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858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이알큐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이알큐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858B1
KR101735858B1 KR1020127002927A KR20127002927A KR101735858B1 KR 101735858 B1 KR101735858 B1 KR 101735858B1 KR 1020127002927 A KR1020127002927 A KR 1020127002927A KR 20127002927 A KR20127002927 A KR 20127002927A KR 101735858 B1 KR101735858 B1 KR 10173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ack
level
transmiss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464A (ko
Inventor
벤그트 린도프
마티아스 카무프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2003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92Physical properties of the supervisory signal, e.g. acknowledgement by energy bur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특징에서, 여기에서 제시된 방법과 장치는, ARQ 신호 전력들을 할당할 때 대응하는 업링크 자원 할당들을 고려한다. 특히,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자원들의 큰 할당들을 수반하는 사용자 장비(UE) 전송들에 대응하는 답신("ack") 신호(들)에 보다 많은 전력이 할당된다. 예컨대, LTE망에서, eNodeB는 큰 업링크 대역폭 할당들과 관련된 UE 전송들을 답신하기 위해 그의 ack 시그날링 전력을 "증강"시킨다. 부수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UE는, 적어도 관련된 ack들에 대해, ack 결정을 도와주기 위해 그의 ack/nack 결정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그의 ARQ 신호 평가를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이알큐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ARQ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ARQ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망들은 자동반복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ARQ)) 응답 시그날링의 형식을 사용한다. ARQ를 통해, 주어진 송신기로부터의 전송들은, 이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따라 답신되거나 또는 답신되지 않는다. 비-답신은 송신기가, 예컨대 그의 최초 전송을 할당되었던 동일한 채널 자원들을 사용하여 재전송하도록 한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표준에 따라, LTE 망들은 하이브리드 ARQ(H-ARQ)를 사용한다. 예컨대, 주어진 이동단말기 또는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는 eNodeB에 의해 이루어진 업링크 할당승인(uplink assignment grants)에 따라 하나 이상의 LTE 서브프레임에서 eNodeB로 전송한다. 할당 승인은 특정 사용자들에게 특정 OFDM 채널 차원들을 할당한다. 그러므로, 진행중인 작동에서, eNodeB는 일련의 반복하는 LTE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 소정수의 사용자 신호들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신호가 성공적으로 eNodeB에 의해 수신되었는지(디코드되었는지)에 따라, 전송하는 사용자 각각에게 ARQ 응답을 전송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LTE에 대한 3GPP Release 8에서, eNodeB는 물리적 H-ARQ 지시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PHICH)을 통해 H-ARQ 응답신호를 전송하는데, 답신 응답-때때로 "ack"로 불림-은, 주어진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업링크를 통해 eNodeB로 전송된 사용자 신호가 성공적으로 디코드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역으로, 비-답신 응답-때때로 "nack"로 불림-은 사용자 신호가 성공적으로 디코드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주파수-분할 듀플렉싱(Frequency-Division Duplexing:FDD) 모드에서, eNodeB는 주어진 LTE 서브프레임에서 소정수의 사용자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PHICH를 통해 전송된 PHICH 그룹으로서, 나중의 네 개의 서브프레임의 신호들에 대응하는 ARQ 응답신호들을 전송한다. 목표 UE들에 의한 상이한 ARQ 응답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상이한 확산 시퀀스(spreading sequence)들 뿐만 아니라, PHICH 그룹의 결정은 답신되는 전송들에 대해 사용되는 대응하는 업링크 할당의 위치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PHICH는 정상적인 기간 동안에 OFDM 심볼 "0"에 맵핑되거나, 연장된 기간 동안에는 0, 1, 및 2에 맵핑된다.
가용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여덟 개까지의 UE들에 대한 ARQ 신호들은 단일의 PHICH 그룹을 다중화될 수 있고(multiplexed), 이러한 여러 가용 PHICH 그룹들이 있다. PHICH 그룹들의 숫자는 사용자들의 숫자의 변화에 대해 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심볼 대역폭과 그리고 Ng로 불리는 반-고정(semi-static) 변수에 따라 다르다. 서브프레임의 제어영역에 적어도 2 개의 PHICH 그룹들(1.4㎒ 및 Ng=16)과 또한 많아야 25 개의 그룹(20㎒ 및 Ng=20)이 존재한다.
eNodeB 에서 소정의 PHICH 그룹을 형성할 때, 단일-비트 acks/nacks 는 (3, 1) 반복코드(repetition code)에 의해 코딩된다. 디코딩시에 상이한 사용자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UE에는, 확산 북(spreading book)에서 다른 시퀀스들에 대해 직교하는 확산 시퀀스가 할당된다. 정상적인 주기적 전치부호(normal cyclic prefix)의 경우에 확산 인자(spreading factor)는 네 개이기 때문에, 각 비트는 4비트로 확장되고, 그러므로 ack/nack 당 비트들의 전체 숫자는 12이다. 이들 비트들은 이진 위상 편이 변조(Binary Phase Shift Keying:BPSK)를 사용하여 복합 변조 심볼(complex modulation symbols)들 상에 맵핑된다. UE들이 하나의 PHICH 그룹 내에서 에너지를 공유한다는 사실은, 할당된 UE들의 디코딩 성능을 균형 맞추기 위하여 eNodeB 가 에너지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eNodeB 는 UE들에서 상이한 수신 신호품질(예컨대, 상이한 신호-대-잡음비 또는 SNR)의 관점에서 PHICH 그룹 내에 ARQ 시그날링 전력을 할당한다.
특히, eNodeB는 상이한 사용자들에 대해- 예컨대 0 내지 7 UE들에 대해 목표가 되는 ARQ 신호들에 상이한 진폭 계수 인자(scaling factors)를 적용하고, eNodeB는 계수 인자(G0 - G7)들을 사용하여 PHICH 그룹 내에서 ARQ 신호전력 할당들을 설정하는데, 여기서,
Figure 112017016102518-pct00001
이다.
PHICH 그룹의 전송에 대한 최종 신호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2
(식 1),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3
(식 2)
여기서 b는 ACK(b=1) 또는 NACK(b=0)로 맵핑된다. sk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제어영역의 OFDM 시간-주파수 그리드(time-frequency grid) 내에서 상이한 자원요소(RE)들 상에 맵핑된다.
