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052B1 -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052B1
KR101736052B1 KR1020150155554A KR20150155554A KR101736052B1 KR 101736052 B1 KR101736052 B1 KR 101736052B1 KR 1020150155554 A KR1020150155554 A KR 1020150155554A KR 20150155554 A KR20150155554 A KR 20150155554A KR 101736052 B1 KR101736052 B1 KR 10173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tiffness
tdr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찬용
엄기영
여인호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8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after finishing the foundation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은 TDR 시스템, 강성측정장치 및 평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TDR 시스템은 흙에 설치되는 탐침부, 상기 탐침부로 파형을 발생하는 파형 발생부, 및 상기 탐침부로부터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제1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흙에 설치되어 전단파 및 압축파를 각각 생성하는 전단파 생성부 및 압축파 생성부,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의한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제2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장치는 상기 TDR 시스템 및 상기 강성측정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여, 흙의 다짐도를 평가한다.

Description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SYSTEM FOR EVALUATING COMPACTION DEGREE OF A SOIL USING TDR AND PIEZOELECTRIC STACK, AND A METHOD FOR EVALUATING COMPACTION DEGREE OF THE SOI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반의 성토 다짐품질관리에서 밀도관리와 함께 강성평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활용하여 흙의 밀도와 중량함수비, 흙의 탄성계수를 평가하여 다짐도를 평가할 수 있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토 지반에 대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기존 지반에 대하여 수행되는 다짐 작업의 경우, 다짐 작업이 충분하게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다짐 품질관리가 필요하며, 이러한 다짐 품질관리는 구조물의 건설시 구조물의 안전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은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하여 흙의 유전상수의 변화를 통해 흙의 체적함수비를 구하고, 이를 중량함수비로 환산하여 중량함수비와 건조밀도를 구하는 방법으로 미국 Purdue 대학의 Drnevich에 의해 2005년에 제안되었으며, 상기 TDR 방법이 제안된 이후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면서 흙의 중량함수비와 건조밀도를 구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TDR 방법의 경우, 함수비가 적은 토질에서는 적용에 한계가 있으며, 느슨한 흙에서의 유전상수를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실내실험에서 특성상수 값의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흙의 강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벤더앨리먼트(Bender Element)를 이용한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벤더앨리먼트의 필요전압이 TDR의 필요전압인 250mV의 10배 이상의 전압을 필요로 하며, 벤더앨리먼트의 자체강도가 약하여 지반과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의 TDR 방법이나 벤더앨리먼트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반의 다짐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나 흙의 강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노반의 다짐도 평가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4892호에서는 다짐 품질의 관리를 위하여 LFWD 장비를 이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0711호에서는 철도노반의 다짐 품질 측정방법으로 P파의 속도를 측정하여 노반의 다짐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의 TDR 방법이나 벤더앨리먼트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89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711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도와 강성을 일체화된 하나의 장비를 통해 구할 수 있어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흙의 다짐도를 측정할 수 있어 다짐흙의 품질을 보다 빠르게 관리할 수 있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은 TDR 시스템, 강성측정장치 및 평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TDR 시스템은 흙에 설치되는 탐침부, 상기 탐침부로 파형을 발생하는 파형 발생부, 및 상기 탐침부로부터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제1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흙에 설치되어 전단파 및 압축파를 각각 생성하는 전단파 생성부 및 압축파 생성부,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의한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제2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장치는 상기 TDR 시스템 및 상기 강성측정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여, 흙의 다짐도를 평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DR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TDR 시스템과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동일한 범위의 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복수의 슬롯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단파 생성부, 상기 압축파 생성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는 각각 상기 슬롯들에 고정되며 흙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의 인가에 따른 흙의 진동을 계측하는 가속도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장치는, 상기 발생된 파형에 따른 제1 반사신호,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의한 제2 반사신호를 표시하는 오실로스코프, 상기 오실로스코프에 표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유전상수 및 총전기전도도를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추정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정부는 흙의 유전상수(Ka)를 하기 식 (1)로 추정하고, 흙의 총전기전도도(BCb)는 하기 식 (2)로 추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1
식 (1)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2
식 (2)
(이 때, La: TDR 시스템에서의 두 전파 사이의 거리, Lp: TDR 탐침의 인입 길이, C: 프로브형상계수(=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3
