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830B1 -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 Google Patents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830B1
KR101734830B1 KR1020160026426A KR20160026426A KR101734830B1 KR 101734830 B1 KR101734830 B1 KR 101734830B1 KR 1020160026426 A KR1020160026426 A KR 1020160026426A KR 20160026426 A KR20160026426 A KR 20160026426A KR 101734830 B1 KR101734830 B1 KR 10173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onitoring
switch
switch knob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천병
정소기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유니드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드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유니드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102016002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6Semi-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keeping the fibres aligned allow for removal of the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선로에 설치된 함체를 닫거나 잠궜을 때, 광스위치 내부의 감시용 광선로에 아무런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광신호가 그대로 통과하고, 함체가 열리거나 풀리면 스위치노브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움직이면서 감시용 광선로가 절곡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 함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주된 선로와, 함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용 광선로를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광선로의 훼손이나 절단에 따른 통신망 마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DEVICE FOR MONITORING OPTIC TERMINAL UNIT}
본 발명은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선로에 설치된 함체를 닫거나 잠궜을 때, 광스위치 내부의 감시용 광선로에 아무런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광신호가 그대로 통과하고, 함체가 열리거나 풀리면 스위치노브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움직이면서 감시용 광선로가 절곡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 함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데이터가 결합된 광신호를 광선로를 통해 전송하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로서, 대용량의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광선로는 유리섬유로 제작되며, 내부에서 광신호가 전반사되면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유도한다.
광선로가 먼 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광선로를 연결하거나 분기하여 다양한 통신경로를 형성해야 하는데, 광선로의 연결이나 분기를 위해서 광단자함이 사용된다.
광단자함은 옥외나 건물 외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 그리고 많은 수의 광단자함이 사용되기 때문에 개별 광단자함에서 일어나는 일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특히 정당한 권한이 없는 사람이 광단자함을 열어서 내부 연결장치를 훼손시키면 통신망이 마비되기 때문에 광단자함을 잠그거나 개방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분기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광케이블 접속분기함은 광케이블 안내부(210), 광파이버 여장판(400), 메인홀더(230), 밀폐용 덮개(220) 및 커넥터 연결부(290)를 포함한다.
광케이블 안내부(210)는 인입광케이블(240)과 인출광케이블(241) 각각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며, 메인홀더(230)와 결합된다.
메인홀더(230)는 광케이블 안내부(210)에 부착 고정되며, 다수의 광파이버 여장판(400)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메인홀더(230)는 연결부(235) 및 여장판 고정부(238)를 구비할 수 있다.
여장판 고정부(238)는 연결부(235)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광파이버 여장판(4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용 덮개(220)는 광케이블 안내부(210)와 결합되며, 광케이블 접속분기함의 내부를 보호한다.
커넥터 연결부(290)는 인입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광파이버와 연결된 제1 커넥터 및 인출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광파이버와 연결된 제2 커넥터가 삽입된다. 또한, 커넥터 연결부(290)는 광파이버 여장판(400)에 구비된 광파이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4 커넥터(255, 260)가 삽입된다.
