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136B1 -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 Google Patents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136B1
KR101732136B1 KR1020140107974A KR20140107974A KR101732136B1 KR 101732136 B1 KR101732136 B1 KR 101732136B1 KR 1020140107974 A KR1020140107974 A KR 1020140107974A KR 20140107974 A KR20140107974 A KR 20140107974A KR 101732136 B1 KR101732136 B1 KR 10173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ox
sensor
fruit box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168A (ko
Inventor
이병주
이재권
곽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Priority to KR102014010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는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박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높이를 갖는 센서 장착대; 상기 센서 장착대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부; 및 상기 수광센서의 적외선 수신 여부에 따라 과일이 상기 과일 박스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과일이 상기 과일 박스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하는 과일수용 판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FRUIT BOX FOR READING WHETHER FRUIT IS ACCOMMODATED OR NOT}
본 발명은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나 무게센서를 과일박스에 부착하여 이를 통해 과일박스에 과일이 수용되어 있는지 아니면 빈 박스인지 여부를 관리자가 원격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관한 것이다.
과일을 재배하는 농가를 비롯하여 과일을 유통하는 유통업체, 과일을 판매하는 상인들은 과일박스에 과일을 보관하여 유통하거나 판매한다. 이러한 과일박스는 통상 윗면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농가나 유통업체, 상인들에게 있어 과일을 수용하는 과일박스에 대한 재고관리는 중요한 업무 포인트이다.
과일박스의 상태는 과일이 수용된 상태, 비어 있는 상태, 다른 과일박스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로 구분된다. 과일박스의 이러한 상태 구분은 과일의 물류관리에 있어 중요한 사항이다. 관리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총 과일박스의 개수와 현재 과일이 담겨 있는 과일박스는 몇 개이며, 현재 빈 과일박스는 몇 개인지를 항상 파악하고 있어야 효율적은 재고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과일박스의 상태 구분은 관리자가 직접 행하고 있다. 즉, 관리자가 자신이 직접 눈으로 과일박스에 과일이 담겨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과일이 담겨 있는 과일박스는 몇 개이고, 빈 박스는 몇 개인지 일일이 개수를 세어 판단하는 방법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가 직접 돌아다니면서 눈으로 과일박스의 과일 수용여부를 판단하고, 손으로 일일이 빈 박스가 몇 개인지를 세어 판단하는 방법은 재고관리의 정확성을 보장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인건비의 상승과 물류비용의 상승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빈 과일박스의 경우 대부분 서로 겹쳐서 쌓아놓는 경우가 많은지라 눈으로 일일이 개수를 파악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따라, 과일박스를 유통하는 관리자가 직접 과일박스의 상태와 개수를 눈으로 일일이 판독하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과일박스의 현재상태와 그에 따른 개수 정보들을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일박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적외선 센서나 무게센서를 과일박스에 부착하여 이를 통해 과일박스에 과일이 수용되어 있는지 아니면 빈 박스인지 여부를 관리자가 원격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는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박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높이를 갖는 센서 장착대; 상기 센서 장착대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부; 및 상기 수광센서의 적외선 수신 여부에 따라 과일이 상기 과일 박스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과일이 상기 과일 박스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하는 과일수용 판독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상기 센서 장착대는, 상기 발광센서가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장착대; 상기 제1 장착대와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면에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발광센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2 장착대; 및 서로 마주보는 형상의 상기 제1 장착대 및 상기 제2 장착대를 브릿지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대, 상기 제2 장착대, 및 상기 연결 바로 구성되는 상기 센서 장착대의 높이는 상기 발광센서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수광센서로 수광되는 적외선 신호의 경로에 대한 높이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상기 센서 장착대의 너비는 상기 과일박스의 각 변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박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장착되고,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무게감지 센서판;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값을 갖는 제2 높이로 형성되는 셋 이상의 가이드; 상기 무게감지 센서판을 통해 과일의 수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과일이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하는 과일수용 판독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상기 셋 이상의 가이드 간의 각 이격거리 값들 중 가장 큰 이격거리 값이, 상기 과일박스의 각 변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따르면, 과일박스에 과일이 담겨 있는지 여부에 대한 과일박스 상태판독과, 각 상태에 따른 과일박스의 개수 등에 대한 과일박스 물류관리 정보를 관리자자 일일이 헤아리지 않고도 원격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이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박스가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로딩-과일수용 판독결과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이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박스가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는 센서 장착대(110), 적외선 센서부(120), 및 과일수용 판독부(130)를 포함한다.