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990B1 -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90B1
KR101736990B1 KR1020150148615A KR20150148615A KR101736990B1 KR 101736990 B1 KR101736990 B1 KR 101736990B1 KR 1020150148615 A KR1020150148615 A KR 1020150148615A KR 20150148615 A KR20150148615 A KR 20150148615A KR 101736990 B1 KR101736990 B1 KR 101736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
vehicle
linked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918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90B1/ko
Priority to US15/145,479 priority patent/US10064081B2/en
Priority to CN201610366351.3A priority patent/CN106612450B/zh
Priority to DE102016209881.0A priority patent/DE102016209881A1/de
Publication of KR2017004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8Interfacing with an on-board device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의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프레임 버퍼 내에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기입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제1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본 발명은 차량과 휴대용 단말기를 연동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과 차량의 화면을 연동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IT 서비스의 발전은 자동차에서도 예외 없는 IT 활용 정보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IT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주변의 기기들에서 자신에게 맞는 IT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IT 서비스 이용 패턴은 자동차 산업에 큰 영향을 주어 뛰어난 디자인, 연비, 성능 외에도 차량 내에서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한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휴대용 단말기을 이용한 차량진단,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동영상과 음악의 스트리밍 서비스 등 IT를 기반으로 한 결합기술을 등장시켰다.
스마트폰과 차량 내 포함된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 장치 간의 연동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시장에는 스마트폰용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의 주요 공급자인 애플과 구글에 의해서 각각 주도되고 있는 애플 카 플레이(Apple CarPlay)와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가 공급되고 있다.
자동차 업체와 스마트폰 제조업체로 구성된 카 커넥티비티 컨소시엄(Car Connectivity Consortium, CCC)에 의해서 주도되고 있는 업계 표준 미러링크(MirrorLink™) 솔루션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미러링크는 소비자가 더욱 큰 스크린에서, 기기 측면에서 친숙한 차량용 인간-기계 접속장치(Human Machine Interfaces, HMI)로 그들의 모바일 기기와 기능 접속을 선호할 것이란 가정에서 출발한다. 미러링크 솔루션은 스마트폰과 터치스크린, 로터리식노브, 스티어링휠 컨트롤과 같은 자동차 인간-기계 접속장치(HMI)와 양방향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기본적인 구성으로는 디스플레이, 컨트롤을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으며 오디오, 보이스 처리를 위해 RTP(Real Time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차량용 헤드 유닛이 연결되면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두 기기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되게 되며, 이후 두 기기간의 인증,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등이 이루어질 수 잇다.
또한, 중국 시장에서도 바이두, 텐센트 등 시장 주도 IT 업체에 의해 독자적으로 스마트폰 및 차량 AVN 장치의 연동 기능을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AVN 연동 기능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앱들을 차량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이미 제시된 애플/구글/바이두 등의 에코시스템을 통하여 차량에 적합한 앱들을 스마트폰을 통하여 유통하고 수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으므로, 기존 차량이 가지고 있는 한계인 연결성 제약 및 IT 산업 대비 뒤처진 상품성을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다.
KR 10-2012-0017686 A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과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 간 연동 기능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적 문제로 인해 차량의 AVN 장치 내 스크린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상황을 휴대용 단말기 내 시스템 운영체제(OS)에서 감지하여 복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키거나 주행 중 안전을 저해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한 오류가 차량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의 스크린에 전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프레임 버퍼 내에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기입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버퍼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이 설정될 영역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초기화된 영역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주소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데이터가 포함되는지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자원을 추가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 프로세서가 상기 추가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자원을 우선 배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데이터로 인하여 변화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하나에 대해 변화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입력값 및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차량 내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퍼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기입되는지 확인한 후, 상기 제1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상기 프레임 버퍼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이 설정될 영역을 초기화한 후, 초기화된 영역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주소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는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한 뒤,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자원을 추가 요청하거나,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 제어부는 상기 추가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자원을 우선 배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차량 내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퍼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데이터가 포함되는지 감시하여, 상기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는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한 뒤,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자원을 추가 요청하거나,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는 상기 제2데이터로 인하여 변화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하나에 대해 변화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부호화 버퍼 내 상기 변화된 정보를 상기 화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값,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입력값 및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 사이에 상기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과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 간 연동하는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오류로 인하여 주행 중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를 조작하지 못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와 연동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 내 오류 발생 시 휴대용 단말기를 기 설정된 절차에 따라 제어하여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우선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초기에 디스플레이 버퍼에 데이터를 제대로 쓰지 못하여 블랙 화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헤드 유닛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 등의 화면 업데이트 이벤트가 발생했을 시에 이에 대해서 제대로 응답하지 못하는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 체제(OS) 및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전용 파이프를 구성하여 에러 상황 발생시 이를 보고하여 원인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뒤 이를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차량 및 휴대용 단말기 간의 연동 기술을 설명한다.
