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845B1 -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845B1
KR101732845B1 KR1020160023809A KR20160023809A KR101732845B1 KR 101732845 B1 KR101732845 B1 KR 101732845B1 KR 1020160023809 A KR1020160023809 A KR 1020160023809A KR 20160023809 A KR20160023809 A KR 20160023809A KR 101732845 B1 KR101732845 B1 KR 10173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
smartphone
application program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식
Original Assignee
공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현식 filed Critical 공현식
Priority to KR102016002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5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포함한 이동체로 이동중에 스마트폰에 충전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와 응용프로그램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고유번호가 부여된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스마트폰 충전 단자를 연결하고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당 충전단자에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는 광고를 포함한 고유번호 입력 화면을 전송하거나 또는 고유번호 입력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접속하여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충전공급제어장치의 해당 충전 단자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여 이동체 내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Th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control device installed in moving objec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버스, 전철, 택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이하 스마트폰)를 충전하는 충전공급제어장치(이하 충전공급제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는 충전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이동체의 전원과 연결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는 응용프로그램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이동체 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와 전원공급을 위한 선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USB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단자(이하 충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의 고유번호와 상기 충전단자에 해당하는 충전 고유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이동체에 탑승한 승객이 이동중에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스마트폰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충전단자에 해당하는 충전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응용프로그램 서버로 송신하고 응용프로그램 서버에서 수신하여 해당 이동체의 충전공급제어장치로 상기 해당 충전단자에 전원공급 시작신호를 전송하여 충전이 시작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는 상기 충전단자가 스마트폰과 분리되면 분리 신호를 감지하여 충전완료 신호를 응용프로그램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충전단자가 충전대기 상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가 스마트폰으로 출시되면서 3G 또는 LTE 또는 Wifi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 사용이 많아 배터리 소모가 많아졌다. 특히 최신 스마트폰은 예비용 배터리로 교체할 수 없도록 배터리 고정형으로 출시되고 있어 등록특허 10-1604228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와 같이 충전용 전원공급장치를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음식점을 포함하여 장시간 머무는 장소에서는 고객이 충전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공개특허 10-2016-0007704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과 다르게 장시간 이동하는 버스 또는 전철 또는 열차를 포함한 대중교통에 탑승하여 이동중에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시스템및 방법은 준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버스와 전철을 포함한 이동체에 탑승한 승객이 이동체 내에 준비된 충전단자에 스마트폰을 접속하고 스마트폰 앱(AP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응용프로그램 서버에 충전요청을 하면,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에서 광고가 포함된 충전단자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또는 충전단자 고유번호 입력을 위한 웹페이지에 접속되고, 상기 충전단자에 표시된 충전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송신하면, 상기 해당 충전단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승객이 이동체에서 이동중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에 선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에 충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응용프로그램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이동체 전원은 충전 전원공급을 위해 충전공급제어장치와 연결한다.
또한,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는 응용프로그램 서버와 무선인터넷으로 접속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에 선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에 충전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이동체에 탑승한 이용자가 준비된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 (App)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로부터 광고가 포함된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고유번호 입력을 위한 웹페이지를 접속하여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충전 고유번호를 입력하고 응용프로그램 서버로 송신되면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는 상기 충전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충전공급제어장치에 해당 충전 고유번호의 충전단자에 전원공급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는 상기 충전단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는 충전이 시작되면 충전 시작신호를 응용프로그램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충전단자에서 분리되면 분리신호를 감지하여 충전 완료신호를 응용프로그램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는 상기 수신된 신호데이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체에 탑승한 승객이 이동중에 스마트폰 충전을 위하여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단자에 스마트폰을 접속하고 스마트폰에서 충전요청 앱(APP)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응용프로그램 서버에서 제공하는 광고가 포함된 충전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광고가 포함된 충전 고유번호 입력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단자에 해당하는 충전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충전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광고시청 대가로 대중교통 이동중에 스마트폰에 충전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와 네트워크로 접속된 시스템 예시도 이다.
