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679B1 -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679B1
KR101733679B1 KR1020150039139A KR20150039139A KR101733679B1 KR 101733679 B1 KR101733679 B1 KR 101733679B1 KR 1020150039139 A KR1020150039139 A KR 1020150039139A KR 20150039139 A KR20150039139 A KR 20150039139A KR 101733679 B1 KR101733679 B1 KR 10173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light
hydrophobic
hydrophilic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445A (ko
Inventor
정윤중
황인동
차동화
안종갑
Original Assignee
(주)상봉이엔씨
주식회사 피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봉이엔씨, 주식회사 피엠에이 filed Critical (주)상봉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13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7/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반사 도료에 관한 것으로서, 비드를 도장면의 표면에 부유시켜 도료의 표면에 비드와 반사 안료를 노출시켜 빛의 산란을 증가시키며 친수성과 소수성의 교대 배열에 의한 내오염성이 있는 반사 도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를 이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Using a floating bead arrays using hydrophobic and hydrophilic coating compositions reflected in pollution}
본 발명은 고 반사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라믹 비드를 도장면의 표면에 부유시켜 도료의 표면에 비드와 반사 안료를 노출시켜 빛의 산란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휘도가 충분히 발현되면서 내오염성이 있도록 한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도료 분야에 있어서는, 환경오염에 따른 건축 외장재료와 옥외 구조물의 표면의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대기중에 부유하는 먼지와 입자는 맑은 날에 건물의 지붕과 외장에 퇴적 한다. 이의 퇴적물은 강우를 따라 빗물에 의해 흘러내려, 건물의 외장을 흘러내린다.
또한, 공중에 부유하는 먼지는 비에 운반되고, 먼지를 운반한 비는, 건물의 외장과 옥외 구조물의 표면을 흘러내린다. 그 결과, 표면에는 빗물의 경로를 따라오염물질이 부착한다. 이와 같은 표면이 건조하면 표면에는 줄무늬 모양의 오염이 나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터널 내벽은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그을음과 먼지가 쌓여 벽면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오염된 터널 벽면은 주변에 조명등을 밝히더라도 휘도가 떨어져 터널 내부의 밝기가 떨어져 운전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비드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는 첨단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드의 구성은 세라믹등의 무기계와 폴리머를 이용한 유기계로 제조되고 있다.
비드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비드를 구성하는 재료에 의하여 물리적 특성이 결정되고 물리적 특성과 세라믹 비드 표면의 성질에 의하여 용도가 결정된다.
특히 중공 비드의 경우 얇은 벽의 구성에 의한 단열성능은 열 흐름을 적절하게 차단할 수 있어 많은 개발자들은 이를 단열 재료로 사용하여 좋은 단열 도료를 개발한바 있다. 또한 도료에서의 비드는 내부의 공간에 빈 매우 낮은 비중을 갖는 것이 단열에 사용되며 내부 공간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 광 확산 도료의 광 확산 매체로 사용된다.
광 확산 도료의 경우 빛의 산란은 도료의 표면에 돌출된 비드의 빛 반사특성을 이용하며 도로의 차선 도료 등에서 적용되고 있다. 반면 내 오염성 도료의 경우 도료의 필름을 구성하는 바인더(binder)에 의하여 결정되며 대부분 고분자이나 실리카 졸등을 이용한 무기 바인더(binder)는 초 친수성이나 소수성을 있게하여 먼지등의 오염으로부터 잘 씻기거나 달라 붙지 않도록 구성된다.
