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79B1 -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 Google Patents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79B1
KR101735679B1 KR1020150015015A KR20150015015A KR101735679B1 KR 101735679 B1 KR101735679 B1 KR 101735679B1 KR 1020150015015 A KR1020150015015 A KR 1020150015015A KR 20150015015 A KR20150015015 A KR 20150015015A KR 101735679 B1 KR101735679 B1 KR 10173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ube
expansion tube
expansion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007A (ko
Inventor
조희남
조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5001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2Packers; Plu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2Packers; Plugs
    • E21B33/126Packers; Plugs with fluid-pressure-operated elastic cup or skirt
    • E21B2033/10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의 양수, 지중 관거의 인발, 지중 관거 구조물(상하수도관)의 수질 테스트(상수도의 급수압, 상하수관의 수밀성 등)시 사용되어 지중 심정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지중 관거를 지상으로 안정적으로 인발하며, 상하수의 누출없이 수질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부를 감싸며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둘레부가 관거 또는 지중 굴착공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팽창튜브(30)와; 상기 팽창튜브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튜브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어댑터(40)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튜브는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경부(33), 상기 확경부에 형형성되는 밴드링(34)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 중 일측 이상에는 상기 확경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지지턱을 포함하여 상기 팽창튜브가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Description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PACKER WITH EXPANSION TUBE FOR INCREASE EXPANSIVE FORCE}
본 발명은 관거 구조물(심정, 상하수도관, 지하수 양수관 등)의 차폐, 지지력 확보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패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튜브의 팽창을 통해 관거 구조물을 차폐하거나 인발하거나 테스트를 위한 지지력을 확보하며, 이 과정에서 팽창튜브가 이탈되지 않고 강한 팽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용도, 상하수도관의 보수나 수밀성 테스트를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지하수 심정을 개발하거나 수질이 오염되어 지하수 심정을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양수시 양수수단(양수펌프, 양수관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패커를 사용한다. 상기 패커는 팽창튜브가 지중 심정의 공벽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양수수단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지하수의 양수 등을 위한 지중 심정에 설치된 관의 노후화로 인하여 상기 관을 지중 심정에서 인발하는 경우 패커를 인양기에 연결하여 상기 관 안에 삽입하고 패커의 팽창튜브를 팽창하여 상기 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패커와 관을 일체화한 후 인양기를 통해 패커와 관을 함께 지상으로 인발한다.
또한, 하수관로의 보수시 패커를 하수관 안에 설치한 후 팽창튜브의 팽창을 통해 하수관을 막아 보수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패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팽창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팽창튜브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하우징에 어댑터 등을 통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의한 패커에 따르면, 팽창튜브 안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튜브가 팽창하면서 둘레부가 관거 구조물의 내벽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패커는 어댑터가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팽창튜브를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력이 약하며, 따라서, 유체가 강한 주입압력으로 주입되는 경우 팽창튜브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패커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팽창튜브보다 강도(인장강도)가 높은 보강재(강철심, 나일론사, 직물사 등)를 내장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강재 내장형 패커 역시 하우징과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하우징에서 이탈하거나 유체가 누출되는 틈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등록실용신안 제20-0304088호)은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어 등록받은 것으로, 팽창팩튜브가 장착된 공지의 그라우팅용 파이프 장치, 폐공팩카에 있어서, 팽창팩튜브 외면에 주름으로 겹쳐 원통형으로 제작한 주름을 형성한 팽창튜브 보호카바를 덧 씌운 후 양 끝을 고정시켜서 된 주름을 형성한 팽창튜브 보호카바이며, 팽창팩튜브의 둘레부에 팽창튜브 보호카바가 고압까지 지탱해주는 것이라 하지만, 별도의 팽창튜브 보호카바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와 시공성이 좋지 못하고, 철심을 통해 기계적 강도는 높였지만 자신이 팽창할 수 없는 재질과 구조이기 때문에 넓은 폭으로 팽창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점에서 효용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0460833호)는 주입된 공기의 팽창에 의해 첨착재가 발라진 경화수지가 하수도관에 첨착되도록 경화수지가 감기는 패커와, 이 패커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패커의 진행방향쪽에 하수관 내면을 이동하면서 결함의 여부와 보수 진행 상황을 감지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각 장치에 공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릴로 구성된 하수관 보수용 패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커의 몸체 양단에 하수관 보수 면적을 증가시키고, 접촉 면적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균등한 압력을 가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주름관부로 형성하되, 이 주름관부는 패커의 둘레방향으로 V자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하수관 