-05-19

Family

ID=5904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564A KR101738108B1 (ko) 2016-10-26 2016-12-05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1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27Y1 (ko) * 2015-07-09 2015-08-17 조광호 적층식 침대용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27Y1 (ko) * 2015-07-09 2015-08-17 조광호 적층식 침대용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4973B (zh) 床墊組件
US20100170042A1 (en) Memory Foam Mattress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8832889B2 (en) Four-sided reversible bedding element
CA2558743C (en) Mattress with different firmness zones
JP2012513829A (ja) 粘弾性身体支持具及び粘弾性身体支持具を製造する方法
KR101001211B1 (ko) 미니 포켓 스프링을 구비한 3단 접이식 매트리스
KR200485147Y1 (ko) 경추 베개
KR101738108B1 (ko) 옵션층을 구비한 매트리스
KR101159200B1 (ko) 라텍스 쿠션부재와 온수호스에 의한 발열수단이 내장된 침대용 스프링 매트리스
KR20100095922A (ko) 탄성쿳션부재 침구용 커버
JP3162301U (ja) 複合式スプリングマットレス
CN204970451U (zh) 组合复合床垫
KR200399424Y1 (ko) 침대 매트리스
KR100703195B1 (ko) 맞춤형 베개
KR200313925Y1 (ko) 쿠션
KR101912048B1 (ko)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KR20090003445U (ko) 기능성 매트리스
JP3206930U (ja) マットレス
KR200461927Y1 (ko) 침대용 접이식 매트리스
CN210643520U (zh) 组合式枕头
KR101674828B1 (ko) 합성수지 베개
CN213429320U (zh) 一种组合式床垫
KR200494841Y1 (ko) 뒤집어 사용 가능한 매트리스
CN210727294U (zh) 一种透气型弹簧床垫
JP3417923B2 (ja) 猫用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