), Vs: 소스전압의 2배 전압, Rs: 펄스제너레이터의 내부저항, d0: 내부도체의 직경, d1: 외부도체의 직경)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출부는 흙의 건조밀도(ρd)를 하기 식 (8)로 산출하고, 흙의 중량함수비(ω)를 하기 식 (9)로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4
식 (8)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5
식 (9)
(이 때, a, b, c1, d1, f1: 흙의 특성 보정 상수, ρω: 물의 단위중량)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은 TDR 신호 획득단계, 강성신호 획득단계 및 흙의 다짐도 평가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TDR 신호 획득단계는 흙에 탐침부를 설치하는 단계, 파형 발생부를 통해 상기 탐침부로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탐침부로부터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신호 획득단계는 흙에 강성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전단파 또는 압축파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의한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흙의 다짐도 평가단계는 상기 획득된 TDR 신호 및 상기 획득된 강성신호로부터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여, 흙의 다짐도를 평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DR 신호 획득단계 및 상기 강성신호 획득단계는 동일한 범위의 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제1 반사신호,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따른 제2 반사신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유전상수 및 총전기전도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추정된 유전상수 및 총전기전도도를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으로부터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동시에 또한 현장에서 즉시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즉각적으로 흙의 다짐도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복수의 장치들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증가한 문제를 해결하여, 흙의 품질 관리 및 측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특히 TDR 시스템과 강성측정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범위의 전압으로 구동되므로 상기와 같은 즉각적인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TD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요구되는 밴더엘리먼트를 이용한 강성측정보다 사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어, 즉각적으로 TDR을 통한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함수비 측정과 동시에 흙의 강성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흙의 중량함수비를 흙의 건조밀도와 무관하게 전압강하량 V1 및 장주기 전압레벨 Vf의 비를 통해 연산함으로써 흙의 건조밀도에 포함된 오차가 흙의 중량함수비 연산에서 제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흙의 중량함수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측정장치의 경우, 보드 상에 전단파 생성부, 압축파 생성부 및 가속도계 센서가 고정된 상태에서 흙의 강성의 측정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보드 상에는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슬롯들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조건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용이하며, 측정 작업의 용이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TDR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의 TDR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4는 도 1의 강성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전단파 생성부, 도 6은 도 4의 압축파 생성부, 도 7은 도 4의 가속도 측정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1의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함수비의 증가에 따른 유정상수 및 총전기전도도의 관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서로 다른 함수비에서의 TDR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13은 함수비에 따른 V1/Vf의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4는 함수비에 따른 V1/Vf의 변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식 (7)에 의한 중량 함수비의 검증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중량 함수비의 검증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TDR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의 TDR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4는 도 1의 강성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전단파 생성부, 도 6은 도 4의 압축파 생성부, 도 7은 도 4의 가속도 측정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1의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함수비의 증가에 따른 유정상수 및 총전기전도도의 관계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서로 다른 함수비에서의 TDR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13은 함수비에 따른 V1/Vf의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4는 함수비에 따른 V1/Vf의 변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식 (7)에 의한 중량 함수비의 검증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중량 함수비의 검증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의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10)과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을 동시에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10)은 TDR 시스템(100), 강성측정장치(200) 및 평가장치(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TDR 시스템(100)은 파형 발생부(110), 탐침부(120), 제1 데이터 획득부(130) 및 제1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TDR 시스템(100)은 상기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10)을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에서 TDR 신호획득단계(단계 S10)를 수행한다.
즉, 상기 탐침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침헤드(121) 및 탐침(122)을 포함하여, 상기 탐침(122)은 복수개가 흙의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된다(단계 S11). 이 때, 상기 파형 발생부(110)는 케이블(111)을 통해 상기 탐침헤드(121)를 통해 상기 탐침(122)으로 입력신호를 전달하여 파형을 발생시킨다(단계 S12).
이와 같이, 상기 파형 발생부(110)에서 제공된 입력신호에 의해 발생된 파형은 상기 탐침(122)을 통해 흙으로 전달되며, 상기 제1 데이터 획득부(130)는 상기 흙으로부터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13).