도2는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술을 설명한다.
도3은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4는 프레임 버퍼(frame buffer)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5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6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 오류 복구를 설명한다.
도7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오류 복구를 설명한다.
도8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복구 동작을 설명한다.
도9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차량 및 휴대용 단말기 간의 연동 기술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 유닛(head unit, 30)에 포함된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 장치에는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32),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표시하는 화면 등을 포함하는 표시부(34), 휴대용 단말기와의 미러링을 수행하기 위한 미러링 통신부(36)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의 헤드 유닛(30)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다양한 콘텐트(22),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 및 미러링 통신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헤드 유닛(30)과 휴대용 단말기(20)는 데이터 통신 링크(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링크(2)는 USB 또는 WiFi와 같은 물리적 통신 채널로 연결하여 휴대용 단말기(20)에서 비디오와 오디오를 전송하면 헤드 유닛(30)에서는 이를 디코딩하고 랜더링(rendering)하며, 헤드 유닛(30)에서는 터치 입력, 버튼 입력 등을 통한 사용자 조작 및 음성 인식/전화 연동을 위한 마이크로폰 음성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에서 동작하는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은 사전에 상당 부분 품질을 검증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20)는 사용자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직접 설치할 수 있고, 차량의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중에도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들뿐만 아니라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정상적이지 않은 동작들이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들의 동작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항상 있다.
이러한 연동 기능은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주체 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먼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들이 휴대용 단말기(20) 내의 저장 장치(미도시) 영역에 가상의 공간(second display area)에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 장치에 그려진 화면을 휴대용 단말기(20)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에서는 H.264 등의 표준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30)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헤드 유닛(30)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34)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 방식에서 휴대용 단말기(20)에서 동작하는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은 휴대용 단말기(20)의 화면 및 헤드 유닛(30)의 표시부(34)에 해당하는 가상의 공간에서 동시에 최종적인 화면으로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rendering).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20) 내 저장 장치와 같은 주요 자원(resource) 부족 현상이 발생하거나,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 자체의 오류로 특정 기능 작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20) 내 가상의 공간에 화면이 제대로 그려지지 않아서 비어 있는 화면 또는 블랙 화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면을 그대로 헤드 유닛(30)에 전송하게 되면 운전자는 운전 상황에서 주의가 분산되어 안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방식에서 차량 내 헤드 유닛(30)은 수동적으로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전송해주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표시해주는 장치가 되는데 반해, 운전자 입장에서는 모든 조작 및 표시가 헤드 유닛(30)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20)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보내주는 비디오 자체에 문제가 생겨도 헤드 유닛(30)의 문제로 인식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 중에 휴대용 단말기(20)의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버그(bug)로 화면 표시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도 있고,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도2는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술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20, 도1참조)에는 헤드 유닛(30, 도1참조)과의 연결을 위한 물리적 통신 연결 기능(40),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기능(50), 물리적 통신 연결 기능(40)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차량의 헤드 유닛 등)들을 탐지하고 감지하는 기능(48),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 시 보안(security)을 확인하는 기능(56), 디스플레이 및 제어 기능(58), GPS 등의 데이터 접속 및 교환을 제어하는 기능(60)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통신 연결 기능(40)에는 블루투스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망 기술을 사용하는 기능(42), 유선 데이터 통신 링크로 인터넷 프로토콜(IP)를 통해 연결하는 기능(44),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로 인터넷 프로토콜(IP)를 통해 연결하는 기능(4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기능(50)은 휴대용 단말기(20)와 연동하여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 Free Profile, HFP)을 통한 전화 서비스(52) 및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을 사용하여 음악, 음성 데이터 등을 전달하는 오디오 서비스(54)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와 비디오를 전달하기 위한 표준화된 패킷 포맷을 정의하는 것으로, 스트리밍 미디어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및 제어 기능(58)은 멀티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irtual Network Computing, VNC) 시스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격으로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irtual Network Computing, VNC) 시스템에서는 화면 전체를 캡쳐해서 인코딩한 후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되므로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기능들은 휴대용 단말기(20, 도1참조)의 현재 화면을 그대로 차량의 헤드 유닛(30)에 전송하고, 운전자는 차량의 헤드 유닛(30)을 통해서 연동 중인 휴대용 단말기(20)의 화면을 직접 보면서 터치 조작 등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미러링 동작을 위해서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NC), 오디오 전송에 대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단거리 무선통신(Bluetooth, BT), 서비스 교섭을 위한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niversal Plug and Play, uPNP) 등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20)는 외부 통신망과의 통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NC)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헤드 유닛(30)은 휴대용 단말기(20)에 비해 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며,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NC)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0)의 화면을 그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20)의 현재 화면을 그대로 차량의 헤드 유닛(30)을 통해 표시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20)의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NC) 서버가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프레임 버퍼는 래스터 주사 방식에서 화면에 나타날 영상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프로세서가 중앙 처리 장치(CPU)로부터 도형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리스트를 받아 변환하여 프레임 버퍼에 기록한다. 프레임 버퍼의 각 기억 단위는 화면의 하나의 화소에 하나씩 대응하여 화면에 그대로 반영된다. 즉 화면의 각 점의 온(on)/오프(off)나 색깔을 비트 맵으로 기억하고 있으며 이 기억 장치에 어떤 내용을 써넣으면 그것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는 대개 시스템의 주기억 장치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특별한 기술을 사용하여 속도를 빠르게 하기도 한다.
