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188B1 - 음료 섭취 측정 센서 - Google Patents

음료 섭취 측정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188B1
KR102302188B1 KR1020190177983A KR20190177983A KR102302188B1 KR 102302188 B1 KR102302188 B1 KR 102302188B1 KR 1020190177983 A KR1020190177983 A KR 1020190177983A KR 20190177983 A KR20190177983 A KR 20190177983A KR 102302188 B1 KR102302188 B1 KR 10230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sensor
us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196A (ko
Inventor
호종갑
민세동
영 김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G01F23/265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for discrete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센서는 용기 내 액체 종류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는 제1 센서;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액체 종류 및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섭취 측정 센서 {Detecting drink intake sensor}
본 발명은 음료 섭취 측정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섬유 센서를 기반으로 음료 종류 및 음료 용량 변화를 센싱하여 음료 섭취 정보 측정하는 음료 섭취 측정 센서 및 음료 섭취 측정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물은 인체를 구성하는 데 있어 60% 이상을 차지하며, 수분 섭취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써 비만 예방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운동을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수분 섭취가 부족할 경우에는 고혈당증, 만성 신장병, 심혈관계 질환 등의 질병에 노출되기 쉬우며, 특정 음료의 경우는 과다 섭취를 하게 될 경우, 비만, 불면증, 당뇨병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기존의 수분섭취 관리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은 물을 마시는 시간을 정해놓고 알림을 주거나 물을 마셨을 때 물을 마신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여 수분 섭취량을 파악하고 관리해주는 것에 그치고 있다. 매번 본인이 직접 마시는 양을 입력하면서 관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마시는 음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도성 섬유 센서를 기반으로 음료 종류 및 음료 용량 변화를 센싱하여 음료 섭취 정보 측정하는 음료 섭취 측정 센서 및 음료 섭취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센서는 용기 내 액체 종류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는 제1 센서;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액체 종류 및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도성 섬유에서 측정되는 유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도성 섬유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도성 섬유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및 상기 용기 내 액체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료 섭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생성한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방법은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하는 단계; 제1 시점에서의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 단계;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는 단계; 제2 시점에서의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과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보다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줄어든 경우, 액체 섭취 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액체 종류 및 상기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보다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줄어들지 않은 경우, 상기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과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0인 경우, 용기 내 유전율 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가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종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어 유전율 또는 커패시턴스 값을 센싱하는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용량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어 커패시턴스 값을 센싱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료의 종류 및 용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섭취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자가 인식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일일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여 향후 사용자의 음료 섭취량이나 선호하는 음료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센서가 장착된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름 음료 섭취 측정 센서가 음료 섭취 정보를 센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센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센서(100)는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되면, 통신부(140), 알림부(미도시), 발광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섭취 측정 센서(100)는 컵과 같이 음료를 담아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컵 또는 텀블러 등의 용기에 형성될 수 있다.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면 어떠한 형태의 용기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센서(110)는 용기 내 액체 종류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10)는 용기 내에 액체가 담겨지면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한다. 사용자가 용기에 담겨진 액체 즉 음료를 섭취함에 있어서, 액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분 섭취가 건강에 매우 중요하나, 물이 아닌 과일주스나 탄산음료를 섭취하는 경우, 고혈당증, 만성 신장병, 불면증, 당뇨병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110)는 사용자가 어떤 음료를 섭취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한다. 제1 센서(110)는 물, 과일주스, 탄산음료, 술 등 다양한 액체 종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110)는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한다. 사용자가 용기 내 액체를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를 손을 잡고 마시는 행위를 해야 하는바, 사용자의 신체가 용기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접근의 센싱을 통해 제2 센서(12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1 센서(1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용기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용기 내 형성된 음료 섭취 측정 센서(100)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A)는 정면도이며,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는 측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의 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용기의 하단에만 형성되거나, 용기의 하단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해야 하는 바, 바람직하게 용기의 하단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내 액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해야 하는바, 사용자가 용기를 잡기 위해 닿는면 내지 그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가 있는 용기의 경우, 손잡이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아닌 입이 닿는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할 수도 있다.