보수용 신축 주름 방식 에어 패커장치로서, 패커의 고정력 증대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이 없으며 따라서 고압 주입시 패커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04088호 등록특허 제10-046083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수의 양수, 지중 관거의 인발, 지중 관거 구조물(상하수도관)의 수질 테스트(상수도의 급수압, 상하수관의 수밀성 등)시 사용되어 지중 심정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지중 관거를 지상으로 안정적으로 인발하며, 상하수의 누출없이 수질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부를 감싸며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둘레부가 관거 또는 지중 굴착공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팽창튜브와; 상기 팽창튜브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튜브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튜브는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경부, 상기 확경부에 형형성되는 밴드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 중 일측 이상에는 상기 확경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지지턱을 포함하여 상기 팽창튜브가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팽창튜브는 양측이 관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주머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에 의하면, 패커가 어댑터와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체의 큰 주입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팽창튜브가 이탈되지 않고 설치 위치를 유지하면서 팽창하여 관거 구조물(지중 심정, 지중 관, 상하수도관 등)에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유체의 누출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고 패킹력의 약화로 인한 오현상(지하수의 누출, 정확한 상수도 수압의 측정 불능, 상하수의 누출로 인한 정확한 수밀성 테스트 불능)을 방지함으로써 패커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효용성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에 적용된 어댑터와 팽창튜브 및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의 팽창튜브가 파형인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에 적용된 팽창튜브의 다른 예시도.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10)는, 하우징(20), 하우징(20)에 지지되며 둘레부가 관로(상하수도관, 인발을 위한 보수용 관, 지중 굴착공의 공벽 등)에 밀착 지지되어 지지력을 확보하고 수밀성을 확보하는 팽창튜브(30), 팽창튜브(30)를 하우징(20)에 지지하는 어댑터(40)로 구성된다.
하우징(20)은 팽창튜브(30)의 지지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며, 용도에 따라 길이방향의 양측이 관통된 관형, 수밀성 테스트를 위하여 하수 등이 유입되는 홀이 구비된 통형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을 관형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하우징(20)은 인양기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인양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인양기와 연결을 위한 구멍, 인양와이어 등이 갖추어진다.
팽창튜브(30)는 하우징(2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원형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자체 특성을 통해 유체의 주입시 주입 압력에 의해 늘어나는 성질을 갖는 모든 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팽창튜브(30)는 전술한 재질적 특성을 갖는 튜브 본체(31)의 내부에 튜브 본체(3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32)가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재(32)는 팽창튜브(30)를 보강하는 것이므로 팽창튜브(30)보다 큰 강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강철, 나일론, 직물 등이 가능하고, 단 팽창튜브(20)의 보강을 위하여 인장이 되지 않지만 복원은 가능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보강재(32)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길이방향(종방향)의 로프(실) 형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링 형태의 로프(실), 격자형의 그물망 형태 등이 가능하다.
어댑터(40)는 예를 들어 팽창튜브(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적용되어 팽창튜브(30)를 하우징(20)에 고정 지지하는 것이며, 물론, 팽창튜브(30)의 일측에만도 적용 가능하고 타측에는 다른 종류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팽창튜브(30)의 양측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어댑터(40)는 팽창튜브(30)의 모든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링 형태로 하여 유압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를 감안할 때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각각 결합되어 링 형태로 완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바람직하다.
어댑터(40)는 하우징(2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면서 팽창튜브(30)를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팽창튜브(30)가 이탈하지 않도록 팽창튜브(30)의 단부쪽에 하우징(20)과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부(41)가 형성된다. 고정부(41)는 하우징(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40) 또는 하우징(20) 또는 어댑터(40)와 하우징(20)의 사이에는 팽창튜브(30) 내부에 유체(에어, 시멘트 밀크 등)를 주입 및 필요시 회수하기 위한 주입수단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주입수단은 어댑터(40)에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되며 일측은 팽창튜브(30) 안과 대응하고 타측은 주입기가 연결되는 주입관일 수 있다.
이하, 팽창튜브(3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팽창튜브(30)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타구간보다 두께가 두꺼운 단면의 확경부(33)가 구비된다.
확경부(33)는 튜브 본체(31) 내부에 심재로서 밴드링(34)이 내장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튜브(30)는 단부에 각각 밴드링(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성형 즉 인서트 사출로 제조됨으로써 확경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밴드링(34)은 링 형상의 성형이 용이하고 튜브본체(31)보다 강도가 큰 재질이 바람직하고, 동선, 알루미늄선, 페브릭선 등이 있다.
하우징(20)과 어댑터(40)의 마주하는 면에는 팽창튜브(30)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턱은 삽입홈(21,42)이 형성된다.