도 2는 충전제어장치와 네트워크로 접속된 응용프로그램 서버와 스마트폰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이동체 좌석에 설치된 스마트폰 충전단자 접속을 도시한 예시도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와 네트워크로 접속된 시스템 예시도 이다.
도 1에서 응용프로그램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140,150,160)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와 신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인터넷(120)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체(140,150,160)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는 3G 또는 LTE 또는 Wifi 방식을 포함한 무선 인터넷(123,124,125)으로 무선중계장치(122)와 ISP(121)를 통한 인터넷(120)으로 응용프로그램 서버(110)와 접속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110)는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의 고유번호와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145,155,165)의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기 위한 단말장치(170)를 준비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는 버스(140) 또는 전철(150) 또는 택시(160)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이동체(140,150,160)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140,150,160)는 스마트폰 충전 전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에 전원공급 선을 연결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에는 충전공급 선(143,153,163)의 일방이 접속되고 다른 일방은 스마트폰(142,152,162)의 충전단자 접속을 위한 충전단자(145,155,165)에 연결한다.
상기 이동체 내에서 충전요청을 하려는 스마트폰(142,152,162)은 충전 요청 앱(App)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응용프로그램 서버(110)에 접속되고 광고가 포함된 충전 고유번호 입력화면데이터(146,156,166)를 수신하거나 또는 광고가 포함된 충전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웹페이지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단자(145,155,165)에 해당하는 충전 고유번호가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144,154,164) 네트워크를 통하여 응용프로그램 서버(110)로 전송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110)는 상기 수신된 충전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충전단자(145,155,165)에 충전 시작신호를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에 전송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는 상기 충전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충전단자(145,155,165)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을 시작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141,151,161)는 스마트폰(142,152,162)이 해당 충전단자(145,155,165)와 분리되면 분리 신호를 감지하여 충전완료 신호를 응용프로그램 서버(110)에 전송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110)는 상기 신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2는 충전제어장치와 네트워크로 접속된 응용프로그램 서버와 스마트폰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 응용프로그램 서버(210)는 인터넷(230)에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220)는 3G 또는 LTE 또는 Wifi를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251)로 중계기를 통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231)와 접속되어 인터넷(230)에 접속되고, 스마트폰(240)은 3G 또는 LTE 또는 Wifi를 포함한 무선 네트워크(250)로 중계기를 통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231)와 접속되어 인터넷(230)에 연결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데이터베이스(212)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140,150,160)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식별을 위한 고유번호와 상기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무선통신번호와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271)의 식별을 위한 충전 고유번호를 저장하여 준비한다.
상기 고유번호 입력을 위한 단말장치(290)는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PC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App) 프로그램(242)은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스마트폰 앱(App) 제어부(214) 또는 일반적인 앱 스토아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되고 회원 가입을 통해 회원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된다.
스마트폰(240)을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체 내에 준비된 충전단자(271)를 스마트폰(240)의 충전단자(241)와 접속하고, 상기 준비된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App) 프로그램(242)을 실행하여 충전요청 신호가 송신되면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스마트폰 앱 제어부(214)에서 수신하여 광고가 포함된 충전 고유번호 입력화면데이터(243)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충전 고유번호 입력을 위한 광고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접속한다. 상기 스마트폰(240)은 수신된 충전 고유번호 입력화면 또는 웹페이지에서 상기 충전단자(271)의 충전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충전고유번호제어부(213)로 송신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통신부(215)는 데이터베이스(212)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충전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이동체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통신부(222)에 충전 고유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충전제어부(223)는 충전연결부(224)에 접속된 상기 충전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충전단자(271)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고,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통신부(222)는 충전 시작신호를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통신부(215)에 송신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충전고유번호제어부(213)는 해당 충전 고유번호의 충전 시작신호를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한다.
