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36B1 -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36B1
KR101735636B1 KR1020150046172A KR20150046172A KR101735636B1 KR 101735636 B1 KR101735636 B1 KR 101735636B1 KR 1020150046172 A KR1020150046172 A KR 1020150046172A KR 20150046172 A KR20150046172 A KR 20150046172A KR 101735636 B1 KR101735636 B1 KR 101735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plate
coated
uncoate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993A (ko
Inventor
고준상
안창범
양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4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45Multimode batteries, e.g. containing auxiliary cells or electrodes switchable in parallel or series connections
    • H01M2/10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극판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으로서, 제 1 외주변에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 1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주변에 인접하거나 또는 대향하는 위치의 제 2 외주변에 제 2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에 대해 다른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일측 외주변에 제 3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무지부가 제 1 극판의 제 2 무지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2 극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Electrode Composed Pole Plates Shaped Variously}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 또는 보조 전력장치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이차전지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디자인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맞춰 다양한 형상의 이차전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다양한 형상의 이차전지를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의 예로서,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파지감의 향상을 위하여, 측면 내지 모서리를 곡선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곡선 처리된 부분을 가지도록 디자인된 디바이스의 경우, 직육면체 형상의 이차전지는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 활용도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곡선 처리된 부분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이차전지가 장착될 수 없는 사공간(dead space)이 형성된다. 이러한 사공간은, 종국에는 디바이스 부피 당 용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공간을 줄이기 위해, 곡선 처리된 부분을 갖는 디바이스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이차전지의 개발이 이어져 왔으며,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제조 방법에 따라 스택형, 폴딩형 및 스택-폴딩형 등으로 구분된다.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경우, 단위 조립체가 양극과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극조립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양극과 음극을 먼저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곡선 처리된 부분을 갖는 디바이스의 형상에 대응하는 양극과 음극 같은 단위 전극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연속적인 전극 시트를 단위 전극판의 형상에 대응하여 노칭(Notching)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노칭 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레스를 사용하여 전극 시트의 무지부의 일부를 노칭하여 전극 단자를 먼저 형성하고, 노칭한 후에는, 단위 전극판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극 시트를 커팅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이 같은 과정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전극 시트(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무지부(11)는 일부가 노칭되어 전극 단자가(12)가 형성되고, 이 후, 전극판(13)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극 시트(10)를 커팅하는 과정을 거쳐, 특정 형상의 전극판(13)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커팅 과정에서, 전극판(13)의 형상이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커팅 후 버려지는 전극 시트(10)의 잔여부(14)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종래의 대칭 구조의 전극판에 대비하여 단위 전극판 당 제조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전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대칭 구조의 전극 제조시 증가하는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전극으로 제조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극판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으로서,
제 1 외주변에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 1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주변에 인접하거나 또는 대향하는 위치의 제 2 외주변에 제 2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에 대해 다른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일측 외주변에 제 3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무지부가 제 1 극판의 제 2 무지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2 극판;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비대칭 구조의 전극을 제조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상의 제 1 극판 및 제 2 극판을 결합하여 하나의 전극을 구성함으로써, 전극 시트로부터 제 1 극판 및 제 2 극판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부를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극판의 폭은 제 1 극판의 폭의 1.5 내지 5.0 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들은 전극 시트의 폭방향으로 커팅하여 생성되는 바, 제 2 극판과 제 1 극판의 폭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에 제조 비용 절감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제 2 극판의 폭이 제 1 극판의 폭의 1.5 배 미만일 경우에는, 하나의 극판으로 전극을 구성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현저한 제조 비용 차이를 볼 수 없다. 반면에, 제 2 극판의 폭이 제 1 극판의 폭의 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전극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제 1 극판 및 제 2 극판의 수가 현저히 차이날 수 있으므로, 제 1 극판의 수 및 제 2 극판의 수의 비율을 맞추기 위한 추가 공정이 소요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극판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극판은 극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극판은 평면 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 극판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 2 극판은 극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비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극판은, 제 3 무지부가 위치하지 않는 나머지 외주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외주변이 라운드(round)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또 다른 하나의 외주변이 절곡된 직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3 무지부가 위치한 외주변을 제 1 외주변이라 할 때, 제 1 외주변의 일측 단부에 접한 제 2 외주변이 라운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외주변의 타측 단부에 접한 제 3 외주변이 절곡된 직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절곡된 직선 구조는,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절곡 회수에 따라 극판의 형상이 달라지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무지부와 제 2 무지부는 제 1 극판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고, 상기 제 1 극판의 제 2 무지부와 제 2 극판의 제 3 무지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극판에서 제 2 외주변은 제 1 외주변에 대향하는 위치의 