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253B1 - 카테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테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253B1
KR101737253B1 KR1020157023084A KR20157023084A KR101737253B1 KR 101737253 B1 KR101737253 B1 KR 101737253B1 KR 1020157023084 A KR1020157023084 A KR 1020157023084A KR 20157023084 A KR20157023084 A KR 20157023084A KR 101737253 B1 KR101737253 B1 KR 10173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quid
flow rate
abl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075A (ko
Inventor
야스히로 고지마
슈이치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44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79Power o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Abstract

본 발명은, 적절한 관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카테터 시스템(5)은, 관주 기구를 갖는 어블레이션 카테터(1)와,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대하여 어블레이션 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32)와,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대하여 관주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21)와, 제어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5)는, 어블레이션 시의 실측 전력 Pm이 역치 전력 Pth 이상인 고전력 상태일 때는 대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실측 전력 Pm이 역치 전력 Pth 미만인 저전력 상태일 때는 소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저전력 상태로부터 고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소유량 동작으로부터 대유량 동작으로 신속히 전환하는 한편, 고전력 상태로부터 저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그 이행 시에 저전력 상태가 제1 대기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 대유량 동작을 제1 대기 시간 유지한 후에 소유량 동작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카테터 시스템 {CATHETER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부정맥 등의 치료에 사용됨과 함께, 그 치료에 있어서의 환부의 소작(어블레이션(ablation)) 시에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를 흘리는 관주 기구를 구비한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극 카테터는, 혈관을 통하여 체내(예를 들어 심장의 내부)에 삽입되어 부정맥의 검사나 치료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극 카테터에서는, 일반적으로 체내에 삽입된 선단부(원위단) 부근의 형상이, 체외에 배치되는 기단부(근위단, 후단부, 손잡이측)에 장착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변화(편향, 만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선단부의 형상이 조작에 따라 임의로 변화되는 타입 외에도, 선단부 부근의 형상이 고정으로 되어 있는 타입의 것도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극 카테터 중 치료용의 것(소위, 어블레이션 카테터)에서는, 환부의 어블레이션 시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심장 등의 어블레이션 수술 시에, 처치 부분의 온도가 너무 상승하여 손상이 일어나거나, 처치 부분에 혈전이 들러붙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어블레이션 시에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를 흘리는 관주 기구를 구비한 카테터 시스템을 들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이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어블레이션 시에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부 전극으로부터 상기 액체가 흘러나옴으로써, 환부를 냉각하거나, 혈전이 발생하거나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394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76119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관주 기구가 구비된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처치 부분으로 방출되는 액체의 유량이 너무 많은 경우, 처치 부분의 온도가 저하되어 치료 시의 처치에 지장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액체가 체내에 너무 많이 투입되면, 환자에의 부담이 커져 버릴 우려도 있다. 한편, 반대로 액체의 유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처치 부분의 냉각이나 혈액 체류의 개선 효과가 불충분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 상황에 따라 액체의 유량을 조정(관리)하여, 적절한 관주 동작을 실현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적절한 관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은, 관주 기구를 갖는 어블레이션 카테터와, 이 어블레이션 카테터에 대하여 어블레이션 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어블레이션 카테터에 대하여 관주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전원부에 있어서의 전력의 공급 동작 및 액체 공급부에 있어서의 액체의 공급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제어부는, 어블레이션 시의 실측 전력이 역치 전력 이상인 고전력 상태일 때는, 액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대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실측 전력이 상기 역치 전력 미만인 저전력 상태일 때는, 액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저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고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부터 상기 대유량 동작으로 신속히 전환하는 한편, 상기 고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저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그 이행 시에 저전력 상태가 제1 대기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대유량 동작을 상기 제1 대기 시간 유지한 후에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고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부터 상기 대유량 동작으로 신속히 전환한다. 한편, 상기 고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저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그 이행 시에 저전력 상태가 제1 대기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대유량 동작을 상기 제1 대기 시간 유지한 후에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력 이행 시에 액체의 유량이 너무 적은 상황(액체 부족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액체의 유량이 미량인 스탠바이 유량 동작의 개시 후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만, 어블레이션을 개시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를 접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어블레이션의 개시 전에, 어블레이션 카테터 내(예를 들어 액체를 흘리기 위한 루멘 내)를 액체로 채워 두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부 부분(예를 들어 액체의 유출 구멍)으로부터 내부에 혈액이 유입되어, 내부(예를 들어 상기 루멘 내)에 혈전이 막혀 버린다는 우려가 회피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시 신호를 접수했을 경우에, 상기 스탠바이 유량 동작으로부터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일반적으로 전력과 비교하여 액체 쪽이 공급(도달)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그러한 공급 시간의 상이에 기인한 액체 부족 상황의 발생이 회피되어, 보다 적절한 관주 동작이 실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정지시킬 때는, 전력의 공급 동작이 정지되고 난 후로부터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스탠바이 유량 동작으로 이행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전력의 공급 정지 후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기간은 고온 상태가 계속되는 것에 기인한, 액체에 의한 냉각 부족의 발생이 회피되어, 보다 적절한 관주 동작이 실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상기 어블레이션 카테터가 그 선단부 부근에 온도 측정 기구를 갖고, 상기 제어부가, 이 온도 측정 기구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원부에서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부 부근(어블레이션 시의 환부 부근)의 온도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실제의 출력 전력이 조정된다. 