도3은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는 프레임워크(framework, 10)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이 포함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10)에는 다양한 기능 들의 버퍼(12, 14, 18)들을 관리하는 버퍼 관리자(16)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6)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10)에는 프레임 버퍼(18), 인코딩 버퍼(14), 및 디코딩 버퍼(12)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일 뿐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다양한 버퍼들이 형성될 수 있다.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프레임 버퍼(18)는 제1영역(4)과 제2영역(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4)과 제2영역(6)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도4는 프레임 버퍼(frame buffer)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버퍼(18)는 제1영역(4) 및 제2영역(6)을 포함하고 있다. 차량 내 헤드 유닛(30, 도1참조)과 휴대용 단말기(20, 도1참조)의 연동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과 소리를 헤드 유닛에서 공유하는 미러링 기술을 바탕으로 할 수 있다. 미러링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이벤트를 주고 받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역(4)에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제2영역(6)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2영역(6)에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제1영역(4)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정보는 헤드 유닛(30)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20)에 포함된 입력 장치(예를 들면, 키 패드 등)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입력값, 또는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정보는 헤드 유닛(30) 및 휴대용 단말기(20)의 화면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특정 기술 방식에 따라 상세 구현은 달라질 수 있지만, 전술한 연동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저장장치에 형성되는 프레임 버퍼(18)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역(4)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위한 공간이고, 제2영역(6)은 헤드 유닛(30)에 포함된 화면으로 전송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프레임 버퍼(18)가 설정되면 제1영역(4) 및 제2영역(6)에 대응하는 주소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다.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은 프레임 버퍼(18) 내 렌더링할 수 있는 영역에 사용자를 위한 그래픽을 그리고 나면,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OS)를 통해 렌더링된 영역의 정보를 압축하여 통신 장치(예를 들면, USB/Wi-Fi)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위한 제1영역(4)뿐만 아니라, 헤드 유닛에 화면을 전송하기 위하여 부호화기(encoder)에 보내는 제2영역(6)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2장 이상을 확보하여 읽기 및 쓰기(read & write)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프레임 버퍼(18)에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쓰는 동시에 디스플레이(화면)에 해당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인데, 만약 1장의 프레임 버퍼 영역만 운영하면 동일한 프레임 버퍼 영역에 읽기 및 쓰기(read & write)가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에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깜빡이거나 부분적으로 찢어진 것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4에 설명한 것과 같이, 프레임 버퍼(18)는 화면에 갱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동기화(Vsync) 신호에 동기되어 제1영역(4)과 제2영역(6)을 오가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핑퐁(ping-pong)과 비슷하여 핑퐁 버퍼(ping-pong buffer)라고 부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와 차량의 헤드 유닛이 연동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OS)에서는 현재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임 버퍼(즉, 제1영역(4) 또는 제2영역(6))를 초기화한 뒤, 초기화된 영역의 메모리 주소를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제1영역(4)에 쓰기 동작이 가능한 경우 제1영역(4)의 주소를, 제2영역(6)이 쓰기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2영역(6)의 주소를 전달한다.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은 전달받은 메모리 주소에 차량에 표출하고자 하는 그래픽을 표시하게 된다. 만약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문제가 생긴다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시점부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임 버퍼 내 초기화된 영역에 그래픽을 표시하지 못 하게 되는데, 아무 내용이 기입되지 않은 영역은 초기화된 상태 그대로 차량의 헤드 유닛에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또는 운전자)는 전체가 까만 화면 또는 텅 비어있는 화면을 보게 된다.
