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447B1 -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447B1
KR101733447B1 KR1020150150428A KR20150150428A KR101733447B1 KR 101733447 B1 KR101733447 B1 KR 101733447B1 KR 1020150150428 A KR1020150150428 A KR 1020150150428A KR 20150150428 A KR20150150428 A KR 20150150428A KR 101733447 B1 KR101733447 B1 KR 10173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catalyst
reactor
catalyst
sulf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식
이지은
김진호
이승종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5015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02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 C01B17/021Separation of sulfur from gases
    • B01J35/1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02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 C01B17/04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 C01B17/0404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by processes comprising a dry catalytic conversion of hydrogen sulfide-containing gases, e.g. the Claus process
    • C01B17/0426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from gaseous sulfur compounds including gaseous sulfides by processes comprising a dry catalytic conversion of hydrogen sulfide-containing gases, e.g. the Claus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catalytic conver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응기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반응기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통해 액상촉매가 분사됨으로써 하나의 반응기 유닛에 다수의 액상촉매막이 형성되어 황 제거 효율이 높고, 반응기의 집적도가 향상되어 반응기 부피를 현저하게 줄이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반응기 본체; 상기 반응기 본체로 합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 배관; 및 상기 반응기 본체로 액상 촉매를 공급하는 다수의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은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액상촉매막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sulfur from Synthetic Gas}
본 발명은 혼합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응기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반응기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통해 액상촉매가 분사됨으로써 하나의 반응기 유닛에 다수의 액상촉매막이 형성되어 황 제거 효율이 높고, 반응기의 집적도가 향상되어 반응기 부피를 현저하게 줄이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화란, 고체·액체 연료에 공기·산소·수증기·이산화탄소 등의 가스화제를 단독 또는 서로 배합하여 고온에서 작용시켜 수소·일산화탄소·메테인 등을 주성분으로 하며, 열효율이 높고 취급하기 쉬운 기체연료를 얻는 것을 말한다.
특히, 전통적인 화학 석유 에너지(석탄, 석유 천연가스) 매장량의 지속적인 감소 및 화학 석유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인류의 생존과 발전에 직접적인 위협을 초래하고, 각종 산업 폐기물의 증가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및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폐기물을 이용한 가스화도 주목받고 있다.
가스화는 석탄, 폐기물, 바이오매스 등의 원료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폐기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한 합성가스로 전환한 뒤 합성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과 황 화합물 등 원료에 따른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정제하여 사용하게 된다.
가스화 과정 중 생성되는 합성가스의 조성은, 가스화 시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가스화제 종류 및 가스화기 유형, 온도 및 압력과 같은 반응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가스화 공정 개발 방향은 원하는 합성가스 조성을 얻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가스화 과정 중의 타르유 함량을 감소시키고, 시스템의 가스화 효율, 탄소 전환율 및 합성가스 중의 (CO 및 H2)의 함량을 최대화하려는데 있다.
이처럼 원료가스로 사용될 때의 연료 효율을 높이고 합성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 및 이산화탄소 등의 환경오염물질들을 제거하는 정제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종래의 액상촉매 또는 세정액(이하 액상촉매)을 통한 합성가스의 습식탈황공정에 적용된 탈황 반응기는 U자관의 형태로 액상촉매의 분사노즐이 관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어 분사된 액상촉매가 반응기 중심으로부터 반응기 내주면으로 분사되는 구조로, 한 개의 단에 단수 개의 노즐만 구비되어 있어 그 접촉 시간이 짧아 벤츄리 등의 별도 설비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U자관의 형태로 인하여 반응기 제작 시 관의 최소 회전반경 제한으로 인하여 반응기 직경이 커지면 U자관 사이의 간격도 증가하여 공간적 비효율성이 증가하는 단점과 협소한 공간에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복수 개 반응기의 직렬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탈황 정제 기술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50619호(석탄 가스화기 합성가스의 탈황 정제 시스템)는 액상촉매를 이용하여 유입가스에 포함된 황성분을 제거하는 탈황시스템으로 반응기의 전체적 형상이 U자관의 형태를 가지며, 유입된 가스가 일측에서는 하방으로 분사액과 병류로 흐름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서는 상방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분사액과 향류로 흐름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기술은 U자관의 형태로 인하여 공간적 비효율성이 증가하고 설치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750619호(2007.08.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응기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반응기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통해 액상촉매가 분사됨으로써 하나의 반응기 유닛에 다수의 액상촉매막이 형성되어 황 제거 효율이 높고 반응기의 집적도가 향상되어 부피를 현저하게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반응기 본체; 상기 반응기 본체로 합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 배관; 및 상기 반응기 본체로 액상 촉매를 공급하는 다수의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은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액상촉매막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은 상기 반응기 본체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유입 배관은 상기 반응기 본체를 수평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반응기 본체의 중심에서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유입 배관을 통해 유입된 합성가스는 상기 액상촉매막과 접촉하여 황이 분리된 정제 합성가스가 되며, 상기 정제 합성가스는 가스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은 액상촉매가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비스듬히 윗쪽으로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액상촉매가 상기 가스 유입 배관으로 일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액상촉매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가스 유입 배관에는 액상촉매 배출 배관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기 본체 하부에 저장되는 황이 포함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배출 조절밸브가 개방되면 액상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황이 포함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재생조로 공급되어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촉매 재생조에서 재생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주입 펌프를 통해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로 재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의 선단부는 액상촉매막이 형성되도록 직사각형의 슬릿 형상(Slit type)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기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반응기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통해 액상촉매가 분사됨으로써 하나의 반응기 유닛에 다수의 액상촉매막이 형성되어 황 제거 효율이 높고 반응기의 집적도가 향상되어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의 반응기 본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의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의 반응기 본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의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가스로부터 황(H2S)을 회수하는 장치(100)는 반응기 본체(110), 반응기 본체(110)로 합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 배관(120); 및 반응기 본체(110)로 액상 촉매를 공급하는 다수의 액상촉매 분사노즐(126);을 포함하되, 액상촉매 분사노즐(126)은 반응기 본체(110) 내부에 액상촉매막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유입 배관(120)을 통해 반응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합성가스는 다수의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에 의해 고속으로 분사되어 형성된 액상촉매막과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합성가스에 포함된 황이 분리될 수 있으며, 황을 포집한 액상촉매는 중력에 의해 반응기 본체(110) 하부로 떨어져 저장될 수 있다.