삽입홈(21,42)은 팽창튜브(30)의 확경부(33)를 양쪽에서 덮어 지지하는 것이며, 팽창튜브(30)는 확경부(33)가 삽입홈(21,4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유체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삽입홈(21,4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더욱이 보강재(32)는 밴드링(34)에 연결 지지됨으로써 큰 지지력과 압착력을 확보하며, 예를 들어 밴드링(34)에 감기거나 밴드링(34)을 한차례 거쳐 돌아 나온 상태(U 턴)에서 팽창튜브형태로 성형되거나 밴드링(34)에 감기면서 2중으로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강재(32)를 양끝단의 어댑터(40)가 각각 지지하면서 붙드는 효과가 있게 되어 강한 인발력에서도 어댑터(40)로부터 팽창튜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보강재(32)는 인장되지 않는 재질(철, 나일론, 직물 등)로 이루어지며, 팽창튜브(30)의 큰 팽창력을 위하여 주름부를 통해 길이가 변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재(32)는 인장력이 없더라도 상기 주름부를 통해 팽창튜브(30)의 팽창을 유도한다.
상기 주름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주름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유체의 주입시 주입 압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팽창튜브의 팽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주름부는 파형의 형태,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접힌 형태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튜브 본체(31)는 주름부와 동일한 형태로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보강재(32)의 주름부를 은폐하기 위하여 외주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보강재(32)는 상기 주름부를 통해 길이가 변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름부가 펼쳐지면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팽창튜브(30)의 팽창이 가능하게 하고, 팽창튜브(30)의 팽창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유체가 소멸되어 원상태의 주름진 상태로 변하는 경우 길이가 짧아지면서 팽창튜브(30)의 수축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주름부는 한 개 이상의 파형으로 형성된 형태이며, 보강재(32)의 1개소 이상에 형성 가능하고, 보강재(32)가 전체적으로 주름진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0)과 어댑터(40)의 마주하는 면 즉 삽입홈(21,42)의 안쪽에는 팽창튜브(30)를 압착 고정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다수의 압착돌기(22,43)가 갖추어진다.
압착돌기(22,43)는 팽창튜브(30)가 밀리지 않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직각부 및 경사부로 구성된다.
또한, 압착돌기(22,43)는 팽창튜브(30)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으로 형성되는 것,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삽입홈(21,42)과 압착돌기(22,43)는 하우징(20)과 어댑터(40) 중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지중 심정에서 지하수를 채수할 때 예비 패커(도 4)로 사용될 수 있고, 지중에 설치되어 있는 관의 보수를 위한 관의 인발용 패커(도 5)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하수도관의 수밀성 테스트용 패커(도 6)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중 심정(1) 안에 본 실시예의 패커(10)를 삽입 설치[이때는 팽창튜브(3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수축된 상태이다]한 후 팽창튜브(30)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면, 팽창튜브(30)가 상하 양측의 어댑터(40)에 의해 하우징(2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중앙부만 팽창하게 되어 심정(1)의 공벽에 밀착됨으로써 설치된다.
패커(10)의 설치를 완료한 후 하우징(20) 내부를 통해 양수펌프(2)와 양수관(3)과 동력선(4)을 설치하고, 양수펌프(2)를 통해 심정(1) 내부의 지하수를 양수한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20)을 양수관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심정(1) 내부에 설치된 관(5)을 인발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패커(10)를 관(5)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고, 팽창튜브(30)를 팽창시키며, 팽창튜브(30)는 둘레부가 팽창하면서 관(5)의 내면에 밀착 지지된다.
팽창튜브(30)는 양측이 어댑터(4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주입시 하우징(2)에서 밀리지 않으며, 따라서, 관(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관(5)과 일체화된다.
인양기를 통해 패커(10)를 인양하면 패커(10)와 함께 관(5)이 지상으로 인발된다.
도 6에서처럼, 상하수도관(6)의 수밀성을 테스트하는 경우 하우징(20)은 압력홀(23)이 개방되고 다른 공간은 폐쇄된 형태이다.
패커(10)를 상하수도관(6)의 내부에 삽입한 후 팽창튜브(30)를 팽창시켜 팽창튜브(30)의 둘레부가 상하수도관(6)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압력홀(23)을 통해 감지되는 수압을 감지 및 테스트기(압력계, 모니터 등)를 통해 수밀성을 확인한다.
한편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팽창튜브(30)는 전체적으로 파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은 파형 단면의 팽창튜브(30)는 더 큰 폭의 팽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10)는, 팽창튜브(30)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20)을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감싸면서 상기 개방부가 어댑터(40)를 통해 하우징(20)의 타측에 고정되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우징(20)은 일측이 팽창튜브(30)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관형일 이유는 없고, 물론 일측 또는 양측 모두가 폐쇄되는 것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패커(10)는 상하수도관(6)의 수밀 테스트용, 지중 관의 인발용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9는 팽창튜브(30)가 접힌 형태(유체에 의해 팽창하도록 한쪽이 막힌 bladder 형태)로 구성되어 하우징(20)에 장착되며, 길이방향 일측 이상이 어댑터를 통해 하우징(20) 등에 고정되고 양측 단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통해 팽창한다.
