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497B1 -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497B1
KR101734497B1 KR1020160064288A KR20160064288A KR101734497B1 KR 101734497 B1 KR101734497 B1 KR 101734497B1 KR 1020160064288 A KR1020160064288 A KR 1020160064288A KR 20160064288 A KR20160064288 A KR 20160064288A KR 101734497 B1 KR101734497 B1 KR 10173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yarn
covering
examination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덕
Original Assignee
최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덕 filed Critical 최병덕
Priority to KR102016006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사의 외측에 커버링사를 꼬임시킨 연사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연사의 제조공정을 개량하여 심사에 권취되는 커버링사의 권취횟수와 권취형태를 개선하여 상기 연사가 구간별로 두께 편차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제직된 원단은 구간별로 가변되는 연사의 두께 편차에 의해 독특한 가변 패턴을 갖도록 한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Twisted yar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weaving of variable pattern fabric}
본 발명은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간별로 증감되는 커버링사의 권취밀도에 의해 독특한 선형의 패턴을 형성한 직물원단의 제직하는 가변 선형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류 역사에 있어 사람들은 식물, 동물, 광물 등에서 획득된 천연 섬유를 사용하여 천을 만들어 사용해 왔는데, 근래에는 과학 기술의 발달로 합성 섬유를 제조하는 기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섬유기술의 발달로 여러가닥의 단사 몇 올을 합쳐 만든 합사, 그리고 방적에서 얻어진 한 올의 실을 가지런히 하여 약간의 꼬임한 연사 등이 개발되어서, 단사의 강도나 기능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한편, 연사 제조장치는 정방기에서 뽑아진 홑실을 두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으로 합쳐 꼬는 기계를 일컬으며,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 10-2007-0052593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20-0452405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 10-2009-0113536호 등에는, 심사를 상향 이동시키면서 커버링사를 선회시켜서, 심사에 커버링사를 권취시켜 연사를 제조하는 연사기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연사기는 합연부에서 심사에 커버링사를 나선구조로 권취시켜 제조함에 있어, 심사의 이동속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커버링사를 등속으로 선회시켜 제작되므로, 이를 통해 제작된 연사는 단위 길이당 커버링사의 권취밀도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연사는 심사에 커버링사가 항시 동일한 권취횟수로 권취된 형태로 이루어져, 이를 직조한 직물원단은 항시 동일한 패턴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디자인적으로 매우 밋밋하여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하기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염색이나 번아웃 등의 후가공을 실시하여, 직물원단에 국부적인 선형 패턴 등을 형성하여서 독특한 미감을 연출하고 있으나, 이는 직물원단의 후가공이 요구되어 제작에 따른 원가상승을 초래하고, 또 한정된 패턴만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한계성을 갖는다.
KR 10-2007-0052593 A KR 20-0452405 Y1 KR 10-2009-0113536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심사의 외측에 커버링사를 꼬임한 연사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연사의 제조공정을 개량하여 심사에 권취되는 커버링사의 권취밀도를 증감시켜서, 이를 통해 제직된 직물원단은 구간별로 가변되는 커버링사의 권취밀도에 의해 독특한 선형의 패턴을 불규칙적으로 형성하도록 한 연사를 제조하는 가변 선형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는,
심사보빈을 회동구조로 고정시킨 심사 공급부와;
상기 심사 공급부에서 전개되는 심사를 관통시켜 상부로 이동시키는 심사 이송관과, 상기 심사 이송관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며 커버링사 보빈을 지지하는 커버링사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연부와;
상기 합연부를 구성하는 커버링사 지지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심사 이송관을 관통하여 설정속도에 따라 상부 이동되는 심사에 커버링 보빈에서 전개되는 커버링사를 권취하는 커버링 구동부와;
상기 합연부를 관통하면서 심사에 커버링사가 권취된 연사를 연사보빈에 권취시키는 연사 회수부와;
상기 연사 회수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연사보빈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심사 공급부에서 전개되어 합연부를 통과하면서 커버링사가 권취된 심사의 회수속도를 조절하는 회수 구동부 및;
