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86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6867B1 KR101736867B1 KR1020150098537A KR20150098537A KR101736867B1 KR 101736867 B1 KR101736867 B1 KR 101736867B1 KR 1020150098537 A KR1020150098537 A KR 1020150098537A KR 20150098537 A KR20150098537 A KR 20150098537A KR 101736867 B1 KR101736867 B1 KR 101736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 air
- knob
- stopper
- hole
- air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freez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팬; 상기 그릴팬의 내부에 형성되고, 냉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냉기를 통과시키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냉기통과홀을 구비하여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공급량을 조절하는 냉기조절노브; 상기 냉기조절노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 및 상기 복수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최대공급량 및 최소공급량을 조절함에 따라, 불필요한 냉기의 소비를 줄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물품을 냉동/냉장 보관하기 위한 장치다.
냉장고는 내부에 식품 저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후방영역에는 기계실이 형성되며, 이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 장치 중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10)의 내부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냉장고(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구비하는 냉장고(10)본체와, 냉동실(11) 및 냉장실(12)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고도어(13)를 구비한다. 냉동실(11) 후방에 슈라우드(14)가 설치되고, 슈라우드(14) 내부에 증발기(15)와 송풍팬(16)이 설치된다. 증발기(15)는 내부의 냉매관을 통과하는 냉매의 흡열 작용에 의해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송풍팬(16)은 냉기를 냉동실(11)과 냉장실(12)로 각각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냉동실(11) 후방에는 그릴팬(17)이 슈라우드(14)에서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냉동실(11)에서 냉장실(12)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유로(18)가 그릴팬(17)과 슈라우드(14) 사이에 형성된다. 증발기(15)에 의해 생성된 냉기의 일부는 그릴팬(17)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냉동실(11)로 공급된다.
냉장실(12) 후방에 냉장실덕트(19)가 설치되고, 냉장실덕트(19)의 상부가 냉기유로(18)와 연통되어, 냉기 일부는 냉기유로(18)로부터 냉장실덕트(19)로 이동하며, 냉장실덕트(19)를 통해 냉장실(12) 내부로 공급된다.
그릴팬(17)에는 냉기조절유닛(20)이 구비되어, 냉동실(11)에서 냉장실(12)로 공급되는 냉기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냉기조절유닛(20)은 그릴팬(17)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노브(21)와, 노브(21)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기통과공을 포함한다. 노브(21)가 회전됨에 따라 냉기통과공의 개방면적이 조절되며, 이에 의해 냉기통과공을 통과하는 냉기공급량이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의 노브(21)는 냉기통과공의 최대개방각과 최소개방각이 정해져 있으므로, 개발자가 냉동실(11)의 온도 및 풍량을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하여 냉장고(10) 개발 및 온도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노브(21) 구조에서는 노브(21)를 이용하여 냉기통과공의 개방각도 조절 시 국가별로 냉장고(10) 성능시험에서 요구하는 온도영역대가 나오지 않아서, 노브(21)의 개방각도를 최대로 올린 상태에서 성능시험을 수행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냉기를 소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압축기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냉기조절노브의 최대개방각 및 최소개방각을 자유롭게 조절함에 따라 불필요한 냉기 소비를 줄이고, 압축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팬; 상기 그릴팬의 내부에 상기 냉기공급통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냉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를 통과시키는 하부지지부; 상기 그릴팬의 내부에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냉기통과공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냉기통과홀을 구비하여 상기 냉기통과공 및 냉기통과홀의 개방면적에 따라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공급량을 조절하는 냉기조절노브; 상기 냉기조절노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 및 상기 복수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냉기조절노브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상부지지부에 걸림에 따라 냉기조절노브를 정지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기조절노브는, 상기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의 일부를 통과시켜 상기 냉장실로의 최소 냉기량을 확보하는 보조냉기통과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기조절노브는, 일측에 기설정된 각도범위로 형성되는 냉기통과홀을 구비하고,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냉기통과홀은 상기 차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홀은 상기 보조냉기통과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고정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최대 개방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2고정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최소개방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톱퍼는 체결볼트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기조절노브는, 상기 고정홀의 후면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와의 체결면적을 확대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중심축을 수용하는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에서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을 외부에서 상기 힌지홀로 삽입시키는 삽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지지부는 양쪽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냉기조절노브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할 때, 5단으로 냉기공급량을 조절되고, 상기 스톱퍼를 상기 제2고정홀에 체결할 때, 3단으로 냉기공급량을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톱퍼와 