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는 하나 이상의 과일 및 박스가 수용될 수 있다. 센서 장착대(110)는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부(120)는 센서 장착대(110)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발광센서(121) 및 수광센서(122)를 포함한다. 발광센서(121) 및 수광센서(122)는 도 2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과일수용 판독부(130)는 수광센서(122)의 적외선 수신 여부에 따라 과일이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과일이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이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과일이 수용된 과일박스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센서 장착대(110)는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장착대(110)는 제1 장착대(111), 제2 장착대(112), 및 연결 바(113)를 포함한다. 제1 장착대(111)는 발광센서(121)가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장착대(112)는 제1 장착대(111)와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면에 수광센서(122)가 발광센서(121)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바(113)는 서로 마주보는 형상의 제1 장착대(111) 및 제2 장착대(112) 사이에 위치되고, 브릿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장착대(111), 제2 장착대(112), 및 연결 바(113)로 구성되는 센서 장착대(110)의 높이는 발광센서(121)로부터 발광되어 수광센서(122)로 수광되는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대한 높이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과일이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에 수용될 경우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접촉되어 '과일있음'이라는 메시지가 과일수용 판독부(130)를 통해서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박스가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박스가 수용된 과일박스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1 장착대(111), 제2 장착대(112), 및 연결 바(113)로 구성되는 센서 장착대(110)의 높이는 발광센서(121)로부터 발광되어 수광센서(122)로 수광되는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대한 높이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과일박스가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에 수용될 경우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접촉되지 않아 '과일없음'이라는 메세지가 과일수용 판독부(130)를 통해서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의 로딩-과일수용 판독결과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상술된바, 제1 장착대(111), 제2 장착대(112), 및 연결 바(113)로 구성되는 센서 장착대(110)의 높이는 발광센서(121)로부터 발광되어 수광센서(122)로 수광되는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대한 높이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과일이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에 수용될 경우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접촉되어 '1' 이라는 처리신호 및 '과일있음'이라는 판독결과가 과일수용 판독부(130)를 통해서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장착대(111), 제2 장착대(112), 및 연결 바(113)로 구성되는 센서 장착대(110)의 높이는 발광센서(121)로부터 발광되어 수광센서(122)로 수광되는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대한 높이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과일박스가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100)에 수용될 경우 적외선 신호의 경로(123)에 접촉되지 않아 '0' 이라는 처리신호 및 '과일없음' 이라는 판독결과가 과일수용 판독부(130)를 통해서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이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300)에 과일이 수용된 과일박스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박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박스는 무게감지 센서판(310), 셋 이상의 가이드(312), 및 과일수용 판독부(314)를 포함한다. 무게감지 센서판(310)은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내면에 장착되고,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 센서판(310) 하부 내면에는 셋 이상의 무게감지 센서(311)가 설치되고, 상기 과일이 수용되는 것이 감지되며, 상기 감지된 결과는 과일수용 판독부(314)로 전송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13)는 무게감지 센서(311)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셋 이상의 가이드(312)는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값을 갖는 제2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셋 이상의 가이드(312)는 상기 과일이 무게감지 센서판(310)의 상단에 정상적으로 로딩될 수 있는 가이드 할 수 있다. 과일수용 판독부(314)는 무게감지 센서판(310)을 통해 과일의 수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과일이 수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셋 이상의 가이드(312) 간의 각 이격거리 값들 중 가장 큰 이격거리 값이, 상기 과일박스의 각 변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과일박스가 무게감지 센서판(3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300)에 수용되는 상기 과일 및 상기 박스를 구분하여 감지 및 판독하는 것은 도 4에 설명된 것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에 과일박스가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300)에 박스가 수용된 과일박스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셋 이상의 가이드(312)는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값을 갖는 제2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셋 이상의 가이드(312)는 상기 과일이 무게감지 센서판(310)의 상단에 정상적으로 로딩될 수 있는 가이드 할 수 있다. 과일수용 판독부(314)는 무게감지 센서판(310)을 통해 과일의 수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과일이 수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셋 이상의 가이드(312) 간의 각 이격거리 값들 중 가장 큰 이격거리 값이, 상기 과일박스의 각 변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과일박스가 무게감지 센서판(3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300)에 수용되는 상기 과일 및 상기 박스를 구분하여 감지 및 판독하는 것은 도 4에 설명된 것을 참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110: 센서 장착대 111: 제1 장착대
