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551B1 -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Google Patents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7551B1 KR101737551B1 KR1020150121750A KR20150121750A KR101737551B1 KR 101737551 B1 KR101737551 B1 KR 101737551B1 KR 1020150121750 A KR1020150121750 A KR 1020150121750A KR 20150121750 A KR20150121750 A KR 20150121750A KR 101737551 B1 KR101737551 B1 KR 101737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nsion
- contact
- extending
- line
- b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특성을 더욱 우수하게 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특성을 더욱 우수하게 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를 테스트하는 테스터기는 1 개의 종류의 SSD 제품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규격을 갖는 SSD 제품을 테스트할 때, 그때 그때 테스터기를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젠더 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SSD 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SSD 테스트용 젠더 구조가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또는 적절한 고정 및 지지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특성을 더욱 우수하게 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는, 테스트 소켓 내에 구비되어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로서,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컨택부; 및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컨택부의 측부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 전달을 보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컨택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택부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는 상부 접촉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되 상기 상부 접촉부와 동일 선상에서 연장되며 하부 부분에 마련되어 하단부가 하부에 위치하는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는 하부 접촉부, 및 상기 상부 접촉부와 하부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 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촉부, 하부 접촉부, 및 탄성 유지부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유지부는 ㄷ 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 컨택부가 길이 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배를 갖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 유지부는, 상부의 제1 라인부, 가운데의 제2 라인부, 및 하부의 제3 라인부를 가져서, 상기 상부 접촉부와 상기 제1 라인부 사이에는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인부와 제2 라인부 사이에는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부와 제3 라인부 사이에는 제3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라인부와 상기 하부 접촉부 사이에는 제4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곡부는 둔각의 제1 사이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라인부가 대각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둔각의 제2 사이각을 갖되, 상기 제2 사이각은 사이드 연결부와 상기 제2 라인부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하는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3 절곡부는 둔각의 제3 사이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라인부가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3 라인부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접촉부의 상부와 이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4 절곡부는 둔각의 제4 사이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컨택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형태로 구성되되 상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하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하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전기 신호가 연결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컨택부는, 상부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상부 연장부와 별개로 마련되며 하부 부분에 배치되는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연장부는, 하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하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의 하부 부분의 일 부분과 상기 하부 연장부의 일 측면이 서로 측방향으로 접촉하여 슬라이딩 마찰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접촉부와 연결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마련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하부에 마련되는 제3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5 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장부와 제3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6 절곡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좌측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연장부는,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접촉부와 연결되는 하부의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 상부에 마련되는 제5 연장부, 및 상기 제5 연장부 상부에 마련되는 제6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4 연장부와 제5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7 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5 연장부와 제6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8 절곡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4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5 연장부는 우측 대각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3 연장부의 우측면과 상기 제6 연장부의 좌측면이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 마찰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 하부에 마련되는 제1 보조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보조 연장부는 대각 좌측 하방향으로 깎여진 첨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기 제6 연장부 상부에 마련되는 제2 보조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2 보조 연장부와 상기 제6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9 절곡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2 보조 연장부는 우측 대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접촉부의 우측면에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돌출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에 의하면,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가 소켓 내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도 3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가 소켓 내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가 소켓 내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도 3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가 소켓 내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도 1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3 은 도 1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가 소켓 내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는, 테스트 소켓 내에 구비되어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로서, 메인 컨택부(100), 및 사이드 컨택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인 컨택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컨택부(100)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메인 컨택부(100)는, 상부 접촉부(110), 하부 접촉부(130), 및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하부 접촉부(130)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 유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접촉부(110), 탄성 유지부(120), 하부 접촉부(130)는 일체로 구성된다.