이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획득부(130)를 통해 수신된 제1 반사신호는 후술되는 상기 평가장치(300)의 오실로스코프(310)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140)는 상기 TDR 시스템(100)과 상기 강성측정장치(200)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강성측정장치(200)의 제2 연결부(24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TDR 시스템(100) 및 상기 강성측정장치(200)는 외부의 전압인가장치(미도시)를 통해 전압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경우, 상기 외부의 전압인가장치는 상기 TDR 시스템(100) 및 상기 강성측정장치(200)에 동일한 범위의 전압, 예를 들어 약 250mV의 전압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TDR 시스템(100) 및 상기 강성측정장치(200)는 동일한 전압을 제공받아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성측정장치(200)는, 상기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10)을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에서 강성신호획득단계(단계 S20)를 수행하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201), 전단파 생성부(shear wave generator)(210), 압축파 생성부(compression wave generator)(220), 제2 데이터 획득부(230), 제2 연결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보드(201)는 얇은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일 모서리에 상기 제2 연결부(240)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부(240)를 통해 상기 TDR 시스템(10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드(201) 상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슬롯들(202)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들(202)에는 상기 전단파 생성부(210), 압축파 생성부(220), 제2 데이터 획득부(230)가 고정된다.
상기 전단파 생성부(210)는 하중부(211) 및 전단파용 피에조일렉트릭 스택(212)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부(211)가 상기 보드(201)의 슬롯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전단파용 피에조일렉트릭 스택(212)이 상기 하중부(211)에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도록 설치된다.
상기 압축파 생성부(220)도 하중부(221) 및 압축파용 피에조일렉트릭 스택(222)을 포함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하중부(221)가 상기 보드(201)의 슬롯 상에 고정되며, 상기 압축파용 피에조일렉트릭 스택(222)이 상기 하중부(221)에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230)는 슬롯(202)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231), 상기 고정부(231)의 측면에 부착되는 가속도계(232) 및 상기 고정부(231)의 끝단에 고정되어 흙의 파형을 계측하는 측정유닛(233)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230)는 가속도 측정기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강성측정장치(200)의 상기 전단파 생성부(210), 상기 압축파 생성부(220) 및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230)가 흙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된 후(단계 S21), 상기 전단파 생성부(210) 또는 상기 압축파 생성부(220)에서는 각각 전단파 또는 압축파를 생성하여 흙으로 인가하게 되며(단계 S22),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230)는 상기 생성된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따른 흙의 반사신호인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게 된다(단계 S23).
이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230)는 가속도 측정기이므로, 상기 제2 반사신호는 흙의 진동이나 가속도 등일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상기 제2 반사신호는 후술되는 상기 평가장치(300)의 오실로스코프(310)로 제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강성측정장치(200)의 구체적인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강성측정장치의 특성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6
이상과 같이, TDR 시스템(100) 및 강성측정장치(200)에서 각각 획득된 데이터들은 상기 평가장치(300)로 제공되며,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평가장치(300)에서는 흙의 다짐도를 평가한다(단계 S30).
이 경우, 상기 평가장치(300)는 예를 들어, PC, 노트북, 모바일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장치(300)는 오실로스코프(310), 데이터 저장부(320), 추정부(330), 산출부(340) 및 평가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오실로스코프(310)는 상기 TDR 시스템(100)에서 상기 파형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파형에 관한 입력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 획득부(130)에서 획득된 제1 반사신호, 및 상기 강성측정장치(200)에서 상기 생성된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관한 입력신호와 상기 제2 데이터획득부(230)에서 획득된 제2 반사신호를 표시한다(단계 S31).
이 경우, 상기 오실로스코프(310)는 별도의 외장형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평가장치(300)의 화면으로 구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는 상기 오실로스코프(310)를 통해 표시되는 TDR 시스템(100)에서의 입력신호 및 제1 반사신호, 강성측정장치(200)에서의 입력신호 및 제2 반사신호가 저장된다(단계 S32).
이 후, 상기 추정부(33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흙의 유전상수(Ka) 및 흙의 총전기전도도(BCb)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상기 TDR 시스템(100)을 통해 두 전파사이의 거리(La)와 흙의 내부로 인입된 탐침들(4)의 길이(Lp)를 통해, 흙의 유전상수(Ka)를 식 (1)과 같이 추정하고, 흙의 총전기전도도(BCb)는 식 (2)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7
식 (1)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8
식 (2)
(이 때, C: 프로브형상계수(=
Figure 112015108129719-pat00009
, Vs: 소스전압의 2배 전압, Rs: 펄스제너레이터의 내부저항, d0: 내부도체의 직경, d1: 외부도체의 직경)
이 후, 상기 산출부(34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TDR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와 상기 추정부(330)에서 추정된 흙의 유전상수(Ka) 및 흙의 총전기전도도(BCb)에 관한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ω) 및 흙의 건조밀도(ρd)를 산출한다(단계 S34).