관련된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스톱퍼는, 측면에 복수의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정지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정지핀의 측면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체결돌기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홈을 측면에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의 최소 및 최대 열림각을 조절하여 최소의 에너지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국가별로 노브의 최대 및 최소 열림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최적의 온도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냉장고 성능 시험 시 불필요한 냉기를 줄일 수 있어서 소비전력을 크게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릴팬에 냉기조절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냉기조절유닛이 탈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기조절노브와 지지부의 결합 전 모습을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지부 및 냉기조절노브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조절노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냉기조절노브가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로서, 냉기조절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8의 B방향으로 본 정면도로서, 냉기조절노브가 노브노출구를 통해 노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조절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조절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 및 고정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스톱퍼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b는 도 12a의 스톱퍼가 고정홀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은 도 12a 및 도 12b의 고정홀의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릴팬에 냉기조절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냉기조절유닛이 탈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기조절노브와 지지부의 결합 전 모습을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지부 및 냉기조절노브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조절노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냉기조절노브가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로서, 냉기조절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8의 B방향으로 본 정면도로서, 냉기조절노브가 노브노출구를 통해 노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조절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조절노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 및 고정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스톱퍼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b는 도 12a의 스톱퍼가 고정홀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은 도 12a 및 도 12b의 고정홀의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릴팬(110)에 냉기조절유닛(120)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냉기조절유닛(120)이 탈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개방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그릴팬(110)의 노브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을 냉장 및 냉동 보관하는 제품이다.
냉장고는 냉장고본체와 냉장고도어를 구비한다.
냉장고본체는 식품을 냉장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을 포함한다.
식품을 냉장 및 냉동 보관하기 위해, 냉장실 및 냉동실에 냉기가 공급된다.
냉기는 냉동사이클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는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고, 냉매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압축→응축→팽창→증발 과정을 반복해서 순환한다. 특히, 증발기는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에 따라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한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증발기는 냉동실에 구비되고,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송풍팬은 냉동실에 구비되고,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로 공급하도록 냉기에 동력을 제공한다.
증발기 및 송풍팬은 슈라우드(116)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슈라우드(116)는 증발기 및 송풍팬을 커버하고, 냉동실의 후방에 설치된다. 슈라우드(116)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흡입구를 통해 냉동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킨다.
그릴팬(110)은 슈라우드(116)에서 전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그릴팬(110)은 냉동실의 후방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의 일부는 냉동실로 공급되고, 냉기의 다른 일부는 냉장실로 공급된다. 냉기유로(114)는 냉기를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며, 그릴팬(110)과 슈라우드(116) 사이에 형성된다.
그릴팬(110)은 토출구(111) 및 흡입구(112)를 구비한다.
그릴팬(110)의 토출구(111) 및 흡입구(112)의 위치는 송풍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구(111)가 그릴팬(110)의 상부 양측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흡입구(112)는 그릴팬(110)의 중간 또는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슈라우드(116) 내부에서 송풍팬이 증발기 위쪽에 배치되는 경우 송풍팬은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의 일부를 슈라우드(116)에 형성된 토출구와 그릴팬(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토출구(111)를 통해 냉동실 내부로 공급된다.
흡입구(112)는 냉기유로(114)를 사이에 두고 슈라우드(116)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냉동실 내부의 공기를 슈라우드(116)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냉동실 내부의 공기는 그릴팬(110)의 흡입구(112)와 슈라우드(116)의 흡입구를 통해 슈라우드(116) 내부로 흡입되어,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다.
그릴팬(110)의 테두리부에는 쐐기 또는 후크 형상의 결합돌기(113)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냉동실 후방 내측벽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슈라우드(116)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냉기유로(114)를 따라 하강하여 냉장실로 공급될 수 있다.
