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069B1 -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069B1
KR101737069B1 KR1020100095659A KR20100095659A KR101737069B1 KR 101737069 B1 KR101737069 B1 KR 101737069B1 KR 1020100095659 A KR1020100095659 A KR 1020100095659A KR 20100095659 A KR20100095659 A KR 20100095659A KR 101737069 B1 KR101737069 B1 KR 10173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signal
strobe
outpu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907A (ko
Inventor
장재민
김용주
최해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0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03K5/1565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the output pulses having a constant duty cy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ram (AREA)

Abstract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는 스트로브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클럭 신호와 제 2 클럭 신호의 듀티 차이에 따라 제 1 출력 신호 및 제 2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코어 블록, 및 코어 블록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한 예비 스트로브 신호의 활성화 타이밍을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에 따라 보정하여 상기 스트로브 신호로서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DUTY CYCLE DE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회로 예를 들어,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는 클럭 신호(CLK)를 기반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클럭 신호(CLK)의 타이밍은 물론이고, 클럭 신호(CLK)의 듀티 싸이클(Duty Cycle) 또한 반도체 메모리의 동작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클럭 신호(CLK)의 듀티 싸이클은 50%가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즉, 클럭 신호(CLK)의 하이 듀티와 로우 듀티가 일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클럭 신호(CLK)는 PVT(PVT)와 같은 각종 환경 요인의 변동에 따라 이상적인 듀티 싸이클을 갖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반도체 회로에는 듀티 싸이클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는 코어 블록(11) 및 제어 블록(20)을 포함한다.
코어 블록(11)은 스트로브 신호(STROBE)에 응답하여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과 제 2 클럭 신호(FCLK)의 듀티 차이에 따라 제 1 출력 신호(OUTP) 및 제 2 출력 신호(OUTN)를 생성한다.
이때 제 1 클럭 신호(RCLK)와 제 2 클럭 신호(FCLK)는 외부에서 제공된 클럭 신호(CLK)를 소스로 하여 생성된 신호로서, 제 1 클럭 신호(RCLK)는 클럭 신호(CLK)와 동일한 위상을 가지며, 제 2 클럭 신호(FCLK)는 제 1 클럭 신호(RCLK)와 반대의 위상을 갖는다.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은 클럭 신호(CLK)의 하이 듀티에 해당하며, 제 2 클럭 신호(FCLK)의 하이 레벨 구간은 클럭 신호(CLK)의 로우 듀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의 레벨에 따라 클럭 신호(CLK)의 하이 듀티와 로우 듀티 중에서 어느 것이 더 큰지 알 수 있다.
제어 블록(20)은 출력부(21) 및 스트로브 생성부(22)를 포함한다.
출력부(21)는 제 1 출력 신호(OUTP) 및 제 2 출력 신호(OUTN)의 차이를 증폭하여 듀티 싸이클 검출 신호(DCDOUT)를 생성하고,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가 서로 반대의 논리 레벨을 갖는 것을 인식함을 알리기 위한 유효 신호(VALID)를 생성한다. 즉, 유효 신호(VALID)는 듀티 싸이클 검출 신호(DCDOUT)가 유효한 신호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스트로브 생성부(22)는 유효 신호(VALID)에 응답하여 스트로브 신호(STROBE)를 생성한다.
이때 스트로브 신호(STROBE)는 유효 신호(VALID)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제 1 클럭 신호(RCLK) 또는 제 2 클럭 신호(FCLK)와 동기 되지 않으므로 도 2의 타이밍들(A ~ E) 중 어디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다.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타이밍(A)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코어 블록(11)은 도 2와 같이, 제 1 클럭 신호(RCLK)의 첫 번째 클럭 펄스의 하이 레벨 전 구간 동안 방전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제 2 출력 신호(OUTN)의 노드를 완전히 방전시키게 된다.
이때 실제로는 제 2 클럭 신호(FCLK)의 듀티가 제 1 클럭 신호(RCLK)의 듀티에 비해 크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다면 제 1 출력 신호(OUTP)의 레벨은 계속해서 제 2 출력 신호(OUTN)의 레벨 보다 낮아지지 못하게 된다. 결국, 제 2 출력 신호(OUTN)가 제 1 출력 신호(OUTP) 보다 먼저 접지 전압 레벨이 된다.
따라서, 듀티 검출 결과는 제 1 클럭 신호(RCLK)의 듀티가 큰 것으로 인식 되는 동작 오류를 초래하며,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의 오프셋(offset)(VOUT)이 최대가 된다.
한편,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타이밍(E)에서 활성화되는 경우에도 타이밍(A)과 같이,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의 오프셋(offset)(VOUT)이 최대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는 스트로브 신호(STROBE)의 활성화 타이밍에 따라 오프셋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의 미스매치(mismatch) 또한 그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프셋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트로브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클럭 신호와 제 2 클럭 신호의 듀티 차이에 따라 제 1 출력 신호 및 제 2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코어 블록, 및 코어 블록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한 예비 스트로브 신호의 활성화 타이밍을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에 따라 보정하여 상기 스트로브 신호로서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블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므로 안정적인 듀티 싸이클 검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오프셋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의 블록도,
도 2는 스트로브 신호에 따른 듀티 검출 동작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0)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코어 블록(300)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0)는 코어 블록(300) 및 제어 블록(200)을 포함한다.