표기법의 간략를 위해, eNodeB에 하나의 송신 안테나가 있고 또한 UE에 M개의 수신기 안테나가 있다고 가정한다. 고속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FFT) 이후에 한 수신 RE의 모델은,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4
(식 3),
여기서, rk , hknk는 (Mx1) 종렬 벡터들이다. RE k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채널은 hk로 기술하고, 그리고 nk ~ CN(0, N0)는 복합 가우시안 잡음벡터(complex Gaussian noise vector)이고 또한 CN은 복합 표준(complex norm)이다. sk에 대한 최대비 합성(Maximum Ratio Combining:MRC) 해법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5
(식 4)
채널이득으로 정상화함으로써, 다음을 얻는다.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6
(식 5)
h에 대한 지식(추정)과 n에 대한 분포로, UE에서 검출한 심볼(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7
)에 대한 분포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8
(식 6)
특정 UE i에 대해, RE[0,....,11]에 걸쳐 PHICH 그룹 내측에서 ARQ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결정 변수 hi 는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Figure 112012008756160-pct00009
(식 7)
여기서 실제 축(real axis) 상에 수신신호를 맵핑하기 위하여 순환(rotation)이 적용된다. UE들의 확산 시퀀스(wi)의 복소공액(complex conjugate)를 적용하여 다른 UE들로부터 분포를 제거한다. 예컨대, 실제 확산 시퀀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Figure 112012008756160-pct00010
(식 8)
이와 같이, UE는 다음 식에 따라 신호가 ack 또는 nack 인지에 관한 결정을 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2008756160-pct00011
(식 9)
그러나, 특히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아, ack 또는 nack가 전송되었는지에 따라서, PHICH 디코딩에 대해 상이한 블록 에러 율(Block Error Rate:BLER) 필요조건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주어진 UE에서 nack에 대해 ack가 착오되는 경우를 고려하자. 이 경우에,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Packet Data Control Channel:PDCCH)를 통해 판독한 분명한 업링크 승인이 없다면, UE는 그의 원리 전송을 위해 예약되었던 동일한 업링크 자원들을 사용하여 비-답신 패킷을 재전송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eNodeB가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기 때문에, 이들 자원들을 다른 UE(또는 UE들)에게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eNodeB의 ack를 nack로 부정확하게 해석하는 UE에 의해 야기되는, 잘못된 재전송은 eNodeB에서 간섭을 야기시키게 된다.
다른 경우에, UE는 nack를 ack로서 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착오는 시스템 관점에서 보아 중요하지 않는데, UE가 단순히 재전송을 실패하여 그의 패킷 버퍼를 정리하여; 다른 업링크 전송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재전송 요청은 보다 높은 제어계층들이 책임을 지게 되지만, 이들 동작들은 재전송에 단지 지연시간(latency)만을 부가한다. 따라서,
Figure 112017016102518-pct00012
(ack를 nack로 잘못해석할 확율)에 대한 필요조건은
Figure 112017016102518-pct00013
보다 한층 더 제한적이다.
3GGP TSG RAN WG 4는,
Figure 112017016102518-pct00014
=10-3 이 충족하는 가장 작은 SNR로서 테스트 필요조건을 규정하였다. 따라서, 주어진 PHICH 그룹 내측에서, PHICH가 목표로 하는 각 UE가 확률 목표(probability target)이 되도록 전력이 분포되어야만 한다. 합리적인 단순화로서, 주어진 PHICH 그룹 내에서 각 ARQ 신호의 전력 레벨이 다른 UE들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설정될 수 있도록 UE들의 기여가 분리된다고 추정할 수 잇다.
PHICH 그룹 내 단일 UE에 대해, 무작위 가우시안 변수의 확률밀도 함수들을 고려하면, 결정 임계(decision threshold)가 0에 위치한다면, ack 요청들은 전력을 거의 두 배로 만들어 불균일한 에러 확률을 유지한다. UE 10퍼센트의 BLER에서 전송을 한다고 상정하면, 이러한 사실은, ack들이 시간의 90퍼센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PHICH 그룹에서 전송되고 있는 ARQ 응답들의 대부분 또는 모두가 답신된다는 가능성과 그리고 이들 답신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뢰성 타겟들은, PHICH 그룹 전송을 위해 eNodeB에서 비교적 높은 전력 할당들에 대한 필요성이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특징에서, 본 발명은 ARQ 시그날링 전력을 할당할 때 대응하는 업링크 자원 할당을 고려한다. 특히,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자원들의 보다 큰 할당을 수반하는 UE 전송들에 대응하는 답신("ack") 신호들에 보다 큰 전력이 할당된다. LTE 망의 예시적인 문장에서, eNodeB는 보다 큰 업링크 대역폭 할당들과 관련된 UE 전송들을 답신("acking")하기 위해 그의 ack 시그날링 전력을 "증가시킨다(boosts)". 부수적으로 또는 다르게, UE는 ack 결정을 조력하기 위해서, 큰 자원 할당들을 사용하였던 전송들과 관련된 답신들에 대해 그의 ARQ 신호 평가를 바이어스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된 지침들의 한 실시예는, 무선통신 송수신기들에서 다수의 원격 송수신기들의 각각으로 ARQ 시그날링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원격 송수신기들 중 주어진 것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또한 이들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디코딩에 실패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nack 신호를 그리고 디코딩을 통과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ack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차원들의 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ack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ack 와 nack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무선통신 송수신기는 eNodeB에 의해 스케쥴되는 업링크 자원 할당들에 따라 LTE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LET 망 내 eNodeB에 포함된다. 따라서, ARQ 신호(즉, ack 및/또는 nack 신호들)들은 PHICH 그룹 내에서 코딩된 신호들이고, 그룹은 LET 단말기들 중 하나 이상을 목표로 하는 ARQ 신호들을 포함한다. 또한, ack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 예컨대 규정된 에러 확률 타겟들에 따라 공칭 또는 목표 ack 전력을 결정하고, 그리고 답신되고 있는 전송에 할당되었던 업링크 자원들의 양에 따라, 전력을 보다 높게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는 무선통신망에서 작동을 위한 무선통신 송수신기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다수의 원격 송수신기들 중 주어진 것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회로와; 수신한 신호들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딩 회로들과; 디코딩에 실패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nack 신호들을 생성하고 또한 디코딩을 통과한 수신신호들에 대해서는 ack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재전송 제어 회로와; 대응한 수신 신호들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ack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력제어 회로와; 그리고 ack 와 nack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다시 한번, 비-제한적인 예로서, 송수신기는 LTE 망에서 동작을 위해 구성된 eNdodeB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LTE 단말기 또는 다른 UE에 포함되는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에서 ARQ 신호 검출의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차례 차례로 제1신호를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에 전송하고 또한 대응하는 ARQ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ARQ 신호가 답신(ack) 또는 비-답신(nack)를 반송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ack/nack 결정 임계레 따라 ARQ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와; 그리고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제1신호의 전송에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ack 결정으로 상기 평가 단계를 선택적으로 바이어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응한 장치 실시예에서,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는: 차례 차례로 제2무선통시 송수신기로 제1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대응하는 ARQ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기는 ARQ 신호가 ack 또는 nack를 반송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ack/nack 결정 임계에 따라 ARQ 신호를 평가하고; 그리고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제1신호의 전송에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ack 결정으로 그의 ARQ 신호 평가를 선택적으로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특징 및 장점들의 요약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도면들을 검토하고,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eNodeB는, 답신되는 신호들과 관련된 자원 할당량들의 평가에 따라서, "향상된 신뢰도"(전력 증강)으로, 또는 "공칭 신뢰도"(증강이 없는 공칭 전력)로, 또는 "감소된 신뢰도"(공칭 전력보다 낮은)로 답신들을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선통신망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하나 이상의 (원격) 제1송수긴기로부터 전송을 수신하는 것에 응해 ARQ 시그날링(ack/nack 신호들)을 제2송수신가 전송한다.