외주변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무지부는 상기 제 1 무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용접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용접 방식은 레이저 용접 또는 스팟 용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무지부 제 3 무지부 간의 결합 구조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수직단면 상으로 제 2 무지부의 하면이 제 3 무지부의 상면에 접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와 같이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의 결합면이 수직단면 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 2 무지부(또는 제 3 무지부)는 상향 절곡되어 있을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제 3 무지부(또는 제 2 무지부)는 하향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의 결합면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고, 극판과 수평한 구조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무지부 제 3 무지부 간의 결합 구조의 또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는 수직단면 상으로 각각 상향 또는 하향 절곡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의 결합면은 제 2 무지부 방향 또는 제 3 무지부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어, 극판과 수평한 구조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절연성 테이프로 감싸여 있을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의 외면에는 절연성 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절연성 클립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성 클립은,
제 2 무지부의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양측 단부로부터 제 3 무지부 방향으로 체결부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클립; 및
제 3 무지부의 하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제2 클립;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극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전극 시트를 이송하여 제 1 다이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제 1 전극 시트에 제 1 무지부 및 제 2 무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전극 시트의 상부 및 하부를 타발하는 과정;
(c) 상기 제 1 전극 시트를 제 1 극판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커팅하는 과정;
(d) 제 2 전극 시트를 이송하여 제 2 다이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e) 상기 제 2 전극 시트에 제 3 무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전극 시트의 상부를 타발하고 제 2 극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노칭하는 과정;
(f) 상기 제 2 전극 시트를 제 2 극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는 과정;
(g)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를 결합하여, 제 1 극판 및 제 2 극판을 일 단위의 전극으로 형성하는 과정; 및
(h)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의 결합 부위를 절연 처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극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정(g)에서는,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제 2 무지부의 하면이 제 3 무지부의 상면에 접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h)에서는,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를 절연 테이프로 감싸서 절연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 2개 이상을 분리막과 함께 적층하여 제조되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차전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패드, 넷북, 웨어러블 전자기기,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비대칭 구조의 전극을 제조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상의 제 1 극판 및 제 2 극판을 결합하여 하나의 전극을 구성함으로써, 전극 시트로부터 제 1 극판 및 제 2 극판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부를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극을 제조하는 전극 시트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극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100)은 제 1 극판(110) 및 제 2 극판(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극판(110)은 상변에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 1 무지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변에 제 2 무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극판(120)은 상변에 제 3 무지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제 3 무지부(123)는 제 1 극판(110)의 제 2 무지부(112)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극(110)을 구성한다.
제 1 극판(110)은 무지부를 제외하고, 극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직사각형 구조이다.
제 2 극판(120)은 무지부를 제외하고, 극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극판(120)은 제 3 무지부(123)가 위치하지 않는 좌측 외주변(121)은 라운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우측 외주변(122)은 절곡된 직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극판(120)의 폭(W2)은 제 1 극판의 폭(W1)의 2.5 배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무지무(111)와 제 2 무지부(112)는 제 1 극판(110)의 폭(W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고, 제1 극판(110)의 제 2 무지부(112)와 제 2 극판(120)의 제 3 무지무(123)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도 2의 전극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7에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은,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의 결합 구조에 대해 다양한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전극(200)의 제 2 무지부(212) 및 제 3 무지부(213)는 수직단면 상으로 제 2 무지무(212)의 하면이 제 3 무지부(213)의 상면에 접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무지부(312)와 제 3 무지부(313)의 결합면(330)이 수직단면 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 2 무지부(312)는 상향 절곡되어 있고, 제 3 무지부(313)는 하향 절곡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무지부(412)와 제 3 무지부(423)의 결합면(430)은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절곡되어, 극판(410, 420)과 수평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무지부(512)와 제 3 무지부(523)는 수직단면 상으로 상향 절곡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무지부(612)와 제 3 무지부(623)의 결합변(630)은 제 2 무지부 방향 및 제 3 무지부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어, 극판(610, 620)과 수평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8 내지 10에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이들 도면은,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의 결합면을 절연하는 구조에 대해 다양한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무지무(712)와 제 3 무지부(723)는 절연성 테이프(740)으로 감싸여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무지부(812)와 제 3 무지무(823)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절연성 필름(84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무지부(912) 및 제 무지부(923)는 절연성 클립(9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절연성 클립(940)은 제 2 무지부(912)의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양측 단부로부터 제 3 무지부 방향으로 체결부(943)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클립(941)과, 제 3 무지부(923)의 하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체결부(943)에 대응하는 체결홈(944)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클립(9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4)