상부 접촉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한다. 상부 접촉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연직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상부에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접촉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 구조는 소정의 입체로 구성된 크라운, 또는 핀(pin)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접촉부(110)의 우측면에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돌출되는 고정 돌기(1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11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가 테스트 소켓에 실장될 때, 테스트 소켓 내에 걸려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접촉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되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동일 선상에서 연장된다. 즉,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하부 접촉부(130)는 모두 연직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되, 동일 선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접촉부(130)의 하부에는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접촉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 구조는 상기 상부 접촉부(110)에 마련된 것과 같이 소정의 입체로 구성된 크라운, 또는 핀(pin)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하부 접촉부(130) 사이에는 탄성 유지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유지부(120)는 ㄷ 자형으로 절곡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하부 접촉부(130)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비해, 상기 탄성 유지부(120)는 측방향으로 ㄷ 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메인 컨택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배를 갖는 형상을 갖게 된다. 여기서, 우측 방향이라 함은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그 방향은 다른 시점에서 볼 경우 다른 방향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 유지부(120)가 ㄷ 자형으로 절곡됨에 따라서, 탄성 유지부(120)는 절곡부를 사이로 각각 상부의 제1 라인부(122), 가운데의 제2 라인부(124), 및 하부의 제3 라인부(126)를 갖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탄성 유지부(120), 하부 접촉부(130)가 연속적으로 이어짐에 따라서,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상기 제1 라인부(122) 사이에도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 접촉부(130)와 제3 라인부(126) 사이에도 절곡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절곡부의 명칭을 구분하면, 상부 접촉부(110)와 제1 라인부(122) 사이에는 제1 절곡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인부(122)와 제2 라인부(124) 사이에는 제2 절곡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부(124)와 제3 라인부(126) 사이에는 제3 절곡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라인부(126)와 상기 하부 접촉부(130) 사이에는 제4 절곡부(144)가 형성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절곡부라는 표현은 반드시 각을 갖고 절곡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라운딩을 갖고 만곡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절곡부(141)는 둔각의 제1 사이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라인부(122)가 대각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접촉부(110)로부터 둔각의 제1 사이각 θ1 을 갖고 절곡되어 대각 하방향으로 제1 라인부(122)가 연장되게 된다.
이어서, 제1 라인부(122)의 단부에서 제2 절곡부(142)를 통해 절곡됨으로써 연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라인부(124)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2 절곡부(142) 또한 둔각의 제2 사이각 θ2 을 갖게 된다. 한편, 제2 라인부(124)는 연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상부 접촉부(110), 하부 접촉부(130)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후술하는 사이드 컨택부(200)와도 평행하게 연장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제2 라인부(124)가 연직 하방향으로 연장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1 절곡부(141)의 제1 사이각 θ1 의 크기와 제2 절곡부(142)의 제2 사이각 θ2 의 크기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어서, 제2 라인부(124)의 단부에서 제3 절곡부(143)를 통해 절곡됨으로써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라인부(126)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3 절곡부(143) 또한 둔각의 제3 사이각 θ3 을 갖는다. 아울러, 제3 라인부(126)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접촉부(130)와 연결되므로, 제3 라인부(126)의 연장 방향으로 좌측 하방향이 된다. 즉, 탄성 유지부(120)는 상부 접촉부(110)의 하단부로부터 제1 라인부(122)를 통해 우측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라인부(124)를 통해 연직 하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3 라인부(126)가 좌측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하부 접촉부(13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복귀하도록 된다.
이에 따라서, 제3 라인부(126)의 상부에는 제2 라인부(124)와 제3 사이각 θ3 을 갖는 제3 절곡부(143)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하부 접촉부(130)와 제4 사이각 θ4 을 갖는 제4 절곡부(144)가 마련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라인부(124)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3 사이각 θ3 과 제4 사이각 θ4 는 둔각을 갖되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컨택부(100)는 전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중간 부분이 우측으로 자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되, 상기 ㄷ 자형은 정확히 ㄷ 자형이 아닌 90° 기울어진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ㄷ 자형일 수 있다.