즉, 입력된 설정 전력을 기초로 하여 적절한 전력 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출력 전력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상기 액체 공급부를 액체 공급 장치 내에 설치함과 함께,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를 각각, 이 액체 공급 장치와는 별체인 전원 장치 내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사용 상황에 따라 각 장치(액체 공급 장치 및 전원 장치)를 개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로서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는 상기 액체 공급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를 각각, 단일의 장치 내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시스템 전체의 구성 간소화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고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저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그 이행 시에 저전력 상태가 제1 대기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대유량 동작을 상기 제1 대기 시간 유지한 후에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전력 이행 시의 액체 부족 상황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어블레이션 시에 적절한 관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절한 관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카테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측된 전력 상태와 액체의 유량 동작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유량 동작의 이행 시의 제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유량 동작의 이행 시의 제어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 형태(액체 공급 장치와 전원 장치가 별체로서 설치된 예)
2. 변형예(각 기능이 일체화되어 단일의 장치로서 설치된 예)
3. 기타 변형예
<실시 형태>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카테터 시스템(5))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카테터 시스템(5)은, 환자(이 예에서는 환자(9))에 있어서의 부정맥 등의 치료 시에 사용되는 시스템이며, 어블레이션 카테터(1), 액체 공급 장치(2), 전원 장치(3) 및 대극판(4)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카테터 시스템(5)에서는, 액체 공급 장치(2)와 전원 장치(3)가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어블레이션 카테터(1))
어블레이션 카테터(1)는, 혈관을 통하여 환자(9)의 체내에 삽입되어 환부를 어블레이션함으로써, 부정맥 등의 치료를 행하기 위한 전극 카테터이다. 어블레이션 카테터(1)는 또한, 그러한 어블레이션 시에 소정의 관주용 액체(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 등)를 선단부 P1측으로부터 흘려내는(분사시키는) 관주 기구를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카테터 시스템(5)은, 그러한 관주 기구가 구비된 카테터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어블레이션 카테터(1)의 개략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어블레이션 카테터(1)는, 카테터 본체로서의 샤프트(11)(카테터 샤프트)와, 이 샤프트(11)의 기단부에 장착된 조작부(12)를 갖고 있다.
샤프트(11)는, 가요성을 갖는 관형 구조(관형 부재)를 포함하고, 자신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신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11)는, 자신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내부에 1개의 루멘(세공, 관통 구멍)이 형성된, 소위 싱글 루멘 구조, 또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루멘이 형성된, 소위 멀티루멘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샤프트(11)의 내부에 있어서, 싱글 루멘 구조를 포함하는 영역과 멀티루멘 구조를 포함하는 영역의 양쪽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루멘에는, 도시하지 않은 각종 세선(도선이나 조작용 와이어 등)이 각각,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샤프트(11)의 내부에는, 그러한 각종 세선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루멘 외에, 상술한 관주용 액체 L을 흘리기 위한 루멘이 축 방향을 따라 연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11)의 선단부 P1 부근에는, 그 선단부 P1 부근(환부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구(온도 측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샤프트(11)의 내부의 루멘에, 그러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로서의 열전대 등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된 선단부 P1 부근의 온도는, 실측 온도 정보 Tm으로서 어블레이션 카테터(1)로부터 전원 장치(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샤프트(11)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11)의 축 방향 길이는 약 500 내지 1200㎜ 정도(예를 들어 1170㎜)이고, 샤프트(11)의 외경(X-Y 단면의 외경)은 약 0.6 내지 3㎜ 정도(예를 들어 2.0㎜)이다.
샤프트(11)의 선단부 P1 부근에는, 도 2 중의 선단부 P1 부근의 확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여기서는 3개의 링형 전극(111a, 111b, 111c) 및 1개의 선단부 전극(112))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부 P1 부근에 있어서, 링형 전극(111a, 111b, 111c) 및 선단부 전극(112)이 샤프트(11)의 최선단부측을 향하여 이 순서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링형 전극(111a, 111b, 111c)은 각각 샤프트(11)의 외주면 상에 고정 배치되는 한편, 선단부 전극(112)은 샤프트(11)의 최선단부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전극은, 상술한 샤프트(11)의 루멘 내에 삽입 관통된 복수의 도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조작부(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 전극(112)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는, 도 2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관주용 액체 L이 흘러나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링형 전극(111a, 111b, 111c) 및 선단부 전극(112)은 각각,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레스강(SUS), 금(Au), 백금(Pt) 등의,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어블레이션 카테터(1)의 사용 시에 있어서의 X선에 대한 조영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백금 또는 그 합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링형 전극(111a, 111b, 111c) 및 선단부 전극(112)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술한 샤프트(11)의 외경과 같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2)는 샤프트(11)의 기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핸들(121)(파지부) 및 회전판(122)을 갖고 있다.