도 2는 ARQ 신호 생성을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도로서, (선택적인) ack 전력 증강(boosting)이 높은-위험도의 ack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3은 ack 전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기(12)와 같은, 망 노드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선택적인, 사용자 기반으로 ack 전력을 증강시키도록 구성된 변조/코딩 회로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6은 LTE 망에 설정된, ack 전력 증강의 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송수신기(14)와 같은, 단말기 노드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8은 답신되는 전송에 대해 이루어진 자원 할당들의 함수에 따라 만들어지는 그의 ack 결정을 (선택적으로) 바이어스시키기에 적합한 ack/nack 결정회로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9는 ack/nack 심볼 결정 동계들을 조정함으로써 ack 결정을 바어이싱시키는데 사용하는, 바이어싱회로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10은 ack 결정 바이어싱을 위해, ack/nack 결정 임계를 조정할 수 있는, ack/nack 결정 스케일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ack 결정 바이어싱의 방법의 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도.
도 12는 ack 결정 바이어싱이 사용되는 제1모드에서 동작하여야 할지, 또는 ack 결정 바이어싱이 사용되지 않는 제1모드에서 동작하여야 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도.
도 1은 원격 송수신기(14: 또는 이동국)에 ARQ 시그날링을 전송하는 무선통신 송수신기(12: 또는 기지국)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망(10)의 한 실시예의 간략화된 도면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LTE 망을 포함하는, 망(10)은 다수의 통신, 제어 및 인증(authentication) 엔티티(eneities)를 포함하고, 또한 망(10)을 인터넷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망(18)에 통신적으로 연결시키는 코어망(core network)을 더 포함한다.
무선통신 송수신기(12)는 다수의 원격 송수신기(14)들 내 각각에 ARQ 시그날링을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논의의 명확성을 위해 필요할 때, 원격 송수신기들은 14-1, 14-2 등과 같은 접미사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참조번호 14는 원격 송수신기들에 대한 단수 또는 복수 참조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방법은 원격 송수신기(14)들 중 주어진 것들로부터 (송수신기(12)에서) 신호들을 수신하고 또한 이들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블록 100). 게다가, 방법은 디코딩에 실패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비-답신(non-acknowledgment)(또는 "nack") 신호들을 생성하고 또한 디코딩을 통과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답신(또는 "akck")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블록 102). 방법은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ack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블록 104). 또한, 방법은 ack 및 nack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데, 여기서 답신되고 있는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ack 신호들이 전송되고 또한 비-답신되는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nack 신호들이 전송된다(블록 106).
도면을 참조하면, 송수신기(12)에 의해 답신되고 또한 비-답신되는 신호들은, LTE 시스템에서 물리적 자원 블록들과 같은 업링크 자원 할당들에 따라서, 무선통신 업링크(UL)를 통해 개별적인 송수신기(14)에 의해 전송된다. 이들 업링크 자원 할당들은 송수신기(12)에 의해 스케줄되거나 또는 관리된다. 개별적인 송수신기(14)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을 답신하거나 및/또는 비-답신하는 ARQ 신호들은 무선통신 다운링크(DL)를 통해 송수신기(12)에 의해 전송된다.
상기 방법의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단계는,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a defined allocation threthold) 미만이라면 전송 전력레벨을 공칭 레벨(nominal level)에 설정하고, 또한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 위라면 전송 전력레벨을 증강 레벨(boosted level)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공칭" 전력레벨은 관련 원격 송수신기에 대해 현재-추정된 채널 상태들과 또한 ack 신호들에 대해 규정된 수신상태 신뢰도 필요조건에 따라 계산된다. 따라서, 증강 레벨은, 현재 채널 상태들에 대해, 규정된 ack 수신상태 신뢰도 필요조건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칭 레벨보다 크다는 의미에서 "증강(boosted)"된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ack 신호들에 대한 알려진 수신상태 신뢰도 필요조건과 현재-추정된 전파채널(propagation channel) 상태들의 함수에 따라 공칭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와, 그리고 공칭 레벨을 상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증강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단계는 규정된 임계량 미만인 채널 자원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에 대한 공칭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고, 또한 규정된 임계량 위의 채널 자원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증강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ack 전력 설정 단계의 예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주어진 ack 신호에 대한 공칭 전송 전력레벨을 계산함으로써 시작하고(블록 110), 그리고 답신되는 신호에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량이 몇몇 규정된 임계 자원량 미만인지를 결정한다(블록 112). 만일 미만이라면, ack 신호는 공칭 전력레벨에서 전송된다-즉, 증강되지 않는다. 만일 미만이 아니라면, ack 신호 전송 전력레벨은 증강되고(블록 116), 그리고 증강된 레벨에서 전송된다(블록 118).
그러므로, 대응하는 전송에 대해 이루어진 자원 할당-즉, 답신되고 있는 것-이 임계 할당량 위였다면 주어진 ack 신호는 증강된다. 여기서 "양(amount)"은 대역폭 할당의 항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자원 할당의 "양"은 OFDM 자원요소/자원블록 할당의 숫자로 나타낼 수 잇다.