이어서, 사이드 컨택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사이드 컨택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형태로 구성된다. 사이드 컨택부(200)는 메인 컨택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사이드 컨택부(200)의 상부 부분의 일 측면은 P1 과 같이, 상기 상부 접촉부(110)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사이드 컨택부(200)의 하부 부분의 일 측면은 P2 와 같이 상기 하부 접촉부(130)의 좌측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사이드 컨택부(200)의 하부 부분은 상기 하부 접촉부(130)와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단지 슬라이딩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 와 같이, 통전이 화살표 A 와 B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탄성 유지부(120)에 의해서 C 와 같이 탄성이 유지되어 전기적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는 메인 컨택부(100)와 사이드 컨택부(200)를 통해 동시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컨택부(100)는 탄성 유지부(120)를 가지므로, 접촉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 신호 전달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는 소켓(S) 내의 공간(T)에 실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112)가 상기 공간(T) 내에 걸려져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도 3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6 은 도 3 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가 소켓 내에 삽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메인 컨택부(100)와 사이드 컨택부(300)를 포함하며, 메인 컨택부(100)의 구조는 동일하나, 사이드 컨택부(300)의 구조 면에서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는, 본 실시 형태의 사이드 컨택부(3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컨택부(300)는, 상부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연장부(310), 및 상기 상부 연장부(310)와 별개로 마련되며 하부 부분에 배치되는 하부 연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이드 컨택부(300)가 별개의 2 개의 부재로 나뉘어서 마련된다.
상기 상부 연장부(31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 접촉부(110)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부 연장부(310)는,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접촉부(110)와 P1 과 같이 연결되는 제1 연장부(312), 상기 제1 연장부(312) 하부에 마련되는 제2 연장부(314), 및 상기 제2 연장부(314) 하부에 마련되는 제3 연장부(316)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연장부(316) 하부에 마련되는 제1 보조 연장부(318)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312)와 제2 연장부(314) 사이에는 둔각의 제5 절곡부(322)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장부(314)와 제3 연장부(316) 사이에는 둔각의 제6 절곡부(324)가 마련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5 절곡부(322)와 제6 절곡부(324)는 동일한 사이각을 가져서 제1 연장부(312)와 제3 연장부(316)가 평행선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12)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부(314)는 좌측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316)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보조 연장부(318)는 좌측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상부 연장부(310)는 연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312)와 제3 연장부(316) 사이에 대각 좌측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314)가 마련되며, 제3 연장부(316)의 하부 단부에는 대각 좌측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소정의 첨부를 갖는 제1 보조 연장부(318)가 마련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어서, 하부 연장부(330)는,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접촉부(130)와 연결되는 하부의 제4 연장부(332), 상기 제4 연장부(332) 상부에 마련되는 제5 연장부(334), 및 상기 제5 연장부(334) 상부에 마련되는 제6 연장부(336)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6 연장부(336) 상부에 마련되는 제2 보조 연장부(338)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4 연장부(332)와 제5 연장부(334) 사이에는 둔각의 제7 절곡부(342)가 마련되고, 상기 제5 연장부(334)와 제6 연장부(336) 사이에는 둔각의 제8 절곡부(344)가 마련되되, 상기 제2 보조 연장부(338)와 상기 제6 연장부(336) 사이에는 둔각의 제9 절곡부(346)가 마련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7 절곡부(342)와 제8 절곡부(344)는 동일한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4 연장부(332)와 제6 연장부(336)가 평행선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장부(332)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5 연장부(334)는 우측 대각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316)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제2 보조 연장부(338)는 우측 대각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하부 연장부(330)는 연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332)와 제6 연장부(336) 사이에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연장부(334)가 마련되며, 제6 연장부(336)의 상부 단부에는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보조 연장부(338)가 마련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제5 연장부(334) 및 제2 보조 연장부(338)의 연장 방향은 우측 대각 상방향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때, 제5 절곡부(322), 제6 절곡부(326), 제7 절곡부(342), 제8 절곡부(344), 제9 절곡부(346)는 모두 동일한 둔각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연장부(316)의 우측면과 상기 제6 연장부(336)의 좌측면이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 마찰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달성된다.
