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380B1 - 항공기용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용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380B1
KR101736380B1 KR1020170017546A KR20170017546A KR101736380B1 KR 101736380 B1 KR101736380 B1 KR 101736380B1 KR 1020170017546 A KR1020170017546 A KR 1020170017546A KR 20170017546 A KR20170017546 A KR 20170017546A KR 101736380 B1 KR101736380 B1 KR 10173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housing
groove
fix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중
이창근
김경록
서재형
Original Assignee
이앤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앤이(주) filed Critical 이앤이(주)
Priority to KR102017001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가 착륙시 플래폼의 고정쇠살대에 항공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계류장치는 하우징과, 회전축과, 모터와, 피스톤수단과, 스토퍼와,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수단은 제1피스톤로드와, 제2피스톤로드와,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제2피스톤로드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이 고정판의 홀에 삽입될 수 있게 이동되도록 상기 제2피스톤로드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제1피스톤로드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이 상기 고정판의 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쇠와,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쇠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상기 제2피스톤로드에 대하여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고정판의 홀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돌출될 수 있게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쇠의 이동을 복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판의 홀에 고정쇠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항공기용 계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를 함정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이착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기용 계류장치{Mooring apparatus for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가 착륙시 플래폼의 고정쇠살대에 항공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대한 것이다.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를 탑재하여 발착시킬 수 있게 수상 이동항공기지 역할을 하는 함정의 경우,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를 안전하게 착함시킬 수 있는 착함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착함을 시도하려는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에서 와이어가 달린 갈고리를 함정의 갑판상에 설치된 그물망 모양의 바닥 구조물에 쏘아 걸리게 한 다음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식으로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를 착함시켰다. 그러나 해상의 기상상태가 나빠지게 되면 될수록 위험도가 높아지고, 이륙시 이함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607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함정에서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의 이착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항공기용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계류장치는 하우징과, 회전축과, 모터와, 피스톤수단과, 스토퍼와,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수단은 제1피스톤로드와, 제2피스톤로드와,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제2피스톤로드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이 고정판의 홀에 삽입될 수 있게 이동되도록 상기 제2피스톤로드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제1피스톤로드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이 상기 고정판의 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쇠와,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쇠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상기 제2피스톤로드에 대하여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고정판의 홀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돌출될 수 있게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쇠의 이동을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일단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내부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일단에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서 연장된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가 가압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판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쇠의 회동을 복귀시킬 수 있게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상기 고정쇠가 상기 고정판의 일면을 지지하게 돌출되면 타단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타단과 접촉하여 상기 제2피스톤로드에 대하여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로드는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를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의 일단과 접촉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돌기부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홈의 타단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공기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판의 홀에 고정쇠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항공기용 계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를 함정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이착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계류장치의 일 실시예의 동작 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 중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에의 동작 후 단면도,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피스톤수단이 삽입되는 고정판의 평면도,
도 4의 (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이 피스톤수단이 삽입되는 고정판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계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계류장치는 하우징(10)과, 회전축(20)과, 모터(30)와, 피스톤수단(40)과, 스토퍼(60)와, 고정수단(70)을 포함한다.
회전축(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하우징(10)의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모터(30)는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회전축(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일단(11)에 장착된다.
피스톤수단(40)은 제1피스톤로드(41)와, 제2피스톤로드(47)와, 스프링(57)을 구비한다.
제1피스톤로드(41)는 회전축(20)이 회전하면 회전축(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회전축(20)에 결합된다. 그래서 제1피스톤로드(41)는 모터(30)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축(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제1피스톤로드(41)는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44)가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하우징(10)의 내면까지 연장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돌출부(46)가 형성된다.
제2피스톤로드(47)는 제1피스톤로드(41)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이때, 제2피스톤로드(47)는 내주면(52)에 돌기부(44)를 감쌀 수 있게 홈(54)이 형성된다. 홈(54)은 돌기부(44)가 축방향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돌기부(44)를 수용한다. 제1피스톤로드(41)의 돌기부(44)가 홈(54)에 수용되므로 돌기부(44)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돌기부(44)가 홈(54)의 일단을 가압하여 제2피스톤로드(47)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피스톤로드(47)의 일단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된 관통공(50)이 형성되고, 타단(56)은 하우징(1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여기서 제1피스톤로드(41)는 제2피스톤로드(47)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기부(44)는 홈(54)에 수용되지만, 돌출부(46)는 하우징(10)의 내면까지 연장되므로 제2피스톤로드(47)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래서 제1피스톤로드(41)가 제2피스톤로드(4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피스톤로드(41)의 돌출부(46)는 제2피스톤로드(47)의 타단(56)에 충돌하게 된다.
스프링(57)은 제2피스톤로드(47)의 홈(54)에 삽입되어 일단(58)은 제1피스톤로드(41)의 돌기부(44)를 지지하고 타단은 홈(54)의 타단(55)을 지지한다. 그래서 제1피스톤로드(41)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면 스프링(57)은 제2피스톤로드(47)를 가압하여 제2피스톤로드(47)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토퍼(60)는 제2피스톤로드(47)의 일단이 고정판(1)의 홀(2)에 삽입되면 제2피스톤로드(47)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60)는 하우징(10)의 타단에 장착된다.