상기 커버링 구동부와 회수 구동부를 제어하여, 연사 회수부에 의한 연사의 회수속도와 합연부에 의한 커버링사의 권취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러부는, 상기 커버링 구동부를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등속 커버링 제어유닛과; 상기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회수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심사의 상향 이동속도를 가변시키는 가변 회수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변 회수 제어유닛에 의해 가변되는 심사의 이동속도에 의해, 심사의 단위 구간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커버링사의 권취횟수가 조절되어서, 단위 구간별로 커버링사의 권취밀도가 증감된 연사를 연속적으로 제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변 회수 제어유닛은, 설정된 단위 시간주기에 따라 단위주기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타이머 유닛과, 상기 각 타이머 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단위주기 신호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순차적으로 회수 구동부에 공급하는 스텝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텝 스위치 유닛은 각 타이머 유닛에서 설정된 단위 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단위주기 신호에 따라, 회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여서, 커버링사가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심사의 이동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사 회수부는, 회수 구동부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동드럼 유닛과, 상기 구동드럼 유닛의 상부에 연사보빈을 외접되게 회동 지지하여, 구동드럼 유닛에 의해 외접된 연사보빈을 종동시키는 연사보빈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심사가 관통하는 합연부의 심사 이송관에는 공기를 상향 분출시키는 공기 주입관을 배치하여, 상기 심사 이송관을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심사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커버링사는 심사 이송관을 통해 상향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나선구조로 안정되게 전개되면서 심사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심사에 커버링사를 권취시켜 연사를 제조함에 있어, 커버링사가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심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서 심사에 권취되는 커버링사의 권취밀도가 단위구간별로 가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단위구간별로 커버링사의 권취밀도가 가변되는 연사를 경사나 위사 또는 이를 양자로 채택하여 직조한 직물원단은, 단위구간별로 가변되는 커버링사의 권취밀도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선형의 패턴들이 형성되고, 이러한 선형의 패턴들을 통해 독특한 미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직조된 직물원단에 번아웃 등을 부가적으로 실시하여 직물원단에 선형의 패턴을 형성하여 독특한 미감을 갖도록 하는 직물원단의 제조방법을 채택하지 아니하고도, 독특한 형태를 갖는 연사를 통해 선형의 패턴들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직물원단의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선형의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의 제직에 따른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또 다양한 선형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심사가 관통하는 합연부의 심사 이송관에 공기를 상향 분출시키는 공기 주입관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심사 이송관을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심사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커버링사는 심사 이송관을 통해 상향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나선구조로 안정되게 전개되면서 심사에 나선구조로 권취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심사에 커버링사가 나선구조로 정형화된 연사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동드럼 유닛에 외접된 연사보빈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심사에 커버링사가 불규칙적으로 권취된 연사를 권취하여 회수함에 있어, 상기 구동드럼 유닛에 진공 흡착구조를 마련하여 연사보빈은 구동드럼 유닛에 안정적으로 흡착된 상태로 종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있고, 또 상기 심사에 커버링사가 권취되는 합연부에 증착유닛을 배치하여, 가습에 의해 커버링사는 심사의 표면에 보다 안정되게 고착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링사의 권취과정에 발생되는 분진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특히 구동드럼 유닛에 외접된 연사보빈의 정형화된 회전을 통해 심사의 안정적인 이동속도의 제어가 가능하고, 또 연사보빈에 권취되는 연사에 잔류된 수분이나 보플 등의 이물질이 진공 흡착에 의해 제거되므로, 결과적으로 양질의 연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상기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있어, 주요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있어, 콘트롤러부에 의한 심사 이동속도 제어를 통한 커버링사의 권취횟수의 가변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있어, 합연부와 회수 구동부와 연사 회수부, 커버링 구동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5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의해 제작된 연사를 통해 제직한 직물원단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상기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있어, 주요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있어, 콘트롤러부에 의한 심사 이동속도 제어를 통한 커버링사의 권취횟수의 가변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있어, 합연부와 회수 구동부와 연사 회수부, 커버링 구동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5에서 'A'부분과 'B'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에 의해 제작된 연사를 통해 제직한 직물원단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심사(110)에 