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500B1 -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 Google Patents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500B1
KR101731500B1 KR1020150174769A KR20150174769A KR101731500B1 KR 101731500 B1 KR101731500 B1 KR 101731500B1 KR 1020150174769 A KR1020150174769 A KR 1020150174769A KR 20150174769 A KR20150174769 A KR 20150174769A KR 101731500 B1 KR101731500 B1 KR 10173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microphones
dispersed
implan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아
곽준혁
이준희
김완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5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ransducer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귀와 청력 일부를 모두 상실한 사용자를 위한 귀 보형물로서, 귀 보형물이되 음향을 획득하여 증폭하는 어레이 마이크로폰이 장착됨으로써 귀 형상을 보완함과 동시에 청력을 보완하는 기능성을 동시에 가지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Ear-prostheses having acoustic function}
본 발명은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이란 생명과학, 의학, 공학의 기본 개념과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생체조직의 대용품을 만들어 생체에 이식함으로써 생체 기능의 유지, 향상, 복원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기술을 통틀어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생체조직의 대용품은, 인공혈관, 인공장기 등에서부터 코, 귀 등과 같은 보형물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다.
코, 귀 등과 같이 형태적으로 그 손실이 눈에 잘 띄는 신체 부위인 경우, 타인이 신체 손실을 잘 알아채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원래 형태 또는 평균적인 신체 형태에 가까운 형태로 잘 만들어지도록 하는 데에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보형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임의형상 제작기술이 도입되었으며, SLA, SLS, FDM, 3D 플로팅, 3D 프린팅 등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 중에서도 3D 플로팅 및 프린팅 방식이 복잡한 형상을 정교하게 제작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프린팅(3D printing)은 잉크젯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는 기술로 얇은 고분자 분말을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펼친 후 잉크젯 프린터 헤드를 이동시키면서 결합제(Binder)를 뿌려 고분자 분말 입자를 결합시켜 한 층을 제작하고, 한 층이 제작되면 그 위에 얇은 고분자 분말층을 다시 쌓고 결합제를 뿌려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3차원 형상의 스캐폴드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3차원 플로팅(3D Plotting)은 생체조직에 적합한 고분자를 용융시켜 공압으로 노즐을 통해 밀어내면서 3차원 형상의 스캐폴드를 제작하는 기술로, 노즐이 장착된 실린더 헤드가 XYZ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용융된 고분자는 노즐을 통과하여 바닥 또는 스캐폴드 표면에 닿게 되는 순간 경화되게 하여, 자유로이 3차원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 방식이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어느 한 쪽의 장비에 다른 쪽의 원리를 적용하는 등의 결합 사용 등이 이루어지기도 하는 바, 특별한 구분이 없이 혼용되어 칭해지기도 한다(여기에서도 이하에서는 3D 프린팅으로 일괄 칭하기로 한다).
한편 인공 심장과 같이 신체에 삽입되거나 장기를 대체하여 병이나 사고 등으로 잃어버린 신체 능력을 보완해 주는 장치들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 심장의 경우 생명과 직결된 연구이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다양하고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져 현재에도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신체에 삽입되거나 대체된 이식물을 이용하여 신체 능력의 보조나 또는 신체 상태 측정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체에 압전필름을 포함하는 장치를 부착하여 맥박 등을 측정하는 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이처럼 압력에 의해서 전기가 발생되는 압전소자가 신체에 구비될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의하여 동작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이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맥박이나 심전도 등과 같은 생체신호의 측정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3D 프린팅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보형물의 경우, 압전소자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등의 기술과 결합되기에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져, 이러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술한 바와 같이 맥박이나 심전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압전소자가 보형물에 부착될 경우 생체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기신호, 진동신호 등을 측정하는데 훨씬 불리하기 때문에, 보형물과 전기소자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시도 자체가 사실상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신체 내에 삽입하거나 신체에 붙여서 맥박, 심전도 등을 측정하는 장치 외에, 직접적으로 상실된 신체 능력을 보완해 주는 장치들도 독자적으로 다양하게 연구 및 개발되어 왔다. 그 중 한 가지가 청력을 보완해 주는 장치인 보청기로서, 아주 오래 전의 나팔 모양의 기초적인 수준의 단순한 보청기에서부터 시작하여 현재 이어폰처럼 귀에 끼워 사용하는 보청기까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온 상태이다.