고정수단(70)은 피스톤수단(40)이 고정판(1)의 홀(2)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수단(70)은 고정쇠(71)와, 탄성부재(75)를 구비한다.
고정쇠(71)는 가압부(72)와 고정부(74)를 구비하고, 제2피스톤로드(47)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50)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가압부(72)는 제1피스톤로드(41)의 일단(42)에 가압될 수 있게 제1피스톤로드(41)의 일단(42)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고정부(74)는 가압부(72)가 제1피스톤로드(41)에 가압되면 제2피스톤로드(47)의 외부로 돌출하여 고정판(1)의 일면(4)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압부(72)에서 연장된다.
탄성부재(75)는 고정쇠(71)의 이동을 복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76)은 고정부(74)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피스톤로드(47)의 일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30)가 동작하여 회전축(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피스톤로드(41)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57)을 가압한다. 그러면 스프링(57)이 제2피스톤로드(47)를 가압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피스톤로드(47)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48)가 함정의 갑판상에 설치된 고정판(1)의 홀(2)에 삽입되면 타단(56)은 스토퍼(60)의 일측과 접촉하여 제2피스톤로드(47)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제2피스톤로드(47)는 스토퍼(60)에 의해 이동이 정지되지만 제1피스톤로드(41)는 스프링(57)을 신축시키며 화살표 b방향으로 계속이동한다. 제1피스톤로드(41)가 화살표 b방향으로 계속이동하면 일단(42)이 제2피스톤로드(47)의 관통공(50)에 결합된 고정쇠(71)의 가압부(72)를 가압한다. 가압부(72)가 제1피스톤로드(41)의 일단(42)에 가압되면 고정부(74)는 일방향(7)으로 회전하여 관통공(50)을 통해 제2피스톤로드(47)의 외부로 돌출한다. 돌출된 고정부(74)가 고정판(1)의 일면(4)을 지지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스톤로드(41)의 돌출부(46)가 제2피스톤로드(47)의 타단(56)과 접촉하여 이동이 정지된다. 그러면 고정쇠(71)는 일정한 가압력에 가압되어 고정판(1)의 일면(4)을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고정판(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수단(70)과 관통공(50)은 피스톤수단(40)이 고정판(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터(30)가 동작하여 회전축(2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피스톤로드(41)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피스톤로드(41)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부(72)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75)를 고정쇠(71)를 타방향(9)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고정판(1)의 일면(4)을 지지하던 고정부(74)가 제2피스톤로드(47)의 내부로 이동하여 고정판(1)이 일면(4)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피스톤로드(41)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돌기부(44)가 홈(54)의 일단을 가압하면 제2피스톤로드(47)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판(1)의 홀(2)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제1피스톤로드(41)는 화살표 a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돌출부(46)가 하우징(10)의 일단(11)에 장착된 정지수단(80)과 접촉하면 모터(30)가 회전축(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회전축(20)이 정지되면 제1피스톤로드(41)와 제2피스톤로드(47)는 더이상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계류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면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가 함정에서 이륙할 수 있게 준비가 완료된다.
종래에는 착함을 시도하려는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에서 와이어가 달린 갈고리를 함정의 갑판상에 설치된 그물망 모양의 바닥 구조물에 쏘아 걸리게 한 다음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식으로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를 착함시켰다. 그러나 해상의 기상상태가 나빠지게 되면 될수록 위험도가 높아지고, 이륙시 이함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수단(40)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판(1)의 홀(2)에 제2피스톤로드(47)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쇠(71)가 삽입되면 고정쇠(71)가 제1피스톤로드(41)에 가압되어 고정판(1)의 일면(4)을 지지하여 고정판(1)에 고정된다. 그리고 피스톤수단(40)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쇠(71)에 가해지는 제1피스톤로드(41)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75)에 의하여 고정쇠(71)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제2피스톤로드(47)는 고정판(1)의 홀(2)에서 이탈된다. 그래서 피스톤수단(40)의 이동에 따라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고, 제1피스톤로드(41)가 일정하게 고정쇠(71)를 가압하여 고정판(1)의 일면(4)을 지지하므로 안정적으로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를 함정에 이착함시킬 수 있다.
1 : 고정판 2 : 홀
4 : 일면 7 : 일방향
9 : 타방향 10 : 하우징
11 : 일단 20 : 회전축
30 : 모터 40 ; 피스톤수단
41 : 제1피스톤로드 42 : 일단
44 : 돌기부 46 : 돌출부
47 : 제2피스톤로드 48 : 일단부
50 : 관통공 52 : 내주면
54 : 홈 55 : 타단
56 : 타단 57 : 스프링
58 : 일단 60 : 스토퍼
70 : 고정수단 71 : 고정쇠
72 : 가압부 74 : 고정부
75 : 탄성부재 76 : 일단
80 : 정지수단

Claims (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1피스톤로드와,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 제2피스톤로드와,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이 고정판의 홀에 삽입될 수 있게 이동되도록 상기 제2피스톤로드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제1피스톤로드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피스톤수단과,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이 상기 고정판의 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스토퍼와,
    상기 제1피스톤로드가 상기 제2피스톤로드에 대하여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피스톤로드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고정판의 홀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돌출될 수 있게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쇠와, 상기 고정쇠의 이동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일단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내부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일단에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서 연장된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가 가압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판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쇠의 회동을 복귀시킬 수 있게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계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상기 고정쇠가 상기 고정판의 일면을 지지하게 돌출되면 타단이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타단과 접촉하여 상기 제2피스톤로드에 대하여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계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로드는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는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를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의 일단과 접촉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돌기부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홈의 타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계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계류장치.