핸들(121)은 어블레이션 카테터(1)의 사용 시에 조작자(의사)가 잡는(쥐는) 부분이다. 이 핸들(121)의 내부에는, 샤프트(11)의 내부로부터 상술한 각종 세선이 각각 연신되어 있다.
회전판(122)은, 샤프트(11)의 선단부 부근을 편향시킬 때의 조작인 편향 이동 조작(스윙 조작)을 행하기 위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서는 도 2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방향 d1을 따라 회전판(122)을 회전시키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체 공급 장치(2))
액체 공급 장치(2)는,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대하여 상술한 관주용 액체 L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1)를 갖고 있다.
액체 공급부(21)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2에 의하여 규정되는 유량의 액체 L을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대하여 수시 공급하는 것이다. 이 액체 공급부(21)는, 예를 들어 액체 펌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 장치(3))
전원 장치(3)는, 어블레이션 카테터(1) 및 대극판(4)에 대하여 어블레이션 시의 전력(예를 들어 고주파(RF; Radio Frequency)를 포함하는 출력 전력 Pout)을 공급함과 함께, 액체 공급 장치(2)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 전원 장치(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1), 전원부(32), 전압 측정부(33), 전류 측정부(34), 제어부(35) 및 표시부(36)를 갖고 있다.
입력부(31)는 각종 설정값이나, 후술하는 소정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각종 설정값으로서는,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예를 들어 설정 전력 Ps(=출력 전력 Pout에 있어서의 최대 전력), 역치 전력 Pth, 목표 온도 Tt, 「HIGH」 유량 동작 시의 액체 유량 Fh, 「LOW」 유량 동작 시의 액체 유량 Fl, 「Standby」 유량 동작 시의 액체 유량 Fst, 각종 대기 시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설정값은 전원 장치(3)의 조작자(예를 들어 기사 등)에 의하여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단, 예를 들어 역치 전력 Pth에 대해서는,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의 출하 시 등에 미리 전원 장치(3) 내에서 설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력부(31)에 의하여 입력된 설정값은 제어부(35)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중에서는, 이들 각종의 설정값 중, 설정 전력 Ps를 대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입력부(31)는, 예를 들어 소정의 다이얼이나 버튼,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32)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1에 따라, 상술한 출력 전력 Pout를 어블레이션 카테터(1) 및 대극판(4)에 대하여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원부(32)는 소정의 전원 회로(예를 들어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 전력 Pout가 고주파 전력을 포함하는 경우, 그 주파수는, 예를 들어 450㎑ 내지 550㎑ 정도(예를 들어 500㎑)이다.
전압 측정부(33)는, 전원부(3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 Pout에 있어서의 전압을 수시 측정(검출)하는 부분이며, 소정의 전압 검출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압 측정부(33)에 의하여 측정된 전압(실측 전압 Vm)은 제어부(35)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전류 측정부(34)는, 전원부(3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 Pout에 있어서의 전류를 수시 측정하는 부분이며, 소정의 전류 검출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류 측정부(34)에 의하여 측정된 전류(실측 전류 Im)는 제어부(35)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35)는 전원 장치(3)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먼저, 이하 설명하는 실측 전력 Pm(출력 전력 Pout의 전력값에 상당)의 산출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에 있어서의 출력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전력 공급 제어 기능)과, 제어 신호 CTL2를 사용하여 액체 공급부(21)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먼저, 실측 전력 Pm의 산출 기능은 이하와 같다. 즉, 제어부(35)는, 전압 측정부(33)로부터 출력되는 실측 전압 Vm과, 전류 측정부(34)로부터 출력되는 실측 전류 Im에 기초하여, 실측 전력 Pm을 수시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이하의 연산식 (1)을 사용하여 실측 전력 Pm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35)에 의하여 산출된 실측 전력 Pm은, 후술하는 액체 공급 제어 기능에 있어서 사용됨과 함께, 이 예에서는 표시부(36)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Pm=(Vm×Im) …… (1)
이어서, 상술한 전력 공급 제어 기능은 이하와 같다. 즉, 제어부(35)는, 상술한 실측 온도 정보 Tm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CTL1을 생성함과 함께, 그 제어 신호 CTL1을 전원부(32)에 출력함으로써, 출력 전력 Pout의 크기를 조정(미세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측 온도 정보 Tm이 나타내는 샤프트(11)의 선단부 P1 부근의 온도가 대략 일정하게(바람직하게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바꾸어 말하면, 이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 Tt와 대략 같아지도록(바람직하게는 같아지도록) 출력 전력 Pout의 크기를 조정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5)는, 선단부 P1 부근의 온도가 목표 온도 Tt 이하인 경우에는, 출력 전력 Pout의 값이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선단부 P1 부근의 온도가 목표 온도 T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출력 전력 Pout의 값이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된 설정 전력 Ps를 기초로 하여 적절한 전력 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실제의 출력 전력 Pout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설정 전력 Ps의 값과 실제의 출력 전력 Pout(실측 전력 Pm)의 값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액체 공급 제어 기능은 이하와 같다. 즉, 제어부(35)는 상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실측 전력 Pm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CTL2를 생성함과 함께, 그 제어 신호 CTL2를 액체 공급부(21)에 출력함으로써, 액체 L의 유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실측 전력 Pm에 기초하여 액체 L의 유량(액체 유량 F)을 제어한다. 즉, 실측 전력 Pm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역치 전력 Pth(예를 들어 31W(와트))의 값의 대소를 비교함으로써(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 CTL2에 있어서 규정하는 액체 유량 F의 값(액체 공급부(21)에 있어서의 유량 동작의 종류)을 설정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5)는, 실측 전력 Pm이 역치 전력 Pth 이상(Pm≥Pth)인 고전력 상태일 때는, 액체 유량 F가 상대적으로 많은 대유량 동작(F=Fh인 「HIGH」 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실측 전력 Pm이 역치 전력 Pth 미만(Pm<Pth)인 저전력 상태일 때는, 액체 유량 F가 상대적으로 적은 소유량 동작(F=Fl(<Fh)인 「LOW」 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후술하는 소정의 경우에 있어서는, 액체 유량 F가 미량인 스탠바이 유량 동작(F=Fst(0<Fst<Fl)인 「Standby」 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Fh, Fl, Fst의 값의 구체예로서는, Fh=30㏄, Fl=17㏄, Fst=2㏄를 각각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체 공급 제어 기능(액체 유량 F의 제어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 내지 도 6).