해외의 경우 이러한 친수성이나 소수성으로 특성을 이용한 내 오염 도료가 시판되었으나 오염 발생을 방어하는 기간이 짧거나 주기적으로 세척하여야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두가지 기능을 모두 만족하는 기술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의 건설의 에너지 절감은 이러한 기능성이 있는 도료를 요구하고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제10-2009-0052862호(공개일자:2009.5.6)(이하"선행기술 1"이라한다)의 도로 표시 제조를 위한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0.1 내지 15 중량%의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30 내지 5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40 중량%의 (메트)아크릴 중합체 및/또는 공단량체, 0 내지 10 중량%의 가교제, 0 내지 5 중량%의 촉진제 및 기타 보조제 및 첨가제를 함유하는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도로 표지수지의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높은 증기압을 가지는 단량체이며, 이에 따라 그 냄새가 쉽게인식되는 아크릴레이트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상기 조 성물을 중 합체로 사용 하고 있으나, 이는 휘발성분이 제 거되어 냄새 를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 중합체 및/또는 공단량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사전 가공이 복잡하고 내굿겅으ㄷ 갖도록하기 위해 수지, 벤톤, 이산화티멘, 충진제 등을 넣어 간도를 증진시키야 함으로 교반작업과 혼합 비율을 정확하게 지켜야하는 전처리 가공이 복잡하여 중앙선, 차선, 바닥코팅제 등 도로의 반사체 도료를 사용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경제성, 작업성이 모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 2로서 일본국 특개2006-328196호(공개:2006. 12. 7)
소수성 폴리머(B) 100 질량부에 친수성 입자(A) 10∼50 질량부가 분산해서 이루어질 도막의 구조이고, 그 친수성 입자(A)의 수 평균입자 지름이 50 nm이하임, 한편 도막의 자유 표면측의 표면이, 기준 길이 500nm에 있어서 50nm이하의 표면 조도 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도막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기술 2와 같이 단지 친수성 입자를 배합한 것 만으로는 성질이나 형상, 크기가 다른 오염이나 물질의 부착에 미치지 않는 곳에 대응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즉, 도막이 자유 표면측의 가장 바깥층에 소수성 폴리머(B)로부터 실질적으로 될 가장 바깥 표면층(b1)을 가지고 있어야 함으로, 이 경우, 가장 바깥 표면층(b1)의 평균 두께가 50nm이하로 형성해야한다, 따라서, 그 가장 바깥 표면층(b1)은 얇은 평균 두께가 30nm이하인 것이, 친수성 입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도막에서 특히 도로에 도막되는 표면층 두께를 30nm이하로 균일하게 도막하는 것은 초 정밀 도막공법을 사용해야하나 도로의 도막 공법에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286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281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도료와는 달리 오염에 의한 반사율 변화와 비드의 부유에 따른 빛 반사에 의한 산란 효과를 얻는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함으로 오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빛을 산란시켜 적은 광원에 대하여 기존 보다 높은 조명도를 얻을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의 제공함을 목적과,
또한 터널 내부의 휘도가 충분히 발현되면서 터널 조명 기준에 부합되는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 터널의 천장, 내벽면 등을 포함한 터널 내부 전체를 도장 함으로 동일한 조명으로 터널 내부가 훨씬 더 밝으면서도 터널 내부를 주행하고 있는 운전자에게 방해가 되는 빛의 저항인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단위 면적당 시공비는 타일을 시공하는 것에 비해 절반 이하로서 터널의 전체적인 내부 처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터널 내부의 매연 및 오염 등으로부터 내오염성을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은 비드 12∼25중량%, 결합제 71.5∼84중량%, 증점제 0.2중량%, 알코올타입의 레벨링제 0.2중량%, 광확산재 3.1∼3.6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의 비드는 밀도 0.9~1.1g/cm3 , 입자의 크기 10~800㎛, 압축력에 저항성은 10Mpa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의 비드는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는 유리로된 무기계 또는 폴리머로된 유기계의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의 비드는 굴절률이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로서, 실리콘 레진의 결합제는 불소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변성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의 비드는 세라믹비드로 하되 겉보기 비중이 0.2∼0.8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의 결합제는 친수성 비드의 광확산 반사 재료가 사용된 경우 결합 재료은 소수성으로 구성되며 반대로 소수성의 광 확산 반사 재료가 사용된 경우 친수성의 결합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의 세라믹 비드와 소수성의 결합제로써 실리콘 고분자를 사용하고 광 확산 반사 효과를 얻기 위한 구조로 광 확산제를 포함하여 내오염성이 우수한 광확산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위한 비드의 크기, 밀도, 형태와 도료의 배열등을 특정화함으로써 빛의 산란을 증가시키는 내오염성이 있는 반사 도료의 제조 방법을 제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돌출된 비드에 의하여 광 확산이 되는 도료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드 배열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선택된 세라믹 비드는 광 산란을 위하여 겉보기 비중이 0.2~0.8인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만일 비중이 0.8보다 클 경우 도료의 상부에 비드가 쉽게 부유하지 않아 광 산란 효과가 나빠지며 비중이 0.2보다 작을 경우 부유한 비드의 벽이 너무 얇아 외부의 힘에 쉽게 손상되어 광 산란 효과가 나빠지게 된다.
또한 광 확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주 안료나 형광안료, 이산화티탄계 백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내오염성은 이미 많은 재료들이 개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 확산을 위한 재료와는 상반된 특성으로 구성된다.