112: 제2 장착대 113: 연결 바
120: 적외선 센서부 121: 발광센서
122: 수광센서 123: 적외선 신호의 경로
130: 과일수용 판독부 310: 무게감지 센서판
311: 무게감지 센서 312: 가이드
313: 베이스 플레이트 314: 과일수용 판독부

Claims (5)

  1. 과일이 수용되는 과일박스에 있어서,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선정된(predetermined)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발광센서가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장착대와, 상기 제1 장착대와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과일박스의 하부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면에 수광센서가 상기 발광센서와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2 장착대와, 서로 마주보는 형상의 상기 제1 장착대 및 상기 제2 장착대를 브릿지 연결하는 연결 바를 구성으로 포함하며, 상기 선정된 높이는 상기 발광센서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수광센서로 수광되는 적외선 신호의 경로가 갖는 높이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센서 장착대;
    상기 센서 장착대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부; 및
    상기 수광센서의 적외선 수신 여부에 따라 과일이 상기 과일 박스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과일이 상기 과일 박스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하는 과일수용 판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대의 너비는 상기 과일박스의 각 변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4. 삭제
  5. 삭제
KR1020140107974A 2014-08-19 2014-08-19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KR10173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74A KR101732136B1 (ko) 2014-08-19 2014-08-19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74A KR101732136B1 (ko) 2014-08-19 2014-08-19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871A Division KR20160022284A (ko) 2015-12-18 2015-12-18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68A KR20160022168A (ko) 2016-02-29
KR101732136B1 true KR101732136B1 (ko) 2017-05-25

Family

ID=5544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74A KR101732136B1 (ko) 2014-08-19 2014-08-19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9503A (zh) * 2020-07-17 2020-10-20 江西蓑衣佬农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米量提示功能的储米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687A (ja) 1999-03-12 2000-09-19 Toyo Commun Equip Co Ltd 郵便物の検出装置
JP2001241938A (ja) 2000-02-25 2001-09-07 Sumitomo Rubber Ind Ltd 球体の外径測定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
JP2005249406A (ja) 2004-03-01 2005-09-15 Takara Keiki Seisakusho:Kk 組合せ計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687A (ja) 1999-03-12 2000-09-19 Toyo Commun Equip Co Ltd 郵便物の検出装置
JP2001241938A (ja) 2000-02-25 2001-09-07 Sumitomo Rubber Ind Ltd 球体の外径測定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
JP2005249406A (ja) 2004-03-01 2005-09-15 Takara Keiki Seisakusho:Kk 組合せ計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68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923B2 (en) RFID isolation tunnel with dynamic power indexing
US107066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reading gaming chips and other stacked items
JP5746033B2 (ja) 配送荷物を受け取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801897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helf occupancy
US200702302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Using Ultrasonic Waves
US11803808B2 (en) Storage shelf for storage device with a sensor strip that can be applied to the lower side for optically detecting stock that can be stored on the upper side
CN109034697A (zh) 一种仓储物流智能管理系统
US20170147969A1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20190107452A1 (en) Tunable Shock Sensor with Parallel Dipole Line Trap System
CA30460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product inventory
KR101732136B1 (ko)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KR20160022284A (ko)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US5431270A (en) Coin accepting apparatus
US20170344936A1 (en) Wireless remote monitoring of supply bins
US20030126022A1 (en) Paper currency collection detection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8241947A (zh) 一种出库系统
KR20210147305A (ko) 재고인식 선반 시스템
US11587309B2 (en) Object detection system, object detection device, and object detection method
KR102302188B1 (ko) 음료 섭취 측정 센서
JP6141685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US20180151018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filling level of coin tubes
EP2699497A1 (en) Storage system for handling packages
RU2713557C1 (ru) Холод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JP6141686B2 (ja) コイン状被検出体識別装置
AU2012100437A4 (en) Storage system for handling pack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