커버링사(120)를 나선구조로 권취시켜 연사(100)를 연속적으로 제조함에 있어, 단위길이당 심사(110)에 권취되는 커버링사(120)의 권취횟수를 조절하여서, 단위 구간별로 심사(110)에 권취된 커버링사(120)의 권취밀도가 다른 연사(110)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심사(110)에 권취되는 커버링사(120)의 권취밀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연사(100)를 경사와 위사로 채택하여 제직한 직물원단(200)에는, 도 8과 같이 선형의 패턴(210)들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선형의 패턴(210)에 의해 다양하면서 독특한 미감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직물원단(200)을 형성하는 연사(100)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사보빈(111)을 회동구조로 고정시킨 심사 공급부(10)와; 상기 심사 공급부(110)에서 전개되는 심사(110)를 관통시켜 상부로 이동시키는 심사 이송관(21)과, 상기 심사 이송관(21)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며 커버링사 보빈(121)을 지지하는 커버링사 지지대(22)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연부(20)와; 상기 합연부(20)를 구성하는 커버링사 지지대(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심사 이송관(21)을 관통하여 설정속도에 따라 상부 이동되는 심사(110)에 커버링 보빈(121)에서 전개되는 커버링사(120)를 권취하는 커버링 구동부(30)와; 상기 합연부(20)를 관통하면서 심사(110)에 커버링사(120)가 권취된 연사(100)를 연사보빈(101)에 권취시키는 연사 회수부(40); 상기 연사 회수부(4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연사보빈(10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심사 공급부(10)에서 전개되어 합연부(20)를 통과하면서 커버링사(120)가 권취된 심사(110)의 회수속도를 조절하는 회수 구동부(50) 및; 상기 커버링 구동부(30)와 회수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연사 회수부(40)에 의한 연사(100)의 회수속도와 합연부(20)에 의한 커버링사(120)의 권취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사 회수부(40)는 회수 구동부(50)의 회전축(51)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동드럼 유닛(41)과; 상기 구동드럼 유닛(41)의 상부에 연사보빈(101)을 외접되게 회동 지지하여 구동드럼 유닛(41)에 의해 외접된 연사보빈(101)을 종동시키는 연사보빈 지지유닛(4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심사 공급부(10)와 합연부(20)와 연사 회수부(40)를 프레임 구조체에 좌우 이격되게 복수 배치하고, 이들 각 합연부(20)들과 연사 회수부(40)들은 단일 커버링 구동부(30)와, 그리고 단일 회수 구동부(5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일괄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수 구동부(50)는 구동모터(52)와 상기 구동모터(52)의 회전력을 1차 감속시키는 감속기어 유닛(53)과, 상기 감속기어 유닛(53)에 의해 감속된 회전력을 순차적으로 2차 감속시키는 체인 스프라켓 유닛(54)과, 상기 감속기어 유닛(53)과 체인 스프라켓 유닛(54)을 통해 1차 및 2차 감속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회전축(51)을 포함하여, 상기 연사 회수부(40)를 구성하는 각 구동드럼 유닛(41)은 회전축(51)에 등간격으로 고정 배치되어서 회전축(51)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일괄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링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에 견착되어 일방향으로 환형 회전하는 이송벨트(32)를 포함하여, 각 합연부(20)의 커버링사 지지대(22)들은 일방향으로 환형 회전하는 이송벨트(32)와 외접된 상태로 회전하여서 커버링사 보빈(1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심사보빈(111)에서 전개되어 합연부(20)의 심사 이송관(21)을 관통한 심사(110)는 연사 회수부(40)에서 제공되는 권취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고, 이러한 과정에 커버링사 보빈(121)에 권취된 커버링사(120)는 합연부(20)의 심사 이송관(21)을 관통하여 상향 이동하는 심사(110)에 나선구조로 권취되어서, 심사에 커버링사가 나선구조로 권취되어진 연사가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이론 재질의 심사를 채택하고, 커버링사를 PP사를 채택하여서, 나이론 재질로 이루어진 심사에 PP사로 이루어진 커버링사가 나선구조로 권취된 연사를 제작하고 있다.
이때, 각 연사 회수부(40)들과 합연부(20)들은 단일의 커버링 구동부(30)와 회수 구동부(5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서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 구동부(50)를 제어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사에 권취되는 커버링사의 권취횟수를 증감시켜 단위구간별(S1, S2, S3)로 커버링사의 권취밀도가 다른 연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심사(110)에 권취되는 커버링사(120)의 권취밀도를 설정주기에 따라 가변시켜서, 이를 통해 제작된 연사는 단위 구간별로 커버링사의 권취밀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러부(60)를 상기 커버링 구동부(30)를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등속 커버링 유닛(61)과; 상기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회수 구동부(50)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심사의 상향 이동속도를 가변시키는 가변 회수 제어유닛(6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회수 제어유닛(62)은 설정된 단위 시간주기에 따라 단위주기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타이머 유닛(62a)과; 상기 각 타이머 유닛(62a)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단위주기 신호에 따라 설정된 전류를 순차적으로 회수 구동부(50)에 공급하는 스텝 스위치 유닛(62b)을 포함한다.