표시부(36)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부분(모니터)이다.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는 상술한 각종 설정값(설정 전력 Ps 등)이나, 제어부(35)로부터 공급되는 실측 전력 Pm, 어블레이션 카테터(1)로부터 공급되는 실측 온도 정보 Tm 등을 들 수 있다. 단,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이들 정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정보를 대신, 또는 다른 정보를 첨가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표시부(36)는, 각종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극판(4))
대극판(4)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시에 환자(9)의 체표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어블레이션 시에는, 이 대극판(4)과, 환자(9)의 체내에 삽입된 전극 카테터(1)의 전극 사이에서 고주파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작용·효과]
(A. 기본 동작)
이 카테터 시스템(5)에서는, 부정맥 등의 치료 시에 어블레이션 카테터(1)의 샤프트(11)가 혈관을 통하여 환자(9)의 체내에 삽입된다. 이때, 조작자에 의한 조작부(12)의 조작에 따라, 체내에 삽입된 샤프트(11)의 선단부 P1 부근의 형상이, 예를 들어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예를 들어 도 2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회전 방향 d1을 따라 회전판(122)이 회전되면, 샤프트(11)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용 와이어가 기단부측으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샤프트(11)의 선단부 부근이,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d2를 따라 만곡된다.
여기서, 이러한 어블레이션 카테터(1) 및 대극판(4)에 대하여 전원 장치(3)(전원부(32))로부터 어블레이션 시의 전력(출력 전력 Pout)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부정맥 등의 치료 시에, 환자(9)의 체표에 장착된 대극판(4)과, 환자(9)의 체내에 삽입된 어블레이션 카테터(1)의 전극(선단부 전극(112)이나 링형 전극(111a, 111b, 111c)) 사이에서 고주파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주파 통전에 의하여, 환자(9)에 있어서의 치료 대상의 부위(처치 부분)이 선택적으로 어블레이션되어, 부정맥 등의 경피적 치료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 액체 공급 장치(2)(액체 공급부(21))로부터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대하여 관주용 액체 L이 공급된다. 또한 전원 장치(3)(제어부(35))는 제어 신호 CTL2를 사용하여, 그와 같은 액체 공급 장치(2)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있어서의 선단부 전극(112)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 관주용 액체 L이 분출된다(도 2 중의 화살표 참조). 그 결과, 어블레이션 시의 처치 부분의 온도가 너무 상승하여 손상이 일어나거나, 처치 부분에 혈전이 들러붙거나 하는 것이 회피된다(혈액 체류가 개선됨).
그러나 처치 부분으로 방출되는 액체 L의 유량이 너무 많은 경우, 처치 부분의 온도가 저하되어 치료 시의 처치에 지장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액체 L이 체내에 너무 많이 투입되면, 환자에의 부담이 커져 버릴 우려도 있다. 한편, 반대로 액체 L의 유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처치 부분의 냉각이나 혈액 체류의 개선 효과가 불충분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어블레이션 시의 전력이 높은 경우에는, 과도한 어블레이션에 의한 조직의 손상이나 혈전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경향이 높아진다. 게다가 실제의 어블레이션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11)의 선단부 P1 부근의 온도(실측 온도 정보 Tm)와 연동하여 출력 전력 Pout(실측 전력 Pm)의 값이 변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온도가 목표 온도 Tt와 대략 같아지도록 출력 전력 Pout의 값이 조정된다. 즉, 치료 상황에 따라 실측 전력 Pm의 값은 수시 변화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주 기구가 구비된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사용 상황에 따라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여 적절한 관주 동작을 실현할 것이 요구된다.
