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357B1 -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357B1
KR101733357B1 KR1020160092665A KR20160092665A KR101733357B1 KR 101733357 B1 KR101733357 B1 KR 101733357B1 KR 1020160092665 A KR1020160092665 A KR 1020160092665A KR 20160092665 A KR20160092665 A KR 20160092665A KR 101733357 B1 KR101733357 B1 KR 10173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sertion tube
tube
protrud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택
Original Assignee
정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택 filed Critical 정인택
Priority to KR102016009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방향이 기재된 표지가 함께 조립 고정되어 도어에 대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도어 록킹 장치는 도어(D)에 끼워지는 설치관(10)과, 상기 설치관(10)의 외면에 끼워지는 개폐위치안내판(20)과, 상기 설치관(10)에 삽입되는 삽입관(30)과, 상기 삽입관(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40)과, 상기 설치관(10)에 배치되는 걸림구(50)와, 상기 삽입관(30)에 끼워지면서 나선봉(61)을 통해 상기 걸림구(50)를 고정시키는 다이얼(60)과, 상기 설치관(10)에 체결되어 상기 설치관(10)을 도어(D)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70)와, 상기 나선봉(61)에 체결되는 이탈방지캡(8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DOOR LOCKING APPARATUS FOR ENCLOSURE BOX}
본 발명은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 방향이 기재된 표지가 함께 조립 고정되어 도어에 대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록킹 장치는 단자함, 휴즈박스, 계량기 보온함, 분전반, 배전반, 그리고 금고나 캐비넷 등과 같은 함체의 도어를 회동 조작에 의해 단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함체의 도어 단속용으로 사용되는 도어 록킹 장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제품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성형되는 도어 록킹 장치의 형상은 몸체 전면부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동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조작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노브의 후방으로는 회동작업에 의해 도어를 개폐시키는 걸림구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 록킹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체의 도어의 전면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회동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장치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도어 록킹 장치는 개폐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OPEN"과 "CLOSE"의 개폐 방향이 기재된 표지를 도어 록킹 장치가 설치되는 도어의 외면에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계폐 위치에 맞추어 장치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 제20-0203985호 "도어 잠금구"(2000.09.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방향이 기재된 표지가 함께 조립 고정되어 도어에 대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끼움홈과 탄성끼움턱을 통해 개폐 작동 후에 그 풀림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는, 다각형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함체의 도어의 다각형 통공에 끼워지고, 도어의 전면에 걸리도록 관형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가지며, 다각형의 관형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형의 선단 내측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의 사이로 관형의 선단 내측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정지턱을 가지는 설치관과; 상기 걸림턱의 배면과 도어의 외면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설치관의 외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다각형의 다각형공을 가지고, 전면에 개폐 위치가 인쇄되는 개폐위치안내판과;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관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턱의 전면에 배면이 밀착되도록 관형의 선단에 형성되는 밀착턱을 가지며, 상기 밀착턱의 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손잡이를 가지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슬롯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정지턱에 걸리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턱을 가지고, 관형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착턱을 가지며, 상기 설치관에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관통슬롯을 통해 상기 삽입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스프링과; 나선공이 형성되는 일단이 상기 관통슬롯을 통해 상기 스프링의 하단과 상기 안착턱의 사이에 끼워지고, 함체에 걸리거나 그 걸림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걸림구와; 상기 돌출손잡이의 사이로 상기 삽입관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스프링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나선공에 체결되며 상기 삽입관에 끼워지는 나선봉을 가지는 다이얼과;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설치관에 체결되면서 상기 설치관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와; 상기 나선봉의 후단에 체결되면서 상기 삽입관에 걸리어 상기 나선봉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의 상기 설치관은, 상기 삽입홈의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턱의 전면에 두 쌍으로 형성되는 탄성끼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은, 상기 탄성끼움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밀착턱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끼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의 상기 삽입관은, 상기 설치관의 하단이 걸리어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함체에 끼워져 걸리도록 그 상단 외측면에 형성되는 잠금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개폐 방향이 기재된 표지가 함께 조립 고정되어 도어에 대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조립성과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끼움홈과 탄성끼움턱을 통해 개폐 작동 후에 그 풀림이 원활히 방지되어 작동상의 안정성과 정밀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는 도어(D)에 끼워지는 설치관(10)과, 상기 설치관(10)의 외면에 끼워지는 개폐위치안내판(20)과, 상기 설치관(10)에 삽입되는 삽입관(30)과, 상기 삽입관(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40)과, 상기 설치관(10)에 배치되는 걸림구(50)와, 상기 삽입관(30)에 끼워지면서 나선봉(61)을 통해 상기 걸림구(50)를 고정시키는 다이얼(60)과, 상기 설치관(10)에 체결되어 상기 설치관(10)을 도어(D)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70)와, 상기 나선봉(61)에 체결되는 