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015B1 -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015B1
KR101737015B1 KR1020160160123A KR20160160123A KR101737015B1 KR 101737015 B1 KR101737015 B1 KR 101737015B1 KR 1020160160123 A KR1020160160123 A KR 1020160160123A KR 20160160123 A KR20160160123 A KR 20160160123A KR 101737015 B1 KR101737015 B1 KR 10173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vent
simulation
m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준
홍수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to KR102016016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Role playing or strategy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워 게임에 참여하여 군 교리 및 교전 수칙과 무기 체계의 동작 메커니즘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의 모의 객체를 생성하고,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 사이를 동적으로 연결하여 이벤트와 연관된 모의 객체의 상태 변화를 정확하게 모의하는 동시에 모의 객체 사이의 동적 연결에 따른 시나리오 변경 및 워 게임에 참여하는 모의 객체의 변경 또는 추가를 용이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Simulation engine system for war game based on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워 게임에 참여하여 군 교리 및 교전 수칙과 무기 체계의 동작 메커니즘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의 모의 객체를 생성하고,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 사이를 동적으로 연결하여 이벤트와 연관된 모의 객체의 상태 변화를 정확하게 모의하는 동시에 모의 객체 사이의 동적 연결에 따른 시나리오 변경 및 워 게임에 참여하는 모의 객체의 변경 또는 추가를 용이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재 전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다양한 워 게임 모의 엔진 모델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워 게임 모의 엔진 모델은 실재 전장 및 군용자산과 유사한 가상 데이터를 설정하고, 전투 이벤트의 진행상황에 따라 예측되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재 전쟁에서 효율적인 전투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은 워게임 모의엔진은 실재의 전장 및 교전 상황에 근접하여 전쟁을 모의하기 위한 모의분석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다음 기능을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우선, 다양한 분석 시나리오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 실 교리 및 작전계획을 모의하는 복잡한 모의논리를 오류 없이 실행시킬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교리 및 작전계획 변경 시에 이를 실재 전장에 쉽게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워게임 모의 엔진 모델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실재 군사 교리 및 작전계획 기반의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높이고 있으나, 기존의 워 게임 모의 엔진 모델은 실재 군용자산을 모의한 모의 객체 사이의 연결관계를 시나리오 기반으로 고정하여 워 게임을 모의함으로써, 시나리오 변경시 모의 객체 사이의 연결관계를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시나리오 변경시 기존 시나리오를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례로, 서로 다른 모의 객체 사이의 연결이 정적으로 구성되면, 시나리오 수정(일례로, 신규 모의 객체의 참여) 및 모의 중 발생하는 우연성에 대한 모의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 기존의 워 게임 모의 엔진 모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의 객체 사이의 정적 연결로 인해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신규 모의객체의 시나리오 참여 및 모의 객체 사이의 연결 구성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실재 전장은 실시간으로 전장 상황이 변화하는데 반해 기존의 워 게임 모델은 상기 실재 전장 상황 중 극히 일부의 시나리오만을 모의하여 운영할 수밖에 없어 모의 한계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해당 시나리오에서 신규 모의 객체의 참여에 따른 우연성에 대한 모의는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3520호
본 발명은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를 기반으로 실재 전장을 모의한 워 게임에 참여하는 모의 객체를 서로 다른 이벤트 종류에 각각 대응되어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따른 모의 객체 사이의 이벤트 전달 과정에서 이벤트와 연관된 서로 다른 모의 객체 사이를 동적으로 연결하여 이벤트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워 게임 운영 과정에서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신규 모의 객체의 참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이벤트와 연관되는 모의 객체 사이를 용이하게 동적으로 연결시켜 전장 상황의 우연성에 대한 모의를 지원함으로써 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나리오 기반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모의 객체 사이의 동적 연결을 지원하여 기존 시나리오를 용이하게 변경하고 이에 따라 정확하게 전장 상황을 모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기존 시나리오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워 게임 운영에 대한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은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DEVS)를 기반으로 모의 전장을 최상위 결합모델로 정의하고, 모의전장에 참여하는 군용 자산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를 결합모델로 정의한 워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으로서,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처리하여 그 결과를 출력정보로 제공하는 기능 처리부가 하나 이상 포함된 모의 객체를 생성하는 모의 객체 관리부;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를 통해 생성된 모의 객체를 상기 모의 전장에 등록하고 그 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등록된 모의 객체에 구성된 상기 기능 처리부의 이벤트 처리 결과에 따른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는 모의 정보 관리부; 상기 기능 처리부에 구성되어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기능 처리부에 설정된 모의 논리를 기반으로 상기 기능 처리부의 이벤트 생성이나 처리에 대응될 수 있는 이벤트 수신 대상 모의 객체를 선별한 수신 목록을 생성하는 대상 목록 생성부; 및 이벤트를 처리한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로부터 이벤트 처리 결과에 따른 출력 정보와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모의 객체의 수신 목록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출력 정보를 상기 수신 목록 상 모의 객체의 입력으로 제공하여 이벤트 처리 모의 객체와 이벤트 수신 모의 객체 간의 연결 관계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동적 연결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는 기능 처리부로부터 수신 목록 없이 이벤트 처리 결과에 따른 출력 정보만 수신하는 경우 해당 출력 정보를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 전달하여 대응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는 모의 객체별로 아군과 