(B. 어블레이션 동작의 상세)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카테터 시스템(5)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관주용 액체 L의 유량을 조정(제어)한 후에 어블레이션 동작을 행한다. 이하, 그러한 어블레이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 4를 사용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측 온도 정보 Tm을 이용한 출력 전력 Pout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편화를 위하여 생략하였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동작의 일례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어블레이션 동작에서는, 먼저, 이하와 같이 하여, 상술한 「Standby」 유량 동작이 개시된다(스텝 S101). 즉,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부(31)를 통하여 제어부(35)에 대하여 「Standby」 유량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5)는 이 「Standby」 유량 동작이 개시되도록 액체 공급부(2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있어서의 선단부 전극(112)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 처치 부분으로, 액체 유량 F=Fst의 미량의 관주용 액체 L이 방출된다.
계속해서,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부(31)로부터 어블레이션 시의 설정 전력 Ps 및 목표 온도 Tt의 값이 입력되면, 이들 값이 제어부(35)에 공급됨으로써 값의 설정이 이루어진다(스텝 S102). 그리고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부(31)로부터 어블레이션(소작 동작)의 개시가 설정(지시)된다(스텝 S103). 즉, 입력부(31)를 통하여 제어부(35)에 대하여 어블레이션을 개시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제어부(35)는, 「Standby」 유량 동작의 개시 후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만, 이 어블레이션을 개시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를 접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말하면, 「Standby」 유량 동작의 개시 전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제어부(35)는 그러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하더라도, 전원부(32)에 대하여 어블레이션을 개시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CTL1을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어블레이션의 개시 전에 어블레이션 카테터(1) 내(예를 들어 액체 L을 흘리기 위한 루멘 내)를 액체 L로 채워 두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어블레이션 카테터(1)의 선단부 부분(예를 들어 액체 L의 유출 구멍)으로부터 내부에 혈액이 유입되어, 내부(예를 들어 상기 루멘 내)에 혈전이 막혀 버린다는 우려가 회피된다.
(「LOW」 유량 동작)
그러한 지시 신호를 접수한 후, 제어부(35)는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유량 F가 상대적으로 적은 소유량 동작(F=Fl인 「LOW」 유량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어한다(스텝 S104). 이것에 의하여,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있어서의 선단부 전극(112)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 처치 부분으로, 액체 유량 F=Fl인 액체 L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LOW」 유량 동작이 개시되고 난 후로부터 소정의 어블레이션 개시 시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 전원부(32)로부터 어블레이션 카테터(1) 및 대극판(4)에의 출력 전력 Pout(예를 들어 고주파 출력)의 공급이 개시된다(스텝 S105).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원리로, 「LOW」 유량 동작에 의한 처치 부분의 어블레이션이 개시된다. 여기서, 어블레이션 개시 시 대기 시간은 1 내지 10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5초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35)에 있어서, 「Standby」 유량 동작으로부터 「LOW」 유량 동작으로 전환한 후에, 전원부(32)에 있어서의 어블레이션 시의 출력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하의 이점이 얻어진다. 즉, 일반적으로 전력과 비교하여 액체 쪽이 공급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그러한 공급 시간의 상이에 기인한 액체 부족 상황의 발생이 회피되어, 보다 적절한 관주 동작이 실현 가능해진다.
이어서, 전압 측정부(33), 전류 측정부(34) 및 제어부(35)에 있어서, 상술한 실측 전압 Vm 및 실측 전류 Im의 측정 및 상술한 연산식 (1)을 사용한 실측 전력 Pm의 산출을 행함으로써, 실측 전력 Pm의 측정을 행한다(스텝 S106).
이어서, 제어부(35)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측 전력 Pm과 역치 전력 Pth의 값의 대소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실측 전력 Pm이 역치 전력 Pth 이상의 값(Pm≥Pth)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7).
여기서, Pm<Pth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07: "아니오", 저전력 상태일 때)에는, 제어부(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유량 F가 상대적으로 적은 소유량 동작(F=Fl인 「LOW」 유량 동작)이 계속되도록 제어한다(스텝 S108).
