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259B1 -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259B1
KR101732259B1 KR1020150105080A KR20150105080A KR101732259B1 KR 101732259 B1 KR101732259 B1 KR 101732259B1 KR 1020150105080 A KR1020150105080 A KR 1020150105080A KR 20150105080 A KR20150105080 A KR 20150105080A KR 101732259 B1 KR101732259 B1 KR 10173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ceiving antenna
vehicle
power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814A (ko
Inventor
이효영
김일환
이기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뷰텍
Priority to KR102015010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2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9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in or on other locations inside the vehicle or vehicle body
    • H02J7/025
    • H05B37/0209
    • H05B37/02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공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진 신호를 전자기파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송신 안테나; 상기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 안테나는,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있는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없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발광 소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킬 수 있어, 조명의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조명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명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실내 조명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도어의 개폐 시에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각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조명을 켜고 끌 필요 없이 차량을 탑승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명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VEHICLES WHICH ALLOWS AUTOMATIC ON/OFF CONTROL }
본 발명은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소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조명하며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안에는 실내등이나 무드(mood)등과 같은 여러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 장치는, 차량 내부를 밝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내에 있는 물건을 찾거나 차내의 실내 장비들을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은은한 조명을 통해 차량 내 분위기를 좋게 하거나 고급스러운 느낌을 연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차량 내 조명 장치는, 차량의 실내 천장 또는 대시보드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 램프 등을 설치한 것으로서, 설치된 램프 등은 차체 내부의 공간을 통해 차량의 전력 시스템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한다. 그러나,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램프 등이 반드시 차량 전력 시스템에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가 지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61842호
따라서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이를 발광시킴으로써 조명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을 없애고,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자동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공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진 신호를 전자기파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송신 안테나; 상기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 안테나는,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있는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없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이동 가능한 조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전력 공급부는, 차량 전력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 및 상기 발광 소자는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 도어가 개폐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제2 배치 형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는,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배치 형태를 가지며, 차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송신 안테나는 차량 대시보드에 위치하며, 상기 수신 안테나는 차량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를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있는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없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이동 가능한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배치 형태가 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단계; 전력 공급부가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안테나가 상기 공진 신호를 전자기파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배치 형태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가 상기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 소자가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전력 공급부는 차량 전력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차량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 및 상기 발광 소자는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차량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송신 안테나와 상기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발광 소자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킬 수 있어, 조명의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조명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명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실내 조명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도어의 개폐 시에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각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조명을 켜고 끌 필요 없이 차량을 탑승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명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전력 공급부(10), 송신 안테나(20), 수신 안테나(30) 및 발광 소자(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조명 장치는 수신 안테나(30) 및 발광 소자(5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환부(40)를 더 포함한다.