적군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지휘체계 계통에 따라 아군인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급 부대로 설정하고, 아군인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상기 상급 부대의 상기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를 상기 상급 부대와 연관된 하급 부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교전 관련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상급 부대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에 설정하고, 상기 모의 객체에 포함된 기능 처리부는 상기 시나리오 정보 및 모의 논리에 따라 상기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급 부대인 모의 객체의 상기 기능 처리부에 포함된 상기 대상 목록 수신부는 상기 출력정보 생성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하급 부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처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출력정보 생성시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을 상기 상태정보 및 모의 논리를 기초로 선택하여 상기 수신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는 상기 입력정보 수신시 상기 입력 정보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로 상기 입력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에 포함된 대상 목록 수신부는 상기 입력 정보 수신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부터 적군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별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처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이벤트 처리시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을 상기 상태 정보 및 모의 논리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수신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적군으로 설정된 모의 객체는 상기 입력 정보 수신시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로 상기 입력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적군으로 설정된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는 상기 입력 정보 수신시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모의 논리를 기초로 상기 입력정보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벤트 종류는 공격명령, 탐지명령, 이동명령, 공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이벤트를 생성한 모의 객체가 결정한 이벤트 수신 대상으로 이벤트를 전달하여 모의 객체 사이의 이벤트 전달이 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과 같이 정적 연결로 인한 시나리오 변경의 어려움을 개선하여 시나리오 변경에 따라 기존 이벤트와 동일한 이벤트에 대응되어 이벤트 수신 대상이 기존 이벤트의 이벤트 수신 대상과 상이하게 변경된 경우에도 별도의 연결 설정 없이 용이하게 이벤트 수신 대상인 모의 객체로 이벤트를 전달하여 모의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전장 상황의 우연성에 대한 모의를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의 전장에 신규 모의 객체를 용이하게 참여시켜 워게임 모의를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 운영과 기존 시나리오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워 게임 모의에 대한 효율성 및 편의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신규 모의 객체 추가시 해당 신규 모의 객체와 연관된 모의 객체 사이의 연관관계를 미리 설정된 지휘체계 계통에 따라 자동 설정하고, 서로 다른 모의 객체 사이의 지휘체계 계통에 따라 신규로 추가된 모의 객체의 명령에 의해 다른 모의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특정 모의 객체의 명령에 의해 신규로 추가된 모의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이를 통해 시나리오 변경에 따라 전장에 신규 추가된 모의 객체를 전장에 용이하게 반영할 수 있어 다양한 시나리오 적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신규 모의 객체에 의한 우연성에 대한 모의 역시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실재 전장을 모의하는 워 게임에 대한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이고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워 게임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 사건 시스템 명세에 기반한 모의 객체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서 아군 모의 객체 사이의 이벤트 생성 및 전달 과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서 아군과 적군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모의 객체 사이의 이벤트 전달 과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서 적군 모의 객체의 이벤트 처리 과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서 상급부대와 하급 부대 사이의 이벤트 생성 및 처리 과정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의 객체 관리부(130), 모의 정보 관리부(110) 및 동적 연결 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은 워 게임 모의를 위한 서버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장치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구성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례로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130)는 모의 정보 관리부(11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은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130), 모의 정보 관리부(110) 및 동적 연결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각 구성부의 상세 동작을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 사건 시스템 명세(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에 기반하여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의 결합 모델(Coupled Model)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모의 객체는 실재하는 군용자산인 지상부대(보병, 포병, 화학 등), 미사일, 함정(구축함 등), 잠수함, 항공기(전투기, 수송기), 표적 등과 같은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130)와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모의 전장(戰場)에 참여하는 복수의 모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객체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의 전장에 대한 2차원 형태의 그리드를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전쟁 모의를 위한 교전 관련 시나리오(scenario)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의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그리드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시나리오 정보 변경시 시나리오 정보의 변경에 따라 신규 모의 객체를 전장에 추가하거나 기존 모의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모의 객체의 그리드 상 현재 위치(또는 이동 위치), 피해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의 객체의 군 종류(지상, 해상, 공중), 부대 규모(전구급, 연합, 합동 등), 군용자산 종류(일례로, 지상부대(보병, 포병, 화학 등), 미사일, 함정(구축함 등), 잠수함, 항공기(전투기, 수송기), 표적 등) 등에 대한 