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316B1 - 파일 일괄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일괄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316B1
KR101731316B1 KR1020140114497A KR20140114497A KR101731316B1 KR 101731316 B1 KR101731316 B1 KR 101731316B1 KR 1020140114497 A KR1020140114497 A KR 1020140114497A KR 20140114497 A KR20140114497 A KR 20140114497A KR 101731316 B1 KR101731316 B1 KR 10173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ouch input
menu
execu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484A (ko
Inventor
백창열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316B1/ko
Priority to US14/836,312 priority patent/US10545916B2/en
Priority to JP2015168253A priority patent/JP6567925B2/ja
Publication of KR2016002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316B1/ko
Priority to JP2019141929A priority patent/JP7177018B2/ja
Priority to US16/716,499 priority patent/US1103015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순 동작의 터치 입력으로 복수의 파일들을 선택하여 일괄 처리할 수 있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고, 제1 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파일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하여 임의의 행위 명령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일괄 처리를 위한 실행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기점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크로스(cross)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원하는 파일들을 선택하여 일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일 일괄 처리 방법{FILES BATCH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파일 일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고, 복수의 파일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하여 임의의 행위 명령을 처리하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표시되는 화면을 최대로 확장시키면서 자유롭게 입력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다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서버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신호를 주고받기 때문에, 언제든지 어디서나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메일 서버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에 접속한 후, 메시지를 작성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로부터 전송되어온 메시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반 사용자는 자신 소유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자신의 메일 또는 SNS 계정에 저장된 메시지들 중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무분별한 홍보성 광고 또는 스팸(spam) 메시지가 대량으로 전송됨에 따라, 일반 사용자가 이러한 메시지를 일일이 선택하여 삭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다. 즉, 일반 사용자는 복수의 메시지들 중 원하는 메시지를 일일이 선택한 후 삭제 메뉴를 클릭(click)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일괄하여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순 동작의 터치 입력으로 복수의 파일들을 선택하여 일괄 처리할 수 있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고, 제1 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파일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하여 임의의 행위 명령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일괄 처리를 위한 실행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기점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크로스(cross)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행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행위 메뉴를 포함하는 실행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실행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기준 거리 이상 터치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실행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실행 메뉴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 경로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행 메뉴는 파일의 삭제 명령을 위한 삭제 메뉴, 파일의 잘라내기 명령을 위한 잘라내기 메뉴, 파일의 복사 명령을 위한 복사 메뉴, 및 파일의 보내기 명령을 위한 보내기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실행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 상에서 정지되었을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에 대응하는 행위 명령을 상기 실행 명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 상에서의 정지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크로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벡터 요소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실행 명령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실행 명령을 실제 처리하기 위한 실행 처리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처리 메뉴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처리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실행 명령의 실행을 취소하기 위한 실행 취소 메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터치의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파일은 메일 계정의 메시지 파일, 메신저 계정의 메시지 파일,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메시지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일괄 처리를 위한 실행 명령이 결정되고,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복수의 파일들이 선택된 후 상기 실행 명령이 일괄 처리됨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에 비해 보다 단순한 동작에 의해 원하는 파일들을 선택하여 일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일 일괄 처리 방법 중 실행 명령 결정 단계(S10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행 명령 결정 과정 중 실행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4는 도 2의 실행 명령 결정 과정 중 실행 명령이 결정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5는 도 1의 파일 일괄 처리 방법 중 실행 명령 처리 과정(S200 단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행 명령 처리 과정 중 실행을 위한 복수의 파일들이 결정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7은 도 5의 실행 명령 처리 과정 중 선택된 파일들에 대해 실행 명령이 처리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5의 실행 명령 처리 과정 중 선택된 파일들에 대해 실행 명령이 처리되는 단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섦여하고자 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은 상기 디지털 다바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복수의 파일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하여 임의의 행위 명령을 일괄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의 파일들은 제1 방향으로 일부의 내용이나 제목 등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은 메일 계정의 메시지 파일, 메신저 계정의 메시지 파일,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메시지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일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은 문서 파일, 멀티미디어 파일 등과 같은 그 외의 다양한 파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일 계정의 메시지 파일에 적용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을 일 예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일 일괄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일 일괄 처리 방법 중 실행 명령 결정 단계(S10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행 명령 결정 과정 중 실행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고, 도 4는 도 2의 실행 명령 결정 과정 중 실행 명령이 결정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파일 일괄 처리 방법으로, 우선 상기 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일괄 처리를 위한 실행 명령을 결정한다(S100).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행위 메뉴를 포함하는 실행 메뉴(10)를 표시할 수 있다(S110). 