즉 친수성의 비드등의 광확산 반사 재료가 사용된 경우 결합 재료는 소수성으로 구성되며 반대로 소수성의 광 확산 반사 재료가 사용된 경우 친수성의 결합 재료로 구성된다.
다만 이들은 그 구성에 있어 친수성과 소수성 배열은 도 1과 같이 교대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는 친수와 소수의 배열 크기는 작을수록 좋은 오염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광 확산은 적당한 크기에서 좋은 효과를 보인다.
광 확산 반사 효과는 알루미늄과 같은 메탈이 광 반사 효율적이나 빛의 산란은 입사된 빛이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하여 분산됨으로써 확산되나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르면 대부분의 소재에서 산란을 위한 산란체가 표층에 충분히 노출되었을때 높은 시인성이 확보됨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광확산 반사를 위해서는 빛이 입사되는 반사체와 확산체는 그 크기와 상관없이 직경이나 부피의 1~70%가 노출된 경우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이며 5%보다 작은 경우 광 확산 반사 효과가 나빠지며 50%보다 큰 경우 도막에서 쉽게 이탈하여 확산 효과가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산 반사는 내오염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확산 반사체가 소수성이나 친수성일 경우 결합재료는 반대의 특성, 즉 확산 반사체가 친수성일 경우 결합재료는 소수성으로 확산 반사체가 소수성일 경우 결합재료는 친수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좀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지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목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드는 물질적 구성은 달리 규정하지 않으며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는 유리등의 무기계와, 폴리머등 유기계등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굴절률은 최소한 국내의 차선 도료에서 사용되는 정도 이상의 것이 사용되어야하며 1.5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상기 굴절율은 외부 광원에 대한 빛의 반사로써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재귀 반사율이 차선도료 등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고반사 글래스 비드중 중심 비드를 작은 비드로 둘러싼 고성능 반사 비드가 사용되나 이는 본 발명과 같은 차선 이외의 부위에서는 우천에 의한 재귀반사율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대상은 아니며, 본 발명과 같이 주택의 지하 주차장과 같은 빛의 사용이 작은 벽체에 적용시에는 반드시 반사체의 부유에 의한 비드의 돌출에 따른 빛의 확산이 중요하다.
또한 광원에 대한 빛의 반사는 오염에 의한 감소가 현저하게 발생함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국내의 여건상 벽체의 세척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임으로 빛의 반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오염성은 절대적인 요소이다.
내오염성의 결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불소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변성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레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재료적 구성 보다는 반사 재료와 결합 재료의 배열에 의하여 오염으로부터 예방하거나 손쉽게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도료는 일반적으로 로울러, 붓, 주걱, 스프레이등을 이용하여 도장하며 도장시 2회를 도장하여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1회 도장에서 견고한 수지층을 사용하고 2번째 도장시 기능성 재료를 도장하여 성능을 극대화하는데 이는 상당한 비용을 요구하며 보수시 첫 번째 도장 재료의 경화 건조시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경제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결합재인 수지와 광 반사체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경화시킬 경우 매우 결제적이며 효과적인 광확산성과 내오염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물론 이러한 발명을 위하여서는 결합제의 점도와 비중, 반사체의 비중 크기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결합재료의 경화 시간이나 가사 시간은 반사체가 떠오르는데 필요한 시간과의 연관성에 대한 검토가 중요한 요소이다.
다만 이들의 적용 부위가 벽체임을 감안할 경우 적정화된 반사체의 노출 정도와 밀접한 연관성의 확인이 필요하였다. 다만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는 반사체와 결합체가 모두 오염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스톡스(Stokes)식 상승속도 = 중력가속도(입자의 밀도-액체의 밀도)×(입자의 지름)2/(18×액체의 점성계수 × 입자의 직경)을 적용하였다. 이 경우 액체의 결합제 밀도는 0.9~1.1g/cm3이 일반적인 결합 재료이며 통상적으로 무기물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1.1 이하이다.