냉기유로(114)를 따라 흐르는 냉기는 냉기조절유닛(120)에 의해 조절된다.
냉기조절유닛(120)은 고정체인 지지부(121)와 회전체인 냉기조절노브(125)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21)는 냉기조절노브(1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부(121)는 그릴팬(110)의 내측 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냉기유로(114)의 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냉기조절노브(125)는 지지부(121)에 수평하게 안착되어 지지되고, 지지부(121)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냉기조절노브(125)의 일부는 그릴팬(110)의 일부에 형성된 노브노출구(115)를 통해 냉동실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냉기조절노브(125)는 사용자 등에 의해 기설정된 각도범위로 회전조작되어, 냉기유로(114)를 통해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냉기조절노브(125) 및 지지부(121)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냉기조절노브(125)와 지지부(121)의 결합 전 모습을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지부(121) 및 냉기조절노브(125)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그릴팬(110)은 도 2 및 도 3과 달리 수평하게 배치되고, 지지부(121)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실제 냉동실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면 도 2 및 도 3 처럼 그릴팬(110)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냉기조절노브(125)는 수평하게 장착된다.
그릴팬(110)에 지지되는 지지부(121)는 상부지지부(122)와 하부지지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부(122)와 하부지지부(123)는 그릴팬(110)의 내측 일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지지부(122)와 하부지지부(123)는 각각 그릴팬(110)에 형성되는 노브노출구(115)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의해, 냉기조절노브(125)가 상부지지부(122)와 하부지지부(123) 사이에 삽입되고, 냉기조절노브(125)의 일부가 노브노출구(115)를 통해 그릴팬(110)의 외부로, 즉 냉동실 내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하부지지부(123)는 그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전체 넓이가 냉기조절노브(125)의 전체면적보다 넓고, 하부지지부(123)의 테두리부 안쪽으로 냉기조절노브(125)가 안착된다.
도 4에 도시된 하부지지부(123)는 노브노출구(115)에서 이격되도록 부채꼴 형상의 냉기통과공(123a)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냉기통과공(123a)의 경계를 한정함에 있어서, 부채꼴의 원호 부분을 제외한 좌우측 단부를 시계바늘로 표시하면 도 4를 기준하여 3시 50~55분(짧은 바늘과 긴 바늘 사잇각 중 작은 각도)정도로 볼 수 있다. 냉기통과공(123a)은 180도보다 약간 작은 개방각도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냉기통과공(123a)의 형상 및 경계의 한정은 하나의 예시일 뿐, 설계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냉기통과공(123a)은 그릴팬(110)과 슈라우드(116) 사이의 냉기유로(114)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통과하는 곳이다. 냉기가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공급되기 위해 통과하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또한, 하부지지부(123)의 중심부에는 중심홀(123b)이 형성되고, 중심홀(123b)에 냉기조절노브(125)의 하부중심축(127b)(127)이 수용됨에 따라 냉기조절노브(12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부지지부(122)는 일단부가 그릴팬(110)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중심홀(123b)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힌지홀(122a)을 구비한다. 또한, 힌지홀(122a)이 구비되는 상부지지부(122)의 타단부는 자유단이므로 탄력적으로 상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상부지지부(122)의 타단부는 일측에 절개 형성되는 삽입홀(122b)을 구비하여, 냉기조절노브(125)의 중심축(127)을 상부지지부(122)와 하부지지부(123) 사이에 용이하게 힌지 결합할 수 있다.