상기 스텝 스위치 유닛(62b)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타이머 유닛(62a)에서 설정된 단위 설정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단위 설정 신호에 따라, 회수 구동부(50)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여서 연사 회수부(40)에 의한 연사의 설정 회전속도(심사의 이동속도)를 단위 설정 시간별로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등속 커버링 제어유닛(61)에 의해 커버링사는 항시 동일한 속도로 나선으로 전개되고, 가변 회수 제어유닛(62)의 제어에 의해 심사(110)의 이동속도는 증감이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콘트롤러부(60)의 제어에 의해 제조된 연사(100)는 단위 구간(길이)별로 커버링사(120)의 권취횟수가 달라져 커버링사(120)의 권취밀도가 증감되는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향 이동하는 심사(110)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커버링사(120)의 정형화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상기 심사가 관통하는 합연부(20)의 심사 이송관(21)에는 공기를 상향 분출시키는 공기 주입관(23)을 배치하여, 상기 심사 이송관(21)을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심사(110)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커버링사(120)는 심사 이송관(21)을 통해 상향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나선구조로 안정되게 전개되면서 심사(110)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연사(100)는 심사(110)에 커버링사(120)가 정형화된 나선 구조로 권취된 형태로 제작되어서, 품질의 균일성이 확보된다.
그리하여, 상기 심사(110)에 권취되는 커버링사(120)의 권취밀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연사(100)를 경사와 위사로 채택하여 제직한 직물원단(200)에는, 도 8과 같이 선형의 패턴(210)들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선형의 패턴에 의해 다양하면서 독특한 미감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합연부(20)에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6ㅇ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하는 심사(110)의 외측에 커버링사(120)를 권취하는 연사(100)의 표면에 바인더, 또는 습기를 분사시키는 증착유닛(24)과, 열풍을 토출시켜 연사에 분사된 습기를 건조시켜 제거하는 열풍유닛(25)을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심사(110)에 나선 구조로 권취된 커버링사(120)가 심사(110)에 안정되게 유착되고, 특히 커버링사(120)의 권취과정에 발생되는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또 상기 연사(100)에 분사된 바인더, 또는 습기는 열풍유닛(25)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신속히 제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심사(110)에 커버링사(120)를 나선 구조로 권취시킨 연사(100)가 권취되는 연사보빈(101)과 외접하는 구동드럼 유닛(41)에는 진공 흡입기(43)의 진공 흡입관(43a)과 연통하는 복수의 흡착공(41a)들이 형성되어, 도 7과 같이 연사(100)가 권취되는 연사보빈(42)은 구동드럼 유닛(41)의 외벽에 흡착된 상태로 종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드럼 유닛(41)을 회동구조로 고정하는 회전축(51)은 중공관체로 구성하고, 상기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회전축(51)에 진공 흡입관(43a)을 커플링을 통해 회동구조로 연결시켜서, 구동드럼 유닛(41)과 진공 흡입기(43)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회전축(51)을 매개로 상호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드럼 유닛(41)에 외접되게 배치되어 연사(100)가 지속적으로 권취되는 연사보빈(101)은, 흡착공(41a)을 통해 제공되는 흡착력에 의해 구동드럼 유닛(41)에 항시 안정되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연사의 안정적인 권취가 가능하다.