가스 유입 배관(120)은 반응기 본체(110)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반응기 본체(110)의 중심부에서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반응기 본체(110)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반응기 본체(110)의 중심부까지의 배관인 수평부(121)와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배관인 수직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은 반응기 본체(110)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반응기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분사된 액상촉매가 반응기 본체(110) 내부에서 막을 형성하려면 내주면을 따라 최소 6개 이상의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은 액상촉매가 반응기 본체(110) 내부에 비스듬히 윗쪽으로 분사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의 선단부(125)는 액상촉매막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직사각형의 슬릿 형상(Slit type)일 수 있다.
따라서, 반응기 본체(110)에 다단으로 다수 개의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이 배치됨으로써, 분사되는 액상촉매는 다단으로 액상촉매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액상촉매 분사노즐(125)보다 아래에 위치한 가스 유입 배관(120)에서 공급된 합성가스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단의 액상촉매막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촉매는 예컨대, 철킬레이트 수용액(Iron-chelate) 일 수 있다.
황을 포함한 합성가스는 액상촉매막과 다단으로 접촉하면서 황과 분리된 정제 합성가스가 될 수 있으며, 정제된 합성가스는 반응기 본체(110) 상부에 설치된 가스 배출구(131)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에 의해 분사되는 액상촉매는 반응기 본체(110) 하부로 떨어지면서 가스 유입 배관(120)으로 일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액상촉매를 배출하기 위해 가스 유입 배관(120)에는 액상촉매 배출 배관(123)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액상촉매 배출 배관(123)은 가스 유입 배관(120)의 수직부(122) 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액상촉매 분사노즐(125)을 통해 분사된 액상촉매가 가스 유입 배관(120)의 수직부(122) 내부로 떨어지면 바로 액상촉매 배출 배관(123)을 통과하여 반응기 본체(110) 하부로 떨어져서 저장될 수 있다.
반응기 본체(110) 내부에 분사되어 저장된 액상촉매의 수위는 액상촉매 배출 배관(123)의 위치보다 항상 높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유입 배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합성가스가 저항이 적은 가스 유입 배관(120)의 수직부(122)를 통하여 반응기 내부(110)로 공급될 수 있다.