계속해서, 제어부(35)는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부(31)를 통하여 출력 전력 Pout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9). 여기서, 출력 정지의 지시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09: "예")에는, 제어부(35)는 그 취지의 제어 신호 CTL1을 전원부(32)에 출력함으로써, 출력 전력 Pout(고주파 출력)의 공급이 정지된다(스텝 S110). 그리고 출력 전력 Pout의 공급이 정지되고 난 후로부터 소정의 전력 공급 정지 시 대기 시간(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부(35)가 「LOW」 유량 동작으로부터 「Standby」 유량 동작으로 이행하도록 제어하여(스텝 S111), 도 4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동작 전체가 종료된다. 여기서, 전력 공급 정지 시 대기 시간은 1 내지 5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초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35)에 있어서 어블레이션 시의 전력 공급(출력 전력 Pout의 공급)을 정지시킬 때는, 출력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이 정지되고 난 후로부터 전력 공급 정지 시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Standby」 유량 동작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이하의 이점이 얻어진다. 즉, 출력 전력 Pout의 공급 정지 후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기간은 처치 부분의 고온 상태가 계속되는 것에 기인한, 관주용 액체 L에 의한 냉각 부족의 발생이 회피되어, 보다 적절한 관주 동작이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출력 정지의 지시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09: "아니오")에는, 스텝 S106으로 되돌아가, 다시 실측 전력 Pm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HIGH」 유량 동작)
또한 상술한 스텝 S107에 있어서, Pm≥Pth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07: "예", 고전력 상태일 때)에는, 제어부(35)는 현재의 「LOW」 유량 동작으로부터, 액체 유량 F가 상대적으로 많은 대유량 동작(F=Fh인 「HIGH」 유량 동작)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스텝 S112). 이것에 의하여,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있어서의 선단부 전극(112)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 처치 부분으로, 액체 유량 F=Fh인 액체 L이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원리로, 고전력 상태이고 또한 「HIGH」 유량 동작에 의한 처치 부분의 어블레이션이 행해진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실측 전력 Pm의 저전력 상태로부터 고전력 상태로의 이행 시에는, 후술하는 고전력 상태로부터 저전력 상태로의 이행 시와는 달리, 제어부(35)는 「LOW」 유량 동작으로부터 「HIGH」 유량 동작으로 신속히(후술하는 소정의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전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즉각 「HIGH」 유량 동작으로 전환함으로써, 저전력 상태로부터 고전력 상태로의 이행 시에, 액체의 유량이 너무 적은 상황(액체 부족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회피된다.
이어서, 전압 측정부(33), 전류 측정부(34) 및 제어부(35)에 있어서, 다시 실측 전력 Pm의 측정을 행한다(스텝 S113). 그리고 제어부(35)는 다시 실측 전력 Pm이 역치 전력 Pth 이상의 값(Pm≥Pth)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4).
Pm≥Pth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14: "예", 고전력 상태일 때)에는, 제어부(35)가 「HIGH」 유량 동작이 계속되도록 제어한다(스텝 S115). 그러면, 계속해서 제어부(35)는 상술한 스텝 S109와 마찬가지로 하여, 출력 전력 Pout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6). 여기서, 출력 정지의 지시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16: "예")에는, 제어부(35)는 그 취지의 제어 신호 CTL1을 전원부(32)에 출력함으로써, 출력 전력 Pout(고주파 출력)의 공급이 정지된다(스텝 S117). 그리고 출력 전력 Pout의 공급이 정지되고 난 후로부터 상술한 전력 공급 정지 시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부(35)는 「HIGH」 유량 동작으로부터 「Standby」 유량 동작으로 이행하도록 제어하여(스텝 S118), 도 4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동작 전체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HIGH」 유량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부(35)에 있어서 출력 전력 Pout의 공급을 정지할 때는, 출력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이 정지되고 난 후로부터 전력 공급 정지 시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Standby」 유량 동작으로 이행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LOW」 유량 동작 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출력 정지의 지시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16: "아니오")에는, 스텝 S113으로 되돌아가, 다시 실측 전력 Pm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스텝 S114에 있어서, Pm<Pth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14: "아니오", 저전력 상태일 때)에는, 다음으로 제어부(35)는, 이 (Pm<Pth)의 상태(저전력 상태)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소정의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제1 대기 시간)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9). 아직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계속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19: "아니오")에는, 상술한 스텝 S115으로 이행하여, 제어부(35)가 「HIGH」 유량 동작이 계속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은 1 내지 10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5초이다.
한편,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계속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19: "예")에는, 다음으로 제어부(35)는 현재의 「HIGH」 유량 동작으로부터 「LOW」 유량 동작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스텝 S120). 이것에 의하여, 어블레이션 카테터(1)에 있어서의 선단부 전극(112)의 선단부 부근으로부터 처치 부분으로, 액체 유량 F=Fl인 액체 L이 방출되게 된다. 또한 그 후에는, 상술한 스텝 S106으로 되돌아가, 다시 실측 전력 Pm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실측 전력 Pm의 고전력 상태로부터 저전력 상태로의 이행 시에는, 상술한 저전력 상태로부터 고전력 상태로의 이행 시와는 달리, 제어부(35)는 이하와 같이 하여 액체 L의 유량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5)는, 그 이행 시에 저전력 상태가 상술한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는, 「HIGH」 유량 동작을 그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유지한 후에 「LOW」 유량 동작으로 전환한다. 바꾸어 말하면, 그러한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고 난 후, 「HIGH」 유량 동작으로부터 「LOW」 유량 동작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고전력 상태로부터 저전력 상태로의 이행 시에, 액체의 유량이 너무 적은 상황(액체 부족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회피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액체 유량 F가 너무 많은 경우의 리스크(처치 부분의 온도가 저하되어 치료 시의 처치에 지장이 발생해 버리는 등)와 비교하여, 액체 유량 F가 너무 적은 경우의 리스크(처치 부분의 냉각이나 혈액 체류의 개선 효과가 불충분해져 버림) 쪽이 크므로(문제가 심각하므로), 상기와 같은 제어로 하고 있다. 즉, 그러한 리스크의 대소 관계를 고려하여, 실측 전력 Pm의 상태가 이행할 때는 액체 유량 F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기간을 유지하면서도, 그러한 액체 유량 F가 많은 기간이 너무 길어지지는 않도록,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의 경과 후에는 액체 유량 F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도록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 중의 1점 쇄선 및 「×」 표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전력 상태로부터 저전력 상태로의 이행 시에도, 그 이행 시에 저전력 상태가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계속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19: "아니오"의 경우에 상당), 이하와 같이 된다. 