즉, 임의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임의의 터치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터치펜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 우선 터치한 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터치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실행 메뉴(10)을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기준 거리 이상 터치 이동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실행 메뉴(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거리는 상기 파일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표시되는 길이의 1/5 내지 1/2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상기 기준 거리 이상 터치 이동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실행 메뉴(10)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실행 메뉴(10)가 표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행 메뉴(10)는 예를 들어, 파일의 삭제 명령을 위한 삭제 메뉴, 파일의 잘라내기 명령을 위한 잘라내기 메뉴, 파일의 복사 명령을 위한 복사 메뉴, 및 파일의 보내기 명령을 위한 보내기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행 메뉴(10)는 위에서 나열된 행위 메뉴 이외에 일괄 처리 수행이 가능한 다른 행위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설정 선택에 따라 상기 실행 메뉴(10)에 포함되어 표시되는 행위 메뉴가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실행 메뉴(10)가 표시된 후(S110),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실행 메뉴(10) 중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실행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 상에서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 상에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에 대응하는 행위 명령을 상기 실행 명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삭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삭제 메뉴 상에 정지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상기 삭제 메뉴 상에서 정지되었을 경우,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삭제 메뉴를 미선택된 다른 메뉴들과 구별되게, 예를 들어 색상이 진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행 메뉴(10)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 경로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행 메뉴(10)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 경로 상에 표시될 경우, 상기 S110 단계 및 상기 S120 단계가 터치 이동 방향의 변경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파일 일괄 처리 방법 중 실행 명령 처리 과정(S200 단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행 명령 처리 과정 중 실행을 위한 복수의 파일들이 결정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며, 도 7은 도 5의 실행 명령 처리 과정 중 선택된 파일들에 대해 실행 명령이 처리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1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S100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기점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크로스(cross)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한다(S200). 여기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 예를 들어 삭제 메뉴 상에서의 정지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파일들 중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크로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S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벡터 요소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직진하는 터치 입력이 아니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벡터 요소를 포함하는 굴곡 이동의 터치 입력이나 대각선 이동의 터치 입력에 의해서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결정된 후(S210),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S100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과, 상기 S210 단계에 의해 결정되어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 예를 들어 삭제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실행 명령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해 상기 표시 장치에서 떨어지면, 상기 선택된 파일들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 예를 들어 삭제 명령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5의 실행 명령 처리 과정 중 선택된 파일들에 대해 실행 명령이 처리되는 단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S220 단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실행 명령이 자동으로 처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220 단계에서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도 8과 같이 상기 실행 명령을 실제 처리하기 위한 실행 처리 메뉴(20)를 표시한 후, 상기 실행 처리 메뉴(20)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210 단계에 의해 선택된 파일들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 예를 들어 삭제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실행 처리 메뉴와 이웃하여, 상기 실행 명령의 실행을 취소하기 위한 실행 취소 메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실행 취소 메뉴를 터치 클릭하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210 단계에 의해 선택된 파일들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실행 처리 메뉴 및 상기 실행 취소 메뉴가 표시됨에 따라, 상기 실행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잘못 선택된 파일이 함께 일괄 처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0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 및 상기 S200 단계에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터치의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터치 입력 장치가 ㄱ-자 모양을 그리면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파일들의 일과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S100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과, 상기 S200 단계에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일괄 처리를 위한 실행 명령이 결정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복수의 파일들이 선택된 후 상기 실행 명령이 일괄 처리됨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에 비해 보다 단순한 동작, 예를 들어 ㄱ-자 모양을 그리면서 연속적인 터치 입력에 의해 원하는 파일들을 선택하여 일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실행 메뉴 20 : 실행 처리 메뉴
30 : 실행 취소 메뉴

Claims (14)

  1.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고, 제1 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파일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선택하여 임의의 행위 명령을 처리하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일괄 처리를 위한 실행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기점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크로스(cross)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상에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기준 거리 이상 터치 이동되었을 경우, 앞으로 진행될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행위 메뉴를 포함하는 실행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상기 기준 거리 이상 터치 이동된 후 연속하여 터치 이동하여 상기 실행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 상에서 정지되었을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에 대응하는 행위 명령을 상기 실행 명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 상에서의 정지 위치를 기점으로 연속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의해 크로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메뉴는
    파일의 삭제 명령을 위한 삭제 메뉴, 파일의 잘라내기 명령을 위한 잘라내기 메뉴, 파일의 복사 명령을 위한 복사 메뉴, 및 파일의 보내기 명령을 위한 보내기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위 메뉴를 포함하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벡터 요소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인 파일 일괄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실행 명령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실행 명령을 실제 처리하기 위한 실행 처리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처리 메뉴로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일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해 상기 실행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처리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실행 명령의 실행을 취소하기 위한 실행 취소 메뉴가 함께 표시되는 파일 일괄 처리 방법.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메일 계정의 메시지 파일, 메신저 계정의 메시지 파일,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메시지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파일 일괄 처리 방법.