다만 실리카 졸이나 알루미나졸 등과 같은 무기질 결합재료를 사용할 경우 1.2~1.4 이상이 되기도 하나 실리카 졸이나 알루미나 졸의 경우 반사체를 부착시키기에는 도료 막의 두께가 너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다만 비드와 졸을 슬러리 상태로 제조하는 경우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빛의 확산이 부유에 의한 상승만 고려하기 보다는 친수성과 소수성의 극성차에 기인하여 표면에 노출된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겉보기 비중이 0.2~0.8인 비드 12∼25중량%, 결합제 71.5∼84중량%, 증점제 0.2중량%, 알코올타입의 레벨링제 0.2중량%, 광확산재 3.1∼3.6중량%로 조성하고,
상기 비드는 밀도 0.6~0.9g/cm3 , 입자의 크기 10~800㎛, 압축력에 저항성은 10Mpa이상이며, 굴절률이 1.5인 것이고, 그리고 상기 결합제는 밀도0.9~1.1g/cm3 것이고, 그리고 상기 비드 밀도가 액체를 이루는 상기 결합제 보다 작은 밀도값을 가져서 액체인 결합제의 초기 피막 형성시간을 고려할때 1시간 이내에 표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드 밀도 0.6~0.9g/cm3을 적용하였으며 비드 입자의 크기는 10~800㎛이다. 이때 압축력에 저항성은 10Mpa이상의 것이어야만 세척시 외력에 견딜 수 있다.
또한 비드의 밀도는 액체의 초기 피막 형성 시간을 고려할 때 1시간 이내에 표면에 노출하여야 함으로 0.6~0.9g/cm3이어야하며, 액체를 이루는 물질보다 작은 밀도값이어야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에 비드가 노출되기 위해서는 결합제와의 극성이 완전히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진주 안료등의 광 확산 재료는 결합 재료와 잘 섞일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면 무방하다. 이외 도료 구성을 위한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안료등의 소정의 첨가제는 결로 방지 도료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종류 및 비교 예의 구성성분과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27731998-pat00001
비드와 결합제의 부피 비 비고
실시예 1 1 : 3
실시예 2 1 : 2
실시예 3 1: 1.2
비교예 1 해당없음
표2는 실시예에 따른 비드와 결합제의 부피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아래의 표3에 따른 실시예의 비드는 파괴강도 20Mpa, 밀도 0.6g/cc, 입경 약 600㎛인것을 사용하였으며 결합제는 실시예 1의 경우 실리콘 레진을 사용하였으며 제조사는 미국 M사의 실리콘 레진을 사용하였다. 증점제는 미국 D사의 에틸 셀루로오스가 사용되었으며 레벨링제는 미국 D사의 알코올 타입이 사용되었다. 광 확산재료는 미국 R사의 광 확산제를 사용하였다.
반면 비교예로는 현재 국내 시판되는 고휘도 반사 페인트중 국내 S사의 반사 페인트(비교1)와 비교하였다. 비교 방법은 건조 후반사를 프래쉬 사진에 의하여 비교하였으며 시험을 위하여 가로×세로 10cm, 두께 0.1cm인 알루미늄 재질의 판의 표면에 표 3의 두께로 각각의 1회 도장한 후 이 시편을 온도 105℃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사진을 프래쉬를 사용하여 촬영하여 비교하였다.
Figure 112015027731998-pat00002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프래쉬 사용를 사용하여 사진을 찍을 경우 예 1,2,3 모두가 동일한 흰색이나 비교예보다 밝은 색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원의 존재시 빛을 잘 반사 시켜 주위를 확인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은 옥외 폭로 후의 도료의 접촉각 변화( °) 및 옥외 폭로 전 후의 프래쉬를 이용한 야간 광 반사 사진이다.
Figure 112015027731998-pat00003
표4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내오염성의 성능 평가한 도장면의 빛 반사율 측정 결과이다. 10×20×0.1cm의 알루미늄판에 도료를 도2회 도장 한 후 105℃에서 24시간 건조하고 이상 24시간 상온에 방치한 시편을 폭로 시험체로하여 도로 면과 수직이 되게 하여 바닥으로부터 1m의 벽에 부착하여 설치한 후 6개월 후와 1년 후의 오염된 시편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최초의 접촉각과 비교하여 내오염성을 평가 하였다.