커넥터 고정부(290)는 밀폐용 덮개(220)의 내측면에 부착고정된다. 이를 통해, 밀폐용 덮개(220)가 광케이블 안내부(210)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경우 영역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파이버 여장판(400)으로 인출되는 광파이버(250)에 휨(bending) 현상이 발생된다. 광파이버(250)의 휨으로 인한 광신호의 손실이나 왜곡은 인출광케이블을 통해 중앙제어부로 전달되어 광케이블 접속분기함의 개방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메인홀더(230)를 밀폐용 덮개(220)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광파이버(250)의 절단이나 분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신호를 전송하는 광선로와 개폐 여부 확인을 위한 광선로가 동일하기 때문에 광파이버(250)의 손상이나 절단이 생긴 상태에서 통신망을 사용하게 되므로, 광통신망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KR 10-2013-0138601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체에 감시용 광선로를 설치하고, 함체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감시용 광선로를 누르거나 당기는 광스위치를 설치하여 감시용 광신호를 차단함으로써 함체의 개폐 여부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스위치를 스트랩 방식으로 함체 내부의 케이블트레이에 묶거나, 함체의 케이스 일측에 고정시켜,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감시기능을 가지는 함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함체(60)에 포함된 케이블트레이(70)가 개방되었는지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광스위치로서, 몸체(102)와; 상기 케이블트레이(70)를 묶어주는 스트랩(104)과; 상기 스트랩(104)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06)와; 상기 연결부재(106)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102)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102)의 내부에 위치한 말단부에는 돌출부(108a)가 형성되는 스위치노브(108)와; 상기 스위치노브(108)가 상기 몸체(102)의 내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12)과; 상기 돌출부(108a)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114a)이 형성되는 받침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08a)와 상기 오목홈(114a)의 사이에 감시용 광선로(50)가 지나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노브(108)가 상기 몸체(102)의 내부로 끌려들어가면, 상기 돌출부(108a)가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상기 오목홈(114a)의 내부로 밀면서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통해 전송되는 감시용 광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함체(60)에 포함된 케이블트레이(70)가 개방되었는지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광스위치로서, 몸체(302)와; 상단부가 상기 몸체(302)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함체(60)의 벽면 테두리와 접촉하며, 상기 몸체(302)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302)의 내부에 위치한 하단부에는 돌출부(304a)가 형성되는 스위치노브(304)와; 상기 스위치노브(304)가 상기 몸체(302)의 외부방향으로 나가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308)과; 상기 돌출부(304a)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310a)이 형성되는 받침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304a)에 형성된 관통공(304b)에 감시용 광선로(50)가 관통하면서 지나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30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노브(304)가 상기 몸체(302)의 외부로 밀려나가면, 상기 돌출부(304a)가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상기 오목홈(310a)의 내부로 끌어당기면서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통해 전송되는 감시용 광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는 광통신망의 손상이나 절단을 측정하는 OTDR(30)에 연결되며, 상기 OTDR(30)은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통해 송수신되는 광신호의 차단이나 왜곡, 손실을 감지하여 상기 함체(60)의 개방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통신선로 함체의 개폐 여부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빠른 대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주된 선로와, 함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용 광선로를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광선로의 훼손이나 절단에 따른 통신망 마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케이블 접속분기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스위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광스위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광스위치가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상태에 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광스위치가 광신호를 차단하는 상태에 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스위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광스위치가 설치된 함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광스위치가 설치된 함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광스위치가 설치된 함체를 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광스위치가 잠긴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광스위치가 풀린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이하, '광스위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광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은 데이터를 광신호에 결합시켜 송수신하는 광전송장치(10)에 연결된 통신선로(40)를 사용한다. 통신선로(40)는 다수의 함체(60)를 통과하면서 먼 거리까지 광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광스위치(100)는 통신망에 사용되는 함체(60)에 설치되는데, 함체(6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감시용 광선로(50)가 광스위치(100)를 통과한다. 감시용 광선로(50)는 OTDR(30)을 통해 서버(20)에 연결된다.
OTDR(30)은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의 약자로서, 광 통신망의 손상이나 절단 등 이상 유무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말한다. OTDR(30)은 감시용 광선로(50)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의 출력이나 주파수 등을 측정하여 정상적인 상태의 광신호가 전해지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광신호의 출력이나 주파수, 위상 등이 변형된 경우에는 증감상태 등을 분석하여 얼마나 떨어진 거리에 있는 장치에서 이상이 생겼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20)는 함체(60)와, 함체(60)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트레이(70)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이상이 생겼거나 개방된 함체(60) 또는 케이블트레이(70)를 확인하여 관리자에게 유지보수에 관한 지침을 전달한다.