이러한 보청기의 사용이 필요한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다는 상태가 노출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거부감이 있는 경우가 있다.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적으나, 청력을 완전히 손실하지 않은 난청환자나 비교적 젊은 나이의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보청기의 크기가 예전에 비해 많이 작아지기는 하였으나 아직까지도 상당히 그 크기가 커서, 착용 시 부피나 중량 때문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귀에 끼우는 방식의 고전적인 보청기 외에 청력을 보조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개시되어 왔다. 한국특허공개 제2014-0147177호("청각 보조 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다수 개의 센서부 및 진동유닛이 사용자의 귀, 어깨부위, 목부위, 가슴부위, 팔부위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게 하고, 센서부에서 음향이 감지되면 진동유닛이 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음향을 감지하여 청각을 보조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센서부 및 진동유닛의 위치가 다양하게 분포됨으로써 음원의 방향, 세기 등의 판별도 가능하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기술은 단지 음향이 발생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실제 어떤 음향이 들려오는 것인지를 알릴 수는 없다. 즉 완전히 청력을 잃은 청각장애인에게는 유용하나, 실제 소리를 듣고자 하는 난청환자에게는 용도가 전혀 맞지 않는다.
한편, 구글글래스 등과 같은 식으로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어 시각 데이터 및 청각 데이터를 제공하는 안경형 멀티미디어 단말기 기술이 개발되면서, 이러한 안경형 단말기의 기능을 활용하여 청력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다. 안경형 단말기 기술의 경우 한국특허공개 제2014-0147057호("안경형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하 선행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는데, 청력 보완과 관련된 부분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안경형 단말기 상에 외부의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및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성 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선행문헌 2의 기술을 청력 보완에 응용하자면, 상기 마이크를 통해 감지된 음성 정보를 그대로 증폭하여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게 함으로써 청력 보완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선행문헌 1 등을 참고하여도 잘 알 수 있는 사실로서, 음원의 방향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적절히 이격된 다수 개의 마이크가 필요하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 2의 경우 단말기 형태가 안경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마이크들을 이격 배치함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의 충분한 이격 거리는 확보할 수 있겠으나, 상하 방향으로의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에는 근본적으로 어려워, 청력 보완에 선행문헌 2의 기술을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더불어, 단순히 청력의 보완 뿐 아니라 실제로 귀를 상실한 사람의 경우, 귀 보형물과 더불어 청력 보완을 위한 장치까지 착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데, 상기 선행문헌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1. 한국특허공개 제2014-0147177호("청각 보조 시스템") 2. 한국특허공개 제2014-0147057호("안경형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귀와 청력 일부를 모두 상실한 사용자를 위한 귀 보형물로서, 귀 보형물이되 음향을 획득하여 증폭하는 어레이 마이크로폰이 장착됨으로써 귀 형상을 보완함과 동시에 청력을 보완하는 기능성을 동시에 가지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은, 귀 보형물(100)에 있어서, 3D 프린팅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귀 형상부(110) 상에 다수 개의 마이크로폰(120)들이 분산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좌우 간 이격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수집된 음향의 좌우 방향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좌측 및 우측 귀 보형물(100) 상에 분산 구비되며, 상하 간 이격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수집된 음향의 상하 방향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귀 보형물(100) 하나 당 상측 및 하측에 분산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귀 형상부(110)의 형상에 의하여 음향의 수집 및 증폭이 가능하도록, 귀 형상부(110) 상의 돌출면 및 함몰면에 분산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적어도 일부가 이륜의 돌출면 상의 상측 및 하측에 분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적어도 일부가 이륜의 돌출면 상의 중간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적어도 일부가 대이륜, 대이륜상각, 대이륜하각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 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적어도 일부가 주상와, 삼각와, 이갑개정, 이갑개강 중 선택되는 적어도 둘의 위치에 분산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귀 보형물(100)은, 상기 마이크로폰(120)들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폰(120)에 의하여 수집된 음향을 음성신호 또는 진동신호 형태로서 귀 보형물(100) 장착자의 고막 또는 내이에 전달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귀 보형물에 음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귀 보완 및 청력 보완이 동시에 필요한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해주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마이크로폰이 귀 보형물 상에 다수 개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음원의 방향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폰이 구비되는 귀 보형물의 형상 자체에 의하여, 원래의 귓바퀴가 구조적으로 가지는 음향 수집 및 증폭 기능이 자연히 부여됨으로써, 별도의 증폭용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음향의 수집 및 증폭이 훨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외이의 의학적 용어 정의.
