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161B1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161B1
KR101731161B1 KR1020150028758A KR20150028758A KR101731161B1 KR 101731161 B1 KR101731161 B1 KR 101731161B1 KR 1020150028758 A KR1020150028758 A KR 1020150028758A KR 20150028758 A KR20150028758 A KR 20150028758A KR 101731161 B1 KR101731161 B1 KR 10173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formation
activation input
mobile device
predetermi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227A (ko
Inventor
이재규
정재락
장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규
정재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규, 정재락 filed Critical 이재규
Priority to KR102015002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161B1/ko
Priority to CN201680013252.5A priority patent/CN107408002B/zh
Priority to PCT/KR2016/001972 priority patent/WO2016140470A1/ko
Priority to US15/554,196 priority patent/US10353665B2/en
Priority to JP2017563905A priority patent/JP6741695B2/ja
Priority to CN202110239517.6A priority patent/CN113126873A/zh
Publication of KR2016010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161B1/ko
Priority to US16/426,702 priority patent/US1109980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시간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첫 활성화시에만 정보 제공화면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정보 제공화면의 출력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정보제공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을 유도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잠금 화면에 정보, 특히 광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도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정보가 노출되므로 정보 제공자 입장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잠금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은 정보 제공자 관점에서는 매우 효율적인 정보 제공 방법이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번 활성화할 때마다 정보가 제공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입력이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이루어진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입력이 첫 활성화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정보제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제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 입력이 상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이루어진 첫 활성화 입력인 경우에 수행되는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첫 활성화시에만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 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명된 특정 실시형태에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내용을 기반으로 하며, 더 나아가 이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대체, 수정, 조합 가능한 범위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로서 휴대폰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폰, 스마트폰, 패블릿, 랩탑, PDA 등 휴대가능한 정보제공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1 의 S100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휴면 상태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휴면 상태라 함은 전원은 온 상태이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통상,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사용이 없는 경우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가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휴면 상태는 전원 자체는 온 상태이면서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된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입력을 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홈 버튼과 같은 물리적 버튼을 터치 또는 누르거나 또는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화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S101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활성화 입력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버튼, 예를 들어 홈 버튼을 입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물리적 버튼은 디스플레이부가 존재하는 면의 일부분, 특히, 디스플레이부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측면부, 후면부, 상부 측면부 등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적 버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와 같은 방식으로 활성화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S101 단계에서는 활성화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활성화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휴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활성화 입력이 있는 경우 S102 단계로 진행한다.
S102 단계에서는 활성화 입력이 수행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시간 범위는 미리 지정된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오전 5시부터 오전 10시까지와 같이 지정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 범위는 사용자 설정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의 설정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 범위는 복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으로 오전 5시에서 오전 10시, 제2구간으로 오전 11시에서 오후 2시, 제3구간으로 오후 4시에서 오후 7시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시간의 길이나 설정 횟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4시간으로 설정되는 경우, 하루에 한 번 첫 활성화에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고, 아침, 점심, 저녁으로 3회 설정되는 경우 하루에 3번 제공될 수도 있다.
활성화 입력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S107 단계로 진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간에 활성화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잠금 화면으로 이동한다.
활성화 입력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S103 단계로 진행한다.
S103 단계에서는 활성화 입력이 첫 활성화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첫 활성화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S107 단계로 진행한다. 첫 활성화 입력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S104 단계로 진행하여 정보제공 화면을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리 지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첫 활성화 입력시에만 정보제공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범위가 오전 5시에서 오전 10시로 지정된 경우, 이 시간 구간 내에서 수행되는 첫 활성화 요청시에만 정보제공 화면을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잠금 화면을 이용한 광고제공 또는 정보제공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화면을 활성화할 때마다 광고 또는 정보가 제공되는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정보만을 필요한 시간에 받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의 첫 활성화 요청시에만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통상의 사용 패턴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5시에서 오전 10시 구간에 이루어지는 첫 활성화 요청시에 날씨, 주요 뉴스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활성화 요청시에는 통상의 프로세스에 따라 정보제공 화면없이 바로 대기화면으로 진행되므로 사용자는 불필요한 화면의 출력을 배제할 수 있다.
제공되는 정보는 날씨, 의류, 교통, 뉴스, 광고 등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나열되는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는 지정된 소정의 시간 범위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전 시간에는 날씨, 뉴스 정보 등이 제공되고, 점심 시간에는 식당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저녁 시간에는 공연 정보, 이벤트 정보 등 시간 범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상이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카테고리에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관심 카테고리로 설정한 분류의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성별, 연령 등 사용자 관련 정보에 따라 상이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정보, 광고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S104 단계의 정보제공 화면은 별도의 추가 화면 출력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잠금 화면에 출력될 수도 있다. 즉, S104 단계에서 제공되는 정보제공 화면은 정보표시부, 대기화면 요청 인터페이스 또는 잠금해제 인터페이스, 추가정보 요청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보제공 화면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대기화면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제공된 정보를 보다 세부적으로 알고 싶은 경우 추가정보 화면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S104 단계에서 제공되는 화면은 첫 화면이다. 첫 화면이라 함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될 때, 즉,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 제공되는 첫 번째 화면을 의미한다. 종래, 첫 화면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 화면이 제공되거나 또는 잠금 화면 없이 바로 대기 화면이 제공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거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잠금 화면, 대기 화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라는 세 단계를 거쳐야만 했다. 반면, 첫 화면을 통한 정보 제공은 사용자가 가장 먼저 인식하는 화면에 특정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제공하므로 사용자 접근성이 매우 용이하다. 하지만, 이와 같이 첫 화면을 이용한 정보제공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주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자, 모바일 디바이스 운영체제 제공자에게 매우 유리하고 편리한 방법이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번 중간 단계를 거쳐 대기 화면으로 진입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이루어지는 첫 활성화에 대해서만 첫 화면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이 후, 활성화 요청시에는 통상의 대기 화면 또는 잠금 화면으로 진행하므로 사용자 편의성과 정보 제공자의 효율성을 모두 개선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는 대기화면 요청 또는 추가정보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요청은 터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구현가능한 다양한 선택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대기화면 요청이 있는 경우, S107 단계의 대기 화면으로 진행한다. 대기 화면의 요청은 예를 들어, 잠금해제 요청이 될 수도 있다. 대기 화면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화면으로서, 예를 들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아이콘의 형태로 나열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대기 화면에서 원하는 작업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추가정보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S104 단계에서 제공된 정보에 관심이 있어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S106 단계의 추가정보 화면으로 진행한다. 추가정보 화면은 하이퍼링크를 통한 웹페이지 접속이 될 수도 있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정보제공 화면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S104 단계의 정보제공 화면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정보를 요청하거나 아니면 대기 화면으로의 진행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2는 S104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정보제공 화면은 정보출력부(200), 추가정보 요청 인터페이스(210) 및 대기 화면 요청 인터페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정보 요청 인터페이스(210) 및 대기 화면 요청 인터페이스(220)는 터치 방식의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보출력부(200)과 추가정보 요청 인터페이스(210)는 상이한 영역에서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영역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출력부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추가정보 요청 단계가 진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의 S102 단계에서 소정의 시간 범위가 아닌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조건으로 둘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집, 직장 등의 장소를 설정하는 경우, 설정된 장소에서 수행되는 첫 활성화시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단계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S102 단계는 시간과 장소를 동시에 조건으로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를 들어, 특정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이루어지는 첫 활성화 시에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를 볼 수 있고, 만일 추가 정보를 보고 싶은 경우에는 추가정보 요청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단순히 첫 활성화시 제공된 정보만 확인하고 대기 화면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를 설정하게 할 수도 있고, 해당 시간대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자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자체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를 운영하는 OS (operating system)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200 : 정보출력부
210 : 추가정보 요청 인터페이스
220 : 대기 화면 요청 인터페이스