광스위치(100)는 함체(60) 내부의 케이블트레이(70)를 지나는 감시용 광선로(50)에 물리적인 변형을 가하여 감시용 광신호를 차단한다. OTDR(30)은 감시용 광선로(50)에 생긴 광신호의 변형을 감지하여 함체(60) 및 케이블트레이(7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스위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광스위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광스위치가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상태에 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광스위치가 광신호를 차단하는 상태에 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스위치(100)는 함체(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트레이(70)의 바깥을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몸체(102)의 좌우측에 스트랩(104)이 연결되고, 스트랩(104)은 케이블트레이(70)의 바깥쪽 표면에 밀착되면서 케이블트레이(70)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2)에는 감시용 광선로(50)가 통과하며, 내부에는 감시용 광선로(50)를 누르거나 당기는 수단이 구비된다.
스트랩(104)으로 케이블트레이(70)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깥에 팽팽하게 묶으면 스트랩(104)의 인장력에 의해 스트랩(104)이 고정된 연결부재(106)가 당겨지면서 동시에 스위치노브(108)가 몸체(102)의 바깥으로 당겨진다. 스위치노브(108)의 위치에 따라 감시용 광선로(50)의 물리적인 형태가 달라지게 되고, 광신호가 차단되거나 통과된다.
광스위치(100)의 몸체(102)는 케이블트레이(70)의 바깥쪽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데, 몸체(102)의 내부에는 스위치노브(108)가 내장되며, 스위치노브(108)는 몸체(102)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몸체(102)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다.
스트랩(104)은 케이블트레이(70)의 바깥을 묶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 벨크로나 고무, 패브릭, 금속밴드 등으로 만들어진다.
몸체(10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스위치노브(108)는 연결부재(106)를 통해 스트랩(104)과 결합된다.
감시용 광선로(50)는 몸체(102)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음 장소의 함체(60)에 포함된 케이블트레이(7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노브(108)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말단부에는 돌출부(108a)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몸체(102) 내부의 벽면에는 스토퍼(110)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스토퍼(110)는 스위치노브(108) 내부의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스위치노브(108) 내부의 공간 일측에는 스프링(112)이 삽입되는데, 스프링(112)은 스위치노브(108) 내부의 벽면과 스토퍼(110) 사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노브(108) 내부의 공간에서 연결부재(106)가 있는 방향의 반대쪽 벽면과 스토퍼(110) 사이에 스프링(112)이 들어가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스프링(112)의 탄성력이 스토퍼(110)에 대해서 스위치노브(108)를 몸체(102)의 내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당겨준다. 따라서 스위치노브(108)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치노브(108)는 몸체(102)의 내부로 끌려들어가게 된다.
몸체(102)의 내부에서 스위치노브(108)가 스프링(112)에 의해 끌려가는 방향의 벽면에는 받침부(114)가 설치되며, 받침부(114)에는 감시용 광선로(50)가 벤딩이 되어 밀려들어가는 오목홈(114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노브(108)의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108a)의 전부 또는 일부가 오목홈(114a)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위치 및 방향에 형성한다.
그리고 스위치노브(108)의 돌출부(108a)와 오목홈(114a)의 사이에는 감시용 광선로(50)가 가로질러 지나가도록 한다. 따라서 스위치노브(108)가 움직이면서 돌출부(108a)가 오목홈(114a) 방향으로 움직이면, 돌출부(108a)가 감시용 광선로(50)를 밀면서 감시용 광선로(50)가 휘어진다.(도면의 A 영역)