객체정보가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나리오 정보는 실재 전장 상황을 모의하기 위한 시간별 이벤트 정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130)는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의 객체 생성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기반한 원자모델(Atomic Model)인 복수의 서로 다른 기능 처리부(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군사교리, 작전계획 및 무기체계의 동작 메커니즘에 따른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서로 다른 이벤트 종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이벤트의 생성 및 처리를 위한 일련의 명령어 집합으로 구성되거나 이벤트의 생성 및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벤트 처리를 위한 에이전트(agent)로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모의 객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기능 처리부(10)가 조합된(또는 결합된)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종류는 탐지 명령, 이동 명령, 공격 명령, 공격 등과 같이 실재 전장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원자 모델 이외에도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기반한 결합 모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 모델에 해당되는 기능 처리부(10)는 원자 모델에 해당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능 처리부(10)가 통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130)와 연동하여 모의 객체 생성시 상기 각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에 아군과 적군을 설정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지휘체계 계통에 따라 아군인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급 부대로 설정하고, 아군인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상기 상급 부대의 상기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를 상기 상급 부대와 연관된 하급 부대로 상기 각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에 설정하여 이에 따른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설정정보를 상기 각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버나드 P. 지글러(Bernard P. Zeigler)에 의해 제안된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따른 DEVS 형식론을 기반으로 모의 전장을 최상위 결합 모델(Top Coupled Model)로 정의하고, 상기 모의 전장에 참여하는 모의 객체를 결합 모델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따라 모의 객체를 원자 모델인 기능 처리부(10)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이벤트 종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처리할 수 있으며, 입력단(입력 포트)과 출력단(출력 포트)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의 객체는 상기 각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어 복수의 서로 다른 입력단(입력 포트)과 복수의 서로 다른 출력단(출력포트)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따른 EIC(External Input Coupling)를 기반으로 결합모델인 특정 모의객체의 입력과 상기 특정 모의 객체에 포함된 원자 모델인 기능 처리부(10)의 입력 사이의 연결관계를 상기 모의 객체에 설정하고,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따른 EOC(External Output Coupling)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모의 객체의 출력과 상기 기능 처리부(10)의 출력 사이의 연결관계를 상기 모의 객체에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의 객체는 특정 이벤트와 연관된 입력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입력정보의 이벤트 종류에 따라 해당 입력정보에 대한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기능 처리부(10)의 입력으로 상기 입력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를 처리하여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특정 기능 처리부(10)의 출력단과 상기 특정 기능 처리부(10)의 이벤트와 연관된 모의 객체의 출력단을 상호 연결하여 출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모의 객체 관리부(130)와 연동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이벤트 종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능 처리부(10)를 하나로 통합하여 결합 모델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를 포함하는 모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탐지 명령, 이동 명령 및 공격 명령 각각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를 하나로 통합한 지휘 통제에 따른 이벤트를 생성하는 기능 처리부(10)를 포함한 모의 객체 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연대 지휘통제소에 해당되는 상기 모의 객체 1을 상급 부대로 설정하고, 상기 상급 부대의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보병 대대에 해당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일례로, 모의 객체 2)를 상기 상급 부대와 연관된 하급 부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급 부대 및 하급부대와 관련된 설정정보가 각 모의 객체에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해당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모델에 해당되는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시나리오 정보 및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상기 이벤트 종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이벤트 정보를 출력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재 전장 상황을 모의하기 위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를 서로 다른 모의 객체 사이에 전달되도록 하여 워 게임을 모의하는 과정에서 기존에는 모의 객체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적으로 설정하여 모의함으로써 시나리오 변경시 모의 객체 사이의 연결 관계를 일일이 재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시나리오 변경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신규 모의 객체의 참전이나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우연성에 대한 모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를 통해 이벤트와 연관된 모의 객체 사이의 동적 연결을 지원하여 이벤트와 연관된 객체로 이벤트 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나리오 변경이나 신규 모의 객체의 모의 전장 참여가 용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모델인 기능 처리부(10)를 포함하는 모의 객체의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 전장에 참여하는 모의 객체에 대한 목록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모의정보 관리부는 해당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되어 전장에 참여하는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상기 기능 처리부(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복수의 모의 객체에 포함된 각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기능 처리부(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수신 