즉, 그러한 경우에는, 제어부(35)는 「HIGH」 유량 동작으로부터 「LOW」 유량 동작으로의 전환을 행하지 않도록(「HIGH」 유량 동작을 계속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도 6 중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측 전력 Pm의 값이 역치 전력 Pth 부근에서 오르내리도록 시간 변화되고 있는 상황 등이어도, 적절한 관주 동작이 실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5)에 있어서, 실측 전력 Pm의 저전력 상태로부터 고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LOW」 유량 동작으로부터 「HIGH」 유량 동작으로 신속히 전환하는 한편, 고전력 상태로부터 저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그 이행 시에 저전력 상태가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 「HIGH」 유량 동작을 그 유량 동작 전환 시 대기 시간 유지한 후에 「LOW」 유량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했으므로, 전력 이행 시의 액체 부족 상황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어블레이션 시에 적절한 관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부(35)에 있어서, 어블레이션 카테터(1) 내의 온도 측정 기구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출력 전력 Pout를 조정하도록 했으므로,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즉, 입력된 설정 전력 Ps를 기초로 하여 적절한 전력 조정을 행한 후에, 실제의 출력 전력 Pout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체 공급 장치(2)와 전원 장치(3)가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도록 했으므로, 사용 상황에 따라 각 장치를 개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카테터 시스템(5) 전체로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 장치(2)를 상대적으로 환자(9) 근처에 배치시킴으로써, 액체 공급 장치(2)와 어블레이션 카테터(1)를 연결하는 액체 공급용 튜브가 짧아도 되기 때문에, 의사가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와 동시에, 전원 장치(3)를 상대적으로 환자(9)로부터 먼 곳에 배치시킴으로써, 기사 등이 조작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 상황에 따른 장치 배치가 가능해진다.
<변형예>
계속해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카테터 시스템(5A))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변형예의 카테터 시스템(5A)도 또한, 환자(9)에 있어서의 부정맥 등의 치료 시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어블레이션 카테터(1), 제어 장치(6) 및 대극판(4)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6)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를 일체화하여 단일의 장치로서 구성한 것이며,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에 포함되는 각 블록을 갖고 있다. 즉, 제어 장치(6)는, 액체 공급부(21), 입력부(31), 전원부(32), 전압 측정부(33), 전류 측정부(34), 제어부(35) 및 표시부(36)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카테터 시스템(5A)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카테터 시스템(5)과는 달리,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의 각 기능이 일체화되어 단일의 장치(제어 장치(6))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체 공급부(21), 입력부(31), 전원부(32), 전압 측정부(33), 전류 측정부(34), 제어부(35) 및 표시부(36)가 각각, 단일의 장치인 제어 장치(6)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하여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력 이행 시의 액체 부족 상황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어, 어블레이션 시에 적절한 관주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히 본 변형예에서는,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의 각 기능이 일체화되어 단일의 장치(제어 장치(6))로서 구성되어 있도록 했으므로, 카테터 시스템(5A) 전체의 구성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기타 변형예>
이상,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설명한 각 층 및 각 부재의 재료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료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어블레이션 카테터(1)(샤프트(1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반드시 모든 부재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다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샤프트(11)의 내부에, 스윙 부재로서, 휨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샤프트(11)에 있어서의 전극의 구성(링형 전극 및 선단부 전극의 배치나 형상, 개수 등)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예를 든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샤프트(11)에 있어서의 선단부 P1 부근의 형상이 조작부(12)의 조작에 따라 한 방향으로 변화되는 타입의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샤프트(11)에 있어서의 선단부 P1 부근의 형상이 조작부(12)의 조작에 따라 양 방향으로 변화되는 타입의 어블레이션 카테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조작용 와이어를 복수 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11)에 있어서의 선단부 P1 부근의 형상이 고정으로 되어 있는 타입의 어블레이션 카테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조작용 와이어나 회전판(122) 등이 불필요해진다. 즉, 핸들(121)만으로 조작부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의 블록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 블록을 반드시 모두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다른 블록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카테터 시스템 전체로서도,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 장치 외에 다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액체 공급부(21)(액체 공급 장치(2) 또는 제어 장치(6))와 어블레이션 카테터(1) 사이의 액체 공급 라인 상에, 액체 공급 시의 중계기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어블레이션 동작 시의 각 처리를 흐름도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각 처리를 반드시 모두 행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다른 처리를 더 행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 설명한 「Standby」 유량 동작 및 실측 온도 정보 Tm을 이용한 출력 전력 Pout의 제어 동작 중 적어도 한쪽을, 경우에 따라서는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Claims (7)

  1. 관주 기구를 갖는 어블레이션 카테터와,
    상기 어블레이션 카테터에 대하여 어블레이션 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어블레이션 카테터에 대하여 관주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전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 및 상기 액체 공급부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의 공급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블레이션 시의 실측 전력이 역치 전력 이상인 고전력 상태일 때는, 상기 액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대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실측 전력이 상기 역치 전력 미만인 저전력 상태일 때는, 상기 액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유량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저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고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대기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부터 상기 대유량 동작으로 전환하는 한편,
    상기 고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저전력 상태로 이행할 때는, 그 이행 시에 상기 저전력 상태가 제1 대기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대유량 동작을 상기 제1 대기 시간 유지한 후에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 전환하는, 카테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의 유량이 상기 소유량보다 적은 스탠바이 유량 동작의 개시 후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만, 상기 어블레이션을 개시시키기 위한 지시 신호를 접수하는, 카테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 신호를 접수했을 경우, 상기 스탠바이 유량 동작으로부터 상기 소유량 동작으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개시시키는, 카테터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정지시킬 때는,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이 정지되고 난 후로부터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액체의 유량이 상기 소유량보다 적은 스탠바이 유량 동작으로 이행시키는, 카테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블레이션 카테터는 그 선단부 부근에 온도 측정 기구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 기구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는, 카테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가 액체 공급 장치 내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가 각각, 상기 액체 공급 장치와는 별체인 전원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가 각각, 단일의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는, 카테터 시스템.