10 : 패커, 20 : 하우징
21,42 : 삽입홈, 22,43 : 압착돌기
30 : 팽창튜브, 31 : 튜브본체
32 : 보강재, 33 : 확경부
34 : 밴드링, 40 : 어댑터
41 : 고정부,

Claims (8)

  1.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부를 감싸며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둘레부가 관거 또는 지중 굴착공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팽창튜브(30)와;
    상기 팽창튜브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튜브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어댑터(40)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튜브는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밴드링(34)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 중 일측 이상에는 상기 밴드링을 지지하는 삽입홈과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튜브가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과 어댑터의 마주하는 면 중에서 일측 이상에는 상기 팽창튜브를 압착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압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는 튜브본체, 상기 튜브 본체에 내장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단부가 상기 밴드링에 연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는 양측이 관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4.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부를 감싸며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둘레부가 관거 또는 지중 굴착공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팽창튜브(30)와;
    상기 팽창튜브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튜브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어댑터(40)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튜브는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밴드링(34)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 중 일측 이상에는 상기 밴드링을 지지하는 삽입홈과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튜브가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팽창튜브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하우징을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감싸면서 상기 개방부가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고정되거나, 하우징의 둘레부에 접힌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어댑터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팽창튜브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외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길이가 길어지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는 상기 밴드링이 내장되며 타구간보다 큰 단면적의 확경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확경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어댑터의 대향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KR1020150015015A 2015-01-30 2015-01-30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KR10173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15A KR101735679B1 (ko) 2015-01-30 2015-01-30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15A KR101735679B1 (ko) 2015-01-30 2015-01-30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07A KR20160094007A (ko) 2016-08-09
KR101735679B1 true KR101735679B1 (ko) 2017-05-15

Family

ID=5671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15A KR101735679B1 (ko) 2015-01-30 2015-01-30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25A (ko) 2020-06-24 2021-12-31 한국원자력연구원 비수축성 패커장치
KR20230079935A (ko) 2021-11-29 2023-06-07 한국원자력연구원 가변형 패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6335A (zh) * 2018-10-22 2019-02-01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膨胀管封隔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5667A1 (en) * 2009-05-01 2012-03-08 Weatherford/Lamb, Inc. Wellbore isolation tool using sealing element having shape memory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33B1 (ko) 2002-05-20 2004-12-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하수관 보수용 신축 주름 방식 에어 패커장치
KR200304088Y1 (ko) 2002-10-25 2003-02-14 조희남 주름을 형성한 팽창튜브 보호카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5667A1 (en) * 2009-05-01 2012-03-08 Weatherford/Lamb, Inc. Wellbore isolation tool using sealing element having shape memory polym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25A (ko) 2020-06-24 2021-12-31 한국원자력연구원 비수축성 패커장치
KR20230079935A (ko) 2021-11-29 2023-06-07 한국원자력연구원 가변형 패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07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679B1 (ko) 팽창튜브의 팽창력을 증대한 패커
EP24994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 liner in a pipe
US9724873B2 (en) Pipe-liner eversion system and method
CN109312884B (zh) 用于管道偏移的密封套筒
JP2014077719A (ja) 管内耐圧試験機及び試験方法
JPH02129495A (ja) 管補修のためのスリーブ、ライナー、装置および方法
KR101480260B1 (ko) 하수관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1956147B1 (ko) 파이프 누설시험용 밀폐장치
US20080075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s
JP5891136B2 (ja) ライニング管の施工方法
CA2165958C (en) Pipeline structure with a lining material, an end structure of said pipeline and a method for applying a lining material to a pipeline
KR101846843B1 (ko) 상하수도 부분 보수장치 및 방법
KR101935403B1 (ko) 튜브형 관로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
KR101546351B1 (ko)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20130063067A (ko) 다양한 내경의 하수관로에 사용될 수 있는 보수장치
CN209892242U (zh) 一种盾构隧道的洞门应急密封止水装置
KR20060113338A (ko) 관로 비굴착 몰탈 라이닝 및 압착 보수·보강공법
KR100300247B1 (ko) 가압팽창 멤브레인을 이용한 어스앵커
CN106014478A (zh) 一种用于单臂三维测量划线仪的冷却循环系统
JP3685494B2 (ja) 排水取付管の補修方法及び使用する支持台車
KR101739114B1 (ko) 신축이 가능한 주름형 보강재가 내장된 패커
TWI549805B (zh) Branch tube lining method and branch pipe lining device
JP3395991B2 (ja) 大口径管路内面の補修装置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KR20180092798A (ko) 관구밀폐기 및 그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