즉, 상기 상부 연장부(310)의 하부분은 상기 제2 연장부(314)에 의해서 좌측으로 일부 꺾여지고 이어서 제3 연장부(316)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연장부(330)의 상부분은 상기 제5 연장부(334)에 의해서 우측으로 일부 꺾여지고 이어서 제6 연장부(336)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3 연장부(316)의 우측면과 상기 제6 연장부(336)의 좌측면은 서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통전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메인 컨택부(100)와 사이드 컨택부(300) 양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이드 컨택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진 2 개의 부재로 구성되므로, 탄성 유지부(120)의 변형 및 탄성의 인가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우측에 마련된 메인 컨택부(100)의 탄성 유지부(120)가 화살표 G 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며, 좌측에 고정된 사이드 컨택부(300)가 2 개의 부재로 나뉘어져 화살표 E 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므로 탄성 유지부(120)의 변형 및 탄성 인가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기적 접촉이 더욱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화살표 D 및 F 와 같이 통전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상부 연장부(310)의 하단부와 하부 연장부(330)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1 보조 연장부(318) 및 제2 보조 연장부(338)가 마련되므로, 변형에 의해서 상부 연장부(310)의 단부 및 하부 연장부(330)의 단부가 각각 하부 연장부(330) 및 상부 연장부(310)의 측부에 닿아 마찰할 때에도 손상이 방지되고 전기적 접촉이 더욱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1)도, 소켓(S) 내의 공간(T)에 실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112)가 상기 공간(T) 내에 걸려져 위치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100: 메인 컨택부
110: 상부 접촉부
112: 고정 돌부
120: 탄성 유지부
122: 제1 라인부
124: 제2 라인부
126: 제3 라인부
130: 하부 접촉부
141: 제1 절곡부
142: 제2 절곡부
143: 제3 절곡부
144: 제4 절곡부
200: 사이드 컨택부
300: 사이드 컨택부
310: 상부 연장부
312: 제1 연장부
314: 제2 연장부
316: 제3 연장부
318: 제1 보조 연장부
322: 제5 절곡부
324: 제6 절곡부
330: 하부 연장부
332: 제4 연장부
334: 제5 연장부
336: 제6 연장부
338: 제2 보조 연장부
342: 제7 절곡부
344: 제8 절곡부
346: 제9 절곡부
100: 메인 컨택부
110: 상부 접촉부
112: 고정 돌부
120: 탄성 유지부
122: 제1 라인부
124: 제2 라인부
126: 제3 라인부
130: 하부 접촉부
141: 제1 절곡부
142: 제2 절곡부
143: 제3 절곡부
144: 제4 절곡부
200: 사이드 컨택부
300: 사이드 컨택부
310: 상부 연장부
312: 제1 연장부
314: 제2 연장부
316: 제3 연장부
318: 제1 보조 연장부
322: 제5 절곡부
324: 제6 절곡부
330: 하부 연장부
332: 제4 연장부
334: 제5 연장부
336: 제6 연장부
338: 제2 보조 연장부
342: 제7 절곡부
344: 제8 절곡부
346: 제9 절곡부
Claims (5)
- 테스트 소켓 내에 구비되어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에 있어서,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컨택부; 및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컨택부의 측부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 전달을 보조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컨택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택부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는 상부 접촉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되 상기 상부 접촉부와 동일 선상에서 연장되며 하부 부분에 마련되어 하단부가 하부에 위치하는 외부 전기 단자와 접촉하는 하부 접촉부, 및
상기 상부 접촉부와 하부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 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촉부, 하부 접촉부, 및 탄성 유지부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유지부는 ㄷ 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 컨택부가 길이 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배를 갖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 유지부는, 상부의 제1 라인부, 가운데의 제2 라인부, 및 하부의 제3 라인부를 가져서,
상기 상부 접촉부와 상기 제1 라인부 사이에는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인부와 제2 라인부 사이에는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인부와 제3 라인부 사이에는 제3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라인부와 상기 하부 접촉부 사이에는 제4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곡부는 둔각의 제1 사이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라인부가 대각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둔각의 제2 사이각을 갖되, 상기 제2 사이각은 사이드 연결부와 상기 제2 라인부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하는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3 절곡부는 둔각의 제3 사이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라인부가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3 라인부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접촉부의 상부와 이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4 절곡부는 둔각의 제4 사이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컨택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형태로 구성되되 상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하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하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전기 신호가 연결되도록 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컨택부는,
상부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상부 연장부와 별개로 마련되며 하부 부분에 배치되는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연장부는,