상기 스마트폰(240)의 충전단자(241)가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충전단자(271)와 분리되면 충전제어부(223)는 분리 신호를 감지하여 충전 완료신호를 충전공급제어장치의 통신부(222)에서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통신부(215)로 송신하고, 상기 충전고유번호제어부(213)는 해당 충전 고유번호의 충전완료 신호를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충전단자(271)에 충전을 위한 스마트폰(240)의 충전단자(241)가 접속되면 해당 전원공급 선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충전단자(271)에서 스마트폰을 분리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충전 전원 공급의 시작과 종료를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충전제어부(223)에서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220)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 방법은,
스마트폰(240)에 충전 전원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220)와 응용프로그램 서버(210)가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240)에서 충전 요청에 따라 충전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식별을 위한 고유번호와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271)의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준비하는 단계;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 프로그램(242)에서 상기 충전단자(271)에 충전 전원 공급을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에서 광고가 포함된 충전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를 스마트폰(240)에 송신하거나 또는 웹주소를 접속하는 단계;
상기 광고는 이미지 또는 문자 또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240)에서 충전 고유번호를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에서 상기 충전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해당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 전원공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서 해당 충전단자(271)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240)이 충전단자(271)에서 분리되면 충전완료 신호를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서 응용프로그램 서버(21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220)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 방법이다.
도 3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도면 2와 도면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220)는 이동체가 이동하는 동안에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와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하여 통신번호에 대응되는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되어 준비하는 단계(311)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는 일방에 하나 이상의 충전공급 선(270)이 접속되고, 충전공급 선(270)의 다른 일방은 일반적으로 USB 단자인 스마트폰 접속을 위한 충전단자(271)가 준비되고 상기 충전단자(271)는 식별을 위한 충전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되어 준비하는 단계(312)를 더 포함한다.
새로운 이동체에 충전공급제어장치(220)가 설치되면 새로운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고유번호와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 새로운 충전단자(271)가 설치되면 충전 고유번호를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의 데이터베이스(212)에 입력하여 준비하는 단계(3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 프로그램(242)이 응용프로그램 서버(210) 또는 앱 스토아에서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는(320)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 프로그램(242)이 응용프로그램 서버(210)로부터 광고를 포함한 충전 고유번호 입력 화면데이터를 수신하는 하거나 또는 충전 고유번호 입력을 위한 웹주소를 접속하는 단계(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충전단자(271)에 스마트폰의 충전단자(241)를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폰 충전요청 앱 프로그램(242)에서 상기 충전단자(271)에 해당하는 충전 고유번호를 응용프로그램 서버(210)로 송신하거나 또는 웹페이지에서 충전 고유번호가 입력되는 단계(3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에서 상기 충전 고유번호를 수신(340)하여 해당 충전단자(271)에 전원공급 시작신호를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 송신하는 단계(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에서 상기 전원공급 시작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충전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충전단자(271)에 전원공급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충전단자(241)가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의 충전단자(271)와 분리되면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220)는 분리신호를 감지(370)하여 응용프로그램 서버(210)로 충전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3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 서버(210)는 상기 충전 고유번호와 충전완료 시간과 스마트폰 전화번호와 수신한 광고 내용을 포함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390)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방법이다.
도 4는 이동체인 버스 좌석에 설치된 스마트폰 충전단자 접속을 도시한 예시도 이다.
도 4에서 충전 고유번호(410)는 충전단자(440)의 고유번호로서 이동체인 버스 좌석에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예시에서 전원공급 선(430)은 스마트폰(490)과 분리되면 충전단자(440)와 함께 자동으로 되감겨 충전단자 홈(420)에 고정되고 스마트폰(490)의 상부화면(480)은 응용프로그램 서버에서 수신한 광고 화면이고 중간화면(460)은 고유번호 입력화면이다.