제1 센서(110)는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센서(11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각 센서는 독립적으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거나 서로 협력적으로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센서(110)는 용기 내면에 형성되어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할 수 있고, 용기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할 수도 있다. 또는, 용기 내면 및 외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용기의 벽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1 센서(110)는 다양한 형태로 용기에 형성되어 용기 내 액체 종류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120)는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120)는 현재 용기 내 액체의 용량을 센싱한다. 제2 센서(120)는 주기적으로 용기 내 액체의 용량을 센싱하거나, 연속적으로 용기 내 액체의 용량을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제1 센서(110)가 센싱한 때 또는 사용자의 접근이 종료된 때 용기 내 액체의 용량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120)는 도 2와 같이, 용기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의 하단에 형성되어 용기 내 액체 용량의 무게에 따른 변화를 이용하여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120)는 용기의 하단 면의 형태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원형 용기의 경우, 제2 센서(12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 용기의 경우,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용기의 형태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센서(120)는 다양한 형태로 용기에 형성되어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한다.
프로세서(13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에서 센싱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액체 종류 및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10)에서 센싱한 액체 종류 및 제2 센서(120)에서 센싱한 액체 용량을 이용하여 음료 섭취 정보를 생성한다. 제2 센서(120)는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바, 제2 센서(120)가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기 전의 용기 내 액체 용량과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이후의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고, 프로세서(130)는 음료 섭취 전 용기 내 액체 용량과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이후 용기 내 액체 용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액체 용량, 즉 액체 섭취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센서(110)가 센싱한 액체 종류와 제2 센서(120)를 통해 산출한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음료 섭취 정보는 메모리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음료 섭취 일자 및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사용자가 언제 얼마나 음료를 섭취하였는지 얼마나 자주 음료를 섭취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음료 섭취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용기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단독 칩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 하단의 빈 공간에 형성될 수 있고, 용기 하단이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용기와 별도로 형성되어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와 센서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동 단말일 수도 있고, 서버 또는 PC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센서(110) 또는 제2 센서(120)는 전도성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섬유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로 전도성 섬유간 또는 다른 유전체와의 근접 내지 접촉에 따라 전도성을 가지거나 전도성에 변화가 발생한다. 전도성 섬유는 가격이 저렴하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제작이나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며, 섬유 기반이기 때문에, 용기 크기에 맞춰 센서 제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때,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는 커패시터 원리를 이용하여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센서(110)를 구성하는 전도성 섬유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전도성 섬유에서 측정되는 유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센서(110)는 도 4의 커패시터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제1 센서(110)는 전도성 섬유(410)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420)이 전도성 섬유(410)에 접근하는 경우, 유전체인 사용자의 손(420)에 의해 제1 센서인 전도성 섬유(410)에서 손으로 전도성 경로가 형성되어 전도성이 변하게 되고, 전도성의 변화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변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110)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두 개 이상의 전도성 섬유(430, 440)로 형성되고, 하나의 전도성 섬유(430)에서 다른 전도성 섬유(440)로의 전도성 경로가 용기 내 액체(450)가 담겨지는 경우, 액체(450)에 의해 유전율이 변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액체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센서(120)를 구성하는 전도성 섬유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센서(120)는 도 5와 같이, 두 개의 전도성 섬유 사이에 유전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형성된 경우,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은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5532216-pat00001