하부 부분의 일 측면이 상기 하부 접촉부의 좌측 측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의 하부 부분의 일 부분과 상기 하부 연장부의 일 측면이 서로 측방향으로 접촉하여 슬라이딩 마찰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달성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접촉부와 연결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마련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하부에 마련되는 제3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5 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장부와 제3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6 절곡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좌측 대각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연장부는,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접촉부와 연결되는 하부의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 상부에 마련되는 제5 연장부, 및 상기 제5 연장부 상부에 마련되는 제6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4 연장부와 제5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7 절곡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5 연장부와 제6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8 절곡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4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5 연장부는 우측 대각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3 연장부의 우측면과 상기 제6 연장부의 좌측면이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 마찰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달성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 하부에 마련되는 제1 보조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보조 연장부는 대각 좌측 하방향으로 깎여진 첨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기 제6 연장부 상부에 마련되는 제2 보조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2 보조 연장부와 상기 제6 연장부 사이에는 둔각의 제9 절곡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2 보조 연장부는 우측 대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부의 우측면에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돌출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는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1750A KR101737551B1 (ko) | 2015-08-28 | 2015-08-28 |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1750A KR101737551B1 (ko) | 2015-08-28 | 2015-08-28 |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5388A KR20170025388A (ko) | 2017-03-08 |
KR101737551B1 true KR101737551B1 (ko) | 2017-05-18 |
Family
ID=5840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1750A KR101737551B1 (ko) | 2015-08-28 | 2015-08-28 |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75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6028B1 (ko) * | 2018-01-09 | 2019-05-07 | (주)디팜스테크 | 탄성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면서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켓용 접촉핀 |
KR102602053B1 (ko) * | 2021-06-16 | 2023-11-14 | 주식회사 메가터치 | 프로브 핀 및 그 프로브 핀을 구비한 소켓 |
KR102713367B1 (ko) * | 2021-10-01 | 2024-10-07 |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 컨택트 장치 및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용 세퍼레이터 모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3868A (ja) | 2003-08-18 | 2005-03-10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2289A (ko) | 2009-12-03 | 2011-06-10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운전실캡 내부에 그리스 주입장치가 구비된 건설장비 |
-
2015
- 2015-08-28 KR KR1020150121750A patent/KR1017375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3868A (ja) | 2003-08-18 | 2005-03-10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5388A (ko) | 201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16384B2 (ja) | 基板接続用rfコネクタ | |
US20160018440A1 (en) | Contact Device for Test and Test Socket | |
KR101737551B1 (ko) |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 |
JP5922295B1 (ja) | 接触端子およびこの接触端子を用いたコネクタ | |
US9196991B2 (en) | Conducting device and socket | |
US10103471B1 (en) | Reversible connector interface | |
EP3145034A3 (en) | Housing arrangement,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housing arrangement and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or | |
JP2009180549A (ja) | コンタクトピン | |
EP3351346B1 (en) | Fixing device | |
JP2017033852A (ja) | 雌端子 | |
JP2015128009A (ja) | コネクタ | |
CN104767099B (zh) | 夹具 | |
KR101674792B1 (ko) | Usb 리셉터클 | |
CN202042663U (zh) | 连接器的端子 | |
US8979552B2 (en) |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 |
KR20150054089A (ko) | 커넥터 | |
US10236606B2 (en) | Socket with removable retainer attached to deflectable fixing seat | |
CN203826609U (zh) | 冰箱用插接端子 | |
US20220018875A1 (en) | Contact pin and socket | |
CN109038017B (zh) | 金属接触件及其电连接器 | |
KR101967506B1 (ko) | 암형 전기 단자 | |
CN101783448A (zh) | 一种板对板电连接器 | |
CN108028498B (zh) | 插接系统和具有插接系统的装置 | |
CN106129674B (zh) | 导电端子 | |
JP6331635B2 (ja) |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