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953B1 -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 Google Patents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953B1
KR101731953B1 KR1020160038081A KR20160038081A KR101731953B1 KR 101731953 B1 KR101731953 B1 KR 101731953B1 KR 1020160038081 A KR1020160038081 A KR 1020160038081A KR 20160038081 A KR20160038081 A KR 20160038081A KR 101731953 B1 KR101731953 B1 KR 101731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protection
seat
wall
protec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학로
Original Assignee
이학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로 filed Critical 이학로
Priority to KR102016003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9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60N2/46
    • B60N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partition for a driver, in which a part of the partition can be elevated so that the partition can be elevated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partition comprises: a first protective wall mounted on a rear side of a drivers seat of a vehicle; a second protective wall connected to the first protective wall and mounted in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a first protective window formed inside the first protective wall and elevated toward the ceiling of the vehicle; a second protective window formed inside the second protective wall and elevated toward the ceiling of the vehicle; an upper end suppo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wall, and coupled to the headrest of the drivers seat at one side; and a lower end suppor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ve wall and supporting the first protective wall.

Description

운전자 보호 격벽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본 발명은 운전자 보호 격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격벽의 일부가 승강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격벽을 승강시킬 수 있는 운전자 보호 격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protection b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r protection barrier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 part of a barrier, and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barrier if necessary.

본 발명은 운전자를 동승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운전자 주위에 설치된 격벽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tion wall provided around a driver so as to protect a driver from a passenger.

특히, 택시 운전자는 차량을 운행하면서 많은 수의 승객과 동승한다. 승객의 일부는 강도, 치한, 취객일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택시 운전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좁은 차 안에서 가해지는 승객의 위협에 대처하기는 쉽지 않으며, 게다가 운전을 하며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운전자는 승객의 공격에 무방비 상태에 가깝다. 최근 여성 택시 운전자도 늘어나고 있어 승객의 위협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In particular, taxi drivers travel with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while driving. Some of the passengers may be robbers, strikers, or passengers, and taxi drivers may be injured by them. It is not easy to cope with the threat of a passenger in a narrow car, and a driver who is looking ahead and driving is close to a defenseless attack by passengers. Recently, female taxi drivers are increasing, and measures are being taken to protect drivers from the threat of passengers.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운전자 보호 수단은 운전석 후방과 측면에 설치되는 투명 격벽 형태이다. 하지만 이러한 격벽은 상시 운전자 주위를 차단하고 있어 운전자에게 답답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승객이 탑승 시 설치된 격벽에 의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의 시트를 전후로 슬라이딩하거나, 각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크게 제약을 받을 수 있다.Generally, the driver protection means is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barrier provided on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driver's seat. However, these barriers block the peripherals of the driver at all times, making the driver feel frustrated. In addition, passengers can feel a sense of refusal by the partition wall installed at the time of boarding. In addition, the driver can be greatly restricted in sliding the seat of the driver's seat back and forth, or adjusting the angle.

한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486(발명의 명칭 : 운전자 안전벽)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28486 (entitled "Driver's Safety Wall") discloses a prior a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승객이 없거나, 위험도가 낮은 낮시간 대에는 격벽을 하강시켜 차량 내부의 공기가 원활히 순환되어 답답하지 않게 하고, 일반 승객이 운전자 보호 격벽에 의해 느끼는 거부감 및 불쾌함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wer the bulkhead in a daytime when no passenger is present or at low risk, so that the air inside the vehicle is circulated smoothly and the general passenger feels the feeling of discomfort and unpleasantness felt by the driver's protective barrier To minimize i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운전석의 후방에 장착되는 제1 보호벽; 상기 제1 보호벽과 연결되며, 상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장착되는 제2 보호벽; 상기 제1 보호벽 일면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운전석의 헤드레스트와 결합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제1 보호벽의 하단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1 보호벽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지지부는, 상기 제1 보호벽 일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부재; 상기 헤드레스트에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서포터;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연결하는 슬라이더프레임;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호 격벽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seat comprising: a first protection wall mounted on a rear side of a driver's seat; A second protection wall connected to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mount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An upper suppo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a headrest of the driver's seat; And a lower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to support the first protection wall,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sliding guide formed vertically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A slider member formed to slide in the sliding guide; An engaging portion mounted on the headrest; A supporter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headrest; And a slider frame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lider member.