전력 공급부(10)는 공진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 안테나(2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부(10)는 차량 전력 시스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전력 시스템"이란, 차량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차량 제어 시스템, 실내등, 시거 잭 등 전력을 소모하는 각종 소자에 공급하는 차량 내부의 전기 설비 및 도선 등을 통칭한다. 전력 공급부(10)는 도선 등을 통하여 이러한 차량 전력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 장치가 차량 전력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실내 조명 형태로 구현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적용 형태는 차량의 실내 조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는 공진 신호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하여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는 것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임의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진 신호"란, 코일 등으로 구성된 송신 안테나(20)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송신 안테나(20)에서 공진 신호에 기초한 전자기파를 방출하면, 마찬가지로 코일 등으로 구성된 수신 안테나(30)가 해당 전자기파에 의해 공진함으로써 빛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공진 신호는 13.56 MHz 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파형의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진 신호는 7.68 MHz 또는 다른 상이한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전력 공급부(1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전력 공급부(10)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을 갖는 신호를 처리하거나 이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관련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전력 공급부(10)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20)는 전력 공급부(10)로부터 공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진 신호를 이용하여 공진 신호에 대응되는 전자기파를 출력한다. 예컨대, 공진 신호에 의해 송신 안테나(20)의 구동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공진 신호에 대응되는 전자기파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안테나(30)는 송신 안테나(20)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송신 안테나(20) 및 수신 안테나(30)는 금속 등 도전 물질로 된 권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각 안테나(20, 30)는 원통형 코일 또는 원형 코일일 수 있으며, 구리,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50)는 수신 안테나(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신 안테나(30)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수신하여 빛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발광 소자(50)는 전극층(미도시)과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미도시)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소자이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또는 다른 상이한 형태의 소자일 수도 있으며, 특정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송신 안테나(20), 수신 안테나(30) 및 발광 소자(50)가 각각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제 구현에 있어서 각 안테나 및 발광 소자의 개수는 각각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짝을 이루어 배치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쌍이 복수 개 존재하며, 하나의 수신 안테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 개의 수신 안테나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수신 안테나가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순차적 및/또는 선택적으로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 사이의 거리는 물리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는, 송신 안테나(20)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가 수신 안테나(30)에 수신될 수 있는 제1 배치 형태 및 송신 안테나(20)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가 수신 안테나(30)에 도달하지 못하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치 형태 및 제2 배치 형태 사이의 전환은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를 차량 도어의 개폐부에 설치하여,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가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차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가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송신 안테나(20)와 송신 안테나(30) 사이의 거리는 송신 안테나(20)의 출력 전자기파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 예컨대, 수 cm 이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송신 안테나(20)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가 수신 안테나(30)에 수신되는 제1 배치 형태가 되며, 수신 안테나(30)가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발광 소자(50)를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 도어가 열려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 사이의 거리가 전자기파가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멀어지면 제2 배치 형태가 되며, 이 때에는 수신 안테나(30)가 전력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발광 소자(50)도 점등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발광 소자(50)는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 사이의 거리를 물리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조명 장치가 차량의 실내 조명으로 적용되는 경우,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를 차량 도어의 개폐부 등에 설치하여 차량 이용 시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 사이의 거리가 자연스럽게 변화되도록 송신 안테나(20) 및 수신 안테나(30)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직접 발광 소자(5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것에 의하여 발광 소자(50)가 자동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실내등이나 무드(mood)등의 온오프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조명 장치는 수신 안테나(30)에 의해 생성된 전력의 진폭, 파형, 주파수 등을 발광 소자(50)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4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변환부(40)는 수신 안테나(30)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조명 장치가 차량의 조명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서 차량 도어는 차체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며, 차량 도어의 개폐부에서는 차량 앞 좌석에 위치한 대시보드(100)와 차량 도어(200)가 가장 인접하여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조명 장치의 송신 안테나(20)는 대시보드(100)에 위치하며 수신 안테나(30)는 차량 도어(20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20)는 대시보드(100)의 측면, 즉, 대시보드(100)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면으로부터 90도 휘어진 표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차량 도어에 위치하는 수신 안테나(30)는 발광 소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수신 안테나(30)와 마찬가지로 차량 도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소자는 차량 실내의 대시보드(100) 등에 위치하며 도어의 힌지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도선에 의해 수신 안테나(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의 배치 형태에서, 차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송신 안테나(20)와 수신 안테나(3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멀어 수신 안테나(30)가 전력을 생성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신 안테나(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도 빛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차량 도어가 열린 상태가 제2 배치 형태가 되며 이 때 조명은 오프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점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배치 형태에서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차량 도어가 닫힘으로써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전자기파가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지며, 그 결과 수신 안테나가 송신 안테나의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발광 소자를 구동시킨다. 즉,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가 제1 배치 형태가 되며 이 때 조명은 온 상태이다.