대상에 대한 수신 목록을 생성하는 대상 목록 생성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상기 기능 처리부(10)와 연동하여 상기 시나리오 정보와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 및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 수신 대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에 의해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 및 모의 논리를 기초로 특정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이벤트 정보에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에 대한 수신목록을 포함시켜 상기 모의 객체의 출력단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능 처리부(10)가 공격 명령과 관련된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상기 기능 처리부(10)와 연동하여 상기 시나리오 정보 및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부(10)가 구성된 모의 객체가 상급부대로 설정된 아군인 모의 객체 중에서 해당 공격 명령을 수행하는 이벤트 수신 대상을 결정하여 수신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시나리오 정보 및 모의 논리를 기초로 각 이벤트 수신 대상의 공격 형태, 공격 방향 등과 같은 공격 명령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이벤트 정보에 상기 수신 목록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각 모의 객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의 객체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 처리부(1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시나리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 처리부(10)와 모의 정보 관리부(110)의 연결관계 및 상기 기능 처리부(10)와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 사이의 연결관계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함수(또는 루트(route) 함수)로서 상기 모의 객체 또는 기능 처리부(1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객체는 상기 기능 처리부(10)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정보를 출력정보로 출력하여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기능 처리부(10)로부터 상기 출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정보에 수신 목록이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 목록에 대응되는 이벤트 수신 대상인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선택된 각 모의 객체로 상기 출력정보를 입력 정보로서 전달(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모의 객체 사이의 이벤트 전달이 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이벤트 전달을 위한 미리 설정된 루트 함수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의 객체로부터 전달된(수신된) 출력정보를 다른 모의 객체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벤트 전달을 위해 서로 다른 모의 객체 상호 간을 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정보를 수신한 모의 객체는 상기 입력정보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로 해당 입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입력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여 이벤트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정보를 수신한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입력정보에 따른 상기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처리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어 새로운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결과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 처리부(10)에 포함된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상기 기능 처리부(10)의 이벤트 처리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상기 기능 처리부(10)와 연동하여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모의 논리를 기초로 상기 결과 정보에 따른 이벤트 수신 대상인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에 대한 수신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자신이 속한 기능 처리부(10)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어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 및 모의 논리를 기초로 상기 기능 처리부(10)의 이벤트 생성 또는 상기 입력정보에 따른 이벤트 처리시 하나 이상의 이벤트 수신 대상에 대한 수신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수신 목록을 상기 결과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모의 객체로 전달하고, 상기 모의 객체는 상기 결과정보를 출력정보로 출력하여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로 상기 출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를 통해 상급 부대인 모의 객체 1로부터 '공격 명령' 관련 입력 정보를 수신한 모의객체 2는 '공격 명령'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공격' 관련 기능 처리부(10)로 상기 입력정보를 전달하고, 해당 '공격' 관련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대상 목록 생성부(11)와 연동하여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 및 미리 설정된 '공격' 관련 모의 논리를 기초로 '공격 명령'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여 복수의 적군으로 설정된 모의 객체 중 모의 논리에 따른 공격 범위 내에 위치하는 모의 객체를 이벤트 수신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이벤트 수신 대상에 공격 관련 이벤트를 전달하기 위한 상기 수신 목록을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객체 2는 상기 '공격' 관련 기능 처리부(10)로부터 결과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결과정보를 출력 정보로서 출력하여 동적 연결 처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출력 정보 수신시 상기 출력 정보에 수신 목록이 포함된 경우 해당 수신 목록에 대응되는 각 모의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출력정보를 입력정보로서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인 상기 선택된 모의 객체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모의 객체 2에 의해 이벤트 수신 대상으로 결정된 적군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별 입력단으로 상기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군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는 상기 입력 정보 수신시 상기 입력정보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로 상기 입력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입력 정보를 수신한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입력 정보 및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여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에 구성된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수신 목록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처리부(10)는 수신 목록이 포함되지 