Claims (6)

  1.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준비된 충전공급제어장치와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에서 충전요청 신호에 따라 충전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의 고유번호와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에 물리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에 해당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단자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폰 앱 제어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충전단자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해당 충전공급제어장치의 해당 충전단자에 충전 시작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충전고유번호제어부;
    상기 충전 시작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충전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의 충전제어부;
    상기 충전단자가 스마트폰과 분리되면 분리신호를 감지하여 충전 완료신호를 상기 충전고유번호제어부로 전송하는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의 충전연결부; 및
    상기 수신된 충전완료 신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스마트폰 앱 제어부에서,
    충전 요청을 위한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스마트폰 앱 제어부에서,
    스마트폰에서 웹주소를 접속하여 충전요청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4.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와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에서 충전 요청신호에 따라 충전을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의 고유번호와 상기 충전공급제어장치에 물리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에 해당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에서, 해당 스마트폰의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단자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 또는 충전단자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광고 웹페이지를 해당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에서, 해당 스마트폰으로부터 충전단자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해당 충전공급제어장치의 해당 충전단자에 충전 시작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당 충전공급제어장치에서, 충전 시작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충전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해당 충전공급제어장치에서, 상기 충전단자가 스마트폰과 분리되면 분리신호를 감지하여 충전 완료신호를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에 수신된 충전 완료신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에서, 해당 스마트폰의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단자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 또는 충전단자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광고 웹페이지를 해당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유번호 입력화면 데이터에 광고가 포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방법.
KR1020160023809A 2016-02-28 2016-02-28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809A KR101732845B1 (ko) 2016-02-28 2016-02-28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809A KR101732845B1 (ko) 2016-02-28 2016-02-28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845B1 true KR101732845B1 (ko) 2017-05-24

Family

ID=5905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809A KR101732845B1 (ko) 2016-02-28 2016-02-28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16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무선 단말을 통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565A (ja) 2009-04-16 2010-11-04 Nec Corp 電力料金課金方法、課金システム及び課金プログラム
JP2012048598A (ja) 2010-08-30 2012-03-08 Saxa Inc 充電サービス予約システムおよび充電サービス予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565A (ja) 2009-04-16 2010-11-04 Nec Corp 電力料金課金方法、課金システム及び課金プログラム
JP2012048598A (ja) 2010-08-30 2012-03-08 Saxa Inc 充電サービス予約システムおよび充電サービス予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16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무선 단말을 통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KR102388145B1 (ko) * 2020-04-17 2022-04-19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무선 단말을 통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052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activat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US9332134B2 (en) Charging of battery-operated devices over wireless connections
CN108990030A (zh) 无线装置连接管理
CN103701506B (zh) 一种基于nfc和蓝牙融合的电子书报亭装置及实现方法
US11470441B2 (en) In-vehicle terminal and ride-sharing control method
KR20120090445A (ko) 안전한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17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f position of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ehicle, control method of vehicl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04105615A (zh) 用于远程监测电动交通工具的蓄电池充电的系统和方法、用在所述系统和方法中的充电器和设备
US201502062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nting vehicle using reverse auction mechanism
WO2010007708A1 (ja) コンテンツ予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CN107182035A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WO2023020062A1 (zh) 终端的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503997B2 (ja) 電気自動車用給電システム、電気自動車用給電方法および電気自動車用給電プログラム
KR101732845B1 (ko) 이동체에 설치된 충전공급제어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그 방법
JP640776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200021489A (ko) 안마기 공유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서버 장치
US10298052B1 (en) System and method to wirelessly charge a portable electronics device under an extended power profile
US20160286581A1 (en) A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 storage medium
KR20160049075A (ko) 커넥티드카 서비스 설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7043030A (zh) 自动驾驶控制方法、电子设备、移动终端及车辆
KR20190017119A (ko) USB OTG(Open-To-Go) 기능을 내장한 충전공급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TWI686317B (zh) 充電樁系統的控制方法
KR101898285B1 (ko) 셀프장비 사용 방법
KR20210124877A (ko) 무인 차량 대여 시스템
KR20200021965A (ko) 주유기 공유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서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