도 3과 5에 도시된 것처럼, 광스위치(100)를 케이블트레이(70)의 바깥에 고정시키면, 스트랩(104)에 장력이 가해지면서 스트랩(104)에 고정된 스위치노브(108)가 몸체(102)의 바깥으로 빠져나온 상태가 된다. 이 때에는 스위치노브(108)의 돌출부(108a)가 감시용 광선로(50)에 힘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감시용 광선로(50)는 구부러짐이 없어 감시용 광신호를 손실없이 그대로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 스트랩(104)의 버클을 풀어 케이블트레이(70)를 열면, 스트랩(104)에 가해지던 장력이 해제되면서 스프링(112)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노브(108)가 몸체(102)의 내부로 끌려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노브(108) 말단부의 돌출부(108a)가 감시용 광선로(50)를 누르면서 오목홈(114a)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감시용 광선로(50)에는 케이블트레이(70)의 상태 파악을 위한 광신호가 일정한 출력과 주파수로 전송되는데, 스위치노브(108)의 움직임과 감시용 광선로(50)의 변형으로 인해 광신호의 출력이나 주파수가 통과되거나 차단된다. OTDR(30)은 감시용 광선로(50)를 통해 송수신되는 광신호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여 케이블트레이(70)가 개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해진 일정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하기 위해 케이블트레이(70)를 연 경우가 아니라 사고 또는 침입자에 의해 케이블트레이(70)가 열린 때에는 광스위치(100)는 경고 알림을 중앙시스템에 전달하여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광스위치(100)를 케이블트레이(70)와는 별개의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함체(60)에 추가로 감시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스위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광스위치가 설치된 함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광스위치가 설치된 함체를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광스위치가 설치된 함체를 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광스위치가 잠긴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광스위치가 풀린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광스위치(100)가 함체(60)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함체(60)에 손쉽게 감시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제2실시예에서는 함체(60)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광스위치(300)는 힌지(61)로 연결되어 개폐가 가능한 함체(60)의 벽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함체(60)의 문 테두리에 설치하여 함체(60)의 문을 열거나 닫을 때, 테두리 부분이 접촉하면서 스위치노브(304)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60)의 문을 닫으면, 함체(60)의 테두리 부분이 광스위치(300)를 눌러서 감시용 광선로(50)를 통과하는 감시용 광신호를 손실없이 통과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함체(60)의 문을 열면,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60)의 테두리와 광스위치(300)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감시용 광선로(50)가 변형된다.(도면의 A 영역) 이로 인해 감시용 광선로(50)를 통과하는 감시용 광신호가 차단되어 함체(60)의 개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광스위치(300)의 몸체(302) 내부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위치노브(304)가 슬라이딩 운동을 하며, 스위치노브(304)의 상단은 몸체(302)의 외부로 노출된다. 스위치노브(304)는 함체(60)의 벽면 테두리와 접촉하는데, 함체(60)의 문이 닫히면서 테두리가 스위치노브(304)를 누르면 스위치노브(304)가 몸체(302)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그리고 함체(60)의 문이 열리면 테두리와 스위치노브(304)의 접촉이 해제되어 스위치노브(304)는 다시 몸체(302)의 외부로 돌출된다.
스위치노브(304)의 내부에는 스프링(308)이 설치되는데, 스프링(308)은 몸체(302)의 내부 벽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306)에 접촉하면서 설치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와는 반대로, 스프링(308)은 스위치노브(304)가 몸체(302)의 외부방향으로 나가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스위치노브(304)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면 스위치노브(304)는 몸체(302)의 바깥으로 밀려나간다.
스위치노브(304)의 하단부에는 역시 돌출부(304a)가 형성되며, 돌출부(304a)에는 관통공(304b)이 형성된다. 관통공(304b)에는 감시용 광선로(50)가 관통하여 지나간다.
