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286B1 -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286B1
KR101733286B1 KR1020150079208A KR20150079208A KR101733286B1 KR 101733286 B1 KR101733286 B1 KR 101733286B1 KR 1020150079208 A KR1020150079208 A KR 1020150079208A KR 20150079208 A KR20150079208 A KR 20150079208A KR 101733286 B1 KR101733286 B1 KR 10173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outputting
neck pillow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096A (ko
Inventor
임영현
Original Assignee
임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현 filed Critical 임영현
Priority to KR102015007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286B1/ko
Priority to CN201520616072.9U priority patent/CN205287185U/zh
Priority to JP2015005774U priority patent/JP3202281U/ja
Publication of KR2016014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는 외부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그리고 연결된 광안경을 통하여 상기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광안경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목베개를 베고 휴식을 취하면서 수면 유도 및 휴식에 적합한 뇌파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목베개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뇌파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피로감과 졸음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에 필요한 전용 단말기, 헤드폰 및 광안경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헤드폰과 광안경을 전용 단말기에 연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편하며, 사용 도중에 연결선들이 몸에 닿을 일이 없으므로 편리하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NECK PILLOW FOR SLEEP INDUCTION AND RELAXATION AND METHOD FOR OUTPUTTING BRAINWAVE INDUCING SIGNALS}
본 발명은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뇌파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피로감 및 졸음, 스트레스로 인한 집중력 감소, 긴장감 유발 및 기타 정신적인 장애 요소가 발생할 경우, 빛과 소리의 동조화 현상을 이용하여 뇌파를 알파파, 세타파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조화 현상이란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소리나 빛 등으로 일정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받아 뇌파가 입력된 주파수에 동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조화 현상을 이용한 뇌파 유도 장치이다.
뇌파 유도 장치는 단 시간에 피로감과 졸음을 극복하고,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긴장을 완화하며 최적화된 두뇌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과도한 긴장 상태 또는 산만한 두뇌 상태인 경우, 효과적인 알파파 또는 세타파를 유도하여 두뇌 휴식을 도와줄 수 있다. 이때, 알파파 및 세타파는 외부지향적 각성 상태가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두뇌의 선택적 주의 집중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알파파 및 세타파를 유도하여 단기간에 피로감 및 졸음을 해소시키고, 집중력을 상승시켜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이전 정보가 결합되는 사고과정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스트레스 관리와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대용 장치, 의자, 베개 등 다양한 형태의 뇌파 유도 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의 뇌파 유도 장치는 대부분 뇌파 유도 신호를 헤드폰, 이어폰 및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소리 형태로 출력하거나 광안경을 이용하여 빛의 패턴 형태로 눈에 인가되도록 출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뇌파 유도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뇌파 유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말기와 헤드폰 및 광안경을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뇌파 유도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헤드폰과 광안경을 단말기에 연결해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롭고, 뇌파 유도 장치 사용시 단말기에 연결된 연결선들이 거추장스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41356호(2014.11.0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뇌파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는 외부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그리고 연결된 광안경을 통하여 상기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광안경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의 뇌파를 상기 음향 데이터의 파장 및 상기 빛 패턴 데이터의 파장에 동조화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량 측정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좌우에 각각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가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 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에 설치된 스피커의 출력 음성을 줄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기 또는 상기 광안경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뇌파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목베개를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은 외부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연결된 광안경을 통하여 상기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광안경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목베개를 베고 휴식을 취하면서 수면 유도 및 휴식에 적합한 뇌파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목베개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뇌파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피로감과 졸음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에 필요한 전용 단말기, 헤드폰 및 광안경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헤드폰과 광안경을 전용 단말기에 연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편하며, 사용 도중에 연결선들이 몸에 닿을 일이 없으므로 편리하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시스템은 정보 단말기(100), 목베개(200) 및 광안경(300)을 포함하며, 목베개(200)는 정보 단말기(100) 및 광안경(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정보 단말기(100)와 목베개(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통신모듈(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정보 단말기(100)와 목베개(200)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먼저, 정보 단말기(100)는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목베개(200)로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이 해당된다.
다음으로 목베개(200)는 목 부분을 받쳐 주는 베개로,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한다.
그리고 목베개(200)는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고, 목베개(200)에 연결된 광안경(300)이 추출된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광안경(300)으로 전달한다.