도 2는 본 발명의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의 사용 상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외이의 의학적 용어 정의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귀 보형물에서의 각부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귓바퀴 전체를 감싸는 외측 테두리 부분을 이륜이라 하며, 중간 부분에 돌출된 큰 줄기를 대이륜이라 한다. 이륜과 대이륜 사이의 함몰된 부분을 주상와라 하며, 대이륜의 끝단이 갈라져 형성되는 대이륜상각 및 대이륜하각 사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삼각와라 한다. 또한 대이륜 안쪽에 큰 함몰부가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작은 돌출부에 의하여 이 큰 함몰부가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으로 나뉘어지며, 상측 영역을 이갑개정, 하측 영역을 이갑개강이라 한다. 이 용어는 이하 본 발명의 귀 보형물에서의 각부 위치에서도 그대로 사용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100)은, 3D 프린팅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귀 형상부(110) 상에 다수 개의 마이크로폰(120)들이 분산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전기소자 및 생체의 결합 활용에 있어서, 전기소자를 생체 내에 삽입하거나 또는 피부에 부착하는 등과 같이 생체와 직접 접촉시켜서 진동신호, 전기신호 등을 감지하여 맥박, 심전도 등을 측정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보형물 상에 전기소자를 부착할 경우 생체와의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생체의 진동신호, 전기신호 등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보형물과 전기소자의 결합 방향으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소자가 생체와 직접 접촉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보형물 상에 전기소자인 마이크로폰을 구비시킴으로써, 기존에는 단지 형상을 보완하는 기능에 그쳤던 귀 보형물에 음향을 수집하고 증폭하는 음향 기능성을 더 부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킨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귀 보형물과 같은 보형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의료용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소재 측면에서 볼 때 전기소자와의 결합성이 그리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결합력을 가지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귀 보형물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전기소자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또는 귀 보형물 제작을 완료한 후 원하는 위치에 전기소자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절단하거나 파내는 등의 후가공을 통해 귀 보형물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전기소자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는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귀 보형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귀 보형물 레이어를 쌓는 중에 전기소자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후가공 없이 전기소자를 내포하는 귀 보형물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귀와 청력 일부가 손실된 사람에게 귀 보형물을 이식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존에는 보형물에 별다른 기능성을 부여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보형물로는 귀 형상을 보완하고, 청력 보완을 위해서는 별도의 보청기를 구비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귀 보형물에 음향을 감지하거나 증폭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전기소자가 구비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을 이식하는 것만으로도 귀 형상이 보완됨과 동시에 청력도 보완되어 별도로 보청기를 더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귀 보완 및 청력 보완이 동시에 필요한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원의 방향을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이격 거리를 가지는 다수 개의 마이크로폰이 필요하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서로 이격된 마이크로폰들 각각으로 입력된 음향 신호의 세기나 위상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원의 방향, 거리 등을 산출하는 이론은 선행문헌 1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청력을 보완하는 기존의 장치들의 경우, 귀에 꽂아서 착용하는 보청기 형태, 안경형 단말기 형태 등이 있었는데, 이러한 기존의 장치들에서는 음원 방향 판별을 위한 좌우 간 이격 거리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었으나 형태적인 근본적 한계로 인하여 상하 간 이격 거리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실제 귀 형태와 유사한 모양의 귀 형상부(110) 상에 마이크로폰(120)들을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좌우 간 이격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수집된 음향의 좌우 방향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좌측 및 우측 귀 보형물(100) 상에 분산 구비되며, 또한 상하 간 이격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수집된 음향의 상하 방향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귀 보형물(100) 하나 당 상측 및 하측에 분산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의 사용 상태도인데, 먼저 도 3(A)에는 좌측 및 우측 각각의 귀 보형물(100) 상에 분산 구비된 마이크로폰으로 음향이 수집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 보인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귀 보형물(100) 상에 분산 구비된 마이크로폰(120)들은 최소한 사람의 얼굴 가로 길이만큼의 좌우 간 이격 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의 음원 위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다만 이 점은 종래의 보청기형, 안경형의 경우에도 실현 가능한 것이었다). 