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584B1 - 여행자용 듀얼 카드 - Google Patents

여행자용 듀얼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584B1
KR101736584B1 KR1020150106477A KR20150106477A KR101736584B1 KR 101736584 B1 KR101736584 B1 KR 101736584B1 KR 1020150106477 A KR1020150106477 A KR 1020150106477A KR 20150106477 A KR20150106477 A KR 20150106477A KR 101736584 B1 KR101736584 B1 KR 101736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ervice
section
card section
s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605A (ko
Inventor
강창근
조장희
이종혁
오세준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584B1/ko
Priority to PCT/KR2016/007603 priority patent/WO2017018697A1/ko
Publication of KR2017001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여행자용 듀얼 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는, 제1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카드가 마련된 제1 카드 섹션 및 제2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카드가 마련된 제2 카드 섹션를 포함하고, 제1 카드 섹션과 제2 카드 섹션은 분리 가능하다. 이에 의해,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다양한 카드들을 한 번에 획득하고, 분리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적은 노력, 시간 및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카드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여행자용 듀얼 카드{Dual Card for Tourist}
본 발명은 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SIM/U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Universal SIM) 카드, 교통요금 결제에 필요한 교통 카드 등에 관한 것이다.
여행자가 타국을 여행할 때 반드시 이용하여야 하는 것들로, 이동통신수단과 교통수단을 들 수 있다. 로밍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여행객용으로 제공되는 SIM/USIM 카드가 필요하다. 또한, 현금이나 티켓 구매 없이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교통요금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교통 카드가 필요하다.
이에, 여행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SIM/USIM 카드를 구매하고, 교통요금 결제를 위한 교통 카드를 구매하여야 한다. 이 카드들에 대한 구매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카드 구매를 위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이 배로 소요되는데, 여행자들은 현지 언어, 지리, 관습 등을 잘 모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과 어려움은 더욱 심화된다.
이에, 여행객들이 여행에 필요한 카드들을 적은 노력, 시간 및 비용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다양한 카드들을 한 번에 획득하고, 분리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듀얼 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는, 제1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카드가 마련된 제1 카드 섹션; 및 제2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카드가 마련된 제2 카드 섹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드 섹션과 상기 제2 카드 섹션은,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드 섹션에는, 상기 제1 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카드는, 상기 제1 카드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드는, 상기 제1 카드 섹션으로부터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카드 섹션에는, 휴대 보조 수단을 연결할 수 있는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드 섹션과 상기 제2 카드 섹션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도, 상기 제2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의 외형은, 스마트카드 표준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제1 카드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생성된 공간에 상기 휴대 보조 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카드 섹션에는, 상기 제2 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카드는, 상기 제2 카드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드 섹션에는 제3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이고, 상기 제2 서비스는, 교통요금 결제이며, 상기 제3 서비스는, 멤버쉽 서비스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다양한 카드들을 한 번에 획득하고, 분리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적은 노력, 시간 및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카드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러 가지 형태로 카드 이용이 가능하여, 여행객 개인의 편의/취향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드 제작에 들어가는 전체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카드 판매 가격을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 및 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 및 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 및 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는, 외형상으로는 스마트카드 표준 규격인 ISO 7816 에 따라 제작되고, 기능상으로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SIM/U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Universal SIM) 카드와 교통요금 결제에 필요한 교통 카드를 포함하고 있는 혼합 카드이다.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는, SIM/USIM 카드 섹션(110)과 교통 카드 섹션(120)을 포함하며, 카드 섹션들(110, 120)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130)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절취선(130)은 절취홈으로 대체 가능하다.
SIM/USIM 카드 섹션(110)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SIM/USIM 카드(111,112)가 형성되어 있다. SIM/USIM 카드(111,112)는 두 가지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일반 SIM/USIM 카드(111)이고, 다른 하나는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이다.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에서, 일반 SIM/USIM 카드(111)는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이다.