상기 제1 보호벽은, 상기 제1 보호벽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 천장을 향해 승강되는 제1 보호창문; 및 상기 제1 보호창문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벽은, 상기 제2 보호벽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 천장을 향해 승강되는 제2 보호창문; 및 상기 제2 보호창문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on wall may include a first protection window formed inside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lifted and lowered toward the vehicle ceiling; And a first elevating part for elevating the first protecting window, wherein the second protecting wall comprises a second protecting window formed inside the second protecting wall and lifted and lowered toward the vehicle ceiling; And a second elevation part for elevating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상기 제1 보호벽의 운전석 출입구 측에 팔걸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보호벽 쪽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보호창문의 승강을 조작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 unit formed in an armrest shape on the driver's seat entrance sid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configured to be folded toward the first protection wall to operate the elevation and desc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상기 제1 및 제2 보호창문은, 승객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대화창; 및 승객이 운전자에게 금액을 지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재창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may include a dialog window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t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passenger; And a settlement window formed so that the passenger can pay the driver with the amount.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제1 보호벽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보호벽이 앞뒤로 회동되도록 형성된 관절부; 상기 운전석 하단에 구비된 프레임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고리부재;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재를 상기 제1 보호벽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와인더부; 및 상기 관절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앞뒤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ower support portion comprises: a joint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configured to pivot the first protection wall forward and backward; An annular member formed to be engaged with a fram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driver's seat; A winder connected to the joint and pulling the loop member toward the first protective wall; And a rail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joint and configured to slide back and forth.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은 승객이 없거나, 위험도가 낮은 낮 시간대에는 격벽의 일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운전자가 답답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driver's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lowering part of the partitions in the absence of a passenger or in a low-risk daytime, thereby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또한, 격벽의 일부를 하강시키는 조작만으로 개방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격벽을 필요에 따라 장착 및 해체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feeling can be felt only by lowering a part of the part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partition as necessary.

또한, 일반 승객이 운전자 보호 격벽에 의해 느끼는 거부감 및 불쾌함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It also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discomfort and uncomfortableness felt by the occupant protection bulkheads of the general passeng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단지지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r's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driver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cover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ir own meaning,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er's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은 제1 보호벽(10), 제2 보호벽(20), 제1 보호창문(11), 제2 보호창문(21), 컨트롤부(50), 상단지지부(30), 하단지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river's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otection wall 10, a second protection wall 20, a first protection window 11, a second protection window 21, 50, an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a lower support portion 40.

구체적으로, 제1 보호벽(10)은 운전석(100)의 후방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보호해 줄 수 있다. 제1 보호벽(10)은 양측 끝단이 운전석(100) 쪽으로 향하도록 완만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벽(10)은 상단이 상단지지부(30)에 의해 운전석(100)의 헤드레스트(110)와 결합되고, 하단이 하단지지부(40)에 의해 운전석(100) 밑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may be mounted behind the driver's seat 100 to protect the rear of the driver.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may be gently folded so that both ends thereof face toward the driver's seat 100.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headrest 110 of the driver's seat 100 by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driver's seat 100 by the lower end support portion 40 .

제2 보호벽(20)은 운전석(100)과 조수석의 사이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보호해 줄 수 있다. 제2 보호벽(20)은 제1 보호벽(10) 쪽의 끝단부가 절곡되되, 제1 보호벽(10)의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벽(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부(미도시)가 조수석의 하단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ection wall 2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passenger's seat to protect the driver's side. The second protection wall 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nd of the second protection wall 10 is bent on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rotection wall 20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passenger's seat.

제1 및 제2 보호벽(10,20)은 일부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호벽(10)이 전후로 슬라이딩 되거나 각도가 변경되어도 제1 및 제2 보호벽(10,20)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는다.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walls 10 and 20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m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slides forward or backward or changes its angle, no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alls 10, 20.

제1 및 제2 보호벽(10,20)은 일반 승객이 탑승했을 때 격벽 설치로 인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운전석(100)의 높이 이하로 형성되며, 자동차 시트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walls 10 and 20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less than the height of the driver's seat 100 and to be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car seat .

제1 보호창문(11)은 제1 보호벽(10)에서 승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창문(11)은 제1 보호벽(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특히, 제1 보호창문(11)은 승객이 탑승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may be form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and can be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r. In particular,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can be formed to automatically ascend when the passenger seated.