KR1020157023084A 2013-02-28 2013-09-25 카테터 시스템 KR101737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9600A JP5757586B2 (ja) 2013-02-28 2013-02-28 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JP-P-2013-039600 2013-02-28
PCT/JP2013/075888 WO2014132476A1 (ja) 2013-02-28 2013-09-25 カテーテル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075A KR20150113075A (ko) 2015-10-07
KR101737253B1 true KR101737253B1 (ko) 2017-05-17

Family

ID=5142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084A KR101737253B1 (ko) 2013-02-28 2013-09-25 카테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57586B2 (ko)
KR (1) KR101737253B1 (ko)
CN (1) CN104822335B (ko)
TW (1) TWI564042B (ko)
WO (1) WO2014132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4650A1 (ja) * 2019-02-28 2020-09-03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システム
WO2020174651A1 (ja) * 2019-02-28 2020-09-03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11589918B2 (en) * 2019-04-08 2023-02-2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ystem and method for temperature control in irrigated ab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609A (ja) * 2001-09-05 2005-01-20 ティシューリン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補助式医療器具、この器具のための流体供給システムとコントローラ及び方法
JP2012517864A (ja) * 2009-02-17 2012-08-09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生理学的装置に流体を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77A (zh) * 1992-11-19 1993-11-17 中国人民解放军第二一三医院 程控多功能电凝冷凝治疗器
US6953461B2 (en) * 2002-05-16 2005-10-11 Tissuelink Medical, Inc. Fluid-assisted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7160296B2 (en) * 2001-05-10 2007-01-09 Rita Medical Systems, Inc. Tissue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94270A1 (en) * 2008-10-06 2010-04-15 Sharma Virender K Method and Apparatus for Tissue Ablation
US9629678B2 (en) * 2008-12-30 2017-04-25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Controlled irrigated catheter ablat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WO2011088387A2 (en) * 2010-01-15 2011-07-21 Salient Surgical Technologies, Inc. Electrosurgical devices, electrosurgical unit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266245B (zh) * 2010-06-04 2015-08-26 心诺普医疗技术(北京)有限公司 灌注式射频消融导管
CN102309364B (zh) * 2010-07-01 2013-03-27 上海导向医疗系统有限公司 辅助射频消融用的气体流量控制装置及其实施冷却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609A (ja) * 2001-09-05 2005-01-20 ティシューリン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補助式医療器具、この器具のための流体供給システムとコントローラ及び方法
JP2012517864A (ja) * 2009-02-17 2012-08-09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生理学的装置に流体を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22335A (zh) 2015-08-05
JP2014166237A (ja) 2014-09-11
CN104822335B (zh) 2017-12-19
KR20150113075A (ko) 2015-10-07
JP5757586B2 (ja) 2015-07-29
TW201433324A (zh) 2014-09-01
WO2014132476A1 (ja) 2014-09-04
TWI564042B (zh) 2017-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659B1 (ko) 카테터 시스템
CN107019554B (zh) 温度受控的短持续时间消融
CN106994043B (zh) 温度受控的短持续时间消融
JP6853145B2 (ja)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106994044B (zh) 温度受控的短持续时间消融
KR101737253B1 (ko) 카테터 시스템
CN107019553B (zh) 温度受控的短持续时间消融
EP2777589A1 (en) Catheter with spray irrigation
KR101690451B1 (ko) 카테터 시스템
US20230229176A1 (en) Electromedical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medical device system
JP7352011B2 (ja) アブレ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
WO2014208200A1 (ja) カテーテルシステム
WO2020174651A1 (ja) カテーテルシステム
WO2020174650A1 (ja) カテーテルシステム
WO2022091369A1 (ja)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17056551A1 (ja) カテーテ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