이탈방지캡(80)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관(10)은 다각형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함체의 도어(D)의 다각형 통공에 끼워지고 도어(D)의 전면에 걸리도록 관형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을 가지며 다각형의 관형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형의 선단 내측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12)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12)의 사이로 관형의 선단 내측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정지턱(13)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도어(D)에 설치되면서 상기 개폐위치안내판(20)을 도어(D)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삽입관(30)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11)은 상기 설치관(10)이 도어(D)의 외면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삽입관(30)의 삽입턱(34)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정지턱(13)은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된 상기 삽입턱(34)이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되고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관(10)은 상기 삽입홈(12)의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턱(11)의 전면에 두 쌍으로 형성되는 탄성끼움홈(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끼움홈(14)은 상기 삽입관(30)의 탄성끼움턱(36)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설치관(10)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관(30)이 회전된 후에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위치안내판(20)은 상기 걸림턱(11)의 배면과 도어(D)의 외면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설치관(10)의 외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다각형의 다각형공(21)을 가지고 전면에 개폐 위치가 인쇄되는 것으로, 도어(D)의 외면으로 개폐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각형공(21)은 상기 설치관(10)의 다각형 외면에 끼워져 상기 개폐위치안내판(20)이 회전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관(30)은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관(10)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턱(11)의 전면에 배면이 밀착되도록 관형의 선단에 형성되는 밀착턱(31)을 가지며 상기 밀착턱(31)의 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손잡이(32)를 가지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슬롯(33)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정지턱(13)에 걸리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턱(34)을 가지고 관형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착턱(35)을 가지며 상기 설치관(1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삽입관(30)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구(50)를 90도의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구(50)에 의해 도어(D)의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밀착턱(31)은 상기 걸림턱(11)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삽입관(30)의 회전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손잡이(32)는 사용자가 잡고서 상기 삽입관(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관통슬릿은 상기 걸림구(50)가 상기 삽입관(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삽입관(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스프링(40)이 끼워지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턱(34)은 상기 설치관(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어 회전되고 상기 정지턱(13)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삽입관(30)을 일정한 각도, 즉 90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착턱(35)은 상기 삽입관(30)의 내측으로 상기 스프링(40)이 조립시에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걸림구(50)의 하단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탄성끼움홈(14)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밀착턱(31)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끼움턱(36)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끼움턱(36)은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관(30)의 회전과 함께 상기 탄성끼움홈(14)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관(30)을 상기 설치관(10)에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설치관(10)의 하단이 걸리어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관(3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턱(37)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턱(37)은 상기 설치관(10)이 상기 삽입관(30)의 외주면에 억지끼움된 후에 상기 설치관(10)의 하단이 걸리어 상기 삽입관(30)의 외주면에 상기 설치관(1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관통슬롯(33)을 통해 상기 삽입관(30)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관(30)의 내측 선단과 상기 걸림구(50)의 사이에 가압되게 배치되어 상기 다이얼(60)이 외측으로 당겨질 때 상기 걸림구(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구(50)는 나선공(51)이 형성되는 일단이 상기 관통슬롯(33)을 통해 상기 스프링(40)의 하단과 상기 안착턱(35)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함체에 설치되는 걸림부(B)에 걸리거나 그 걸림이 해제되어 도어(D)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선공(51)은 상기 다이얼(60)의 나선봉(61)에 상기 걸림구(50)가 체결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구(50)는 그 상단 외측면에 형성되는 잠금홈(5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홈(52)은 상기 함체의 걸림부(B)에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걸림구(50)가 상기 함체에 보다 정밀하게 걸리어 록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60)은 상기 돌출손잡이(32)의 사이로 상기 삽입관(3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스프링(4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나선공(51)에 체결되며 상기 삽입관(30)에 끼워지는 나선봉(61)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돌출손잡이(32)와 함께 회전시켜 상기 걸림구(50)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선봉(61)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스프링(40)의 내측으로 상기 나선공(51)에 체결되며 상기 삽입관(30)의 후단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다이얼(60)과 걸림구(50)를 연결시키면서 상기 걸림구(50)와 이탈방지캡(80)이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너트(70)는 상기 도어(D)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설치관(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관(10)을 상기 도어(D)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캡(80)은 상기 나선봉(61)의 후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다이얼(60)이 전방으로 당겨질 때 상기 삽입관(30)에 걸리어 상기 나선봉(61)과 다이얼(6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설치관