제1 보호창문(11)은 제1 보호벽(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측 끝단이 운전석(100)을 향해 완만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창문(11)은 양측 끝단의 절곡된 부분으로 인해 평면으로 형성될 때보다 충격에 의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are gently bent toward the driver's seat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 strength of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due to the impact can be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is formed in a plane due to the bent portions at both ends.

제1 보호창문(11)은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홀로 형성된 대화창(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뒷좌석의 승객이 돈을 지불할 때 현금 또는 카드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결재창구(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호창문(11)이 상승되어 후방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승객과 대화를 나누거나 승객이 돈을 지불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window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vidually formed dialog windows 6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passenger in a rear seat.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ayment window 70 through which cash or a card can pass when a passenger in the back seat pays the money. 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is raised to block the rear portion, the passenger can talk with the passenger or pay the passenger money.

제2 보호창문(21)은 제2 보호벽(20)에서 승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창문(21)은 제2 보호벽(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제1 보호창문(11)과 같이 승객이 탑승하면 자동으로 상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ion window 21 may be form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second protection wall 20.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21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protection wall 20 and can be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r. It can be formed such that it automatically ascends when the passenger is boarded, such as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제2 보호창문(21)은 제2 보호벽(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일측 끝단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21 may be formed with one end bent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cond protection wall 20.

제2 보호창문(21)은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홀로 형성된 대화창(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수석의 승객이 돈을 지불할 때 현금 또는 카드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결재창구(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호창문(21)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조수석의 승객과 대화가 가능하며, 승객이 돈을 지불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ion window 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dialog window 6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passenger on the passenger seat. In addition,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may include a payment window 70 through which cash or a card can be passed when paying money. Therefore, even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21 is raised, conversation with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is possible, and the passenger can pay the money.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은 강화유리,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하고 충격에 강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여 승객이 탑승 시 운전자 주위에 설치된 격벽으로 인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승객의 시야도 가리지 않는다.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은 강한 충격에 의해 깨져 파편에 의한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필름을 부착하여 비산을 방지하도록 사전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windows 11 and 2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and shock-resistant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polycarbonate, or the like. By using transparent materials, passengers can reduce the feeling of discomfort caused by the bulkheads installed around the driver when boarding, and the visibility of the passengers is not affected.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may be broken by a strong impact and may cause a secondary accident due to fragm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are pre-processed to prevent scattering by attaching a film.

제1 및 제2 승강부(미도시)는 제1 및 제2 보호벽(10,20) 내부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을 승강시킬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portions (not shown) are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ng walls 10 and 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ng windows 11 and 21 can be raised and lowered.

제1 및 제2 승강부(미도시)는 일반적인 자동차 창문 승강장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탱크에 저장된 작동유가 모터펌프에 의해 유압실린더에 공급되었을 때 피스톤이 상승하며 피스톤과 고정 결합된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여 작동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이 승강하도록 작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모터와 기어를 활용하여 모터의 회전방향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을 승강시킬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portions (not shown) can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automobile window elevating device. For example, when the hydraulic oil stored in the tank is supplied to the hydraulic cylinder by the motor pump, the piston rises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21) fixedly coupled with the piston can be raised. At this time, the solenoid valve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ar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control of the motor by utilizing the motor and the gear.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은 위험감지부를 통해 예상 위험인자를 감지하여 예상 위험인자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상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험감지부는 제1 및 제2 보호벽(10,20)의 승객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험감지부는 알코올센서, 소리감지센서 등을 포함하여 예상 위험인자를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redicted risk factor through the risk sensing unit and automatically raise when a predicted risk factor is detected. The danger sens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passenger sid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walls 10, 20. The danger detection part can detect an expected risk factor including an alcohol sensor, a sound detection sensor and the like.

알코올센서는 승객의 호흡을 통해 배출되는 알코올 성분을 감지할 수 있다. 알코올 센서가 공기중의 알코올 성분을 0.01mg/s 이상 감지되면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을 상승시킬 수 있다. The alcohol sensor can sense the alcohol content emitted through the passenger's breathing. When the alcohol sensor detects an alcohol component in the air of 0.01 mg / s or more,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can be raised.

또한, 소리감지센서는 승객이 언성이 높아지거나 운전자가 소리를 지르면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을 자동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소리감지센서가 80dB 이상의 소리를 감지하면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을 상승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detection sensor automatically raises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when the passenger is speechless or when the driver makes a noise. When the sound detection sensor senses a sound of 80 dB or more,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can be raised.