않은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적군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는 공격 관련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공격 관련 입력정보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피해 평가' 관련 기능 처리부(10)로 해당 입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해 평가' 관련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입력 정보 및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여, 상기 모의 객체 2의 공격에 따라 상기 적군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가 받은 피해 정도에 대한 피해 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군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는 상기 기능 처리부(10)가 생성한 결과정보를 출력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출력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출력정보에 수신 목록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 정보를 모의 정보 관리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로부터 수신된 출력정보를 기초로 해당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의 객체의 피해 상태를 변경하거나 해당 모의 객체가 공격에 의해 제거된 경우 상기 모의 객체를 삭제 처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에 구성된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수신 목록을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 목록에 모의 정보 관리부(110)가 설정된 경우 수신 목록에 모의 객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수신 목록에 따른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 상기 출력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부터 현재 전장에 참여 중인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부터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전장에 참여 중인 모의 객체의 현황을 갱신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모의 객체로부터 수신된 출력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목록과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수신 대상인 모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벤트를 생성한 모의 객체가 결정한 이벤트 수신 대상으로 이벤트를 전달하여 모의 객체 사이의 이벤트 전달이 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과 같이 정적 연결로 인한 시나리오 변경의 어려움을 개선하여 시나리오 변경에 따라 특정 모의 객체의 기존 이벤트와 동일한 특정 이벤트에 대응되어 이벤트 수신 대상이 기존 이벤트의 이벤트 수신 대상과 상이하게 변경된 경우에도 별도의 연결 설정 없이 용이하게 이벤트 수신 대상인 모의 객체로 이벤트를 전달하여 모의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전장 상황의 우연성에 대한 모의를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의 전장에 신규 모의 객체를 용이하게 참여시켜 워게임 모의를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 운영과 기존 시나리오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워 게임 모의에 대한 효율성 및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급 부대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의 출력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상급부대와 관련된 하급부대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는 상기 출력정보를 입력정보로 수신하여 상기 입력정보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여 출력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상급 부대의 출력정보에 따라 상기 하급부대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데, 이를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급부대에 해당하며 결합 모델인 기능 처리부(10)를 포함한 모의 객체는 상기 기능 처리부(10)에 의해 생성된 아군인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에 대한 수신목록을 포함하는 출력정보를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군인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 각각은 상기 상급부대와 연관된 하급부대에 해당되는 모의 객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출력정보 수신시 상기 출력정보에 포함된 상기 아군인 모의 객체로 상기 출력 정보를 입력정보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아군인 모의 객체는 상기 출력정보를 입력정보로 수신하고, 상기 아군인 모의 객체에 속한 하나 이상의 기능 처리부(10) 중 상기 입력정보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로 상기 입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급부대인 모의 객체 1이 '이동명령'에 대한 출력정보를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를 통해 상기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 2로 전달하고, 상기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 2는 상기 '이동명령' 관련 출력정보를 입력정보로 수신한 후 상기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 2에 포함된 '이동명령' 관련 이벤트의 처리가 가능한 '이동' 관련 기능 처리부(10)로 해당 입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 2에 속한 '이동' 관련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입력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고, 이벤트 처리에 따른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이동' 관련 기능 처리부(10)가 속한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 2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보병 대대에 해당되며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 2의 '이동' 관련 기능 처리부(10)는 상급부대의 이동명령에 따른 입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여 상기 보병대대를 이동시키고, 이동 위치에 대한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 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10)의 대상 목록 생성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목록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급 부대인 모의 객체 1의 '이동 명령'과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 2에 속한 '이동' 관련 기능 처리부(10)는 상기 '이동 명령'에 따라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 2의 이동에 대한 이벤트를 처리하며, 해당 '이동' 관련 기능 처리부(10)에 속한 대상 목록 수신부는 부대의 이동과 관련되어 별도로 수신 목록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로부터 수신된 출력정보에 대한 수신목록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목록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모의 객체의 상태 변화에 대한 출력정보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출력정보를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를 통해 수신한 상기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 2의 출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력정보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 