또한,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문제가 생겨서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프레임 버퍼에 새로운 이미지를 그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운전자)가 터치 등을 통하여 조작하는 경우에도 화면이 그대로 멈춰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는 차량의 헤드 유닛의 문제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고 주행 중인 상황이라면 운전자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중에 주의가 분산되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5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70), 프레임 버퍼 내에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72),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기입되는지 확인하는 단계(74), 및 제1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즉, 초기화된 영역에 그래픽이 표시되지 않아 까만 화면 또는 텅 빈 화면이 차량의 헤드 유닛으로 출력되는 문제)를 감지하고 복구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프레임 버퍼 내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이 설정될 영역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초기화된 영역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주소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1데이터로 인하여 변화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하나에 대해 변화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화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차량의 헤드 유닛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은 USB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기술,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기술, 또는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통신기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76),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에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데이터가 포함되는지 감시하는 단계(78), 및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에 따라,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즉, 사용자의 입력에도 화면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를 감지하고 복구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수행되거나, 모바일 플랫폼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사이에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응용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 등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6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 오류 복구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또는 모바일 플랫폼)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기입해야 하는(화면을 그려야 하는) 프레임 버퍼(18)의 제1영역(4)을 초기화하고, 제1영역(4)의 주소를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알려준다. 이후, 해당 프레임 버퍼(예를 들면, 제1영역(4))에 유효한 데이터가 기입되는(채워지는) 지 감시한다.
만약, 해당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의 동작에 문제가 생겨서 프레임 버퍼의 제1영역(4)에 데이터를 기입하지 못 하면, 해당 프레임 버퍼(예를 들면, 제1영역(4))는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에서 초기화한 값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만약 초기화한 값을 그대로 변환(encoding)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전달하는 경우, 차량의 헤드 유닛의 화면에는 검정화면 또는 빈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또는 모바일 플랫폼)는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알려준 프레임 버퍼(예를 들면, 제1영역(4))에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이 실행된 후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가 기입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는 초당 전송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이 실행된 후 일정 시간 동안 프레임 버퍼(예를 들면, 제1영역(4))에 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검정화면 또는 빈 화면을 전송하는 대신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7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오류 복구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 유닛(예를 들면, AVN 장치의 화면 및 입력버튼) 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여 해당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를 전달하였는데도 해당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을 갱신하지 못하여 화면이 멈춰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비디오 인코더를 통해 이전 화면과의 차분(데이터의 변화, 차이 등)을 통하여 화면이 멈추어 있는 지에 대한 해당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먼저, 차량의 헤드 유닛에서 터치 조작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를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에 전달한다.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고, 처리된 내용을 사용자(또는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프레임 버퍼(예를 들어, 제1영역(4)) 내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프레임 버퍼(18) 내 제1영역(4)에 데이터는 비디오 인코더 등을 통해 인코딩된 후 차량의 헤드 유닛으로 전달된다. 이때, 비디오 인코더가 사용하는 인코딩 버퍼(14)에서는 전송할 내용을 인코딩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과 변화된 값이 계산될 수 있다. 만약 아무런 정보가 갱신되지 않았다면, 해당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8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복구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이 오동작하는 경우가 검출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OS, 2)는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과 연결된 논리적 파이프(또는 채널)를 통하여 데이터가 제대로 표출되지 않음을 알려준다.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에서 위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하여 원인을 분석한 뒤, 시스템 자원(resource) 제약에 의한 오동작인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2)에 더 많은 자원을 요청을 하여 복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에서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오동작이 일어난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셧다운한 뒤 재시작하는 절차를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2)에 요청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2)에서는 이에 대해 최대한 많은 자원을 확보하여 제공하거나 아닌 경우에는 즉각적 재시작을 통하여 에러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를 위해,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80, 도5참조)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하는 단계,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자원을 추가 요청하는 단계, 및 에러에 대응하여,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 내 프로세서(또는 운영체제, 모바일 플랫폼 등)가 추가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자원을 우선 배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통해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제가 발생할 시,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한 문제를 즉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세서(또는 운영체제, 모바일 플랫폼 등)는 해당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통하여 해당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를 시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헤드 유닛에서 검정화면이 표출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지 않고 그대로 멈춰있는 것과 같은 운전자 주의 분산을 유발할 수 있는 중대한 버그를 피할 수 있다.