  1.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극판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으로서,
    제 1 외주변에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 1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주변에 인접하거나 또는 대향하는 위치의 제 2 외주변에 제 2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극판; 및
    상기 제 1 극판에 대해 다른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일측 외주변에 제 3 무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무지부가 제 1 극판의 제 2 무지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2 극판;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극판의 폭은 제 1 극판의 폭의 1.5 내지 5.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극판은 극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극판은 평면 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극판은 극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비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극판은, 제 3 무지부가 위치하지 않는 나머지 외주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외주변이 라운드(round)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또 다른 하나의 외주변이 절곡된 직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지부와 제 2 무지부는 제 1 극판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 1 극판의 제 2 무지부와 제 2 극판의 제 3 무지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용접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수직단면 상으로 제 2 무지부의 하면이 제 3 무지부의 상면에 접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의 결합면이 수직단면 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 2 무지부(또는 제 3 무지부)는 상향 절곡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여 제 3 무지부(또는 제 2 무지부)는 하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의 결합면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절곡되어, 극판과 수평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는 수직단면 상으로 각각 상향 또는 하향 절곡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와 제 3 무지부의 결합면은 제 2 무지부 방향 또는 제 3 무지부 방향으로 재차 절곡되어, 극판과 수평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절연성 테이프로 감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의 외면에는 절연성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절연성 클립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클립은,
    제 2 무지부의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양측 단부로부터 제 3 무지부 방향으로 체결부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클립; 및
    제 3 무지부의 하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제2 클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8. 제 1 항에 따른 극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전극 시트를 이송하여 제 1 다이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제 1 전극 시트에 제 1 무지부 및 제 2 무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전극 시트의 상부 및 하부를 타발하는 과정;
    (c) 상기 제 1 전극 시트를 제 1 극판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커팅하는 과정;
    (d) 제 2 전극 시트를 이송하여 제 2 다이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e) 상기 제 2 전극 시트에 제 3 무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전극 시트의 상부를 타발하고 제 2 극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노칭하는 과정;
    (f) 상기 제 2 전극 시트를 제 2 극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는 과정;
    (g)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를 결합하여, 제 1 극판 및 제 2 극판을 일 단위의 전극으로 형성하는 과정; 및
    (h)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의 결합 부위를 절연 처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g)에서,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는 제 2 무지부의 하면이 제 3 무지부의 상면에 접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h)에서, 상기 제 2 무지부 및 제 3 무지부를 절연 테이프로 감싸서 절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 방법.
  21. 제 1 항에 따른 전극 2개 이상을 분리막과 함께 적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2. 제 21 항에 따른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3. 제 22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4. 제 23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50046172A 2015-04-01 2015-04-01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KR10173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172A KR101735636B1 (ko) 2015-04-01 2015-04-01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172A KR101735636B1 (ko) 2015-04-01 2015-04-01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993A KR20160117993A (ko) 2016-10-11
KR101735636B1 true KR101735636B1 (ko) 2017-05-24

Family

ID=5716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172A KR101735636B1 (ko) 2015-04-01 2015-04-01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2558A (ja) 2012-05-29 2014-09-0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コーナー部の形状が多様な段差を有する電極組立体、これを含む電池セル、電池パック及び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2558A (ja) 2012-05-29 2014-09-0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コーナー部の形状が多様な段差を有する電極組立体、これを含む電池セル、電池パック及び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993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0972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multi-directional lead-tab structure
EP3139435B1 (en) Stepwise electrode assembly having variously-shaped corner and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3858254B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
CN111106300B (zh) 电池单元及电池模组
KR101784739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93530B1 (ko) 노칭부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
US9293744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447064B1 (ko)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669447B2 (ja) カバーを有する二次電池
JP2018067381A (ja) 蓄電装置
KR100599714B1 (ko) 이차 전지
CN103765632A (zh) 锂离子二次电池
KR100612236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CN107591555B (zh) 二次电池
KR101735636B1 (ko) 다양한 형상의 극판들을 결합하여 구성된 전극
KR101580086B1 (ko) 복합 구조로 형성된 전극조립체
KR20170030782A (ko) 시트 구조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JP2020057587A (ja) 電極体、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108208B1 (ko) 원형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CN110192292B (zh) 电池单元和制造电池单元的方法
KR102082655B1 (ko) 모서리가 절취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조립체
KR100599796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1994842B1 (ko)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전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또는 캐패시터
CN220368105U (zh) 一种顶盖与电芯极耳连接结构及电池
JP2013543225A (ja) 二次電池セルの導電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