2의 상태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일례로,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급부대인 모의 객체 1의 '이동 명령'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여 이동 위치(또는 현재 위치)가 변경된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 1의 이동 위치 관련 출력정보를 기초로 해당 하급부대인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해당 하급부대의 모의 객체에 대한 이동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갱신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신규 모의 객체 추가시 해당 신규 모의 객체와 연관된 모의 객체 사이의 연관관계를 미리 설정된 지휘체계 계통에 따라 설정하고, 서로 다른 모의 객체 사이의 지휘체계 계통에 따라 신규로 추가된 모의 객체의 명령에 의해 다른 모의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특정 모의 객체의 명령에 의해 신규로 추가된 모의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시나리오 변경에 따라 전장에 신규 추가된 모의 객체를 전장에 용이하게 반영할 수 있어 다양한 시나리오 적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신규 모의 객체에 의한 우연성에 대한 모의 역시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실재 전장을 모의하는 워 게임에 대한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이고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워 게임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시나리오 변경에 따른 모의 객체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 해당 모의 객체를 용이하게 삭제하여 전장에 참여 중인 모의 객체만으로 전장 운영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시나리오 운영을 보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기반한 결합 모델 또는 원자 모델인 복수의 서로 다른 기능 처리부(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의 객체를 생성하여 모의 전장에 등록하는 모의 정보 관리부(110) 및 상기 모의 객체 상호 간 정보를 전달하는 동적 연결 처리부(120)를 포함하는 워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의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게임 모의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우선,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상기 모의 전장에 참여하는 상기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에 기반한 결합모델인 복수의 상기 모의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모의 전장에 등록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된 상기 기능 처리부(10)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능 처리부(10)의 모의 논리 및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 수신 대상에 대한 수신 목록을 포함하는 상기 출력정보를 수신시(S2) 상기 수신 목록에 따라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인 하나 이상의 상기 모의 객체를 선택하고(S3), 상기 출력정보에 따른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상기 선택된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10)로 상기 출력 정보를 입력 정보로서 전달하여 상기 입력정보에 따른 이벤트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S4).
이에 따라, 상기 입력정보를 수신한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10)는 미리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상기 입력정보를 기초로 이벤트를 처리하여 이벤트 결과에 대한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기능 처리부(10)가 속한 모의 객체를 통해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S5).
한편,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 목록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출력 정보 수신시 상기 출력정보를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S6).
이에 따라,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110)는 상기 출력정보 수신시 상기 출력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모의 객체별로 상기 출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태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장과 관련된 시나리오 운영에 따라 전장에 참여하는 모의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리할 수 있다(S7).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능 처리부 11: 대상 목록 생성부
110: 모의 정보 관리부 120: 동적 연결 처리부
130: 모의 객체 관리부

Claims (10)

  1.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DEVS)를 기반으로 모의 전장을 최상위 결합모델로 정의하고, 모의전장에 참여하는 군용 자산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를 결합모델로 정의한 워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으로서,
    설정된 모의 논리에 따라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처리하여 그 결과를 출력정보로 제공하는 기능 처리부가 하나 이상 포함된 모의 객체를 생성하는 모의 객체 관리부;
    상기 모의 객체 관리부를 통해 생성된 모의 객체를 상기 모의 전장에 등록하고 그 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등록된 모의 객체에 구성된 상기 기능 처리부의 이벤트 처리 결과에 따른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는 모의 정보 관리부;
    상기 기능 처리부에 구성되어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모의 객체별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기능 처리부에 설정된 모의 논리를 기반으로 상기 기능 처리부의 이벤트 생성이나 처리에 대응될 수 있는 이벤트 수신 대상 모의 객체를 선별한 수신 목록을 생성하는 대상 목록 생성부; 및
    이벤트를 처리한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로부터 이벤트 처리 결과에 따른 출력 정보와 해당 이벤트를 수신할 모의 객체의 수신 목록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출력 정보를 상기 수신 목록 상 모의 객체의 입력으로 제공하여 이벤트 처리 모의 객체와 이벤트 수신 모의 객체 간의 연결 관계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동적 연결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는 기능 처리부로부터 수신 목록 없이 이벤트 처리 결과에 따른 출력 정보만 수신하는 경우 해당 출력 정보를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 전달하여 대응 모의 객체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는 모의 객체별로 아군과 적군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지휘체계 계통에 따라 아군인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급 부대로 설정하고, 아군인 복수의 모의 객체 중 상기 상급 부대의 상기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를 상기 상급 부대와 연관된 하급 부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교전 관련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상급 부대에 대응되는 모의 객체에 설정하고,