또한, 상기 산출부(340)에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강성측정장치(20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흙의 강성을 산출한다(단계 S35).
상기 산출부(340)에서 흙의 중량함수비(ω) 및 흙의 건조밀도(ρd)를 산출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흙의 중량함수비(gravimetric water content)가 증가함에 따라 유전상수(Ka)와 총 전기전도도(BCb)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보정방정식으로 나타내면 식 (3) 및 식 (4)와 같다.
Figure 112015108129719-pat00010
식 (3)
Figure 112015108129719-pat00011
식 (4)
이 경우, 상기 흙의 특성 보정상수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식 (3) 및 식 (4)로부터, 흙의 중량함수비(ω)와 흙의 건조밀도(ρd)는 하기 식 (5) 및 식 (6)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이 때, a, b, c, d: 흙의 특성 보정상수, ρω: 물의 단위중량)
Figure 112015108129719-pat00012
식 (5)
Figure 112015108129719-pat00013
식 (6)
한편, 도 11 및 도 12는 서로 다른 흙의 중량함수비에서의 TDR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이 경우, 상기 식 (3) 내지 식 (6)을 통해 계산되는 흙의 중량함수비와 흙의 건조밀도의 계산식과 달리, TDR의 탐침들(122) 사이의 거리에 따른 TDR 전압신호의 변화량에 관한 도 11 및 도 12의 그래프를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와 흙의 건조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R 전압신호의 제1 반사지점(A)에서 제2 반사지점(B)까지의 전압강하량을 V1이라 정의하고, TDR 전압신호의 장주기 전압레벨, 즉 초기의 TDR 전압신호와 TDR 전압신호가 일정값으로 수렴할 때의 TDR 전압신호와의 차이값을 Vf라 정의하면, 흙의 중량함수비(ω)와 흙의 건조밀도(ρd)는 각각 하기 식 (7) 및 식 (8)로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은 중량 함수비가 10%인 ASTM CH 흙(soil)의 TDR 전압신호의 그래프이고, 도 12는 중량 함수비가 20%인 ASTM CH 흙(soil)의 TDR 전압신호의 그래프임을 고려하면, 상기 전압강하량 V1은 함수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8129719-pat00014
식 (7)
Figure 112015108129719-pat00015
식 (8)
(이 때, a, b, c1, d1, f1: 흙의 특성 보정 상수)
또한, 상기 식 (7)에서의 특성 보정상수는 도 9 및 도 10과 식 (3) 및 식 (4)에서의 그래프를 통해 도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8)에서의 흙의 특성 보정상수는 유전상수가 1일 때, 즉 진공상태일 때 전자기파의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V1이 0이 되므로 비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식 (7)을 통해 도출되는 흙(화강풍화토 및 모래)의 중량함수비(ω)에 대한 검증실험의 결과 그래프인 도 15를 참조하면, 오차가 10% 이상 발생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는, 상기 식 (7)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TDR로 측정한 건조밀도(ρd)가 중량함수비(ω)를 계산하는 계산식에 포함되므로, 이에 따라 건조밀도(ρd)의 오차가 그대로 상기 중량함수비(ω)의 계산에 내재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식 (7)의 중량함수비(ω)를 계산하는 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식의 변형이 필요하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각각 화강풍화토와 주문진표준사에 대한 중량함수비와 V1/Vf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인데, 이를 참조하면, 흙의 중량함수비(ω)가 증가함에 따라 V1/Vf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며, 또한 흙의 중량함수비(ω)가 증가함에 따라 흙의 유전상수(Ka)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ω)를 계산하는 식을 하기 식 (9)와 같이 제안할 수 있다. 이 때, 특성 보정상수(a, b)는 도 9 및 도 10과 식 (3) 및 식 (4)에서의 그래프를 통해 도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출될 수 있음은 동일하다.