한 특정 예에서, 송수신기(12)는 LTE 망에서 동작하는 eNodeB를 포함하고 그리고 원격 송수신기(14)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의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eNodeB에 사용자 신호들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PUSCH의 주어전 서브프레임에 대해, 방법의 수신 단계는 주어진 사용자 신호들을 수신하고 또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설정 단계는 물리적 하이브리드-ARQ 표시채널(PHICH)을 통해 eNodeB에 의해 전송되게 되는, ack 신호들의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전송 전력레벨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eNodeB는 PHICH 그룹을 전송하기 위한, 소정량의 가용 전송 전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주어진 PHICH 그룹에서 다수의 증강된 ack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총합 전력(aggregate power)이 PHICH 전송을 위한 전력 할당을 초과할 수 있다. 작동시, eNodeB는, ack 신호들의 그룹에 대해 요청된 전송 전력이 PHICH를 통한 전송에 가용할 수 있는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또한 만일 초과한다면, PHICH에 대한 전송 전력할당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일 eNodeB가 충분한 가용 유보 전력(reserve power available)을 가진다면, 유보 전력으로부터 단순히 인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만일 ack 증강을 위해 필요한 전력의 양이 가용 유보 전력과는 무관하게 완전히 할당되지 못한다면, eNodeB는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신호에 대해 할당된(또는 유보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및 상기 방법의 변형예)을 구현하는 것에 관해 말하면, 송수신기(12)는 제어, 프로세싱 및 통신 회로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수신기 회로(20)와, 복조/디코딩 회로(22)와, 수신기 프로세싱/제어 회로(24)(UL 스케줄러(26) 포함)와, (시스템 제어기, 응용 프로세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회로(28)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노드(12)에 대한 회로들의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송수신기(12)는, 재전송 제어 회로(32)와, 전력 제어 회로(34)를 포함하는 송신기 프로세싱/제어 회로(30)를 더 포함하고, 또한 코딩/변조 회로(36)와 송신 회로(38)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의 이의 변형예에 대한 강조로서, 송수신기(12)는 무선통신망(10)에서 작동을 위해 구성되고, 또한 다수의 원격 송수신기(14)들 중 소정의 것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회로(20)와, 수신한 신호들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딩 회로(22)를 포함한다. 또한, 재전송 제어 회로(332)는 디코딩을 실패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nack 신호들을 생성하고 또한 디코딩을 통과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ack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력 제어 회로(34)는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ack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송신회로(38)는 ack 및 nack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회로(34)는, 만일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 미만이라면 전송 전력레벨을 공칭 레벨로 설정하고, 또한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 위라면 전송 전력레벨을 증강 레벨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전력 제어 회로(34)는 관련 원격 송수신기(14)에 대한 현재-추정된 채널 상태들과 그리고 (무선통신 표준들의 적절한 공중 인터페이스 필요조건에 따라 규정될 수 있는) ack 신호들에 대한 수신 신뢰도 필요조건에 따라 공칭 레벨을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증강 레벨은 공칭 레벨보다 크다. 한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회로(34)는 ack 신호들에 대한 공지된 수신 신뢰도 필요조건과 그리고 현재-추정된 전파채널 상태들의 함수에 따라 공칭 레벨을 계산하고, 또한 공칭 레벨을 상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증강 레벨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정은 단계적 조정일 수 있거나, 또는 비례적 조정일 수 있다. 또한, 관련 UL 자원 할당량에 따라, 증강량을 변경할 수 있다.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회로(34)는 규정된 임계량 미만인 채널 자원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에 대해 공칭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고, 또한 규정된 임계량 위인 채널 자원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증강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2)는 LET 망에서 작동하는 eNodeB이고, 또한 원격 송수신기(14)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eNodeB에 사용자 신호를 전송하는 (LTE) 사용자 단말기(또는 사용자 장비, UE)이다. 이러한 설정에서, eNodeB는 PUSCH의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주어진 사용자 신호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또한 물리적 하이브리-ARQ 표시 채널(PHICH)을 통해 eNodeB로 전송되게 되는 ack 신호들의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이와 같은 한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회로(34)는, ack 신호들의 그룹에 대해 필요한 전송전력이 PHICH를 통한 전송에 가용할 수 있는 전송전력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일 초과한다면, PHICH에 대한 전송 전력할당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상기 ack 전력레벨 조정, 또는 "ack 증강"이 수행될 수 있는, 코딩/변조 회로(36)의 한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에 8개의 (사용자로서 알려지고, 또한 사용자 1 내지 사용자 7로 표시되는) 원격 단말기(14)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딩회로(42)는 사용자 각각에 대해 엔코딩된 ack 또는 nack 비트(bits)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이와 같은 코딩된 비트들 세트 각각은 맵핑회로(44)에 의해 대응하는 BSPK 심볼 상에 맵핑된다. 각 사용자에 대한 최종 BPSK심볼은 확산회로(spreading circuit)(46)에서 확산되고, 그리고 승산회로(multiplier circuit)(50)에서, 증폭 자리이동 계수(amplification scale factor) Gx 로 증폭되고, 여기서, "x"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한다. 증폭된 신호들은 송신회로(38)에서 전송처리를 위한 준비로서, 결합회로(combining circuit)(52)에서 결합된다.
Gx의 값을 조정하여 원하는 증강을 가져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x에 대한 Gx는 공칭 전력 필요조건에 따라 계산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증가적으로 또는 비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답신되는 사용자 x로부터 전송에 할당되었던 업링크 자원들의 양에 따라 증강 조정(boosting adjustment)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략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할당들에 대해서는 증강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큰 할당들에 대해서는 하나 이상의 증강 레벨들이 사용되는 경우일 수 있다. 비-제한적이지만, 이 방법의 중요한 장점은, 큰 자원 할당과 관련된 수신 신호들을 답신하는 높은 신뢰도가 사용되는 것인데, 이러한 신호들의 착오 재전송이 잠재적으로 보다 지장을 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PHICH 그룹 전송들에 할당할 수 있는 총합 전송전력에 대해 실제 또는 원하는 제한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답신되는 신호들과 관련된 자원 할당들을 기반으로, 주어진 그룹 내에서 ack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증강시키거나 또는 증강시키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컨대 eNodeB가 전력을 절감하거나 및/또는 원하는 전력 예산 내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착오 재전송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한 통신링크 두절을 일으키지 않는다. 즉, eNodeB는, 답신되는 신호들과 관련된 자원 할당량들의 평가에 따라서, "향상된 신뢰도"(전력 증강)으로, 또는 "공칭 신뢰도"(증강이 없는 공칭 전력)로, 또는 "감소된 신뢰도"(공칭 전력보다 낮은)로 답신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강 제어를 명심하면, 도 6은 송수신기(12)의 하나 이상의 구성들로 구현되는 ack 전력 제어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프로세싱은, 신호가 답신되고 있는 주어진 UE에 대한 UL 할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블록 120). 그런 다음, 송수신기(12)는 UL 할당을 기반으로, 상기 UE에 대한 ack 신호의 ack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력 레벨에서 ack 신호를 PHICH 그룹 내에 전송한다.
도 6의 프로세싱과, 더 기술하는 다른 방법 실시예들의 프로세싱은 전용 프로세싱 회로들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들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재전송 제어 및 전력 제어 회로(32 및 34)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컴퓨터-기반 프로세싱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이들 회로들은, 프로그램과 작업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회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송수신기(12) 내 메모리 또는 다른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의해 유지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회로들에 의해 실행되면, 기술한 ack 시그날링 전력제어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회로들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한다.
비슷하게, 단말기(14)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제어, 프로세싱 및 통신 회로들의 배열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7은 셀룰러 전화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무선통신장치일 수 있는 송수신기(14)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모든 송수신기(14)들은 비슷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동일한 능력을 반드시 가질 필요가 없음을 명심하라).