컨트롤부(50)는 제1 및 제2 승강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보호창문(11,21)이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부(50)는 제1 보호벽(10)의 운전석(100) 출입구 측에 팔걸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컨트롤부(50)를 조작하는 것이 승객에게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벽(10) 쪽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운전자가 출입 시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50)는 리모컨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핸들, 센터페시아 또는 운전석(100) 창문 조작부 등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not show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11 and 21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 control unit 50 may be formed in an arm-like shape on the 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river's seat 100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so that the driver does not see the control unit 50 operated by the passenger. Further,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folded toward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so that the driver is not disturbed when entering or exit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may be formed of a remote controller so as to be mounted on a handle of a vehicle, a center fascia, a window operating unit of the driver's seat 100, or the like.

상단지지부(30)는 제1 보호벽(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운전석(100)의 헤드레스트(1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단지지부(30)는 일측이 제1 보호벽(10)에서 슬라이딩되어 운전석(100)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때 제1 보호벽(10)이 운전석(100)을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so as to be coupled to the headrest 110 of the driver's seat 100.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is slid on one sid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so that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is smoothly slid along the driver's seat 100 when the backrest angle of the driver's seat 100 is adjusted.

하단지지부(40)는 제1 보호벽(10)의 하단에 연결되며 자동차 바닥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하단지지부(40)는 운전석(1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거나 각도조절할 때 제1 보호벽(10)이 같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and can be mounted on the floor of an automobile. In particular, the lower support portion 4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can be adjusted when the driver ' s seat 100 is slid or adjus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따라서, 제1 보호벽(10)이 운전석(100)의 포지션에 대응되어 같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자 보호 격벽을 설치한 이후에도 운전석(100)을 원하는 포지션으로 조절이 가능하다.Therefore, since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can move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100, the driver's seat 100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position even after the driver has installed the driver's protection barri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보호벽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은 제1 보호벽(10), 제1 보호창문(11), 상단지지부(30), 하단지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er's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rotection wall 10, a first protection window 11, an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a lower support portion 40.

도 2는 도 1과 대비하여, 제1 보호벽(10), 제1 보호창문(11) 및 상단지지부(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since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and the upper support 3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 a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하단지지부(40)는 제1 보호벽(10)의 하단에서 연결되어 제1 보호벽(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부(40)는 관절부(41), 와인더부(43), 고리부재(42) 및 레일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 part 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o support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 lower support portion 40 may include a joint portion 41, a winder portion 43, a ring member 42, and a rail portion 44.

관절부(41)는 제1 보호벽(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1 보호벽(1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석(100)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면, 제1 보호벽(10)은 관절부(41)에 의해 운전석(100)과 같이 회동될 수 있다.The joint part 41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refore, when the driver adjusts the backrest angle of the driver's seat 100,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can be rotated as the driver's seat 100 by the joint portion 41.

고리부재(42)는 운전석(100) 하단에 구비된 프레임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ing member 42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a fram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ver's seat 100.

와인더부(43)는 관절부(41)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고리부재(42)를 제1 보호벽(10)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The winder 43 is connected to the joint part 41 and can pull the ring member 42 toward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레일부(44)는 관절부(41)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1 보호벽(10)의 하단부가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ail portion 44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joint portion 4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slides forward and rearward.

따라서, 고리부재(42)와 와인더부(43)에 의해 제1 보호벽(10)의 하단이 운전석(100)에 밀착될 수 있어 운전석(100)과 제1 보호벽(10)이 동시에 각도조절되거나 전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driver's seat 100 by the loop member 42 and the winder 43 so that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can be simultaneously angled, Can be sli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단지지부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단지지부(30)는 슬라이딩 가이드(31), 슬라이더부재(32), 결합부(33), 서포터(34), 슬라이더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3, an upper suppo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ing guide 31, a slider member 32, a coupling portion 33, a supporter 34, and a slider frame 35 .

슬라이딩 가이드(31)는 제1 보호벽(10) 일면에 형성되며,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31)는 제1 보호벽(10) 의 내면에 두개 이상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liding guide 3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and may have a groove to slide up and down. At least two sliding guides 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horizontally.