또한, 목베개(200)는 센서(235), 스피커(245) 및 수납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목베개(200)의 센서(235)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며, 감지된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음향 데이터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245)는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추출한다. 스피커(245)는 목베개(200)를 베고 있는 사용자의 양쪽 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목베개(200)의 양쪽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부(265)는 정보 단말기(100) 또는 광안경(30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목베개(200)의 상단 부분 즉 사용자의 목 뒷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수납부(2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부(265)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목베개(200) 및 광안경(300)을 사용할 때, 정보 단말기(100)를 수납부(265)에 수납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목베개(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수납부(265)에 광안경(300) 또는 정보 단말기(100)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광안경(300)은 목베개(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한다. 광안경은 LED 등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LED의 점멸을 통하여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광안경(30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같은 고글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안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는 광안경(300)이 목베개(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광안경(300)은 정보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200)는 통신부(210), 데이터 추출부(220), 센서부(230), 음향 출력부(240) 및 광안경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부(210)는 외부의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유선으로 정보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뇌파 유도용 데이터는 사용자의 뇌파를 수면 또는 휴식에 적합한 상태로 동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고,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알파파 상태의 뇌파를 유도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 단말기(100)는 알파파 상태의 뇌파와 주파수가 유사한 소리 및 빛을 포함하는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목베개(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추출부(220)는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한다.
음향 데이터는 목베개(200)의 스피커(245)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소리 형태의 데이터로, 유도하고자 하는 뇌파의 주파수와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다. 또한 빛 패턴 데이터는 광안경(30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빛 형태의 데이터로 유도하고자 하는 뇌파의 주파수와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다.
또한, 센서부(230)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센서부(230)는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량 측정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2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235)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베개(200)는 센서부(230)가 감지한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음향 데이터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향 출력부(240)는 추출된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240)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245)를 통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245)는 목베개(200)를 벤 사용자의 귀 부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광안경 제어부(250)는 목베개(200)와 연결된 광안경(3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광안경(300)이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상, 광안경 제어부(250)가 제어 신호를 광안경(300)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광안경 제어부(250)는 데이터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빛 패턴 데이터를 광안경(30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목베개(200)는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한다(S310).
뇌파 유도용 데이터는 유도하고자 하는 뇌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소리 및 빛 형태의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알파파 상태의 뇌파를 유도하고자 하는 경우, 뇌파 유도용 데이터는 알파파의 주파수와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이때, 목베개(200)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S310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목베개(200)는 정보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S310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사용자는 정보 단말기(100)를 통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정보 단말기(100)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인 경우 사용자는 기기 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뇌파 유도용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단말기(100)는 낮잠 모드, 휴식 모드, 숙면 모드, 집중력 향상 모드, 집중력 유지 모드, 활력 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받은 모드에 대응하는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목베개(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목베개(200)는 수신된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한다(S320).
설명의 편의상, 목베개(200)가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목베개(200)는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광안경(300)이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정보 단말기(100)는 빛 패턴 데이터를 광안경(300)으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의 S320 단계 및 S340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목베개(200)는 추출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S330).
사람이 주로 명상을 할 때 나타나는 알파파의 주파수는 8~12Hz이고, 얕은 수면 상태에서 나타나는 세타파의 주파수는 4~8Hz이다. 즉,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고,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두뇌를 알파파 또는 세타파가 지배하는 상태로 유도해야 한다.
따라서, 음향 데이터는 알파파 또는 세타파의 주파수와 유사한 8~12Hz 또는 4~8Hz의 주파수를 갖는 소리일 수 있으며,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의 동조화 현상을 통해 사용자의 두뇌에 알파파 또는 세타파가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베개(200)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좌우에 각각 구비된 스피커(245)를 통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좌우의 스피커(245)로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의 출력 음량은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목베개(20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광안경(300)으로 전달한다(S340). 그리고 제어 신호를 수신한 광안경(300)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한다.
목베개(200)는 광안경(300)이 S320 단계에서 추출된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광안경(300)으로 전송한다. 이때, 목베개(200)는 광안경(300)과 연결된 통신선을 통하여 유선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빛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의 휴식 또는 수면 유도에 도움이 되는 알파파 또는 세타파를 유도하기 위하여 알파파 또는 세타파의 주파수와 유사한 8~12Hz 또는 4~8Hz의 주파수를 갖는 빛 패턴일 수 있다.
그리고 목베개(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광안경(300)은 제어 신호에 대응되도록 LED 등의 발광소자를 점멸하여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광안경(300)이 출력한 빛 패턴 데이터로 인한 동조화 현상으로 사용자의 두뇌에는 빛 패턴 데이터와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 뇌파가 유도된다.
또한 목베개(200)가 센서부(230)를 포함하는 경우, 목베개(200)는 센서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한다(S350).
목베개(200)는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량 측정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목베개(200)를 베고 있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머리 위치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쳤는지 판단한다(S360).
S350 단계에서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한 결과, 사용자의 머리 위치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목베개(200)는 치우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조절한다(S370).