하부지지부(123)는 냉기조절노브(12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냉기조절노브(125)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부지지부(122)는 냉기조절노브(125)의 상부중심축(127a)(127)을 지지하기만 하면 되므로, 하부지지부(123)에 비해 크기가 작다. 또한, 상부지지부(122)는 냉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릴팬(110)과의 연결을 위한 최소한의 길이 및 크기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지지부(122)는 측면 모서리에 보강리브(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부지지부(122)의 지지력을 확보하고, 그릴팬(110)과의 접촉되는 일단부의 면적이 매우 작아서 냉기조절노브(125)의 조립 시 상부지지부(122)의 단부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부러지기 쉬우므로, 상부지지부(122)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립시 상부지지부(122)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상부지지부(122)의 일단부가 가장 크므로, 보강리브(124)의 두께는 일정하면서 보강리브(124)의 일단부 높이가 가장 높고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점점 낮아져서 보강리브(124)의 타단부의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조절노브(125)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냉기조절노브(125)가 상부지지부(122)와 하부지지부(123)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로서, 냉기조절노브(125)의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8의 B방향으로 본 정면도로서, 냉기조절노브(125)가 노브노출구(115)를 통해 노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냉기조절노브(125)는 대략 두께(높이)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기조절노브(125)는 일측에 냉기를 통과시키는 냉기통과홀(125a)을 구비하고, 타측에 냉기를 차단하는 차단부(126)를 구비한다. 냉기조절노브(125)의 회전 조작을 통해 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냉기통과홀(125a)은 원주방향의 테두리부분이 막혀 있고, 180~200도 범위의 개방각도를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채꼴의 좌우 측면의 경계를 시계바늘로 표시하면 후술할 냉기조절노브(125)의 1단 셋팅 시를 기준으로 3시 40~45분(짧은 바늘과 긴 바늘 사잇각 중 큰 각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냉기조절노브(125)의 냉기통과홀(125a)과 하부지지부(123)의 냉기통과공(123a)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중첩되는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개방면적에 따라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방면적이 크면 클수록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증가하고, 상기 개방면적이 작으면 작을수록 상기 냉기량이 감소한다.
냉장고에서 약냉 및 강냉은 냉동실을 기준으로 판단되므로,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클수록 약냉이 되고 작을수록 강냉이 될 수 있다. 또한, 냉기조절노브(125)는 복수의 단(STEP)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단 또는 5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냉기조절노브(125)가 회전조작에 의해 1단에서 단수가 증가할 수록 약냉에서 강냉으로 되므로, 냉장고의 온도는 냉기조절노브(125)의 단수 증가로 낮아진다.
냉기조절노브(125)의 냉기통과홀(125a)과 차단부(126) 사이를 가로지르는 경계선의 중심부에 중심축(127)이 구비된다. 중심축(127)은 냉기조절노브(125)의 중심부 상하부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중심축(127a)(127)과 하부중심축(127b)(12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실 및 냉동실의 보관온도는 계절 및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냉동실 표준온도는 -20℃이고, 강은 -22℃이고, 약은 대략 -18℃이다. 냉장실 표준온도는 3℃이고, 강은 1℃이고, 약은 5℃이다.
냉장실은 한 여름에도 최소한의 냉기량을 확보해야 표준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냉장실로 공급되는 최소한의 냉기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냉기조절노브(125)는 차단부(126)에 보조냉기통과홀(128)을 더 구비한다.
보조냉기통과홀(128)은 차단부(126)에 일정한 면적으로 관통형성된다. 예를 들면, 보조냉기통과홀(128)은 10~20도 각도 범위의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냉기통과홀(128)은 냉기조절노브(125)의 중심축(127)에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냉기통과홀(128)은 일정한 반경의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냉기통과홀(125a)의 좌우측 경계면을 시계바늘로 표시하면 대략 3시 40분(짧은 바늘과 긴 바늘 사잇각 중 큰 각도) 정도라고 볼 수 있고, 보조냉기통과홀(128)의 좌우 측면 경계면을 시계바늘로 표시하면 6시 30분(짧은 바늘과 긴 바늘 사잇각 중 작은 각도)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기조절노브(125)는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최대개방각 및 최소개방각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홀(129) 및 스톱퍼(130)를 더 포함한다.
냉기공급량은 하부지지부(123)의 냉기통과공(123a)과 냉기조절노브(125)의 냉기통과홀(125a)이 서로 중첩되는 개방면적에 따라 증감된다. 상기 중첩되는 개방면적이 클수록 냉기유로(114)의 개방면적이 커지고, 작을수록 냉기유로(114)의 개방면적이 작아진다.
최대개방각은 냉기조절노브(125)에 의해 냉기가 통과하는 개방면적이 가장 크게 설정되는 개방각도를 의미한다.