도면에 따라, 주어진 송수신기(14)는 수신회로(62)와 송신회로(64)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안테나(60)를 포함한다. 수신기 및 송신회로(62 및 64)들은 제어 회로(66)에 연결되고, 제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기능적인 회로의미에서, 제어 회로(66)는 ack/nack 평가회로(68)를 포함하고, 송수신기(14)는 시스템 및/또는 응용 프로세서들,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들, 전력제어 회로들과 같은 소정의 수의 추가 회로(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6)의 적어도 일부분은 프로그램 가능한 회로망을 사용하여 구현되는데, 예컨대 제어 회로(66)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예컨대, FLASH 또는 EEPROM 메로리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회로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회로들에 의해 실행되면 여기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송수신기(14)를 특별히 구성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의 특정 예로서, 도 8은 ack/nack 평가회로(68)에 대한 기능적 회로 배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시한 프로세싱 요소들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ack/nack 평가회로(68)가 ack 결정 바이어싱이 사용되는 모드 또는 ack 결정 바이어싱이 사용되지 않는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제어하게끔 구성되는 평가모드 제어 회로(72)를 볼 수 있다. 또한, 평가회로(74)와, 바이어싱회로(76)가 포함된다. 평가회로(74)는 실제 ack/nack 평가결정을 하도록, 즉 수신한 ARQ 신호가 nack를 나타내는지 또는 ack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에 보완하여, 바이어싱회로(76)는 이러한 결정에 대한 바이어싱을 제어하거나 또는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다른 무선통신장치일 수 있는 송수신기(14)는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로 제1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64)와, 그리고 대응하는 ARQ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62)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1신호는, 제1무선통신 수신기로서 작동하는 송수신기(12)에 의해 스케줄되거나 또는 할당된 업링크 자원들을 통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이다.
송수신기(14)는 ARQ 신호가 ack 또는 nack를 반송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ack/nack 결정 임계에 따라 ARQ 신호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66)를 더 포함한다.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작동하면, 제어 회로(66)는 제1신호의 전송에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ack 결정을 향해 그의 ARQ 신호 평가를 선택적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여기서,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는, ARQ 신호 프로세싱이 수신기의 ack-또는-nack 검출을 ack 검출을 향해 바이어스시키도록 조정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이 바이어싱은, 바이어스되지 않음 모드에서 동작과 비교하면, 수신기가 수신한 ARQ 신호값을 ack로서 해석하기 쉽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6)는, 적어도 큰 양의 채널 자원할당들이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에 의한 대응하는 전송에 수반되었던, 향상된 신뢰도로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가 ack들을 전송하는지를(즉, 예컨대 공칭 신뢰도 타겟을 만족시키는데 필요로 한 전송 전력과 비교해, 답신신호에 사용된 전송 전력의 증강) 결정함으로써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작동할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어 회로(66)는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동작하고, 그렇지 않다면 바이어스되지 않은 결정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여기서 ARQ 신호평가는 ack 결정을 향해 바이어스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6)는 수신기(62)를 통해,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가 향상된 신뢰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시그날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LTE 예에서, eNodeB 또는 다른 망 엔티티는, eNodeB가 ack 전력 증강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시그날링을 전송한다. 그러므로, 망에서 동작하는 송수신기(14)와 같은 단말기들은 ack 결정 바이어싱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명시적인 시그날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어 회로(66)는, 답신되고 있는 신호 전송들에 대해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송수신기(12)가 ARQ 신호 전력을 증강시키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송수신기(12)로부터) 대응하는 ARQ 신호들의 수신 신호전력과 송수신기(14)에서 송수신기(12)로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을 상관시키도록 구성된다.
ack 신호전력과 대응하는 자원 할당량 간의 종속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상관은 현재 무선채널 특성들을 고려한다. 예컨대, 수신한 ack 신호전력은 무선채널 추정들로 정규화되고 또한 정규화된 값들은 답신되고 있는 신호와 관련된 자원 할당과 상관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다수의 ack 신호 수신에 대해, 송수신기(14)는 ack 신호전력과 답신되고 있는 신호들과 관련된 자원 할당량 간의 정확한 결정을 개발할 수 있다.
송수신기(14)가, ack 결정 바이어싱이 사용되는 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에, 모든 ARQ 신호 평가를 바이어스할 필요는 없다. 차라리, 제어 회로(66)는, 제1신호를 전송하는데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이 규정된 임계값 아래이면 ack 결정을 향해 평가를 바이어싱시키지 않고, 그렇지 않으면 ack 결정을 향해 평가를 바이어싱시킴으로써 수신한 ARQ 신호의 평가를 선택적으로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수신기(14)에서 송수신기(12)로 주어진 전송 동안에, 송수신기(14)는, 주어진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이 규정된 할당 임계값 위 또는 아래였는지를 기반으로, 송수신기(12)로부터 리턴되는 대응하는 ARQ 신호의 평가를 바이어스하거나 또는 바이어스하지 않는다.