11 : 걸림턱 12 : 삽입홈
13 : 정지턱 14 : 탄성끼움홈
20 : 개폐위치안내판
21 : 다각형공
30 : 삽입관
31 : 밀착턱 32 : 돌출손잡이
33 : 관통슬롯 34 : 삽입턱
35 : 안착턱 36 : 탄성끼움턱
37 : 고정턱
40 : 스프링
50 : 걸림구
51 : 나선공 52 : 잠금홈
60 : 다이얼
61 : 나선봉
70 : 고정너트
80 : 이탈방지캡
D : 도어

Claims (3)

  1. 다각형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함체의 도어의 다각형 통공에 끼워지고, 도어의 전면에 걸리도록 관형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을 가지며, 다각형의 관형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형의 선단 내측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12)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12)의 사이로 관형의 선단 내측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정지턱(13)을 가지는 설치관(10)과;
    상기 걸림턱(11)의 배면과 도어의 외면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설치관(10)의 외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다각형의 다각형공(21)을 가지고, 전면에 개폐 위치가 인쇄되는 개폐위치안내판(20)과;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관(10)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턱(11)의 전면에 배면이 밀착되도록 관형의 선단에 형성되는 밀착턱(31)을 가지며, 상기 밀착턱(31)의 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손잡이(32)를 가지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슬롯(33)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정지턱(13)에 걸리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턱(34)을 가지고, 관형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착턱(35)을 가지며, 상기 설치관(10)에 삽입되는 삽입관(30)과;
    상기 관통슬롯(33)을 통해 상기 삽입관(30)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스프링(40)과;
    나선공(51)이 형성되는 일단이 상기 관통슬롯(33)을 통해 상기 스프링(40)의 하단과 상기 안착턱(35)의 사이에 끼워지고, 함체에 걸리거나 그 걸림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걸림구(50)와;
    상기 돌출손잡이(32)의 사이로 상기 삽입관(3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스프링(4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나선공(51)에 체결되며 상기 삽입관(30)에 끼워지는 나선봉(61)을 가지는 다이얼(60)과;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설치관(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설치관(10)을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70)와;
    상기 나선봉(61)의 후단에 체결되면서 상기 삽입관(30)에 걸리어 상기 나선봉(6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캡(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관(10)은,
    상기 삽입홈(12)의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턱(11)의 전면에 두 쌍으로 형성되는 탄성끼움홈(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탄성끼움홈(14)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밀착턱(31)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끼움턱(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설치관(10)의 하단이 걸리어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관(3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턱(3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50)는,
    상기 함체에 끼워져 걸리도록 그 상단 외측면에 형성되는 잠금홈(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KR1020160092665A 2016-07-21 2016-07-21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KR10173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65A KR101733357B1 (ko) 2016-07-21 2016-07-21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65A KR101733357B1 (ko) 2016-07-21 2016-07-21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357B1 true KR101733357B1 (ko) 2017-05-08

Family

ID=6016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665A KR101733357B1 (ko) 2016-07-21 2016-07-21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929B1 (ko) 2016-09-07 2018-04-03 권오숙 고리부재 은폐 구조를 갖는 분전반용 이중 시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7925A (ja) 2006-02-15 2007-08-30 Tochigiya Co Ltd 扉用レバー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7925A (ja) 2006-02-15 2007-08-30 Tochigiya Co Ltd 扉用レバーハンド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929B1 (ko) 2016-09-07 2018-04-03 권오숙 고리부재 은폐 구조를 갖는 분전반용 이중 시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3509B2 (en) Drawer locking device
US20080203736A1 (en) Lock With A Turning And Drawing Bolt
JP2004251421A (ja) 緩衝装置
KR101733357B1 (ko) 함체용 도어 록킹 장치
US20150191932A1 (en) Fixation of door locks without screws into home appliances
US9837735B2 (en) Cover with integrated hinge and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electrical system component
JPH0726497B2 (ja)
BR112016006271B1 (pt) Dispositivo de ventilador
EP3679283A1 (en) Valve handle locking mechanism
US11004624B2 (en) Circuit breaker lockout apparatus
EP2657439B1 (en) Locking device
CN112310708B (zh) 电源插座的保护性外壳
WO2017142472A1 (en) Electronic door lock operating assembly
JP2006236677A (ja) コンセントカバー装置
KR101370792B1 (ko) 서랍 잠금장치
US20090188693A1 (en) Electrical-Outlet Faceplate with Hinged Cover Doors
JP2011021442A (ja) 箱体の扉ロック装置
US20130113223A1 (en) Childproof safety locking system
KR100699229B1 (ko) 공동주택용 회로차단기의 잠금장치
NL8403176A (nl) Handbedieningsinrichting voor een elektrische schakelaar.
CN112970339B (zh) 具有内部锁定装置的壳体
KR0122083Y1 (ko) 떼어내기형 록 핸들장치
CN109930904B (zh) 门把手安全锁
US4251095A (en) Latch assembly
WO2004104340A1 (en) Securit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