여행객(사용자)은 절취선(130)을 이용하여 SIM/USIM 카드 섹션(110)과 교통 카드 섹션(1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여행객은 필요에 따라, SIM/USIM 카드 섹션(110)으로부터, 일반 SIM/USIM 카드(111)를 분리해낼 수도 있고,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를 분리해낼 수도 있다.
이에, 도 1의 우측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SIM/USIM 카드(111)가 필요한 여행객은, 절취선(130)을 이용하여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를 SIM/USIM 카드 섹션(110)과 교통 카드 섹션(120)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SIM/USIM 카드 섹션(110)으로부터 일반 SIM/USIM 카드(111)를 분리하여야 한다.
한편, 도 1의 우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가 필요한 여행객은, 절취선(130)을 이용하여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를 SIM/USIM 카드 섹션(110)과 교통 카드 섹션(120)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SIM/USIM 카드 섹션(110)으로부터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를 분리하여야 한다.
분리된 일반 SIM/USIM 카드(111) 또는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는 여행객의 모바일 단말(미도시)에 장착되어 이동통신 서비스에 이용된다.
교통 카드 섹션(120)에는 교통요금 결제를 위해 필요한 교통 카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교통 카드 섹션(120)은 여행객에 의해 휴대되어 교통요금 결제에 이용된다.
여행객의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교통 카드 섹션(120)에는 휴대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 이를 테면, 줄, 고리, 목걸이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천공(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천공(125)은 교통 카드의 안테나 영역을 벗어난 범위 내에서 어디에도 위치 가능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는, 도 1에 도시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 2에서는 SIM/USIM 카드 섹션(110)과 교통 카드 섹션(12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SIM/USIM 카드 섹션(110)으로부터 일반 SIM/USIM 카드(111)나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 만을 분리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사용예와 차이가 있다.
SIM/USIM 카드(111,112) 만이 분리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는 여행객의 지갑에 넣어진 채로 휴대 되거나, SIM/USIM 카드(111,112)가 분리되어 생성된 공간에 휴대 보조 수단을 연결하여 휴대 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200)는, 카드 전면을 기준으로, 교통 카드 섹션(210)이 좌측에 위치하고, SIM/USIM 카드 섹션(220)이 우측에 위치한다.
교통 카드 섹션(210)과 SIM/USIM 카드 섹션(220)의 위치가 다르다는 점 외에,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는 교통 카드 섹션(120)의 표면에 바코드(121)가 인쇄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와 차이가 있다.
바코드(121)에는 멤버쉽 서비스(이를 테면, 면세점 적립과 할인 서비스)에 필요한 멤버쉽 번호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교통 카드 섹션(120)의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122)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 및 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는 교통 카드 섹션(120)에서 교통 카드(120-1)를 분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즉, 교통 카드(120-1)가 교통 카드 섹션(120)의 전반에 걸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여행객은 SIM/USIM 카드 섹션(110)에서 SIM/USIM 카드(111,112)를 분리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에 이용하는 한편, 교통요금 결제와 관련하여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를 도 6의 우측에 제시된 3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SIM/USIM 카드(111,112) 만이 분리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를 교통요금 결제에 이용, 2)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에서 교통 카드 섹션(120)을 분리하여 교통요금 결제에 이용, 또는 3)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에서 교통 카드 섹션(120)을 분리한 후 교통 카드 섹션(120)에서 교통 카드(120-1) 만을 분리하여 교통요금 결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지금까지, 여행자용 듀얼 카드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서비스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이다. 즉, 언급된 서비스들 외에 다른 서비스들을 위한 카드들이 통합된 카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는, 교통 카드 섹션(120)에 인쇄된 바코드(121)와 QR코드(12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바코드(121)와 QR 코드(122)는 멤버쉽 서비스가 아닌 다른 서비스, 예를 들면, 출입 인증에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SIM/USIM 카드 섹션(110)에는 일반 SIM/USIM 카드(111)과 마이크로 SIM/USIM 카드(112) 외에, 나노 SIM/USIM 카드가 더 형성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SIM/USIM 카드 섹션(110)에, 일반 SIM/USIM 카드와 나노 SIM/USIM 카드가 함께 형성되거나, 마이크로 SIM/USIM 카드와 나노 SIM/USIM 카드가 함께 형성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SIM/USIM 카드 섹션(110)에 1개의 SIM/USIM 카드만이 단독으로 형성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듀얼 카드(100)는 여행자들을 위해 제작/제공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여행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를 위해서도 듀얼 카드(100)를 제작/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듀얼"이 아닌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3개 이상의 카드들이 통합된 통합 카드를 구현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구체적인 예로, 도 6에 도시된 여행자용 듀얼 카드(100)에 형성된 교통 카드 섹션(120)의 하부(120-2)에 이동통신 서비스나 교통요금 결제 이외의 다른 서비스를 위한 카드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200 : 여행자용 듀얼 카드
110, 220 : SIM/USIM 카드 섹션
111, 221 : 일반 SIM/USIM 카드
112, 222 : 마이크로 SIM/USIM 카드
120 : 교통 카드 섹션
121 : 바코드 122 : QR코드
125, 215 : 천공 130 : 절취선