슬라이더부재(32)는 수평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31)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이드(31)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재(32)는 슬라이딩 가이드(31) 양측에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여, 슬라이더부재(32)가 슬라이딩 가이드(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slider member 32 may be formed to slide along the sliding guide 31 through a horizontally formed sliding guide 31. The slider member 32 forms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liding guide 31 to prevent the slider member 3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liding guide 31. [

결합부(33)는 헤드레스트(110)와 결합되어 제1 보호벽(10)을 운전석(100)에 장착할 수 있다. 결합부(33)는 관통홀(36), 스토퍼(37), 스위치(38)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3 may be coupled to the headrest 110 to mount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on the driver's seat 100. The engaging portion 33 may include a through hole 36, a stopper 37, and a switch 38.

관통홀(36)은 헤드레스트(110)의 프레임 위치에 대응하도록 결합부(33)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100)과 헤드레스트(110)가 결합될 때, 헤드레스트(110)의 프레임이 관통홀(36)을 통과하도록 하여 결합부(33)가 헤드레스트(11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36 may be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33 to correspond to the frame position of the headrest 110. Therefore, when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headrest 110 are engaged, the engaging portion 33 can be mounted on the headrest 110 such that the frame of the headrest 1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6 .

스토퍼(37)는 관통홀(36)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헤드레스트(110)의 프레임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110)의 프레임에 결합부(33)가 장착되면, 관통홀(36)과 헤드레스트(110)의 프레임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37)가 헤드레스트(110) 프레임을 압박하여 결합부(33)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opper 37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6 and press the frame of the headrest 110. When the engaging portion 33 is mounted on the frame of the headrest 110, a clearan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through hole 36 and the frame of the headrest 110 to flow. Therefore, the stopper 37 can press the headrest 110 frame to fix the engaging portion 33 without being moved.

스위치(38)는 결합부(33)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위치(38)를 누르면 스토퍼(37)가 결합부(33) 내부로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38)를 누르고 헤드레스트(110) 프레임을 관통홀(36)에 통과시키고 스위치(38)를 떼면 스토퍼(37)가 다시 돌출되면서 헤드레스트(110) 프레임을 압박할 수 있다. The switch 3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33 so that the stopper 37 can be formed to enter the engaging portion 33 when the switch 38 is pressed. When the switch 38 is depressed and the headrest 110 frame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6 and the switch 38 is released, the stopper 37 is again projected to press the headrest 110 frame.

서포터(34)는 결합부(33) 끝단에서 헤드레스트(110) 쪽으로 절곡되어 헤드레스트(1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단지지부(30)는 제1 보호벽(10)의 무게에 의해 결합부(33)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보호벽(10)의 무게로 인해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서포터(34)가 헤드레스트(110) 후면을 지지해줌으로써 상단지지부(30)가 제1 보호벽(10)의 무게를 지탱하는데 있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er 34 can be bent toward the headrest 110 from th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33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headrest 110. Since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supports the coupling portion 33 by the weight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receives a force to rotate due to the weight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refore, when the supporter 34 supports the backside of the headrest 110, the upper support 30 can stably support the weight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연결프레임은 결합부(33)와 슬라이더부재(3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frame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engaging portion 33 and the slider member 3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driver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보호 격벽은 제1 보호벽(10), 제1 보호창문(11), 상단지지부(30), 하단지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river's protection b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rotection wall 10, a first protection window 11, an upper support 30, and a lower support 40.

제1 보호벽(10)은 상단지지부(30)와 하단지지부(40)에 의해 운전석(100)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단지지부(30)와 하단지지부(40)는 제1 보호벽(10)이 운전자가 운전석(100)을 전후로 슬라이딩 하거나 각도조절할 때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can be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00 by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40. [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4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can move when the driver slides forward or backward or adjusts the angle of the driver's seat 100. [

상단지지부(30)와 하단지지부(40)에 의한 제1 보호벽(10)의 작동원리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by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운전석(100)을 뒤로 눕히면 제1 보호벽(10)도 따라서 회동될 수 있는데, 이 때 운전석(100)의 회동축과 제1 보호벽(10)의 회동축의 위치가 상이하므로 운전석(100)과 제1 보호벽(10) 사이에 마찰이 생길 수 있다. 즉, 운전석(100)을 뒤로 눕이면 운전석(100)이 제1 보호벽(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운전석(100)과 제1 보호벽(10)이 마찰된다.Since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r's seat 100 and that of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are different at this time,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driver's seat 100 1 < / RTI > That is, when the driver's seat 100 is laid down, the driver's seat 100 is lowered relative to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and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are rubbed.