최소개방각은 냉기조절노브(125)에 의해 냉기가 통과하는 개방면적이 가장 작게 설정되는 개방각도를 의미한다.
고정홀(129)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고정홀(129)은 보조냉기통과홀(128)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홀(129a)과 제2고정홀(129b)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제1고정홀(129a)은 차단부(126)의 오른쪽에 형성되고, 제2고정홀(129b)은 왼쪽에 형성된다.
고정홀(129)은 스톱퍼(13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홀이며, 설계사양에 따라 2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의 배면에 보스부(137)가 고정홀(129)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스톱퍼(130)와 보스부(137)의 체결로 스톱퍼(130)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스톱퍼(130)는 나사(131)(screw)로 구현될 수 있다. 나사(131)는 상면에 십자홈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기를 구비하는 스템부(STEM PART)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톱퍼(130)는 복수의 고정홀(129)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제1고정홀(129a) 또는 제2고정홀(129b)에 체결될 수 있다. 스톱퍼(130)는 냉기조절노브(125)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부지지부(122)의 일측면에 걸려 냉기조절노브(125)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보스부(137)의 내주면은 암나사홈이 없는 민무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사(131)가 고정홀(129)을 통해 보스부(137)에 체결되면, 스템부의 나선형 돌기가 보스부(137)의 내주면 안쪽으로 파고 들어 보스부(137)와 스톱퍼(130)의 체결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의 배면(저면) 일측에 제1걸림돌기(132a)가 형성되고, 하부지지부(123)의 차단부(126) 일측면에, 즉 하부지지부(123)의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면에 걸림홈이 형성된다. 냉기조절노브(125)가 회전됨과 동시에 제1걸림돌기(132a)가 회전되어 걸림홈에 걸린다. 이에 의해, 후술할 도 11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의 1단 상태에서 최대개방각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의 전방면(상면)에, 즉 냉기통과홀(125a) 측 테두리부에 제2걸림돌기(133)가 형성된다. 냉기조절노브(125)가 회전됨과 동시에 제2걸림돌기(133)가 회전되어 노브노출구(115)의 일측에 걸린다. 이에 의해, 후술할 도 10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의 5단상태에서 최소개방각을 제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는 일부가 노브노출구(115)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 등이 노출된 냉기조절노브(125)를 돌려 냉장실로 공급하는 냉기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그릴팬(110)의 노브노출구(115) 상부에는 역삼각형 모양의 인디케이터(1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냉기조절노브(125)의 측면에 숫자가 인쇄된 스티커(135)가 부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34)에 의해 지시된 숫자가 현재 설정되는 냉기조절노브(125)의 단수(STEP NUMBER)를 의미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등이 냉기조절노브(125)에 의해 설정되는 냉장실로의 냉기공급량을 짐작할 수 있다. 냉기노절레버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두께(높이)방향으로 복수의 미끄럼방지홈(136)이 형성되어, 사용자 등이 손가락 끝으로 냉기조절노브(125)의 노출부분을 누르면서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톱퍼(130)가 체결되는 고정홀(129)의 위치에 따라 냉기조절노브(125)의 최대개방각 또는 최소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다.
냉장고 성능시험에 있어서, 국가별로 요구되는 냉장고의 온도영역대를 구현하기 위해 조절되는 냉기조절노브(125)의 단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북미향(북아메리카,North America)로 수출되는 제품)의 경우 1단~3단으로 조절될 수 있고, 나머지 국가에서는 1단~5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조절노브(125)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는 1단 내지 5단(STEP)으로 조절될 수 있다. 1단은 냉기조절노브(125)에 의해 조절되는 냉기유로(114)의 개방면적이 가장 큰 경우이다. 즉,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이 중첩되는 개방면적이 가장 크다. 이에 의해,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공급량이 가장 많으며, 냉동실을 기준으로 약냉이다. 이때, 스톱퍼(130)는 제1고정홀(129a)에 고정된 상태이며, 스톱퍼(130)에 의해 최대개방각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이 서로 중첩되는 최대개방각은 120도 정도될 수 있다.
2단은 냉기조절노브(125)가 초기 위치(1단)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대략 30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각이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공통 개방각도는 약 90도이다.