코어 블록(300)은 스트로브 신호(STROBE)에 응답하여 제 1 클럭 신호(RCLK)와 제 2 클럭 신호(FCLK)의 듀티 싸이클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코어 블록(300)은 스트로브 신호(STROBE)에 응답하여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과 제 2 클럭 신호(FCLK)의 듀티 차이에 따라 제 1 출력 신호(OUTP) 및 제 2 출력 신호(OUTN)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클럭 신호(RCLK)와 제 2 클럭 신호(FCLK) 중에서 하이 레벨 구간이 긴 신호에 의해 제 1 출력 신호(OUTP) 또는 제 2 출력 신호(OUTN) 중에서 어느 하나는 로우 레벨로 출력되고, 다른 하나는 하이 레벨로 출력된다.
이때 제 1 클럭 신호(RCLK)와 제 2 클럭 신호(FCLK)는 외부에서 제공된 클럭 신호(CLK)를 소스로 하여 생성된 신호로서, 제 1 클럭 신호(RCLK)는 클럭 신호(CLK)와 동일한 위상을 가지며, 제 2 클럭 신호(FCLK)는 제 1 클럭 신호(RCLK)와 반대의 위상을 갖는다.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은 클럭 신호(CLK)의 하이 듀티에 해당하며, 제 2 클럭 신호(FCLK)의 하이 레벨 구간은 클럭 신호(CLK)의 로우 듀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의 레벨에 따라 클럭 신호(CLK)의 하이 듀티와 로우 듀티 중에서 어느 것이 더 큰지 알 수 있다.
제어 블록(200)은 코어 블록(300)의 출력 신호 즉, 제 1 출력 신호(OUTP) 및 제 2 출력 신호(OUTN)에 응답하여 생성한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의 활성화 타이밍을 제 1 클럭 신호(RCLK) 또는 제 2 클럭 신호(FCLK)에 따라 보정하여 스트로브 신호(STROBE)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200)을 구성함에 있어,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의 활성화 타이밍을 보정하기 위해 제 1 클럭 신호(RCLK)와 제 2 클럭 신호(FCLK) 중에서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3은 제어 블록(200)이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의 활성화 타이밍을 제 1 클럭 신호(RCLK)에 따라 보정하여 스트로브 신호(STROBE)를 생성하도록 구성한 예를 든 것이다.
제어 블록(200)은 출력부(21), 스트로브 생성부(22) 및 타이밍 보정부(210)를 포함한다.
출력부(21)는 제 1 출력 신호(OUTP) 및 제 2 출력 신호(OUTN)의 전압 레벨 차이를 증폭하여 듀티 싸이클 검출 신호(DCDOUT)를 생성하고,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가 서로 반대의 논리 레벨을 갖는 것을 인식함을 알리기 위한 유효 신호(VALID)를 생성한다. 즉, 유효 신호(VALID)는 듀티 싸이클 검출 신호(DCDOUT)가 유효한 신호임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스트로브 생성부(22)는 유효 신호(VALID)에 응답하여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를 생성한다.
이때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는 도 1의 스트로브 신호(STROBE)와 동일한 타이밍을 갖는다.
타이밍 보정부(210)는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를 제 1 클럭 신호(RCLK)에 따라 래치하여 스트로브 신호(STROBE)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타이밍 보정부(210)는 클럭 단자에 제 1 클럭 신호(RCLK)를 입력 받고, 입력 단자에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를 입력 받아, 출력 단자를 통해 스트로브 신호(STROBE)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플립 플롭(D-Flip Flop)을 포함한다.
이때 타이밍 보정부(210)에는 기 설정된 지연시간 즉, 내부 신호처리를 위한 지연시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스트로브 신호(STROBE)는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가 제 1 클럭 신호(RCLK)에 의해 래치된 타이밍부터 소정 시간 지연된 후 출력된다.
타이밍 보정부(210)의 내부 신호처리를 위한 지연시간은 실질적으로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의 폭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정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블록(30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포지티브 피드백을 구성하는 커패시터(C1, C2)는 각각 복수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되며, 코드 신호(CCODE<3:0>)에 따라 방전 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트랜지스터(M6, M7)는 각각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코드 신호(PCODE<2:0>, NCODE<2:0>)에 따라 서로 대칭되는 제 1 클럭 신호(RCLK) 관련 회로 구성 및 제 2 클럭 신호(FCLK) 관련 회로 구성의 미스매치를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코어 블록(300)은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M1, M2)가 턴 온 상태이므로 제 1 노드(N1) 및 제 2 노드(N2)가 전원 전압 레벨로 프리차지(Precharge) 된다.