특히, 상기 종동하여 회전하는 연사보빈(101)에 권취되는 연사(100)는, 흡착공(41a)들을 통해 흡착되는 흡기력에 의해 증착에 의한 수분과, 커버링 과정에 생성된 보플 등의 이물질이 흡착하여 제거되므로, 품질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연사 제조장치
10. 심사 공급부 20. 합연부
21. 심사 이송관 22. 커버링사 지지대
23. 공기 주입관 24. 증착유닛
25. 열풍유닛
30. 커버링 구동부 31. 구동모터
32. 이송벨트
40. 연사 회수부 41. 구동드럼 유닛
41a. 흡착공 42. 연사보빈 지지유닛
43. 진공 흡입기 43a. 진공 흡입관
50. 회수 구동부 51. 회전축
52. 구동모터 53. 감속기어 유닛
54. 체인 스프라켓 유닛
60. 콘트롤러부 61. 등속 커버링 제어유닛
62. 가변 회수 제어유닛
100. 연사 101. 연사보빈
110. 심사 111. 심사보빈
120. 커버링사
121. 커버링사 보빈
200. 직물원단 210. 선형의 패턴

Claims (4)

  1. 심사보빈을 회동구조로 고정시킨 심사 공급부와;
    상기 심사 공급부에서 전개되는 심사를 관통시켜 상부로 이동시키는 심사 이송관과, 상기 심사 이송관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며 커버링사 보빈을 지지하는 커버링사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연부와;
    상기 합연부를 구성하는 커버링사 지지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심사 이송관을 관통하여 설정속도에 따라 상부 이동되는 심사에 커버링 보빈에서 전개되는 커버링사를 권취하는 커버링 구동부와;
    상기 합연부를 관통하면서 심사에 커버링사가 권취된 연사를 연사보빈에 권취시키는 연사 회수부와;
    상기 연사 회수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연사보빈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심사 공급부에서 전개되어 합연부를 통과하면서 커버링사가 권취된 심사의 회수속도를 조절하는 회수 구동부 및;
    상기 커버링 구동부와 회수 구동부를 제어하여, 연사 회수부에 의한 연사의 회수속도와 합연부에 의한 커버링사의 권취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러부는, 상기 커버링 구동부를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등속 커버링 제어유닛과; 상기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회수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심사의 상향 이동속도를 가변시키는 가변 회수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변 회수 제어유닛에 의해 가변되는 심사의 이동속도에 의해, 심사의 단위 구간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커버링사의 권취횟수가 조절되어서, 단위 구간별로 커버링사의 권취밀도가 증감된 연사를 연속적으로 제조되도록 하며,
    상기 가변 회수 제어유닛은, 설정된 단위 시간주기에 따라 단위주기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타이머 유닛과, 상기 각 타이머 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단위주기 신호에 따라 설정된 전류량을 순차적으로 회수 구동부에 공급하여 회수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스텝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텝 스위치 유닛은 각 타이머 유닛에서 설정된 단위 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단위주기 신호에 따라, 회수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여서, 커버링사가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심사의 이동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사 회수부는,
    회수 구동부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동드럼 유닛과,
    상기 구동드럼 유닛의 상부에 연사보빈을 외접되게 회동 지지하여, 구동드럼 유닛에 의해 외접된 연사보빈을 종동시키는 연사보빈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가 관통하는 합연부의 심사 이송관에는 공기를 상향 분출시키는 공기 주입관을 배치하여, 상기 심사 이송관을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심사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는 커버링사는 심사 이송관을 통해 상향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나선구조로 안정되게 전개되면서 심사에 나선구조로 권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KR1020160064288A 2016-05-25 2016-05-25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KR10173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88A KR101734497B1 (ko) 2016-05-25 2016-05-25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88A KR101734497B1 (ko) 2016-05-25 2016-05-25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497B1 true KR101734497B1 (ko) 2017-05-11

Family

ID=5874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288A KR101734497B1 (ko) 2016-05-25 2016-05-25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49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343B1 (ko) 편직물과 상기 편직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072505B (zh) 用于制造空心型材式织物的圆织机和方法
CN105274723B (zh) 一种多毛羽纱线的超光洁纬编针织方法
CN105274695B (zh) 一种多毛羽纱线的超光洁整经方法
JPH0374594B2 (ko)
CN104746198A (zh) 一种花式纱的生产方法
KR20060096553A (ko) 링 정방기에서의 패치사 제조장치
CN101195942B (zh) 提花链整经机和用于生产提花链的方法
KR101446440B1 (ko) 고무줄끈 제조장치
CN109234864A (zh) 一种双捻纱同步生产装置和生产方法
KR101726141B1 (ko) 기모사 가공장치
KR101734497B1 (ko) 가변 패턴을 갖는 직물원단 제직용 연사 제조장치
TW49051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aised yarns
JP7191836B2 (ja) 異なる練条での芯糸を有するコアヤーン、及び当該コアヤーンから得られる生地
CN112501724B (zh) 一种双纤维加捻装置及加捻工艺
JP2002538313A (ja) 絹糸用撚糸装置
CN115094563B (zh) 包芯呢绒织物
KR100427516B1 (ko) 편물, 메리야스 및 유사물 용으로 사용되는 섬유기계로 진입할 때의 둘 이상의 실을 짝형성하거나 케이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3885279A (en) Yarn feed guide arms
KR102099887B1 (ko)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KR20130132170A (ko) 꼬임실 제조장치
KR101778911B1 (ko) 기모형성이 가능한 투포원 연사기
KR900006279B1 (ko) 관상물 제조용 원형직기
KR100555776B1 (ko) 장식사의 장식보풀 가변 형성방법 및 그 장치
KR100260591B1 (ko) 다기능 장식사 연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