여기서, C는 커패시턴스 값(F, unit:Farad)이고, ε0는 자유 공간의 유전율, 즉 공기의 유전율이고, εr은 유전체 유전율(εr = k x ε0)이며, A는 전도성 섬유의 넓이이고, d는 전도성 섬유간 거리이다. 유전체 유전율을 물질에 따라 유전율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센서(110)에서 용기 내 액체의 종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내 액체의 무게에 따라 제2 센서(120)를 구성하는 2 개의 전도성 섬유간 거리가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지는바, 이를 이용하여 제2 센서(120)에서 용기 내 액체의 용량을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제1 센서(110)는 유전율을 센싱하고, 제2 센서(120)는 커패시턴스 값을 센싱하되, 프로세서(130)에서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에서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액체의 종류 및 액체의 용량을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센서(110)에서 센싱되는 유전율에 따라 액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유전율에 따른 액체의 종류는 액체의 특성에 따라 미리 구분되어 있을 수 있고, 유전율에 따른 액체의 종류는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유전율에 따른 액체의 종류는 룩업 테이블(LUT)로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센서(110)에서 측정한 유전율에 해당하는 액체의 종류가 없는 경우, 가장 근사한 유전율을 가지는 액체의 종류로 판단하거나 가장 근사한 두 개의 액체의 종류가 섞여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및 상기 용기 내 액체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료 섭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근이 있어야 사용자가 용기 내 음료를 섭취할 수 있고, 실제 음료를 섭취하여 용기 내 액체 용량에 변화가 있어야 음료를 섭취한 것인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접근 및 용기 내 액체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료 섭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빨대와 같이, 용기와의 접촉없이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접근을 제외하고 용기 내 액체 용량의 변화만으로 사용자의 음료 섭취를 판단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30)가 생성한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가 생성한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서버 등에서 모니터링에 이용할 수 있도록,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30)가 생성한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통신부(14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료 섭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는 음료 섭취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누적함으로써 사용자의 섭취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음료 섭취 부족 또는 음료 종류에 따른 섭취 과다 등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음료 섭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료 섭취가 필요하거나 특정 음료를 과다 섭취하려는 경우, 알림부를 포함하여 알람을 발생하거나 발광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섭취 권장량보다 수분 섭취가 부족한 경우, 수분 섭취가 부족하다는 알람을 발생하거나 또는 특정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는 탄산 음료 또는 술과 같이, 섭취 제한량이 설정되어 있고, 섭취 제한량을 넘는 섭취가 있거나 추가적으로 용기에 따르는 것이 센싱되는 경우, 섭취가 과다하다는 알람을 발생하거나 적색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음료 섭취를 유도하거나 특정 음료를 많이 마셨다는 점을 자각하도록 할 수 있다.
음료 섭취 측정 센서(100)의 동작 과정은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먼저, 제1 센서(110)가 액체 종류를 센싱(610)한다. 이를 통해 기존에 용기에 담겨있는 액체의 종류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120)가 기존 액체 용량 데이터(x)를 센싱(620)하여 기존에 담겨있는 액체의 용량을 센싱한다. 이후 제1 센서(110)가 사용자 접근을 센싱(630)하면, 제2 센서(120)가 이후 액체 용량 데이터(y)를 센싱(640)하여 사용자의 손이 용기에서 떨어진 이후, 즉 음료를 섭취하고 난 뒤, 액체의 용량을 센싱한다. 이후, 기존 액체 용량 데이터인 x가 이후 액체 용량 데이터인 y보다 큰지를 판단(650)하여, 액체의 용량이 감소하였는지, 즉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였는지 판단한다. x가 y보다 큰 경우, 액체 종류(z) 및 액체 용량 데이터(x-y)를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전송(660)한다. 이를 통해, 음료 섭취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x가 y보다 크지 않은 경우, x=y인 경우라면 용량의 변화가 없는바,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것인바 기존 정보는 그대로 유지되고, 오히려 x 보다 y가 큰 경우, 액체의 용량이 증가하였고, 기존 용기 내 액체를 버리고 다른 액체를 담았거나 기존 액체에 다른 액체를 추가하였을 수 있는바, 액체 종류 및 액체 용량에 대해 다시 센싱할 수 있다. 만약 y=0인 경우(670) 용기 내 액체가 없다는 것, 즉 빈 용기를 의미하는바, 액체 종류 및 액체 용량 센싱을 중지하고, 절전모드로 대기하다, 음료를 따를 때 유전율 변화로 인한 데이터 변화가 발생(680)할 때 다시, 액체 종류를 감지(610)를 시작할 수 있다. 만약 y=0이 아닌 경우에는 용기 내 액체가 남은 상태로, 사용자가 음료를 보충하거나 음료를 섭취할 수 있어, 다시 액체의 용량을 센싱(620)하거나 사용자의 접근 감지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섭취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의 음료 섭취 측정 센서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11 단계에서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하고, S12 단계에서 제1 시점에서의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한다. S13 단계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면, S14 단계에서 제2 시점에서의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고, S15 단계에서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과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을 비교한다.
S1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보다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줄어든 경우, S16 단계에서 액체 섭취 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액체 종류 및 상기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전송한다. S1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보다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줄어들지 않은 경우, S11 단계 내지 S15 단계를 반복한다.