평가를 바이어싱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제어 회로(66)는 소정의 하나 이상의 바이어싱 방법을 사용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6)는 수신한 ARQ 신호로부터 획득한 신호 검출통계를 ack 값으로 선택적으로 바이어싱시키고, 또한 바이어스된 신호 검출통계를 ack/nack 결정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수신한 ARQ 신호에 대한 "소프트(soft)" 결정 통계는 규정된 ack값을 향해 수치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66)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수신한 ARQ 신호에 반송되는 ack/nack 심볼에 대해 획득된 소프트 결정 통계에 수치적 오프셋을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구현을 도시한 것으로서, 송수신기(14)에 포함된 "바이어싱"회로(80)는 ARQ 신호 검출 통계에서 동작하여, 바이어스된 검출 통계를 생성한다. 바이어스되지 않은 검출 통계보다는, 최종 바이어스된 검출 통계가 평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6)는 ack 검출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ack/nack 결정 임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고, 또한 수신한 ARQ 신호로부터 획득한 신호 검출 통계를 바이어스된 ack/nack 결정 임계와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이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결정 스케일이 한 단부는 ack 심볼의 공칭값
Figure 112012008756160-pct00015
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다른 단부는 nack 심볼의 공칭값
Figure 112012008756160-pct00016
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ack/nack 결정 임계값은 -1과 +1의 ack 및 nack 예시적인 값들 간의 중간점(0 값)에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중간점 설정은 바이어스되지 않은 ack/nack 평가에 대해 사용된다. 바이어스된 결정에 있어서, ack/nack 결정 임계값은 ack 결정을 위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결정 임계값은 공칭 nack 값을 향해 이동하여, 수신한 ARQ 신호의 검출값이 ack로서 해석되기 쉬운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특히 결정 통계값을 조정하는 다른 해결책으로서, 제어 회로(66)의 동작모드에 따라서(및 바이어스/비-바이어스 결정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정의 자원 할당 임계값들에 따라서),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는, 바이어스 조정의 한 값만이 있을 수 있다. 역으로, ack 결정에 바이어싱을 적용할지를 결정하는 것 이외에, 제어 회로(66)는, ARQ를 수신되었던 전송들의 채널 자원 할당량에 따라서, 바이어싱의 양의 변경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할당이 크면 클수록, 바이어싱이 커진다. 물론, 바이어싱의 최대 양은 한도가 정해질 수 있고, 또한 바이어스되지 않은 ack 검출에 대해 유용한 개선을 얻기 위하여, 최소량의 바이어싱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6)는 차례로 제1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대응하는 ARQ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제1신호의 전송에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ack/nack 결정 임계값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설명하였듯이, 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4 및 12)들은 각각 LTE 망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망 노드(eNodeB)이다. 여기서, 단말기(14)의 송신기(64)는 상기 제1신호로서 업링크 신호를, 전송을 위해 송수신기(14)에 할당된 특정 채널 자원들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기(14)는 송수신기(12)로부터 물리적 하이브리드 ARQ 지시 채널(PHICH) 신호로서 ARQ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동작에서, 제어 회로(66)는 채널 자원들의 큰 할당에 대해서는 큰 바이어싱을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된 양의 바이어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구성을 명심하고서, 도 11은 ack/nack 결정 바이어싱을 수행하고 또한 제어하기 위한, 송수신기(14)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11은 차례로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로 제1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대응하는 ARQ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블록 130)를 포함하는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 예컨대 송수신기(14)에서 ack/nack 검출의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방법은 ARQ 신호가 ack 또는 nack를 반송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ack/nack 결정 임계값에 따라 ARQ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로 지속한다(블록 132).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동작하면, 상기 평가는, 제1신호의 전송에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ack 결정을 향해 상기 평가를 선택적으로 바이어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가 향상된 신뢰도로 ack들을 전송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언제 동작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적어도 큰 양의 채널 자원 할당들이 수반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는 바이어스된 결정 모드에서 동작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이어스되지 않은 결정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평가는 ack 결정을 향해 바이어스되지 않는다.
방법은,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가 향상된 신뢰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시그날링을 수신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큰 양의 채널 자원들이 답신되고 있는 전송에 대해 수반되는) 향상된 신뢰도로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가 ack들을 전송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방법은 제2송수신기에 의해 향상된 ack 신뢰도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에서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로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을 대응하는 ARQ 신호들의 수신 신호 전력들과 상관시키는 것을 기반으로 한 향상된 신뢰도로 ack들이 전송되고 있는지를 검출한다. 이러한 상관 프로세싱은, 답신되고 있는 신호 전송들에 대해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제1무선통신 송수신기로부터 신호 전송들을 답신하기 위한 ARQ 신호 전력을 제2무선통신 송수신기가 증강시켜야 하는지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다수의 전송들에 대해, 즉 100개 이상의 전송들에 대해, 제1송수신기는 제2송수신기로 그의 전송들에 대해 이루어진 채널 자원 할당들을 추적하고(track), 따라서 제2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ARQ 신호들의 신호 강도 또는 전력을 추적한다. 이러한 추적은, 전송을 위한 할당들과 그리고 이들 전송들에 대해 수신된 ack 들의 대응하는 수신 신호 강도 또는 전력을 작동기록(running record)을 유지하는 것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정규화(normalization) 또는 다른 프로세싱 기술(예컨대, 필터링)을, 큰 채널 자원 할당들과 관련되는 제1송수신기로부터 전송들을 답신하기 위해 증강된 전송 전력레벨을 제2송수신기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이러한 상관-기반 추적의 LTE-기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14)는, 가변 양의 업링크 자원 할당들을 사용하는 업링크를 통해 송수신(12)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송수신기(12)로부터 PHICH 전송들에서 대응하는 ARQ 신호들을 수신한다. 따라서, 송수신기(14)는 PHICH ack/nack 전력을 업링크 자원 할당들에 상관시킨다(블록 140).
또한, 송수신기(14)는 특정 디자인과 또한 작동적 고려 사항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 규정된 상관 임계값에 상관 결과들을 비교한다(블록 142). (상관 임계값은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간에 걸쳐 결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0의 상관값이 ack 전력과 대응하는 UL 자원 할당들 간에 비-상관(no-correlation)과 동일하고, 1의 값은 완전한 상관과 동일한 경우에, 상관 임계값은 1/2 또는 이보다 큰 값에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UL 자원 할당들과 대응하는 ack 전력들 간에 관측된 상관이 상관 임계값 아래가 아니면(블록 142로부터 No), 송수신기(14)는, 송수신기(12)가 큰 UL 자원 할당들과 관련되는 송수신기(14)로부터의 전송들을 답신하기 위해 향상된 신뢰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송수신기(14)는, 바이어스되지 않은 ack 평가모드가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고 위험성의 ack들에 대한 ack 신뢰도가 송수신기(12)에 의해 증강되고 있는 경우에 바이어싱이 필요치 않음, 따라서 바이어싱 되지 않은 ack 결정 모드로 전환시킨다(또는 남겨둔다)(블록 144).
한편, 관측된 상관이 규정된 상관 임계값 위라면(블록 142로부터 Yes), 송수신기(14)는, 큰 양의 UL 자원들과 관련된 전송들을 답신하는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송수신기(12)가 ack 전력 증강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송수신기(14)는 동작의 바이어스된 ack 결정 모드로 전환하고(또는 잔류하고), 여기서 UL 자원 할당들을 기반으로 ack 결정을 바이어스한다(블록 146). 동작의 바이어스된 akc 결정 모드의 적어도 한 구현에서, 바이어싱은 여전히 선택적이다. 예컨대, 제1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채널 자원들의 양이 규정된(할당량) 임계값 아래이면 송수신기(14)는 ack 결정을 향해 그의 평가를 바이어스하지 않는다. 역으로, 할당이 임계값 위라면, ack 결정을 향해 평가를 바이어스한다.