    상기 모의 객체에 포함된 기능 처리부는 상기 시나리오 정보 및 모의 논리에 따라 상기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급 부대인 모의 객체의 상기 기능 처리부에 포함된 상기 대상 목록 생성부는 상기 출력정보 생성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하급 부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처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출력정보 생성시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을 상기 상태정보 및 모의 논리를 기초로 선택하여 상기 수신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는 상기 입력정보 수신시 상기 입력 정보의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로 상기 입력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급 부대인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에 포함된 대상 목록 수신부는 상기 입력 정보 수신시 상기 모의 정보 관리부로부터 적군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모의 객체별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능 처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이벤트 처리시 상기 이벤트 수신 대상을 상기 상태 정보 및 모의 논리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수신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군으로 설정된 모의 객체는 상기 입력 정보 수신시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이벤트 종류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부로 상기 입력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군으로 설정된 모의 객체의 기능 처리부는 상기 입력 정보 수신시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모의 논리를 기초로 상기 입력정보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동적 연결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종류는 공격명령, 탐지명령, 이동명령, 공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10. 삭제
KR1020160160123A 2016-11-29 2016-11-29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KR10173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123A KR101737015B1 (ko) 2016-11-29 2016-11-29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123A KR101737015B1 (ko) 2016-11-29 2016-11-29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015B1 true KR101737015B1 (ko) 2017-05-23

Family

ID=5905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123A KR101737015B1 (ko) 2016-11-29 2016-11-29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0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10B1 (ko) 2017-09-26 2018-12-07 대한민국 분산 이산사건시스템 명세 기반 연속 시스템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20190052792A (ko) 2017-11-09 2019-05-17 국방과학연구소 이산 사건 시스템 명세 방식 기반의 생존 장비 교전 모델 장치 및 방법
KR102005062B1 (ko) * 2018-02-02 2019-07-29 주식회사 유토비즈 다중 해상도 워게임을 위한 다중접속지원 프록시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다중 해상도 워게임 훈련 시스템
CN113996058A (zh) * 2021-11-01 2022-02-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41933B1 (ko) * 2022-01-17 2022-09-13 국방과학연구소 모의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10B1 (ko) 2017-09-26 2018-12-07 대한민국 분산 이산사건시스템 명세 기반 연속 시스템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20190052792A (ko) 2017-11-09 2019-05-17 국방과학연구소 이산 사건 시스템 명세 방식 기반의 생존 장비 교전 모델 장치 및 방법
KR102005062B1 (ko) * 2018-02-02 2019-07-29 주식회사 유토비즈 다중 해상도 워게임을 위한 다중접속지원 프록시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다중 해상도 워게임 훈련 시스템
CN113996058A (zh) * 2021-11-01 2022-02-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996058B (zh) * 2021-11-01 2023-07-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41933B1 (ko) * 2022-01-17 2022-09-13 국방과학연구소 모의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015B1 (ko)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엔진 시스템
KR101765174B1 (ko)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시스템 및 방법
CN10533506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CN101908085A (zh) 一种基于多Agent的分布式推演仿真系统与方法
CN105630578A (zh) 一种基于分布式多Agent系统的作战仿真引擎
SA07280134B1 (ar) تشكيل مهمة بشكل تكيـُّـفي
CN115620579A (zh) 模拟训练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891660A (zh) 用于在计算机装置之间同步数据的系统和方法
Lynch et al. Representing the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using agent-based modeling
Taylor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family of military campaign simulation models
US202201611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rogress between nodes on a rail
Kang et al. Reconfigurable C3 simulation framework: Interoperation between C2 and communication simulators
Allen Serious gaming for building a basis of certification for trust and trustworthiness of autonomous systems
KR101315531B1 (ko) 자동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통합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663A (ko) 무기체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Le Roux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in command and control situation awareness
Jansen et al. Testbeds for IT systems in tactical environments
Pullen et al. Adding reports to coalition battle management language for NATO MSG-048
Sambhoos et al. A case study with design of experiments: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Level 1 distributed data fusion processes
KR20200068453A (ko) 다중 해상도 모델 기반의 전장 m&s 시스템 및 이의제어방법
Huang et al. Design of a Computer Wargaming System
Petty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Reducing Matching Frequency in High-Level Architecture Data Distribution Management
Kim et al. Development of the Multi-Resolution Modeling Environment through Aircraft Scenarios
Wilson et al. Interfacing Force-on-force and Communications Models: MANA and JNE
Pedersen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 engineering for time critical targ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