S16 단계 이후, S21 단계에서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0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0인 경우, S22 단계에서 용기 내 유전율 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가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0이 아닌 경우, S13 단계 내지 S1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종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어 유전율 또는 커패시턴스 값을 센싱하는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될 수 있고, 상기 액체 용량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어 커패시턴스 값을 센싱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료 섭취 측정 센서
110: 제1 센서
120: 제2 센서
130: 처리부
140: 통신부

Claims (10)

  1. 용기 내 액체 종류 또는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는 제1 센서;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서 센싱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액체 종류 및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용기의 높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용기 측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용기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용기 하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전도성 섬유 및 상기 두 개의 제2 전도성 섬유 사이에 형성되는 유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두 개의 제1 전도성 섬유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전도성 경로에서 측정되는 유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두 개의 제2 전도성 섬유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전도성 경로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산출하는 음료 섭취 측정 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두 개의 제1 전도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섭취 측정 센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및 상기 용기 내 액체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료 섭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섭취 측정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생성한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섭취 측정 센서.
  7. 용기의 높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용기 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전도성 섬유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전도성 경로에서 측정되는 유전율을 이용하여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용기 하면에 형성된 두 개의 제2 전도성 섬유 및 상기 두 개의 제2 전도성 섬유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전도성 경로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제1 시점에서의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제1 전도성 섬유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센싱하는 단계;
    제2 시점에서의 용기 내 액체 용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과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보다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줄어든 경우, 액체 섭취 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액체 종류 및 상기 액체 섭취 용량을 포함하는 음료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보다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줄어들지 않은 경우, 상기 용기 내 액체 종류를 센싱하는 단계 내지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과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섭취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액체 용량이 0인 경우, 용기 내 유전율 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용기 내 액체가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섭취 측정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77983A 2019-12-30 2019-12-30 음료 섭취 측정 센서 KR10230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83A KR102302188B1 (ko) 2019-12-30 2019-12-30 음료 섭취 측정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83A KR102302188B1 (ko) 2019-12-30 2019-12-30 음료 섭취 측정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96A KR20210085196A (ko) 2021-07-08
KR102302188B1 true KR102302188B1 (ko) 2021-09-14

Family

ID=7689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983A KR102302188B1 (ko) 2019-12-30 2019-12-30 음료 섭취 측정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1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151B1 (ko) * 2015-03-27 2015-09-08 신종천 음용패턴 및 호흡패턴을 측정하고,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컵
JP2018179937A (ja) * 2017-04-21 2018-11-15 グンゼ株式会社 液位センサ、その液位センサを用いた液位管理システムおよび液位センサ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151B1 (ko) * 2015-03-27 2015-09-08 신종천 음용패턴 및 호흡패턴을 측정하고,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컵
JP2018179937A (ja) * 2017-04-21 2018-11-15 グンゼ株式会社 液位センサ、その液位センサを用いた液位管理システムおよび液位センサ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96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3335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мом жидкости в емкости
US10078003B2 (en) Sensor device configuration
US11012764B2 (en) Interrogation signal parameter configuration
US10722059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iq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US10591345B2 (en) Sensor device configuration
US20060042376A1 (en) Liquid level sensor
RU2014120479A (ru) Датчик уровня содержания продуктов для диспенсера продуктов
US5900547A (en) Differential level hydrometer
US11274955B2 (en) Fouling mitigation and measuring vessel with container fill sensor
KR102302188B1 (ko) 음료 섭취 측정 센서
CN105078141A (zh) 反映饮水信息的智能饮水杯
WO2016206061A1 (zh) 一种智能水杯
US20100219093A1 (en) Manufacture processes for assessing pipette tip quality
KR101515159B1 (ko) 스마트 텀블러와 이를 이용한 식음료 섭취량 서비스 제공 방법들
US11624645B2 (en) Method and refrigerating device for determining an object weight of an object for refrigeration
CN107562079B (zh) 一种液面高度的控制方法、系统及装置
CN211354523U (zh) 酒柜、用于对酒柜进行管理的云端服务器及终端
CN108225480B (zh) 基于直线型电容液位传感器的非接触式液体体积测量方法
KR20190143764A (ko) 복수 개의 양념 토출 장치가 연동된 양념 공급 어셈블리
US1193913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heet product replenishment monitor
US20230255374A1 (en) Smart bottle
KR101732136B1 (ko) 과일수용여부를 판독하는 과일박스
JP2021512563A (ja) 飲料用コースタ、飲料用コースタ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飲料用コースタを有する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通信のための方法
US11898891B2 (en) Capacitive fluid level detector
CN210922766U (zh) 一种电容式连续液位检测结构及其电热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