Figure 112015108129719-pat00016
식 (9)
상기 식 (9)를 통하여 흙의 중량함수비를 계측한 결과와 TDR 중량 함수비를 동시에 도시하여 검증한 검증실험의 결과인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식 (7)을 사용하여 계측한 결과에 대한 검증실험의 결과인 도 15와 비교할 때, 오차가 상당히 저감되어 매우 정확한 계측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식 (9)를 통해 계측된 결과값(그래프 상의 'x'표)이 그래프 상의 1:1 비례축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정확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즉, 흙의 중량함수비를 건조밀도(ρd)와 무관하게 전압강하량 V1 및 장주기 전압레벨 Vf의 비를 통해 연산함으로써 건조밀도에 포함된 오차가 흙의 중량함수비 연산에서 제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흙의 중량함수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산출부(340)에서는 식 (8)을 통해 흙의 건조밀도(ρd)를 산출하며, 식 (9)를 통해 흙의 중량함수비(ω)를 산출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산출부(340)에서 상기 흙의 건조밀도(ρd), 흙의 중량함수비(ω) 및 흙의 강성을 동시에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평가부(350)로 제공되어, 상기 평가부(350)에서는 상기 세 가지 인자를 바탕으로 흙의 다짐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단계 S35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동시에 또한 현장에서 즉시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즉각적으로 흙의 다짐도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복수의 장치들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증가한 문제를 해결하여, 흙의 품질 관리 및 측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특히 TDR 시스템과 강성측정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범위의 전압으로 구동되므로 상기와 같은 즉각적인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TD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요구되는 밴더엘리먼트를 이용한 강성측정보다 사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어, 즉각적으로 TDR을 통한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함수비 측정과 동시에 흙의 강성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흙의 중량함수비를 흙의 건조밀도와 무관하게 전압강하량 V1 및 장주기 전압레벨 Vf의 비를 통해 연산함으로써 흙의 건조밀도에 포함된 오차가 흙의 중량함수비 연산에서 제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흙의 중량함수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측정장치의 경우, 보드 상에 전단파 생성부, 압축파 생성부 및 가속도계 센서가 고정된 상태에서 흙의 강성의 측정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보드 상에는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슬롯들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조건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용이하며, 측정 작업의 용이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은 흙, 철도 노반 등의 밀도와 중량함수비, 탄성계수를 평가하여 다짐품질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100 : TDR 시스템
110 : 파형 발생부 120 : 탐침부
130 : 제1 데이터 획득부 140 : 제1 연결부
200 : 강성측정장치 201 : 보드
202 : 슬롯 210 : 전단파 생성부
220 : 압축파 생성부 230 : 제2 데이터 획득부
240 : 제2 연결부 300 : 평가장치
310 : 오실로스코프 320 : 데이터 저장부
330 : 추정부 340 : 산출부
350 : 평가부

Claims (10)

  1. 흙에 설치되는 탐침부, 상기 탐침부로 파형을 발생하는 파형 발생부, 및 상기 탐침부로부터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제1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TDR 시스템;
    흙에 설치되어 전단파 및 압축파를 각각 생성하는 전단파 생성부 및 압축파 생성부,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의한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제2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강성측정장치; 및
    상기 TDR 시스템 및 상기 강성측정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여,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평가장치를 포함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DR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TDR 시스템과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동일한 범위의 전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측정장치는, 복수의 슬롯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단파 생성부, 상기 압축파 생성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는 각각 상기 슬롯들에 고정되며 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의 인가에 따른 흙의 진동을 계측하는 가속도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장치는,
    상기 발생된 파형에 따른 제1 반사신호,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의한 제2 반사신호를 표시하는 오실로스코프;
    상기 오실로스코프에 표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유전상수 및 총전기전도도를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추정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추정부는 흙의 유전상수(Ka)를 하기 식 (1)로 추정하고, 흙의 총전기전도도(BCb)는 하기 식 (2)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Figure 112017014313273-pat00017

    식 (1)
    Figure 112017014313273-pat00018

    식 (2)
    (이 때, La: TDR 시스템에서의 두 전파 사이의 거리, Lp: TDR 탐침의 인입 길이, C: 프로브형상계수(=
    Figure 112017014313273-pat00019
    ), Vs: 소스전압의 2배 전압, Rs: 펄스제너레이터의 내부저항, d0: 내부도체의 직경, d1: 외부도체의 직경)
  7. 제6항에 있어서, 산출부는 흙의 건조밀도(ρd)를 하기 식 (8)로 산출하고, 흙의 중량함수비(ω)를 하기 식 (9)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Figure 112017014313273-pat00020

    식 (8)
    Figure 112017014313273-pat00021

    식 (9)
    (이 때, a, b, c1, d1, f1: 흙의 특성 보정 상수, ρω: 물의 단위중량)