이후에,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됨에 따라 트랜지스터(M3)가 턴 온 됨으로써 전류 패스가 열려,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과 제 2 클럭 신호(FCLK)의 하이 레벨 구간 동안 제 1 노드(N1) 및 제 2 노드(N2)를 방전시킴으로써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의 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제 1 클럭 신호(RCLK)와 제 2 클럭 신호(FCLK)의 듀티 차이 즉,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과 제 2 클럭 신호(FCLK)의 하이 레벨 구간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 중에서 어느 하나의 레벨이 부하(Load) 트랜지스터(M4, M5)의 문턱 전압에 도달하게 되고,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에 의해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접지 전압 레벨이 되며, 다른 하나는 전원 전압 레벨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 초기화에 따라 출력부(21)에서 출력된 유효 신호(VALID)에 응답하여 스트로브 생성부(22)가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를 생성한다.
타이밍 보정부(210)는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를 제 1 클럭 신호(RCLK)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 래치하여 스트로브 신호(STROBE)로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이밍 보정부(210)를 이용하여,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제 1 클럭 신호(RCLK)와 동기 된 후, 지연되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코어 블록(30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타이밍 마진을 확보한 것이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코어 블록(300)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스트로브 신호(STROBE)의 활성화가 타이밍들(B ~ D) 중 어느 하나에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타이밍(A, E)에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로브 신호(STROBE)는 예비 스트로브 신호(STROBE_PRE)를 제 1 클럭 신호(RCLK)로 래치 한 후, 제 1 클럭 신호(RCLK)의 하이 레벨 구간의 폭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정해진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신호이므로 타이밍들(B ~ D) 중 어느 하나에 활성화된다.
따라서 코어 블록(300)은 스트로브 신호(STROBE)에 따라 정상적인 제 1 출력 신호(OUTP) 및 제 2 출력 신호(OUTN)를 생성한다.
즉, 코어 블록(300)은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타이밍들(B ~ D) 중 어느 하나에 활성화되므로 제 1 클럭 신호(RCLK)의 첫 번째 클럭 펄스에 의해 제 2 출력 신호(OUTN)의 노드(N2)가 완전히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의 듀티 차이가 크지 않더라도 제 1 출력 신호(OUTP)의 레벨과 제 2 출력 신호(OUTN)의 레벨이 서로 번갈아 가며 낮아지게 되고, 결국, 제 1 클럭 신호(RCLK)와 제 2 클럭 신호(FCLK)의 듀티 차이에 맞도록 제 1 출력 신호(OUTP)와 제 2 출력 신호(OUTN)의 레벨이 정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스트로브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클럭 신호와 제 2 클럭 신호의 듀티 차이에 따라 제 1 출력 신호 및 제 2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코어 블록;
    상기 제 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한 예비 스트로브 신호의 활성화 타이밍을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에 따라 보정하여 상기 스트로브 신호로서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 신호는 외부 클럭 신호와 동기된 클럭 신호이며,
    상기 제 2 클럭 신호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와 반대의 위상을 갖는 클럭 신호인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제 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따라 듀티 싸이클 검출 신호 및 상기 듀티 싸이클 검출 신호가 유효한 신호임을 정의하는 유효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상기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예비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트로브 생성부, 및
    상기 예비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에 따라 래치하여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보정부를 포함하는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정부는
    상기 예비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에 따라 래치한 후, 기 설정된 지연시간 만큼 지연시켜 상기 스트로브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정부는
    클럭 단자에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2 클럭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단자에 상기 예비 스트로브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플립 플롭을 포함하는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KR1020100095659A 2010-09-30 2010-09-30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KR10173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59A KR101737069B1 (ko) 2010-09-30 2010-09-30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59A KR101737069B1 (ko) 2010-09-30 2010-09-30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907A KR20120033907A (ko) 2012-04-09
KR101737069B1 true KR101737069B1 (ko) 2017-05-22

Family

ID=4613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659A KR101737069B1 (ko) 2010-09-30 2010-09-30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0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907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9634B2 (en)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s suitable for use in delay-locked loops and methods of correcting duty cycles of periodic signals
US8358160B2 (en)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KR100701423B1 (ko) 듀티 보정 장치
CN101079627B (zh) 一种工作周期的修正电路
US7800423B2 (en) Duty correction circuit
US871088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643358B2 (en) Oscillator
US20090146700A1 (en) Duty ratio correction circuit
JP4434858B2 (ja) デューティ補正電圧発生回路及びデューティ補正電圧発生方法
JP2010206348A (ja) デューティ比補正回路及びデューティ比補正方法
Wang et al. An all-digital 50% duty-cycle corrector
CN107046416B (zh) 占空比校正电路
KR20200121522A (ko) 위상 감지 회로, 이를 이용하는 클럭 생성 회로 및 반도체 장치
US9337817B2 (en) Hold-time optimization circuit and receiver with the same
KR20090061322A (ko) 디엘엘 클럭 생성 회로
US786395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9278528A (ja) Dll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KR100843002B1 (ko) 듀티 사이클 보정 회로 및 이를 갖는 지연 고정 루프
KR20160076197A (ko) 듀티 싸이클 감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8508272B2 (en) Data output circuit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US8446197B2 (en) Delay locked loo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616034B2 (en) Circuit for controlling data output
TWI437820B (zh) 電壓保持電路
KR101737069B1 (ko) 듀티 싸이클 검출 회로
US7557632B2 (en) Internal clock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internal c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