도 3의 예에서 발광 소자는 차량의 대시보드 및 차량 도어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결과 대시보드에서도 그 내부의 발광 소자로부터 빛이 새어나오는 발광 영역(300)을 발견할 수 있고 차량 도어에서도 마찬가지의 발광 영역(400)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 발광 소자의 배치는 도 3에 도시된 발광 영역(300, 400)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발광 소자는 차량 도어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차량의 대시보드에만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대시보드나 차량 도어가 아닌 전혀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가 수신 안테나에 수신될 수 있는 제1 배치 형태 및 송신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가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지 못하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S1). 이러한 전환은 송신 안테나 및/또는 수신 안테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조명을 점등하려는 경우, 송신 안테나 및/또는 수신 안테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배치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S2). 제1 배치 형태로의 전환은,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가 차량의 조명에 적용되는 경우,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는, 사용자의 차량 이용 시 이루어지는 동작에 수반되어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자연스럽게 조절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는 차량 도어의 개폐부에 설치되어,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 배치 형태가 되고 차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2 배치 형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장치의 전력 공급부는 공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 예를 들어, 차량 실내 조명에 적용되는 경우, 전력 공급부는 차량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조명 장치의 송신 안테나가 상기 공진 신호를 전자기파로 출력할 수 있다(S4). 송신 안테나가 복수 개인 경우, 전자기파로 출력하는 단계는 분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공진 신호를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배치 형태에서, 수신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의 전자기파가 도달하는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송신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에 수신 안테나가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S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력 변환 회로 및/또는 증폭 회로 등을 이용하여,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의 진폭, 파형, 주파수 등을 발광 소자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도 있다(S6). 그러나 수신 안테나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 소자를 직접 구동 가능한 경우 전력 변환 단계(S6)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생성된 전력을 발광 소자에 공급함으로써 빛을 생성할 수 있다(S7). 이상의 과정에 의하면 발광 소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므로, 유선 연결 방식으로 설치되는 종래의 차량 실내등이나 무드등과 같이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아 조명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 전력 공급부 20 : 송신 안테나
30 : 수신 안테나 40 : 변환부
50 : 발광 소자 100 : 대시 보드
200 : 차량 도어 300, 400 : 발광 영역

Claims (10)

  1. 공진 신호를 생성하고, 차량 전력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진 신호를 전자기파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송신 안테나;
    상기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 안테나는,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있는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없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이동 가능하며,
    상기 송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 및 상기 발광 소자는 차량에 설치되고, 차량 도어가 개폐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제2 배치 형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는,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배치 형태를 가지며, 차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 배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는 차량 대시보드에 위치하며, 상기 수신 안테나는 차량 도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송신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전자기파를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있는 제1 배치 형태 및 상기 전자기파를 상기 수신 안테나가 수신할 수 없는 제2 배치 형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이동 가능한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
    차량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차량에 설치된 상기 송신 안테나와 상기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상기 제1 배치 형태가 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 또는 상기 수신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단계;
    차량 전력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공급부가 상기 차량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안테나가 상기 공진 신호를 전자기파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배치 형태에서, 상기 수신 안테나가 상기 전자기파에 공진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발광 소자가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방법.
KR1020150105080A 2015-07-24 2015-07-24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KR10173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80A KR101732259B1 (ko) 2015-07-24 2015-07-24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80A KR101732259B1 (ko) 2015-07-24 2015-07-24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814A KR20170012814A (ko) 2017-02-03
KR101732259B1 true KR101732259B1 (ko) 2017-05-08

Family

ID=5815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080A KR101732259B1 (ko) 2015-07-24 2015-07-24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2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842A (ko) 2003-12-18 2005-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실내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814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1779B2 (en) Wireless battery-powered remote control with label serving as antenna element
US9192031B2 (en) Resonating power transfer for auxiliary vehicle lights
US9848265B2 (en) LED lighting device and speaker
RU2645301C2 (ru) Управляемая освет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US9466988B2 (en) Induction power transfer for auxiliary vehicle lights
JP2008204922A (ja) 照明システム
US201302855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frequency controllable led lamp fixture antenna
EP2708098B1 (en) Load control device having an electrically isolated antenna
JP62884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1006609A (zh) 小型化射频发射和接收天线以及采用所述天线的控制设备
JP2006093098A (ja) 照明システムの設定方法、設定器、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2007533243A (ja) 照明器具電極をアンテナとして使用する装置及び方法
US9832825B2 (en) Signal transmitting device, signal receiving device, lighting system, illuminating fixture, and illuminating system
JP6956361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732259B1 (ko) 자동 온오프 제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방법
CN104509209A (zh) 用于被配置用于存在检测的照明单元的方法和装置
KR102581920B1 (ko) 차량용 램프
JP7157964B2 (ja) 照明装置
CN115476759A (zh)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氛围灯系统
JP2005329753A (ja) カップホルダ
JP5256672B2 (ja) 車両用給電装置
KR20170015868A (ko)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발광 장치 및 방법과 무선 조명 모듈
JP5385755B2 (ja) 照明システム
KR102617539B1 (ko) 차량용 램프
JP7187948B2 (ja) 無線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