KR1020170017546A 2017-02-08 2017-02-08 항공기용 계류장치 KR101736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46A KR101736380B1 (ko) 2017-02-08 2017-02-08 항공기용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46A KR101736380B1 (ko) 2017-02-08 2017-02-08 항공기용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380B1 true KR101736380B1 (ko) 2017-05-16

Family

ID=5903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546A KR101736380B1 (ko) 2017-02-08 2017-02-08 항공기용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3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2508A (zh) * 2017-11-29 2018-05-29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无人直升机电动助降装置
KR101885161B1 (ko) * 2017-03-29 2018-08-06 주식회사 대한항공 항공기의 전기식 고정장치
KR20190123486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대한항공 항공기의 전기식 고정장치
KR102129836B1 (ko) * 2019-02-08 2020-07-03 우주산업플랜트 주식회사 항공기 계류용 고정구
WO2024018491A1 (en) * 2022-07-18 2024-01-25 Tema Di Cunati Giancarlo & C. Sas Device and apparatus to secure a vehicle to a platform and vehicle comprising sai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3480A1 (en) 1989-05-03 1990-11-15 De Rotterdamsche Droogdok Maatschappij B.V. Landing system for a helicopter on board a vessel
JP2012522681A (ja) 2009-04-03 2012-09-27 デ・セ・エヌ・エス 特に航空機の係留ハープーンおよびそうしたハープーンを含む係留システム
WO2012134365A1 (en) 2011-03-31 2012-10-04 Saab Ab An aerial vehicle hold-down harpo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3480A1 (en) 1989-05-03 1990-11-15 De Rotterdamsche Droogdok Maatschappij B.V. Landing system for a helicopter on board a vessel
JP2012522681A (ja) 2009-04-03 2012-09-27 デ・セ・エヌ・エス 特に航空機の係留ハープーンおよびそうしたハープーンを含む係留システム
WO2012134365A1 (en) 2011-03-31 2012-10-04 Saab Ab An aerial vehicle hold-down harpo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161B1 (ko) * 2017-03-29 2018-08-06 주식회사 대한항공 항공기의 전기식 고정장치
CN108082508A (zh) * 2017-11-29 2018-05-29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无人直升机电动助降装置
CN108082508B (zh) * 2017-11-29 2021-02-26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无人直升机电动助降装置
KR20190123486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대한항공 항공기의 전기식 고정장치
KR102067073B1 (ko) * 2018-04-24 2020-01-16 주식회사 대한항공 항공기의 전기식 고정장치
KR102129836B1 (ko) * 2019-02-08 2020-07-03 우주산업플랜트 주식회사 항공기 계류용 고정구
WO2024018491A1 (en) * 2022-07-18 2024-01-25 Tema Di Cunati Giancarlo & C. Sas Device and apparatus to secure a vehicle to a platform and vehicle comprising sai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380B1 (ko) 항공기용 계류장치
CN105090181B (zh) 用于将面板紧固到结构的紧固件装置以及飞行器
US10589020B2 (en) Holding device for a syringe pump
US8858097B2 (en) Miniature ball tripod
US11066192B2 (en) Satellite deployer door with clutch bearing
US8844895B2 (en) Hold open rod vibration dampening system and method
US10279894B2 (en) Vortex generator arrangement,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low on a rudder surface
JP2011098720A (ja) 航空機降着装置
CN107240764B (zh) 一种星载复杂雷达天线高刚度偏置式固定的指向机构
CN104787307A (zh) 无人机系统、无人机及该无人机系统的控制方法
RU2014117855A (ru) Система остановки кабины посадочных трапов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оступа в воздушные и водные суда
CN105083524B (zh) 用于将面板紧固到结构的紧固件装置以及飞行器
US8915473B1 (en) Hold-down mechanism for a spacecraft appendage
CN104870839A (zh) 具压紧环的面板紧固件
US3181908A (en) Single-point launching device
EP3211142A3 (en) Loader attachment system
RU2541617C1 (ru) Транспортно-пусково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запуска пико- и нано-спутников
US20190017304A1 (en) Keeper and aircraft with such keeper
CN108146613B (zh) 一种具有锁紧机构的无人机
KR101833625B1 (ko) 외력에 의한 날개의 흔들림 방지장치
JP2010540884A (ja) 操縦翼面の拘束解放システムの方法及び装置
KR20190123486A (ko) 항공기의 전기식 고정장치
US20170001701A1 (en) System for Embedded Removable Aperture
US20160281700A1 (en) Windshield removal assist device
KR101928508B1 (ko) 비행체의 날개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