3단은 냉기조절노브(125)가 초기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대략 70도 만큼 회전되어, 즉 70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각이 더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공통 개방각도는 약 50도이다.
4단은 냉기조절노브(125)의 초기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대략 90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각이 더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냉기통과홀(128)의 적어도 일부가 냉기통과공(123a)의 개방면적 내부로 들어오게 되므로,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공통 개방각도에 보조냉기통과홀(128)의 개방각도가 추가로 더 포함된다. 예를 들면, 냉기통과홀(125a)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각도는 30도 정도이고, 보조냉기통과홀(128)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각도는 대략 10도 정도이다. 이때, 보조냉기통과홀(128)의 일부, 예를 들어 전체 면적의 60% 부분이 냉기통과공(123a)의 일부와 중첩된다.
5단은 냉기조절노브(125)의 초기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대략 110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각이 더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공통 개방각도에 보조냉기통과홀(128)의 개방각도가 추가로 더 포함된다. 예를 들면, 냉기통과홀(125a)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각도는 약 10도이고, 보조냉기통과홀(128)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각도는 대략 30도 이다. 이때, 보조냉기통과홀(128)의 전부가 냉기통과공(123a)의 일부와 중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조절노브(125)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는 1단 내지 3단(STEP)으로 조절될 수 있다. 1단은 냉기조절노브(125)에 의해 조절되는 냉기유로(114)의 개방면적이 가장 큰 경우이다. 즉,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이 중첩되는 개방면적이 가장 크다. 이에 의해,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공급량이 가장 많으며, 냉동실을 기준으로 약냉이다. 이때, 스톱퍼(130)는 제2고정홀(129b)에 고정된 상태이며, 스톱퍼(130)에 의해 최대개방각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이 서로 중첩되는 최대개방각은 150도 정도될 수 있다.
2단은 냉기조절노브(125)가 초기 위치(1단)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대략 30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각이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공통 개방각도는 약 120도이다.
3단은 냉기조절노브(125)가 초기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대략 70도 만큼 회전되어, 즉 60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각이 더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냉기통과공(123a) 및 냉기통과홀(125a)의 공통 개방각도는 약 90도이다.
냉장고의 성능을 시험하는 경우에 냉기조절노브(125)의 단수를 중간단,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의 경우 3단, 도 11에 도시된 냉기조절노브(125)의 경우 2단으로 맞춰놓고 냉동사이클을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냉동사이클 장치의 압축기를 구동시킴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냉기를 생성한다.
종래의 그릴팬(110)에 개방각도가 5단으로 조절되는 냉기조절노브(125)를 적용한 냉장고의 성능을 시험하는 경우에는 노브의 최대개방각(1단), 중간개방각(3단) 및 최소개방각(5단)은 정해져 있으므로, 북미향 등 일부 국가에서 요구하는 온도영역대, 예를 들면 중간단에서 시험 시 영하 20℃를 구현하기가 어려웠다. 이로 인해, 요구되는 온도영역대로 올리기 위해 5단으로 올린 후 다시 처음부터 시험을 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냉기 및 압축기의 소비전력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톱퍼(130)가 고정되는 고정홀(129)의 위치를 변경하여, 냉기조절노브(125)의 최대개방각 및 최소개방각을 다양하게 조절함에 따라, 국가별로 요구하는 온도영역대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북미향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의 냉장고 성능시험에서는 도 10의 실시예로 성능시험을 수행하고, 북미향으로 수출되는 국가에서의 냉장고 성능시험에서는 도 11의 실시예로 성능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230) 및 고정홀(229)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스톱퍼(230)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b는 도 12a의 스톱퍼(230)가 고정홀(229)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도 13은 도 12a 및 도 12b의 고정홀(229)의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스톱퍼(230)는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측방향 이동가능한 체결돌기(232)를 구비하는 정지핀(2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지핀(231)은 헤드부(231a)와 스템부(231b)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템부(231b)의 측면에 체결돌기(232)가 구비된다. 체결돌기(232)는 스템부(231b)의 측면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체결돌기(232)의 위치가 탄성적으로 변하여, 외측으로 벌려지거나 내측으로 좁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톱퍼(230)의 양쪽 측방향에서 체결돌기(232)를 가압하는 경우에 도 12b에 도시된 체결돌기(232)는 스톱퍼(230)의 측면을 향해 좁혀지고, 체결돌기(232)의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도 12a에 도시된 체결돌기(232)는 스톱퍼(230)의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벌려질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232)의 상단부에 걸림부(232a)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홀(229)에 걸림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고정홀(229)은 양쪽 측면에 체결홈(229a)을 더 구비한다. 체결홈(229a)은 고정홀(229)의 내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오목하게 형성되어, 스톱퍼(230)가 고정홀(229)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스톱퍼(230)의 좌우 회전 및 상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톱퍼(230)가 고정홀(229)로 삽입될 때 도 12a와 같이 벌려진 상태의 체결돌기(232)가 고정홀(229)에 진입하면 직경 차이로 인해 체결돌기(232)가 스톱퍼(230)의 스템부(231b)에 밀착될 정도로 좁혀진다.