KR1020140114497A 2014-08-29 2014-08-29 파일 일괄 처리 방법 KR10173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97A KR101731316B1 (ko) 2014-08-29 2014-08-29 파일 일괄 처리 방법
US14/836,312 US10545916B2 (en) 2014-08-29 2015-08-26 File management method for selecting files to process a file management instruction simultaneously
JP2015168253A JP6567925B2 (ja) 2014-08-29 2015-08-27 ファイル一括処理方法
JP2019141929A JP7177018B2 (ja) 2014-08-29 2019-08-01 ファイル一括処理方法
US16/716,499 US11030154B2 (en) 2014-08-29 2019-12-17 File management method for selecting files to process a file management instruction simultaneous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497A KR101731316B1 (ko) 2014-08-29 2014-08-29 파일 일괄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84A KR20160027484A (ko) 2016-03-10
KR101731316B1 true KR101731316B1 (ko) 2017-05-02

Family

ID=5540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497A KR101731316B1 (ko) 2014-08-29 2014-08-29 파일 일괄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545916B2 (ko)
JP (2) JP6567925B2 (ko)
KR (1) KR101731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803A (ko) 2022-10-05 2024-04-12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온도보상이 적용된 저전력 전압변압기 및 그 온도보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7642B1 (en) * 2014-09-29 2022-05-10 Priority 5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selected information in temporal and locational context
CN109818975A (zh) * 2019-03-14 2019-05-28 杭州汉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自动获取并管理windows服务器帐号的方法
CN111352572B (zh) * 2020-05-25 2020-08-25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资源处理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7103B2 (ja) 2002-06-28 2007-12-05 京セラ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情報選択プログラム
KR20090058073A (ko) 2007-12-04 2009-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TWI375162B (en) * 2008-05-02 2012-10-21 Hon Hai Prec Ind Co Ltd Character input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utilizing the same
US20120278759A1 (en) * 2008-05-07 2012-11-01 Carrot Medical Llc Integration system for medical instruments with remote control
JP4632102B2 (ja) * 2008-07-1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569427B1 (ko) * 2008-10-02 201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JP5299892B2 (ja) * 2008-10-15 2013-09-25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8321802B2 (en) * 2008-11-13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dependent pop-up menus
US8315672B2 (en) * 2008-12-01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11107823A (ja) * 2009-11-13 2011-06-02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641567B1 (ko) 2010-03-03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049990B2 (ja) * 2010-09-15 2016-12-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52743A (ko) 2010-10-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항목 선택 방법
US20120272144A1 (en) * 2011-04-20 2012-10-25 Microsoft Corporation Compact control menu for touch-enabled command execution
JP6010303B2 (ja) * 2012-01-31 2016-10-19 株式会社ザクティ 画像再生装置
US9250768B2 (en) * 2012-02-13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CN102662555B (zh) 2012-03-06 2015-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复选操作方法和终端
CN103309482A (zh) * 2012-03-12 2013-09-1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触摸控制方法与触摸控制装置
US10078420B2 (en) * 2012-03-16 2018-09-18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evices,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20130107974A (ko) * 2012-03-23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로팅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52177B1 (ko) 2012-07-30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355086B2 (en) * 2012-10-09 2016-05-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elements for content selection and extended content selection
US9755995B2 (en) 2012-11-20 2017-09-05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gesture input to digital content
KR102064965B1 (ko) 2013-01-04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803A (ko) 2022-10-05 2024-04-12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온도보상이 적용된 저전력 전압변압기 및 그 온도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7018B2 (ja) 2022-11-22
KR20160027484A (ko) 2016-03-10
US10545916B2 (en) 2020-01-28
JP6567925B2 (ja) 2019-08-28
US11030154B2 (en) 2021-06-08
JP2016051478A (ja) 2016-04-11
US20160063023A1 (en) 2016-03-03
US20200117639A1 (en) 2020-04-16
JP2019204540A (ja)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6724B2 (en) Swiping functions for messaging applications
JP7177018B2 (ja) ファイル一括処理方法
CN105335048B (zh) 具有隐藏应用图标的电子设备及隐藏应用图标的方法
US20120185787A1 (en) User interface interaction behavior based on insertion point
CN11343406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
US10528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formation
CN105302458A (zh) 一种消息显示方法及装置
JP6480888B2 (ja) ファイル一括処理方法及びそれによるプログラムを遂行するデジタルデバイス
KR20190040997A (ko)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EP2818997B1 (en) Generating message notifications providing direct actions
CN106648281B (zh) 一种截图方法及装置
CN109718549B (zh) 游戏中消息处理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1703227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on a plurality of items on list
US9467824B2 (en) Generating message notifications providing direction actions
KR101720747B1 (ko) 채팅창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N106254211A (zh) 一种交互信息的显示方法和终端
US9772770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nfiguring a tool with at least one pointing element on a screen
EP2722773B1 (en) Method for updating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detected language of a received message
WO20170063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nt messaging
CN106227396A (zh) 一种显示信息的方法及终端
CN116010008A (zh) 按钮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31419A (ko)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드래그 방식에 따른 수신자 식별 방법 및 이를 통한 문자 전송 방법
NZ613149B2 (en) User interface interaction behavior based on insertion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