스위치노브(304)의 돌출부(304a) 주위에는 받침부(310)가 설치되고, 받침부(310)에는 오목홈(310a)이 형성된다. 오목홈(310a)은 스위치노브(304)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로 인해 감시용 광선로(50)는 스위치노브(304)가 몸체(302)의 바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오목홈(310a)의 내부로 끌려들어가면서 휘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60)의 문을 열어서 테두리와 스위치노브(304)의 접촉이 해제되면, 스프링(308)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노브(304)는 바깥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관통공(304b)에 끼워져있던 감시용 광선로(50)는 스위치노브(304)의 이동과 함께 변형되면서 오목홈(310a)의 내부로 끌려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감시용 광선로(50)를 통해 전달되는 감시용 광신호는 차단되고, OTDR(30)은 함체(6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감시용 광선로(50)가 돌출부(304a)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304b)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부(304a)에 고리 또는 홈을 형성하여 감시용 광선로(50)가 끼워지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광전송장치 20 : 서버
30 : OTDR 40 : 통신선로
50 : 감시용 광선로 60 : 함체
61 : 힌지 70 : 케이블트레이
100, 300 : 광스위치 102, 302 : 몸체
104 : 스트랩 106 : 연결부재
108, 304 : 스위치노브 108a, 304a : 돌출부
304b : 관통공 110, 306 : 스토퍼
112, 308 : 스프링 114, 310 : 받침부
114a, 310a : 오목홈

Claims (3)

  1. 삭제
  2. 광통신에 사용되는 함체(60)에 포함된 케이블트레이(70)가 개방되었는지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광스위치로서,
    몸체(302)와;
    상단부가 상기 몸체(302)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함체(60)의 벽면 테두리와 접촉하며, 상기 몸체(302)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302)의 내부에 위치한 하단부에는 돌출부(304a)가 형성되는 스위치노브(304)와;
    상기 스위치노브(304)가 상기 몸체(302)의 외부방향으로 나가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308)과;
    상기 돌출부(304a)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310a)이 형성되는 받침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304a)에 형성된 관통공(304b)에 감시용 광선로(50)가 관통하면서 지나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30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노브(304)가 상기 몸체(302)의 외부로 밀려나가면, 상기 돌출부(304a)가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상기 오목홈(310a)의 내부로 끌어당기면서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감시용 광선로(50)를 통해 전송되는 감시용 광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3. 삭제
KR1020160026426A 2016-03-04 2016-03-04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KR10173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26A KR101734830B1 (ko) 2016-03-04 2016-03-04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26A KR101734830B1 (ko) 2016-03-04 2016-03-04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830B1 true KR101734830B1 (ko) 2017-05-12

Family

ID=5874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426A KR101734830B1 (ko) 2016-03-04 2016-03-04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12B1 (ko) * 2018-04-09 2018-07-09 주식회사 미디컴전자 광 접속 함체 및 광 선로 감시 시스템
KR101919018B1 (ko) * 2018-04-09 2019-02-08 주식회사 미디컴전자 스마트 광 선로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12B1 (ko) * 2018-04-09 2018-07-09 주식회사 미디컴전자 광 접속 함체 및 광 선로 감시 시스템
KR101919018B1 (ko) * 2018-04-09 2019-02-08 주식회사 미디컴전자 스마트 광 선로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45161B (zh) 具有可移除盒的光学测试仪器
US7711233B2 (en) Fiber optic cable enclosure assembly with slide out tray
KR101459158B1 (ko) 광섬유 분할기 모듈
CN102062914B (zh) 光纤电缆保持装置
US10371912B2 (en) Re-enterable sealed enclosure
US7787739B2 (en) Bare fiber adapter
KR101734830B1 (ko) 함체 개폐감시를 위한 광스위치
KR101574198B1 (ko)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US7574082B2 (en) Optical power monitoring with robotically moved macro-bending
SA515370138B1 (ar) مستشعر بصري، تجميعة مستشعر بصري وجهاز مراقبة
EP2191314A1 (en) Optical cable termination device
KR100821298B1 (ko) 광섬유 고정수단이 개선된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JP3992878B2 (ja) 蓋開閉検知センサ
US7715678B2 (en) Optical fiber loopback test system and method
KR101553246B1 (ko) 광선로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보안 시스템
EP2437090A1 (en) Cable connector tray, tray device, tray holde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nector with a mating connector
JP4886360B2 (ja) 光受信機
KR20140121182A (ko) 광단자함의 케이블 인입구 방수용 패킹 구조물
KR20130077167A (ko) 광섬유 격자센서를 이용한 조가선 감시 및 관리시스템
KR101377266B1 (ko) 광케이블 접속분기함 및 광선로 감시 시스템
JP5203020B2 (ja) 光伝送用機器、この光伝送用機器に用いられる光伝送判別器、ならびに、これら光伝送用機器および光伝送判別器を用いた光伝送管理システム
KR200477972Y1 (ko) 마이크로 덕트 함체
US9753240B2 (en) Splitter modules and optical component module mounting assemblies
US10288830B2 (en) Expandable optical distribution device
KR101695193B1 (ko) 광선로 유지·관리용 포트를 가진 광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