대략적으로, 망 송신기는 답신되고 있는 전송들을 시작한 관련 원격 단말기에서 고 위험성 ack들에 대한 수신이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akc 전력 증강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여기서, "고 위험성' ack는 큰 자원할당 가지는 신호의 답신 수신에 사용되고 있는 답신 신호이다. 이러한 ack 신호들은 높은 위험성을 가지는데, ack가 nack로 잘못 해석되면 발생하게 되는 것과 같이, 큰 자원 할당을 통한 착오 재전송이, 자원들에 순차적으로 할당되는 잠재적인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에 지장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관련 원격 단말기는 바이어스된 ack 평가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망 송신기는 ack 전력 증강을 사용하고, 또한 바람직하게, 관련 단말기는 ack 전력 증강이 사용중에 있는 것을 인식하여, 따라서 바이어스되지 않은 ack 결정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반대로, 망 송신기가 ack 전력 증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거나 또는 결정하면, 관련 단말기가 바이어스된 ack 결정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TE 실시예에서, eNodeB는 주어진 PHICH 그룹 내에서 ARQ 시그날링 전력을 할당할 때 에러가 있는 ack 수신의 위험성을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주어진 ack는 답신되는 UE 전송과 관련된 업링크 자원들의 양에 따라 보다 많은 위험성 또는 보다 적은 위험성을 취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할당들은, nack에 대해 ack로 잘못 판단함으로써 야기되는, UE에 의한 에러가 있는 재전송이 eNodeB에서 심각한 업링크 간섭을 야기시키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으로, UE의 큰 업링크 자원 할당들은, 소정의 에러가 있는 재전송이 심각한 업링크 간섭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ack를 nack로 에러가 있게 검출하는 것과 관련되는 위험성은, 답신되는 업링크 전송들에 할당된 업링크 자원들의 양을 기반으로 한다. 방법은 eNodeB 및/또는 UE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한 구현에서, eNodeB는 할당된 UL 자원들에 따라 그의 ack 전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한 구현에서, UE는 eNodeB가 ack 증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만일, ack 증강이 eNodeB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UE가 결정하면, UL 자원 할당량에 따라 ack 검출을 향해 결정을 바이어스하기 위해, UE는 그의 내부 ack 결정 만들기를 조정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UE가 ack를 nack로 잘못 해석하게 되는 위험성을 낮춘다. 다시, 이 방법의 훌륭한 예시적 장점은, 큰 자원 할당들을 통해 UE들이 잘못 재전송함으로써 야기되는 eNodeB에서 심각한 통신링크 붕괴의 경우가 거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주어진 지침은, 한 송수신기가 전송들에 할당된 전송 자원들의 양(예컨대, 대역폭에서)에 따라, 다른 송수신로부터 전송들을 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력을 조정(증강)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이 방식에서, 높은 양의 자원 할당들을 수반하는 전송들은, 큰 신뢰도로 답신된다. 또는, 고 위험성 ack들에 대한 전송 전력을 증강시키기 보다는, ack들을 수신하는 송수신기가 ack 결정을 도와주기 위하여, (적어도 고 위험성)ack들을 만드는 그의 ack 결정을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송된 ack를 nack로 잘못 검출하게 되는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ack 전력 증강에 대해, 답신되는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이 주어진 임계값 위에 있을 때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증강은 한(one) 레벨의 증강, 또는 가변 레벨의 증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증강은, 증강 증분(boosting increment)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증강은, 예컨대 자원 할당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양에 비례하게, 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별적인 증강 실시예들의 개선으로서, 자원 할당들은, 예컨대 큰, 보다 큰, 및 가장 큰 범주들로 양자화될 수 있고, 또한 답신되는 주어진 전송에 대해 결정된 할당 범주에 따라서 상이한 량의 증강이 사용될 수 있다.
비슷하게, ack 결정 바이어싱은 자원 할당들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증분과 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ack 결정 바이어싱은 양자화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범주화될 수 있다. 예컨대, "작은 할당" 범위 내에 들어가는 자원 할당들을 가지는 전송들과 관련된 ack 신호들에 대해서는 작은 바이어스 조정을 사용할 수 있는 한편, "큰 할당" 범위 내에 들어가는 자원 할당들에 대해서는 큰 바이어스 조정을 사용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ack 결정 바이어스는 제1신호의 전송에 할당되었던 채널 자원들의 양에 따라 ack/nack 결정 임계값(또는 ack 심볼 검출 통계)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이와 같은 바이어싱은, 채널 자원들의 큰 할당에 대해서 큰 바이어싱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및 다른 예시적인 세부 사항들은 논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고, 또한 본 발명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거나, 또는 첨부 도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26)

  1. 기지국(12)에서 다수의 이동국(14) 각각으로 자동반복요청(ARQ) 시그날링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동국들 중 주어진 것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이들을 디코딩하는 수신 단계(100)와;
    디코딩을 실패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비-답신(nack) 신호들을 생성하고 또한 디코딩을 통과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답신(ack)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102)와;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대역폭의 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ack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104)와;
    ack 및 nack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106)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만일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대역폭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값 미만이면 공칭 레벨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만일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대역폭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값 이상이면 전송 전력레벨을 증강된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칭 레벨은 관련 이동국에 대해 현재-추정된 채널 상태들과 ack 신호들에 대해 규정된 수신 신뢰도 필요조건에 따라 계산되고, 또한 상기 증강 레벨은 공칭 레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ck 신호들에 대한 공지된 수신 신뢰도 필요조건과 현재-추정된 전파채널 상태의 함수로서 공칭 레벨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공칭 레벨을 상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증강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규정된 임계량 미만인 전송 대역폭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에 대해서 공칭 전송 전력레벨들을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규정된 임계량 이상인 전송 대역폭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증강된 전송 전력레벨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무선통신망에서 망 노드이고, 상기 수신 신호들은 송수신기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이동국들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사용자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LTE 망에서 작동하는 eNodeB이고 또한 이동국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eNodeB에 사용자 신호들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이고, 그리고
    상기 수신 단계는, PUSCH의 주어진 서브프레임 동안, 주어진 사용자 신호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설정 단계는 물리적 하이브리드-ARQ 지시 채널(PHICH)을 통해 eNodeB에 의해 전송되게 되는, 대응하는 ack 신호들의 그룹에 대해 전송 전력레벨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ack 신호들의 그룹에 대해 필요한 전송전력이 PHICH를 통한 전송을 위해 가용할 수 있는 전송전력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PHICH에 대한 전송전력 할당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통신망(10)에서 작동을 위한 기지국(12)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다수의 이동국들 중 주어진 것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회로(20)와;
    상기 수신신호들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딩 회로(22)와;
    디코딩을 실패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비-답신(nack) 신호들을 생성하고 또한 디코딩을 통과한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답신(ack)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재전송 제어 회로(32)와;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대역폭의 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ack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제어 회로(34)와;
    ack 및 nack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만일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대역폭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값 미만이면 전송 전력레벨을 공칭 레벨로 설정하고, 또한 만일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대역폭의 양이 규정된 할당 임계값 위라면 전송 전력레벨을 증강 레벨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관련 이동국에 대해 현재-추정된 채널 상태들과 그리고 ack 신호들에 대해 규정된 수신 신뢰도 필요조건에 따라 공칭 레벨을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증강 레벨은 상기 공칭 레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ack 신호들에 대한 공지된 수신 신뢰도 필요조건과 현재-추정된 전파채널 상태들의 함수로서 상기 공칭 레벨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공칭 레벨을 상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증강 레벨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규정된 임계량 미만인 전송 대역폭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에 대해 공칭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고, 또한 규정된 임계량 위인 전송 대역폭 할당량을 가지는 수신 신호들에 대응하는 ack 신호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는 증강된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7항에 있어서,