한편 도 3(B)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귀 보형물(100)에서는, 상기 귀 보형물(100) 하나 당 상측 및 하측에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이 분산 구비되기 때문에, 기존의 장치들에 비해 훨씬 큰 마이크로폰(120)들 간 상하 간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장치들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의 음원 방향 판단 성능이 훨씬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에 의한 귀 보형물은 귀 형상부 상에 다수 개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음원의 방향 감지가 훨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음원의 방향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적절히 이격된 다수 개의 마이크가 필요하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는데, 앞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좌우 귀 보형물에 마이크로폰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좌우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더불어 귀 보형물의 상하 방향으로 마이크로폰들을 이격 배치함으로써, 역시 상하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귀에 의한 방향 판별과 마찬가지의 성능으로 효과적인 방향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이 단지 귀 형상부(110)의 돌출면 상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귀 형상부(110) 상의 돌출면 및 함몰면에 분산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귀 형상부(110)의 형상에 의하여 음향의 수집 및 증폭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이 구비되는 귀 보형물(100)의 형상 자체에 의하여 원래의 귓바퀴가 구조적으로 가지는 음향 수집 및 증폭 기능이 자연히 부여됨으로써, 별도의 증폭용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음향의 수집 및 증폭이 훨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음향의 수집 및 증폭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실제 귀에서 이루어지는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도 귀를 상실하기 전 상태와 가장 유사한 상태로서 음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거부감이나 이질감이 훨씬 줄어든다는 장점 또한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들을 얻기 위한 본 발명에서의 마이크로폰(120) 배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본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은, 적어도 일부가 이륜의 돌출면 상의 상측 및 하측에 분산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정밀한 상하 방향의 음원 방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의 적어도 일부가 이륜의 돌출면 상의 중간측에 더 구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의 적어도 일부가 대이륜, 대이륜상각, 대이륜하각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 상에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마이크로폰(120)들의 적어도 일부가 주상와, 삼각와, 이갑개정, 이갑개강 중 선택되는 적어도 둘의 위치에 분산 구비되게 함으로써, 돌출면 및 함몰면 모두에 마이크로폰들이 분산 구비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음향은, 음향출력부에 의하여 귀 보형물(100)을 이식한 사용자에게 전달됨으로써 비로소 청력의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폰(120)에 의하여 수집된 음향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기존의 보청기 등과 유사하게 음성신호 형태로서 귀 보형물(100) 장착자의 고막에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상용화된 골전도 이어폰 등과 유사하게 진동신호 형태로서 귀 보형물(100) 장착자의 내이에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음향출력부의 형태는 필요나 성능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110: 귀 형상부
120: 마이크로폰

Claims (8)

  1. 귀 보형물에 있어서,
    3D 프린팅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귀 형상부 상에 다수 개의 마이크로폰들이 분산되어 구비되되,
    상기 마이크로폰들은, 귀 형상부의 형상에 의하여 음향의 수집 및 증폭이 가능하도록, 귀 형상부 상의 돌출면 및 함몰면에 분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들은
    좌우 간 이격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수집된 음향의 좌우 방향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좌측 및 우측 귀 보형물 상에 분산 구비되며,
    상하 간 이격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수집된 음향의 상하 방향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귀 보형물 하나 당 상측 및 하측에 분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들은
    적어도 일부가 이륜의 돌출면 상의 상측 및 하측에 분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들은