Claims (10)

  1. 제1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카드가 마련된 제1 카드 섹션; 및
    제2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카드가 마련된 제2 카드 섹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드 섹션과 상기 제2 카드 섹션은, 하나의 절취선을 따라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2 카드 섹션의 표면에는, 제3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가 인쇄되어 있어, 상기 제2 카드 섹션으로 상기 제2 서비스와 상기 제3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카드 섹션에 마련된 상기 제2 카드는,
    상기 제2 카드 섹션으로부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어, 상기 제2 서비스에 이용 가능하고,
    상기 제2 카드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서도, 상기 제2 서비스에 이용 가능하며,
    상기 제1 카드 섹션과 상기 제2 카드 섹션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도, 상기 제2 서비스에 이용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카드 섹션에서 상기 제2 카드가 분리된 나머지 부분에는 제4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3 카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카드가 상기 제1 카드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생성된 공간에 휴대 보조 수단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이고, 상기 제2 서비스는 교통요금 결제 서비스이며, 상기 제3 서비스는 멤버쉽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섹션에는, 상기 제1 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카드는, 상기 제1 카드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는,
    상기 제1 카드 섹션으로부터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드 섹션에는,
    휴대 보조 수단을 연결할 수 있는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외형은,
    스마트카드 표준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06477A 2015-07-28 2015-07-28 여행자용 듀얼 카드 KR101736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77A KR101736584B1 (ko) 2015-07-28 2015-07-28 여행자용 듀얼 카드
PCT/KR2016/007603 WO2017018697A1 (ko) 2015-07-28 2016-07-13 여행자용 듀얼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77A KR101736584B1 (ko) 2015-07-28 2015-07-28 여행자용 듀얼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05A KR20170013605A (ko) 2017-02-07
KR101736584B1 true KR101736584B1 (ko) 2017-05-16

Family

ID=5788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477A KR101736584B1 (ko) 2015-07-28 2015-07-28 여행자용 듀얼 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6584B1 (ko)
WO (1) WO201701869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73Y1 (ko) 2001-11-07 2002-01-23 김정철 다중분할 이용이 가능한 마일리지 카드
JP2002096584A (ja) 2000-09-21 2002-04-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顧客カード
KR101344818B1 (ko) * 2012-08-14 2013-12-26 유비벨록스(주) Nfc 태그를 실장하는 유심실장 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912B1 (ko) * 2004-01-19 2006-09-01 (주)이.씨테크날리지 절단 가능한 분리형 미니 카드를 갖는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0373870Y1 (ko) * 2004-07-23 2005-01-21 주식회사 와이비엘 키 홀더용 구멍을 가지는 카드
JP2006262113A (ja) * 2005-03-17 2006-09-28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機能設定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機能設定方法
KR200446006Y1 (ko) * 2008-11-03 2009-09-16 윤여신 카드 분리형 장신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584A (ja) 2000-09-21 2002-04-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顧客カード
KR200261473Y1 (ko) 2001-11-07 2002-01-23 김정철 다중분할 이용이 가능한 마일리지 카드
KR101344818B1 (ko) * 2012-08-14 2013-12-26 유비벨록스(주) Nfc 태그를 실장하는 유심실장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05A (ko) 2017-02-07
WO2017018697A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28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추천 결제 방법, 모바일 추천 결제 시스템
US20100161434A1 (en) Retail checkout system and method
CN103886455A (zh) 数字钱包设备以及包括虚拟卡和数字钱包设备的系统
JP2002279320A (ja) 携帯電話クレジット決済方法および装置
KR101954642B1 (ko)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966A (ko) 매장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매장
US201401563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upons over a payment processing network
CN105761076A (zh) 一种基于无线标识的支付系统及无线标识设备
KR101247965B1 (ko)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736584B1 (ko) 여행자용 듀얼 카드
US7651025B2 (en) Guest-service-type convenience system for implementation at ticketing activity, touring activity and retail transaction
CN103533178A (zh) Nfc手机系统
KR102224803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978658A (zh) 一种基于地理位置的公交服务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376460A (zh) 一种支付系统和相应pos机
CN104376459A (zh) 一种双卡双待无线pos机和相应支付系统
Gautam et al. Existing scenario of near field communication in transport sector
CN107993105A (zh) 发票处理方法和装置、发票生成和打印装置、可穿戴设备
Schmöcker et al. An overview 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smart card data analysis
US89052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value to a stored value account
KR20120051950A (ko)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모바일 쿠폰의 처리 방법
KR20170094637A (ko) 이동식 usim부 삽입홈이 형성된 무선 카드단말기 겸용 보조통화장치
CN202632289U (zh) 具有网络转账与收支功能的电子计算器
KR20120000115A (ko) 카메라 센서로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형식을 갖춘 에스에스 코드 및 관련 서비스
KR20140042286A (ko)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