도9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90)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24)을 실행하는 제어부(92), 및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퍼를 포함하는 저장장치(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기입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제어부(92)는 연동 어플리케이션(24)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90)는 프레임 버퍼 내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설정될 영역을 초기화한 후, 초기화된 영역 내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주소를 연동 어플리케이션(24)에 통지하는 초기화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 어플리케이션(24)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한 뒤,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자원을 추가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복구 프로세스는 에러에 대응하여, 연동 어플리케이션(24)을 재시작할 수도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90) 내 제어부(92)는 추가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자원을 우선 배당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2)는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에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데이터가 포함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92)는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에 따라,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90)는 연동 어플리케이션(24)과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미도시) 사이에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채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90)는 제2데이터로 인하여 변화된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하나에 대해 변화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인코더와 같은 부호화부(98) 및 네트워크를 통해 부호화 버퍼 내 변화된 정보를 차량의 헤드 유닛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 장치로 전달하는 미러링 통신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러링 통신부(26)는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값,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장치(94) 내 프레임 버퍼에서는 제1영역에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제2영역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에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제1영역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정보는 차량의 헤드 유닛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입력값 및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24)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정보는 차량의 헤드 유닛 내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VN)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서(또는 운영체제, 모바일 플랫폼 등)이 화면에 정보를 표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버퍼(디스플레이 버퍼)를 관리하고 이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의 헤드 유닛과의 상호 작용을 감지하여 화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프레임 버퍼(디스플레이 버퍼)를 인코딩할 때 내부 알고리즘의 차분 결과를 판단하여서 현재 화면이 멈춰 있는 지를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세서(또는 운영체제, 모바일 플랫폼 등)와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 사이에는 전용 파이프가 항시 마련되어 있어서, 연동 동작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파이프를 통하여 문제 원인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해당 문제를 복구하기 위한 시도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 헤드 유닛 32: 입력부
34: 표시부 36: 미러링 통신부
20, 90: 휴대용 단말기 22: 콘텐트
24: 차량연동 어플리케이션 26: 미러링 통신부
92: 제어부 94: 저장장치
96: 초기화부 98: 부호화부

Claims (24)

  1. 차량의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프레임 버퍼 내에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기입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버퍼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이 설정될 영역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초기화된 영역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주소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데이터가 포함되는지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자원을 추가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 프로세서가 상기 추가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자원을 우선 배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로 인하여 변화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하나에 대해 변화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인,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입력값 및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동일하게 표시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삭제
  13. 차량 내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퍼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기입되는지 확인한 후, 상기 제1데이터가 기입되지 않으면,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버퍼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이 설정될 영역을 초기화한 후, 초기화된 영역 내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주소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는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한 뒤,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자원을 추가 요청하거나,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 제어부는 상기 추가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자원을 우선 배당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17. 차량 내 헤드 유닛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동일한 크기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퍼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데이터가 포함되는지 감시하여, 상기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복구 프로세스는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에러를 분석한 뒤,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자원이 부족할 경우 상기 자원을 추가 요청하거나,
    상기 에러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로 인하여 변화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하나에 대해 변화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부호화부 내 상기 변화된 정보를 상기 차량에 탑재된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값,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주고받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출력정보를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입력값 및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동일하게 표시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체제 사이에 상기 제2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채널을 더 포함하는, 차량과 연동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장치.