따라서 상단지지부(30)는 운전석(100)과 제1 보호벽(1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운전석(100)과 제1 보호벽(10)을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지지부(30)는 프레임이 운전석(100)의 후면에 접하게 되고 제1 보호벽(10)에는 슬라이더부재(32) 및 슬라이딩 가이드(31)가 접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이드(31)의 두께만큼 운전석(100)과 제1 보호벽(10)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31)에서 슬라이더부재(32)가 슬라이딩되면서 운전석(100)이 제1 보호벽(10)에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석(100)과 제1 보호벽(10)이 면접촉하지 않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e upper support 3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o minimize friction between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The slider member 32 and the sliding guide 3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so that the frame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r's seat 100. [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can be made larger by the thickness of the frame and the sliding guide 31. In addition, the slider member 32 slides in the sliding guide 31 so that the driver's seat 100 can be slid smoothly in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Thus,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are not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reducing frictional force.

이에 더하여, 슬라이딩 가이드(31)의 끝단에 슬라이더부재(32)가 도달하게 되면 더 이상 각도조절이 되지 않는다. 이는 제1 보호벽(10)이 과도하게 눕혀지면 제1 보호벽(10) 또는 제1 보호창문(11)으로 인해 뒷좌석에 타고 있는 승객의 공간이 지나치게 협소해지거나 승객을 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가이드(31)를 통해 운전석(100) 및 제1 보호벽(10)의 조절 각도를 제한하여 승객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lider member 32 reaches the end of the sliding guide 31, the angle is no longer adjusted. This is because if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is laid down excessively, the space of the passenger on the rear seat due to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or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1 becomes too narrow or the passenger can be priced. Therefore, the adjustment angle of the driver's seat 100 and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is limited through the sliding guide 31,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passengers.

하단지지부(40)의 관절부(41)는 제1 보호벽(10)이 회동되는 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44)에서 관절부(41)가 슬라이딩되므로 운전석(100)을 따라 제1 보호벽(10)이 전후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joint part 41 of the lower support part 40 may serve as a shaft through which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is rotated. In addition, since the joint part 41 is slid in the rail part 44, the first protection wall 10 can be slid back and forth along the driver's seat 100.

고리부재(42)는 와인더부(43)에 의해 제1 보호벽(10) 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호벽(10)의 하단이 운전석(100)에 밀착되어 제1 보호벽(10)이 운전석(100)의 포지션 조절에 대응하여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The loop member 42 can be pulled toward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by the winder 43. [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iver's seat 100, so that the first protective wall 10 can move simultaneously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1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e person.

10 : 제1 보호벽
11 : 제1 보호창문
20 : 제2 보호벽
21 : 제2 보호창문
30 : 상단지지부
31 : 슬라이딩 가이드
32 : 슬라이더부재
33 : 결합부
34 : 서포터
35 : 슬라이더프레임
36 : 관통홀
37 : 스토퍼
38 : 스위치
40 : 하단지지부
41 : 관절부
42 : 고리부재
43 : 와인더부
44 : 레일부
50 : 컨트롤부
60 : 대화창
70 : 결재창구
100 : 운전석
110 : 헤드레스트
10: First protective wall
11: 1st protection window
20: second protection wall
21: Second protection window
30: upper support
31: Sliding guide
32: Slider member
33:
34: Supporters
35: Slider frame
36: Through hole
37: Stopper
38: Switch
40: lower support
41: joints
42:
43: wine duo
44: Le Mans
50:
60: Dialog
70: Payment window
100: driver's seat
110: Headrest

Claims (5)