그 다음, 체결돌기(232)가 고정홀(229)의 체결홈(229a)으로 이동하면 체결돌기(232)의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체결돌기(232)가 체결홈(229a)의 확장 길이 만큼 벌려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톱퍼(230)는 고정홀(229)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또한, 체결돌기(232)의 걸림부(232a)가 체결홈(229a)의 상단부에 걸림에 따라 체결돌기(232)가 체결홈(229a)에서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스톱퍼(230)의 상하 움직임에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국가별로 냉기조절노브(125)의 개방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냉기조절노브(125)의 최소, 중간 및 최대 단수(예, 1~5단 또는 1~3단)에서 최적의 온도 구현을 할 수 있고, 불필요한 냉기를 줄이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타 국가와 달리 냉장고 성능시험에서 요구하는 온도영역대가 다른 대표적인 국가로 북미향을 예로 들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기조절노브(125)의 최대 및 최소 개방각을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냉기조절장치는 냉동실이 상부에 마련되고 냉장실이 하부에 마련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는 물론이고,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냉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 그릴팬
111 : 토출구
112 : 흡입구
113 : 결합돌기
114 : 냉기유로
115 : 노브노출구
116 : 슈라우드
120 : 냉기조절유닛
121 : 지지부
122 : 상부지지부
122a : 힌지홀
122b : 삽입홀
123 : 하부지지부
123a : 냉기통과공
123b : 중심홀
124 : 보강리브
125 : 냉기조절노브
125a : 냉기통과홀
126 : 차단부
127 : 중심축
127a : 상부중심축
127b : 하부중심축
128 : 보조냉기통과홀
129 : 고정홀
129a : 제1고정홀
129b : 제2고정홀
130 : 스톱퍼
131 : 나사
132a : 제1걸림돌기
132b : 걸림홀
133 : 제2걸림돌기
134 : 인디케이터
135 : 스티커
136 : 미끄럼방지홈
137 : 보스부
229 : 고정홀
229a : 체결홈
230 : 스톱퍼
231 : 정지핀
231a : 헤드부
231b : 스템부
232 : 체결돌기
232a : 걸림부
111 : 토출구
112 : 흡입구
113 : 결합돌기
114 : 냉기유로
115 : 노브노출구
116 : 슈라우드
120 : 냉기조절유닛
121 : 지지부
122 : 상부지지부
122a : 힌지홀
122b : 삽입홀
123 : 하부지지부
123a : 냉기통과공
123b : 중심홀
124 : 보강리브
125 : 냉기조절노브
125a : 냉기통과홀
126 : 차단부
127 : 중심축
127a : 상부중심축
127b : 하부중심축
128 : 보조냉기통과홀
129 : 고정홀
129a : 제1고정홀
129b : 제2고정홀
130 : 스톱퍼
131 : 나사
132a : 제1걸림돌기
132b : 걸림홀
133 : 제2걸림돌기
134 : 인디케이터
135 : 스티커
136 : 미끄럼방지홈
137 : 보스부
229 : 고정홀
229a : 체결홈
230 : 스톱퍼
231 : 정지핀
231a : 헤드부
231b : 스템부
232 : 체결돌기
232a : 걸림부
Claims (11)
- 냉동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팬;
상기 그릴팬의 내부에 상기 냉기유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냉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를 통과시키는 하부지지부;
상기 그릴팬의 내부에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그릴팬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냉기통과공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기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냉기통과홀과, 타측에 구비되어 냉기를 차단하는 차단부과, 상기 차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로 공급되는 최소의 냉기량을 확보하기 위한 보조냉기통과홀을 구비하고, 상기 냉기통과공 및 냉기통과홀의 개방면적에 따라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공급량을 조절하는 냉기조절노브;
상기 보조냉기통과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차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 및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냉기조절노브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상부지지부에 걸림에 따라 냉기조절노브를 정지시키는 스톱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나사이며, 상기 스톱퍼가 복수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가 고정되는 고정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최대 개방각도 또는 최소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냉장고.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홀은 상기 보조냉기통과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홀 및 제2고정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최대 개방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2고정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최소개방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조절노브는,