옥외 폭로 조건에서 12개월간 방치한 후 접촉각을 측정 비교예의 경우 실시예 1의 경우 119에서의 106으로 실시예2의 경우 120에서 97로 실시예 3의 경우 113에서 96으로 변화되어 소수성 접촉각이 유지되고 있으나 비교예 1의 경우 108에서 67로 감소하여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화되어 오염에 따른 표면 에너지 변화가 큰 것으로 평가되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실시에3의 경우 내 오염성이 유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시편의 1년후의 빛 반사율 확인에서도 실시예의 경우 크게 변화가 없는 반면 비교예의 경우 빛의 반사가 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한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돌출된 비드에 의하여 광 확산이 되는 도료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베드 배열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공 세라믹 비드와 진주 안료등을 광 확산 재료로 하고 결합재료로써 실리콘 레등을 기초로 한 친수 중공 세라믹 비드의 부유를 이용한 반사 내오염 도료 조성물 방지 도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친수 배열
2:소수 배열

Claims (3)

  1. 반사도료 표면에 비드가 노출되도록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반사도료 조성물은,
    겉보기 비중이 0.2~0.8인 비드 12∼25중량%,
    불소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변성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레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결합제 71.5∼84중량%,
    증점제 0.2중량%, 알코올타입의 레벨링제 0.2중량%, 광확산재 3.1∼3.6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비드는 밀도 0.6~0.9g/cm3, 입자의 크기 10~800㎛, 압축력에 저항성은 10Mpa이상이며, 굴절률이 1.5인 것이고, 그리고 상기 결합제는 밀도0.9~1.1g/cm3 인 것이고, 그리고 상기 비드 밀도가 액체를 이루는 상기 결합제 보다 작은 밀도값을 가져서 액체인 결합제의 초기 피막 형성시간을 고려할때 1시간 이내에 표면에 노출되도록 하되 광확산 반사는 빛이 입사되는 반사체와 확산체는 직경이나 부피의 5∼50%가 노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150039139A 2014-05-27 2015-03-20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 KR101733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3908 2014-05-27
KR1020140063908 2014-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445A KR20150136445A (ko) 2015-12-07
KR101733679B1 true KR101733679B1 (ko) 2017-05-08

Family

ID=5487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39A KR101733679B1 (ko) 2014-05-27 2015-03-20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612B1 (ko) * 2022-06-03 2023-05-18 영림화학주식회사 색상구현이 가능한 코어-쉘 구조의 비산방지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408A (ja) * 1999-09-10 2001-03-27 Nippon Paint Co Ltd 光輝性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自動車用ホイール
JP2005154520A (ja) * 2003-11-21 2005-06-16 Daikin Ind Ltd 非付着性表面構造
JP2006152232A (ja) * 2004-10-26 2006-06-15 Sk Kaken Co Ltd 装飾性塗材及び装飾性建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408A (ja) * 1999-09-10 2001-03-27 Nippon Paint Co Ltd 光輝性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自動車用ホイール
JP2005154520A (ja) * 2003-11-21 2005-06-16 Daikin Ind Ltd 非付着性表面構造
JP2006152232A (ja) * 2004-10-26 2006-06-15 Sk Kaken Co Ltd 装飾性塗材及び装飾性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445A (ko)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3084B2 (ja) 光半導体の光励起に応じて親水性を呈する部材
ES2327927T3 (es) Proceso de revestimiento de superficie nano-estructurada, revestimientos nano-estructurados y articulos que comprenden el revestimiento.
US6462115B1 (en) Water repellent coating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ating films and coated articles using the same
JP3940983B2 (ja) 防汚性部材および防汚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9526727A (ja) 反射防止被覆ガラスプレート
KR20120097517A (ko) 보호 코팅 및 이의 제조 및 이용 방법
CN104540905A (zh) 基于聚甲基丙烯酸甲酯的硬质涂膜组合物和涂覆制品
KR100876529B1 (ko) 자기세정성을 갖는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한 필름 또는 건축외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0146251A (ja) 光触媒性親水性表面を備えた複合材
JPH09227829A (ja) 光触媒性親水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親水性被膜の形成方法および被覆物品
CN102449508A (zh) 光学膜
De Ferri et al. Hybrid sol–gel based coatings for the protection of historical window glass
KR102207388B1 (ko) 옥상 또는 지붕용 수성 차열성 방수 도료를 사용한 차열성 방수 도장 방법
KR102070122B1 (ko) 실사필름 코팅용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관형 마감층 시공 방법
CN104769023A (zh) 用于阻碍露珠形成的纳米二氧化硅涂层
JP2001040245A (ja) 光触媒性親水性塗料組成物及び光触媒性親水性塗膜
KR101733679B1 (ko) 비드의 부유를 사용하고 소수성과 친수성 배열을 이용한 내오염 반사 도료 조성물
JP3384340B2 (ja) 撥水性を有するハ−ドコ−ト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樹脂製品
US20070178318A1 (en) Silicon-containing liquid composition
JP5823949B2 (ja) 光触媒塗装体
JP2003342526A (ja) 自己浄化性水性塗料組成物、及び自己浄化性部材
KR101434501B1 (ko) 차열 도료 조성물
US20060286318A1 (en) Luminaire
JPH11172239A (ja) 親水性部材、部材表面の親水化/親水維持方法及び親水性塗料組成物
US7754339B2 (en) Reflective paint and a method for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