자동차 운전석의 후방에 장착되는 제1 보호벽;
상기 제1 보호벽과 연결되며, 상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장착되는 제2 보호벽;
상기 제1 보호벽 일면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운전석의 헤드레스트와 결합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제1 보호벽의 하단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1 보호벽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지지부는,
상기 제1 보호벽 일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부재;
상기 헤드레스트에 장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서포터;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연결하는 슬라이더프레임;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호 격벽.
A first protective wall mounted on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 second protection wall connected to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mount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An upper suppo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a headrest of the driver's seat; And
And a lower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to support the first protection wall,
Wherein the upper-
A sliding guide formed vertically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ve wall;
A slider member formed to slide in the sliding guide;
An engaging portion mounted on the headrest;
A supporter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headrest; And
And a slider frame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lid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벽은,
상기 제1 보호벽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 천장을 향해 승강되는 제1 보호창문; 및
상기 제1 보호창문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벽은,
상기 제2 보호벽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 천장을 향해 승강되는 제2 보호창문; 및
상기 제2 보호창문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호 격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ection wall
A first protection window formed inside the first protection wall and lifted and lowered toward the vehicle ceiling; And
And a first elevating part for elevating the first protection window,
The second protection wall may include:
A second protection window formed inside the second protection wall and lifted and lowered toward the vehicle ceiling; And
And a second elevating portion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벽의 운전석 출입구 측에 팔걸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보호벽 쪽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보호창문의 승강을 조작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호 격벽.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ntrol part formed in an armrest shape on the driver's seat entrance side of the first protective wall and configured to be folded toward the first protective wall so as to operat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window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창문은,
승객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대화창; 및
승객이 운전자에게 금액을 지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재창구;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호 격벽.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windows may include a first window,
A chat window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one side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passenger; And
A bill of lading that is formed to allow passengers to pay the dr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제1 보호벽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보호벽이 상기 운전석과 같이 각도조절 되도록 형성된 관절부;
상기 운전석 하단에 구비된 프레임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고리부재;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재를 상기 제1 보호벽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와인더부; 및
상기 관절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절부가 상기 운전석과 같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호 격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A joint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wall, the first protection wall being angularly adjusted as the driver's seat;
An annular member formed to be engaged with a fram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driver's seat;
A winder connected to the joint and pulling the loop member toward the first protective wall; And
And a rail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joint so that the joint is slid like the driver's seat.
KR1020160038081A 2016-03-30 2016-03-30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KR101731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81A KR101731953B1 (en) 2016-03-30 2016-03-30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81A KR101731953B1 (en) 2016-03-30 2016-03-30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953B1 true KR101731953B1 (en) 2017-05-02

Family

ID=5874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81A KR101731953B1 (en) 2016-03-30 2016-03-30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95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53B1 (en) 2018-08-20 2020-01-13 김성욱 Driver protection screen
US10596989B2 (en) 2016-05-12 2020-03-24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Driver's barrier door with powered window
KR102351255B1 (en) * 2020-07-17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Seat apparatus of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44Y1 (en) 2000-07-07 2000-12-01 영일특장주식회사 Car room partition device
KR200272633Y1 (en) 2002-01-10 2002-04-20 노윤수 protective wall for driver
KR200336167Y1 (en) 2003-09-23 2003-12-18 이정길 Automobile handle aid bar
KR200347818Y1 (en) 2003-12-12 2004-04-17 홍성자 A driver-protecter for a c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44Y1 (en) 2000-07-07 2000-12-01 영일특장주식회사 Car room partition device
KR200272633Y1 (en) 2002-01-10 2002-04-20 노윤수 protective wall for driver
KR200336167Y1 (en) 2003-09-23 2003-12-18 이정길 Automobile handle aid bar
KR200347818Y1 (en) 2003-12-12 2004-04-17 홍성자 A driver-protecter for a c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6989B2 (en) 2016-05-12 2020-03-24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Driver's barrier door with powered window
KR102065853B1 (en) 2018-08-20 2020-01-13 김성욱 Driver protection screen
KR102351255B1 (en) * 2020-07-17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Seat apparatus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989B2 (en) Driver's barrier door with powered window
JP5026540B2 (en) Minimum distance forc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automotive airbag
KR101731953B1 (en) Partiton for protecting driver
JP5477537B2 (en) Vehicle seat belt device
US8833831B2 (en) Barrier system for protecting bus drivers
CN103223882A (en) Vehicle crewstation seat assembly
EP1767394A2 (en) A seating arrangement
JP6855235B2 (en) Driving operation device for automobiles and driving operation method for automobiles
US20080134930A1 (en) Train car compensator for platform gap spacing
CN106672767A (en) Automobil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for automobile elevator
US4039091A (en) Elevator type bus boarder
US11554636B2 (en) Enclosure for a vehicle system
AU649916B2 (en) Security screen for buses
US4394036A (en) Passive safety belt arrangement
US4357998A (en) Between landing car door safety lock
JP2018172076A (en) Vehicular boarding/landing device
AU2003203693A1 (en) Improved driver's cabin for railway vehicle
EP1627842B1 (en) Door device of elevator
CN108622771A (en) Elevator commuter's ascending stair system and method
JP6574139B2 (en) Parking equipment
JP2018131864A (en) Parking device
JP2007055423A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side collision
JP2019018833A (en) Safety medium of vehicular door
EP2739557B1 (en) Hazard highligh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22545B1 (en) Seat of subway and ladder for emergency e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