상기 고정홀의 후면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와의 체결면적을 확대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냉기조절노브의 중심축을 수용하는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에서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을 외부에서 상기 힌지홀로 삽입시키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는 양쪽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조절노브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제1고정홀에 체결할 때, 5단으로 냉기공급량을 조절되고,
상기 스톱퍼를 상기 제2고정홀에 체결할 때, 3단으로 냉기공급량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537A KR101736867B1 (ko) | 2015-07-10 | 2015-07-10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537A KR101736867B1 (ko) | 2015-07-10 | 2015-07-10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6995A KR20170006995A (ko) | 2017-01-18 |
KR101736867B1 true KR101736867B1 (ko) | 2017-05-17 |
Family
ID=5799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8537A KR101736867B1 (ko) | 2015-07-10 | 2015-07-10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68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2536A1 (en) * | 2020-10-27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7186A (ko) * | 2020-11-17 | 2022-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20082388A (ko) | 2020-12-10 | 2022-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20100170A (ko) | 2021-01-08 | 2022-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20102770A (ko) | 2021-01-14 | 2022-07-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CN219199667U (zh) * | 2022-11-25 | 2023-06-16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用于冰箱的风道组件和冰箱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1919Y1 (ko) | 1997-11-06 | 1999-12-01 | 구자홍 | 냉장실 냉기공급량 조절장치 |
-
2015
- 2015-07-10 KR KR1020150098537A patent/KR10173686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2536A1 (en) * | 2020-10-27 | 2022-05-05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6995A (ko) | 2017-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6867B1 (ko) | 냉장고 | |
US11739976B2 (en) | Air conditioner | |
KR20160027877A (ko) | 냉장고 | |
US20080000242A1 (en) | Refrigerato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 |
KR20170065948A (ko) | 냉장고 | |
US20210239382A1 (en) | Refrigerator | |
US20180231022A1 (en) | Air conditioner | |
KR100674037B1 (ko) | 냉장고의 냉기공급조절장치 | |
KR20160100548A (ko) | 냉장고 | |
KR101659913B1 (ko) | 냉장고의 제빙덕트 및 상기 제빙덕트를 이용한 제빙방법 | |
JP6714382B2 (ja) | 冷蔵庫 | |
KR100484660B1 (ko) | 용량 가변형 냉장고 | |
JP2012082985A (ja) | 冷蔵庫 | |
KR20070107953A (ko) | 냉장고 | |
KR20170116489A (ko) | 냉장고 | |
KR20160148856A (ko) | 냉장고 및 그 제빙방법 | |
KR20040049610A (ko) | 냉장고의 냉기공급 조절장치 | |
JP2019032158A (ja) | 冷蔵庫 | |
WO2024029225A1 (ja) | 冷蔵庫 | |
KR100498384B1 (ko) | 냉장고의 냉기공급 조절장치 | |
JP2008095986A (ja) | 冷蔵庫 | |
KR101959556B1 (ko) | 냉장고 | |
KR100573816B1 (ko) | 김치 냉장고용 댐퍼 및 댐퍼 제어방법 | |
WO2020119550A1 (zh) | 冰箱 | |
KR20070067581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