    적어도 일부가 이륜의 돌출면 상의 중간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들은
    적어도 일부가 대이륜, 대이륜상각, 대이륜하각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 상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들은
    적어도 일부가 주상와, 삼각와, 이갑개정, 이갑개강 중 선택되는 적어도 둘의 위치에 분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 보형물은
    상기 마이크로폰들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수집된 음향을 음성신호 또는 진동신호 형태로서 귀 보형물 장착자의 고막 또는 내이에 전달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KR1020150174769A 2015-12-09 2015-12-09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KR10173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769A KR101731500B1 (ko) 2015-12-09 2015-12-09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769A KR101731500B1 (ko) 2015-12-09 2015-12-09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500B1 true KR101731500B1 (ko) 2017-04-28

Family

ID=5870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769A KR101731500B1 (ko) 2015-12-09 2015-12-09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0398C1 (ru) * 2020-11-23 2021-11-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ко-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И. Евдоким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МГМСУ им. А.И. Евдокимова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Бионический протез ух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355B1 (ko) * 2011-02-07 2012-08-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변 구조형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원 방향 검지 장치 및 방법
JP2015082051A (ja) * 2013-10-23 2015-04-27 京セラ株式会社 耳型部、人工頭部及びこれらを用いた測定システムならびに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355B1 (ko) * 2011-02-07 2012-08-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변 구조형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원 방향 검지 장치 및 방법
JP2015082051A (ja) * 2013-10-23 2015-04-27 京セラ株式会社 耳型部、人工頭部及びこれらを用いた測定システムならびに測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0398C1 (ru) * 2020-11-23 2021-11-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ко-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И. Евдоким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МГМСУ им. А.И. Евдокимова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Бионический протез ух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2525B2 (en) Universal earpiece
US11463827B2 (en) Hear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US20230067067A1 (en) Disposable sensor array wearable device sleeve system and method
RU2613595C2 (ru) Блок модели уха, искусственная голова и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ующие упомянутые блок модели уха и искусственную голову
Shimokura et al. Development of monaural and binaural behind-the-ear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aids
JP2008136556A (ja) イヤホン装置
EP3664472B1 (en) Configurable hearing devices
CN105786171A (zh) 判定系统及方法和控制信号输出系统及方法
Perkins et al. The EarLens system: New sound transduction methods
CN113260304A (zh) 采用视觉反馈的物理治疗和前庭训练系统
KR20220066911A (ko) 오디오 콘텐트를 제공할 때 촉각 콘텐트의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6367768A (zh) 听筒或与听筒相关的改进
KR101731500B1 (ko) 음향 기능성을 가지는 귀 보형물
EP3442241B1 (en) Hearing protection headset
KR102100845B1 (ko) 마이크를 외장한 난청 보상 장치
CN111147970B (zh) 用于听力设备的耳机和生产耳机的方法
JP2022548811A (ja) 触覚コンテンツ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954962A (zh) 带语音交流的发夹骨传导助听器
US11526033B2 (en) Hearing device
Seelman et al. Quality-of-life technology for vision and hearing loss [Highlights of Recent Developments and Current Challenges in Technology]
US20240015450A1 (en) Method of separating ear canal wall movement information from sensor data generated in a hearing device
CN208540163U (zh) 一种助听装置
GB262165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ar apparatus
JP2023155101A (ja) 骨伝導補聴器
WO2024038263A1 (en) Ea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