  8. 흙에 탐침부를 설치하는 단계, 파형 발생부를 통해 상기 탐침부로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탐침부로부터 제1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DR 신호 획득단계;
    흙에 강성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전단파 또는 압축파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의한 제2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성신호 획득단계; 및
    상기 획득된 TDR 신호 및 상기 획득된 강성신호로부터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여,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DR 신호 획득단계 및 상기 강성신호 획득단계는 동일한 범위의 전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짐도 평가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제1 반사신호, 및 상기 전단파 또는 압축파에 따른 제2 반사신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흙의 유전상수 및 총전기전도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추정된 유전상수 및 총전기전도도를 바탕으로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흙의 중량함수비, 흙의 건조밀도 및 흙의 강성으로부터 흙의 다짐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KR1020150155554A 2015-11-06 2015-11-06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KR10173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54A KR101736052B1 (ko) 2015-11-06 2015-11-06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54A KR101736052B1 (ko) 2015-11-06 2015-11-06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052B1 true KR101736052B1 (ko) 2017-05-16

Family

ID=5903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554A KR101736052B1 (ko) 2015-11-06 2015-11-06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0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9785A (zh) * 2018-08-02 2018-10-26 潍坊学院 一种用于根土复合体的新型自动土样击实仪及方法
CN109580420A (zh) * 2018-12-07 2019-04-05 安徽建工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高液限土填筑含水率控制方法
KR102153489B1 (ko) 2019-12-06 2020-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이미지 분석 기반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CN114001684A (zh) * 2021-11-16 2022-02-01 信阳师范学院 土壤侵蚀测量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93B1 (ko) 2007-01-05 2008-06-04 윤명석 현장 지반의 전단파속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93B1 (ko) 2007-01-05 2008-06-04 윤명석 현장 지반의 전단파속도 측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9785A (zh) * 2018-08-02 2018-10-26 潍坊学院 一种用于根土复合体的新型自动土样击实仪及方法
CN108709785B (zh) * 2018-08-02 2024-04-05 潍坊学院 一种用于根土复合体的新型自动土样击实仪及方法
CN109580420A (zh) * 2018-12-07 2019-04-05 安徽建工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高液限土填筑含水率控制方法
CN109580420B (zh) * 2018-12-07 2021-08-10 安徽建工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高液限土填筑含水率控制方法
KR102153489B1 (ko) 2019-12-06 2020-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이미지 분석 기반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CN114001684A (zh) * 2021-11-16 2022-02-01 信阳师范学院 土壤侵蚀测量系统及方法
CN114001684B (zh) * 2021-11-16 2023-11-24 信阳师范学院 土壤侵蚀测量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052B1 (ko) Tdr 및 강성측정장치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의 다짐도 평가방법
Ribeiro et al. Evaluation of low-cost MEMS accelerometers for SHM: frequency and damping identification of civil structures
JP4954729B2 (ja) コンクリート杭の健全性評価支援装置、健全性評価支援方法及び健全性評価支援プログラム
CN102183363B (zh) 滑动导轨结合面动态特性参数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101641582B (zh) 使用频谱分析的振弦式传感器
KR101651536B1 (ko) Tdr을 이용한 철도노반 다짐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45754B2 (ja) 閉じ込められている物体の位置を探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784582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계측장치 및 방법
WO2017056426A1 (ja) 土質判定装置、土質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録媒体
CN101561342A (zh) 分时快速稳态正弦扫频激振频响函数测量系统及方法
JP6173819B2 (ja) 果物の硬度測定装置、果物の硬度測定方法、及び果物の熟度評価方法
CN102854090B (zh) 基于超声导波的液体粘滞系数检测装置及方法
CN201408105Y (zh) 分时快速稳态正弦扫频激振频响函数测量系统
JP6692582B2 (ja) レジンコンクリートの曲げ強度推定装置、レジンコンクリートの曲げ強度推定方法、及びレジンコンクリートの曲げ強度推定プログラム
KR20080047186A (ko) 행어 케이블의 장력 측정방법
KR101184048B1 (ko) 임피던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기 강도 추정 장치 및 방법
US8271220B2 (en) Evaluating high frequency time domain in embedded device probing
JP4555574B2 (ja) 閉じ込められている物体の位置を求める方法および装置
US9664649B2 (e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employing electromechanical impedance technology
JP2005518548A (ja) 閉じ込められている物体の位置を求める方法および装置
CN106197745A (zh) 体温计及其测量方法
US8473246B1 (en) Cable measurement device
Attivissimo et al. Enhancement and metr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n accurate and low-cost method based on seismic wave propagation for soil moisture evaluation
JP2021009072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緊張力評価方法および緊張力評価システム
CN107907207B (zh) 结合正弦激振器和视频仪的拉索基本自振频率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