반응기 본체(110) 하부에 저장되는 황이 포함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배출 조절밸브(132)에 의해 조절되어 액상촉매 배출 조절밸브(132)가 개방되면 액상촉매가 액상촉매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액상촉매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황이 포함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재생조(140)로 공급되어 재생될 수 있으며, 액상촉매 재생조(140)에서 재생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공급조(141)에 저장되었다가 액상촉매 공급 펌프(142)를 통해 액상촉매 분사노즐(125)로 재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따르면, 반응기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반응기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통해 액상촉매가 분사됨으로써 하나의 반응기 유닛에 다수의 액상촉매막이 형성되어 촉매 반응 효율이 높고 반응기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반응기 본체 120 : 가스 유입 배관
125 : 액상촉매 분사노즐 130 : 액상촉매 배출구
131 : 가스 배출구 132 : 액상촉매 배출 조절밸브
140 : 액상촉매 재생조 141 : 액상촉매 공급조
142 : 액상촉매 공급 펌프

Claims (10)

  1.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반응기 본체;
    상기 반응기 본체로 합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입 배관;
    상기 가스 유입 배관에 연결되는 액상촉매 배출 배관; 및
    상기 반응기 본체로 액상 촉매를 공급하는 다수의 액상촉매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유입 배관은 상기 반응기 본체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반응기 본체의 중심부까지의 배관인 수평부와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배관인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은 상기 반응기 본체의 동일 높이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분사되는 액상촉매는 다단의 액상촉매막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보다 아래에 위치한 가스 유입 배관에서 공급된 합성가스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다단의 액상촉매막과 접촉한 후 상기 반응기 본체의 상부로 배출되며,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분사되어 저장된 액상촉매의 수위는 상기 액상촉매 배출 배관의 위치보다 높게 유지되어 상기 가스 유입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합성가스가 저항이 적은 상기 수직부를 통해 상기 반응기 내부로 공급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 배관은 상기 반응기 본체를 수평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반응기 본체의 중심에서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 배관을 통해 유입된 합성가스는 상기 액상촉매막과 접촉하여 황이 분리된 정제 합성가스가 되며, 상기 정제 합성가스는 가스 배출구로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은 액상촉매가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 비스듬히 윗쪽으로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본체 하부에 저장되는 황이 포함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배출 조절밸브가 개방되면 액상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8. 청구항 7 있어서,
    상기 액상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황이 포함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재생조로 공급되어 재생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액상촉매 재생조에서 재생된 액상촉매는 액상촉매 주입 펌프를 통해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로 재공급되는,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촉매 분사노즐의 선단부는 액상촉매막이 형성되도록 직사각형의 슬릿 형상(Slit type)인,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KR1020150150428A 2015-10-28 2015-10-28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KR10173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28A KR101733447B1 (ko) 2015-10-28 2015-10-28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28A KR101733447B1 (ko) 2015-10-28 2015-10-28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447B1 true KR101733447B1 (ko) 2017-05-10

Family

ID=5874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28A KR101733447B1 (ko) 2015-10-28 2015-10-28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047B1 (ko) 2017-09-18 2018-03-08 이철 탈황용 촉매를 이용한 탈황 시스템
KR20230063700A (ko) * 2021-11-02 2023-05-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대용량 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의 제거를 위한 대용량 용매분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54B1 (ko) * 2014-07-16 2014-11-19 엔.엠테크 주식회사 황화수소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54B1 (ko) * 2014-07-16 2014-11-19 엔.엠테크 주식회사 황화수소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047B1 (ko) 2017-09-18 2018-03-08 이철 탈황용 촉매를 이용한 탈황 시스템
WO2019054659A1 (ko) * 2017-09-18 2019-03-21 이철 탈황용 촉매를 이용한 탈황 시스템
CN111093807A (zh) * 2017-09-18 2020-05-01 李哲 利用脱硫用催化剂的脱硫系统
US10988700B2 (en) 2017-09-18 2021-04-27 Lowcarbon Co., Ltd Desulfurization system using catalyst for desulfurization
CN111093807B (zh) * 2017-09-18 2022-04-26 乐佧本有限股份公司 利用脱硫用催化剂的脱硫系统
KR20230063700A (ko) * 2021-11-02 2023-05-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대용량 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의 제거를 위한 대용량 용매분사 장치
KR102564381B1 (ko) 2021-11-02 2023-08-0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대용량 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의 제거를 위한 대용량 용매분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976B1 (ko) 가변형 가스화기가 구비된 발전과 연소보일러 겸용 가스화 장치 및 그 운전방법
AU2010241062B2 (en)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synthesis gas
AU201023028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purified synthesis gas stream
KR102313692B1 (ko) 용매 커튼 막을 이용한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 장치
JP2011504196A (ja) 浄化合成ガス流の製造方法
CN104043326B (zh) 一种工业气体超重力脱除硫化氢的装置及工艺
KR20120092167A (ko) 가스화 시설의 고온 가스로부터 산성 성분, 분진 및 타르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설
KR101538341B1 (ko)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이용한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 시스템
KR101488291B1 (ko) 합성가스의 연속정제 시스템
CN103214049A (zh) 用于闪蒸器中的脱气的系统
KR101733447B1 (ko) 합성가스로부터 황을 회수하는 장치
JP2003226884A (ja) 液体燃料合成システム
CN219156823U (zh) 一种低温甲醇洗富液闪蒸气co2和h2s脱除装置
KR101896122B1 (ko) 수성가스 전이 촉매가 일체화된 건조기를 이용한 가스화 공정 및 시스템
EP2683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raw ucg product stream
KR101776600B1 (ko) 유체 내 불순물 제거 장치
CN110479075A (zh) 一种气体冷却、脱硫和富液再生一体化集成装置及工艺
KR100786574B1 (ko) 합성가스 정제시스템
CN210752054U (zh) 一种气体冷却、脱硫和富液再生一体化集成装置
KR101330126B1 (ko) 고온고압 건식 자열탈황장치
CN212396335U (zh) 一种含硫工艺气湿法脱硫装置
CN201059572Y (zh) 一种泡沫废气净化装置
KR101619319B1 (ko) 합성가스 습식 정제 시스템 및 방법
CN108249401B (zh) 一种用于荒煤气与生物质气化产物的氢气提纯装置
CN105907435A (zh) 一种高效节能石油液化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