KR1020150148615A 2015-10-26 2015-10-26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3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15A KR101736990B1 (ko) 2015-10-26 2015-10-26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145,479 US10064081B2 (en) 2015-10-26 2016-05-0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CN201610366351.3A CN106612450B (zh) 2015-10-26 2016-05-27 用于控制与车辆连接的移动设备的装置和方法
DE102016209881.0A DE102016209881A1 (de) 2015-10-26 2016-06-06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ich mit dem Fahrzeug verknüpfenden Mobil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15A KR101736990B1 (ko) 2015-10-26 2015-10-26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918A KR20170047918A (ko) 2017-05-08
KR101736990B1 true KR101736990B1 (ko) 2017-05-17

Family

ID=5849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615A KR101736990B1 (ko) 2015-10-26 2015-10-26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64081B2 (ko)
KR (1) KR101736990B1 (ko)
CN (1) CN106612450B (ko)
DE (1) DE102016209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8286B2 (en) * 2001-10-24 2014-07-01 Mouhamad Ahmad Naboulsi Hands on steering wheel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KR101803521B1 (ko) * 2016-03-30 2017-11-3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80058089A (ko) * 2016-11-23 2018-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232446A1 (en) * 2017-06-20 2018-12-27 Saja Obeid DEVICE FOR IMMOBILIZING / RESTRICTING USE IN A LIMITED AREA OF A MOBILE PHONE IN A VEHICLE
KR102410941B1 (ko) * 2017-10-17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705817B2 (en) * 2018-03-19 2020-07-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flict determination and mitigation for vehicular applications
US11470376B2 (en) 2019-01-04 2022-10-11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remote user control of video content on a monitor display and related methods
US11190830B2 (en) * 2019-01-04 2021-11-30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remote user control of video content on a monitor display and related methods
CN111124332B (zh) * 2019-11-18 2024-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呈现内容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66B1 (ko) 2012-05-29 2014-03-04 (주)모비루스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그리고, 이들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KR101480653B1 (ko) 2013-12-24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343A (ja) * 2002-02-21 2003-08-29 Toyota Motor Corp 表示装置、携帯端末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JP4065790B2 (ja) * 2003-01-17 2008-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装置
CN101672648A (zh) * 2008-09-12 2010-03-17 富士通天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图像处理装置
JP5378883B2 (ja) * 2009-05-28 2013-12-25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1770384B (zh) * 2010-01-18 2012-12-05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音响系统的软件升级方法
KR20120017686A (ko) 2010-08-19 2012-0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avn 시스템의 os 업그레이드 및 복구 방법
US8996930B2 (en) * 2010-10-26 2015-03-31 Red Hat, Inc. Error video creation, playback and reporting
JP5304853B2 (ja) * 2011-07-27 2013-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連携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端末
US9116563B2 (en) * 2011-10-28 2015-08-25 Honda Motor Co., Ltd. Connecting touch screen phones in a vehicle
KR20130090229A (ko) 2012-02-03 2013-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편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R2989801B1 (fr) * 2012-04-18 2014-11-21 Schneider Electric Ind Sas Procede de gestion securisee d'un espace memoire pour microcontroleur
GB2502587A (en) 2012-05-31 2013-12-04 Denso Corp Storing a Screenshot of a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interfaced with mobile device when a remote control connection error is detected
US9144094B2 (en) 2012-10-29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wireless display sess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KR20150100231A (ko) 2014-02-25 2015-09-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차량용 avn간의 미러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526358B1 (ko) 2014-12-22 2015-06-05 주식회사 티노스 미러링 데이터 분석 기능을 구비한 미러링 동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66B1 (ko) 2012-05-29 2014-03-04 (주)모비루스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그리고, 이들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KR101480653B1 (ko) 2013-12-24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러링크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8664A1 (en) 2017-04-27
KR20170047918A (ko) 2017-05-08
CN106612450B (zh) 2020-05-22
CN106612450A (zh) 2017-05-03
DE102016209881A1 (de) 2017-04-27
US10064081B2 (en)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990B1 (ko) 차량과 연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6191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에러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종단간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4286143A (zh) 显示设备及传输协议自动切换方法
CN103425494A (zh) 一种车载终端与智能移动终端的信息交互系统
CN105511945B (zh) 移动装置及附属装置的应用程序的媒合方法
KR20130096059A (ko) 원격의 싱크 장치를 표시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시스템
CN113608812B (zh) 远程控制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201400955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ability sharing over a communicative link
CN114286165A (zh) 一种显示设备、移动终端及投屏数据传输方法
US20180241841A1 (en) Information system
CN113727179B (zh) 显示设备及显示设备兼容外置设备的方法
WO2022105409A1 (zh) 故障诊断方法、终端设备及显示设备
CN107038024B (zh) 一种操控配置方法及其设备
JP2015220533A (ja) 車載情報システム、車載装置、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CN113844262A (zh) 基于pcie实现车机系统进行双屏互动的系统、方法、装置、处理器及其计算机存储介质
CN111193717A (zh) Ftp黑白名单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965677B (zh) 一种显示设备及信息提示方法
CN113038251B (zh) 一种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1694778A (zh) 数据转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286320A (zh) 一种显示设备、移动终端及蓝牙连接方法
US9824059B2 (en) Child serial device discovery protocol
CN115733893B (zh) 触摸屏组网监控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631421B (zh) 消息传输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821248B (zh) 车机端软件的服务方法、车机端软件及其相关设备
CN117939438A (zh) 车机系统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