이때, 목베개(200)는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에 설치된 스피커의 출력 음성을 줄이거나,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높여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베개(200)는 S370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자세 또는 머리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양쪽 귀로 동일한 음량의 음향 데이터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베개(200)는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종료 시간을 입력받아 해당 종료 시간에 종료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도중에라도 수동으로 종료를 입력받아 종료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의 출력이 종료되면, 목베개(200)는 정보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자동으로 목베개(200)의 전원을 오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목베개를 베고 휴식을 취하면서 수면 유도 및 휴식에 적합한 뇌파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에 필요한 전용 단말기, 헤드폰 및 광안경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헤드폰과 광안경을 전용 단말기에 연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편하며, 사용 도중에 연결선들이 몸에 닿을 일이 없으므로 편리하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정보 단말기 200 : 목베개
210 : 통신부 220 : 데이터 추출부
230 : 센서부 235 : 센서
240 : 음향 출력부 245 : 스피커
250 : 광안경 제어부 265 : 수납부
300 : 광안경

Claims (11)

  1. 뇌파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목베개에 있어서,
    외부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좌우에 각각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가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 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음향 출력부, 그리고
    연결된 광안경을 통하여 상기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광안경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목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의 뇌파를 상기 음향 데이터의 파장 및 상기 빛 패턴 데이터의 파장에 동조화시키도록 설정되는 목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량 측정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목베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에 설치된 스피커의 출력 음성을 줄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높이는 목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 또는 상기 광안경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목베개.
  7. 뇌파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목베개를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정보 단말기로부터 뇌파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뇌파 유도용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좌우에 각각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연결된 광안경을 통하여 상기 빛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광안경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가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 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데이터 및 빛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의 뇌파를 상기 음향 데이터의 파장 및 상기 빛 패턴 데이터의 파장에 동조화시키도록 설정되는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량 측정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에 설치된 스피커의 출력 음성을 줄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높이는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KR1020150079208A 2015-06-04 2015-06-04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KR101733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208A KR101733286B1 (ko) 2015-06-04 2015-06-04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CN201520616072.9U CN205287185U (zh) 2015-06-04 2015-08-14 用于输出脑波诱导信号的颈枕
JP2015005774U JP3202281U (ja) 2015-06-04 2015-11-12 睡眠誘導及び休息のための首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208A KR101733286B1 (ko) 2015-06-04 2015-06-04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096A KR20160143096A (ko) 2016-12-14
KR101733286B1 true KR101733286B1 (ko) 2017-05-08

Family

ID=5517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208A KR101733286B1 (ko) 2015-06-04 2015-06-04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02281U (ko)
KR (1) KR101733286B1 (ko)
CN (1) CN20528718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40B1 (ko) 2019-04-12 2019-09-16 이제욱 가방형 목베개
US11191922B2 (en) 2018-04-30 2021-12-07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slee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2100A (zh) * 2016-06-03 2016-08-31 厦门兔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加速度传感器来检测头部位置的枕头和方法
US11576508B2 (en) * 2018-06-28 2023-02-14 Transpacific Technologies, Llc Resting pillow with integrated headphones
KR102126923B1 (ko) * 2018-08-21 2020-06-25 유재성 운영인력 전용 헬스 테스트룸 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TWI782249B (zh) * 2020-01-14 2022-11-01 達發科技股份有限公司 腦波誘導音製造方法及聲音調整裝置
TWI822322B (zh) * 2022-09-12 2023-11-11 張志聰 特定頻率之腦波誘發方法及裝置
KR102541484B1 (ko) * 2022-10-18 2023-06-14 이영규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6593A (ja) * 2009-05-13 2012-11-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アクティブ枕システム及び人の休息状態を操作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6593A (ja) * 2009-05-13 2012-11-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アクティブ枕システム及び人の休息状態を操作す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1922B2 (en) 2018-04-30 2021-12-07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sleep
KR102021740B1 (ko) 2019-04-12 2019-09-16 이제욱 가방형 목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2281U (ja) 2016-01-28
KR20160143096A (ko) 2016-12-14
CN205287185U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286B1 (ko)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US20240121557A1 (en) Multifunctional earphone system for sports activities
US10448139B2 (en) Selective sound field environ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160030702A1 (en) Audio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audio play device
US7637859B2 (en) Sleeping mode accessory
KR20170088343A (ko) 능동 제어 출력을 갖는 이어폰
CN103347438A (zh) 睡姿感测和监测系统
AU2014236166A1 (en) Sleep management implementing a wearable data-capable device for snoring-related conditions and other sleep disturbances
KR20160025850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EP3181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 ear eeg sensing and audio delivery for sleep enhancement
US10881346B2 (en) Sleep ai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server and system
US20160353194A1 (en) Method of auto-pausing audio/video content while using headphones
US20180214041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US20210121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617697B1 (ko) 알람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WO2014057979A1 (ja) 電子機器、及び目覚まし制御方法
KR101964463B1 (ko) 스마트 단말 연동 음파 및 진동형 바이노럴 비트를 이용한 수면유도 매트 장치
KR100973412B1 (ko) 유아 관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빌
KR10228459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410B1 (ko) 거울이 구비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장치
TW201617104A (zh) 助眠系統及其助眠方法
KR200474629Y1 (ko) 블루투스 쥬얼리 이어 커프 폰
KR20110046207A (ko)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US20180085051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device control method
KR20130142430A (ko)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