    기지국은 무선통신망에서 송수신기 노드이고, 상기 수신 신호들은 상기 송수신기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이동국들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사용자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LET 망에서 작동하는 eNodeB이고 또한 상기 이동국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상기 eNodeB에 사용자 신호들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들이며, 상기 eNodeB는 PUSCH의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주어진 사용자 신호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또한 물리적 하이브리드-ARQ 지시 채널(PHICH)을 통해 eNodeB에 의해 전송되게 되는 대응하는 ack 신호들의 그룹에 대해 전송 전력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회로는 ack 신호들의 그룹에 대해 요청한 전송 전력이 PHICH를 통한 전송을 위해 가용할 수 있는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만일 초과한다면 PHICH에 대한 전송 전력 할당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27002927A 2009-07-02 2010-06-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이알큐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35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277609P 2009-07-02 2009-07-02
US61/222,776 2009-07-02
US12/638,451 US8693352B2 (en) 2009-07-02 2009-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ARQ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2/638,451 2009-12-15
PCT/EP2010/058058 WO2011000673A2 (en) 2009-07-02 2010-06-09 A method and apparatus for arq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464A KR20120038464A (ko) 2012-04-23
KR101735858B1 true KR101735858B1 (ko) 2017-05-15

Family

ID=4341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927A KR101735858B1 (ko) 2009-07-02 2010-06-0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이알큐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93352B2 (ko)
EP (1) EP2449712B1 (ko)
JP (1) JP5608739B2 (ko)
KR (1) KR101735858B1 (ko)
CN (1) CN102577208B (ko)
DK (1) DK2449712T3 (ko)
WO (1) WO20110006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0425B2 (en) 2008-08-15 2012-08-21 Apple Inc. Management of ARQ detection threshold in communication networks
JP2012532480A (ja) 2009-06-29 2012-12-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
US9112692B2 (en) * 2010-08-16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ACK/NACK transmiss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EP2659718B1 (en) * 2010-12-31 2016-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acknowledgment channels to channel groups having fixed transmit energies
PL2659719T3 (pl) * 2010-12-31 2017-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okacja kanałów potwierdzeń do grup kanałów o zmiennych energiach transmisji
CN102223722B (zh) * 2011-06-10 2013-11-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传输方法和设备
US8971435B2 (en) * 2011-07-25 2015-03-03 Blackberry Limited Multi-user communication using sparse space codes
US8879445B2 (en) * 2011-10-26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impact of power imbalance on remote data rat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2412945B (zh) * 2011-11-01 2014-05-07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物理混合重传指示信道的功率配置方法
US9055533B2 (en) * 2011-12-16 2015-06-09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WiFi and bluetooth coexistence usingreduced power for control packets
EP2665207B1 (en) * 2012-05-15 2018-04-18 MStar Semiconductor, Inc.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Radio Link Monitoring
US8964877B2 (en) * 2012-06-19 2015-02-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nging power to first transmission signals upon detecting ISM band
JP6600003B2 (ja) * 2015-03-05 2019-10-3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復号マージンに基づく送信特性の構成
CN105978624B (zh) * 2016-07-28 2018-03-16 哈尔滨工业大学 空间光通信中自动重传请求机制性能的获取方法
WO2018202192A1 (en) * 2017-05-05 2018-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CN108337074B (zh) * 2018-06-22 2018-09-11 恒玄科技(上海)有限公司 高可靠性的蓝牙耳机无线通信方法
WO2020091211A1 (ko) * 2018-11-0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harq 피드백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901074B (zh) * 2020-06-24 2022-06-17 广州安凯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真无线立体声耳机通话方法、装置、介质及终端设备
WO2022117745A1 (en) 2020-12-03 2022-06-09 F. Hoffmann-La Roche Ag Antisense oligonucleotides targeting atxn3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5485A2 (en) * 2003-12-02 2005-06-16 Lg-Nortel Co., Ltd. Method of power control and acknowledgement control for f-ackch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72717C (en) * 2000-10-04 2004-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of downlink shared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50989B1 (ko) * 2002-01-05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반복 요청(arq)시스템에서응답정보(ack/nack)신호에 대한 전력제어 방법
CN1806400B (zh) * 2003-07-01 2010-06-23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发送反向分组数据的设备和方法
US7292873B2 (en) * 2003-08-07 2007-1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base station ACK/NAK message transmit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321839T3 (es) * 2003-08-11 2009-06-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estion de potencia en terminales moviles para permitir la transmision de señales ack/nack.
SE0402260D0 (sv) 2004-09-15 2004-09-15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60133290A1 (en) * 2004-12-21 2006-06-22 Bengt Lindoff ACK/NACK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0950453B1 (ko) * 2005-08-19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궤환 신호의 신뢰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TE447802T1 (de) 2005-09-08 2009-11-15 Huawei Tech Co Ltd Detektionsverfahren für ack/nack-signale und detektor dafür
US8274940B2 (en) * 2007-02-28 2012-09-25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381095B1 (ko) * 2007-04-26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7953049B2 (en) * 2007-10-22 2011-05-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ceiver resources based on delay
US8531962B2 (en) * 2008-04-29 2013-09-10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of ACK resour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5485A2 (en) * 2003-12-02 2005-06-16 Lg-Nortel Co., Ltd. Method of power control and acknowledgement control for f-ack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9712B1 (en) 2016-05-25
JP5608739B2 (ja) 2014-10-15
KR20120038464A (ko) 2012-04-23
EP2449712A2 (en) 2012-05-09
JP2012531774A (ja) 2012-12-10
CN102577208A (zh) 2012-07-11
CN102577208B (zh) 2015-08-26
DK2449712T3 (en) 2016-08-29
US8693352B2 (en) 2014-04-08
US20110002278A1 (en) 2011-01-06
WO2011000673A3 (en) 2011-04-14
WO2011000673A2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85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이알큐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18835B2 (en) Feedback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6837564B2 (ja) フィードバック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US94507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CK/NACK in TDD system
US8750917B2 (en) Multiplexing and power control of up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293423B2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0875888B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01726A (ko) 이동 단말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방법
US20120014347A1 (en) Transmission controlling method, wireless transmitter, wireless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US8249011B2 (en) Signal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automatic repeat request transmissions
WO2008095334A1 (en) Peak to 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in multi- carrier systems
KR1010137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490373B2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2546131B (zh) 无线链路信号的更软合并方法和设备
US2005006334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decoding
CN109983722A (zh) 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方法及装置
Shariatmadari et al. 5G control channel design for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WO2018123058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81135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요청 방법.
CN113454937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pucch)不连续传输(dtx)的方法和装置
CN112235083A (zh) 反馈解调相关信息和调度终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