Claims (8)

  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입력이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이루어진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입력이 첫 활성화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 입력이 상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이루어진 첫 활성화 입력인 경우에 상기 정보제공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 입력이 상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상기 활성화 입력이 첫 활성화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정보제공 화면을 포함하지 않는 대기 화면 또는 잠금 화면을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정보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화면은
    정보출력부;
    추가 정보 요청을 위한 추가 정보 요청 인터페이스; 및
    대기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대기 화면 요청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정보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화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활성 상태로의 전환에 따라 제공하는 첫 화면인 정보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화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잠금 화면에서 제공되는 정보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 요청 인터페이스의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정보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화면은 광고를 포함하는 정보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입력이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이루어진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 입력을 수신한 시각과 사전에 설정된 상기 소정의 시간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활성화 입력을 수신한 시각이 상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활성화 입력이 첫 활성화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 화면을 출력하는 정보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입력이 첫 활성화 입력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제공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활성화 입력이 첫 활성화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대기 화면을 출력하는 정보 제공 방법.
KR1020150028758A 2015-03-01 2015-03-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10173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758A KR101731161B1 (ko) 2015-03-01 2015-03-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CN201680013252.5A CN107408002B (zh) 2015-03-01 2016-02-28 利用移动设备的信息提供方法
PCT/KR2016/001972 WO2016140470A1 (ko) 2015-03-01 2016-02-28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US15/554,196 US10353665B2 (en) 2015-03-01 2016-02-28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mobile device
JP2017563905A JP6741695B2 (ja) 2015-03-01 2016-02-28 モバイルデバイス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
CN202110239517.6A CN113126873A (zh) 2015-03-01 2016-02-28 利用移动设备的信息提供方法
US16/426,702 US11099803B2 (en) 2015-03-01 2019-05-30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758A KR101731161B1 (ko) 2015-03-01 2015-03-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23A Division KR102220121B1 (ko) 2017-04-21 2017-04-2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27A KR20160106227A (ko) 2016-09-12
KR101731161B1 true KR101731161B1 (ko) 2017-04-28

Family

ID=5684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758A KR101731161B1 (ko) 2015-03-01 2015-03-0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353665B2 (ko)
JP (1) JP6741695B2 (ko)
KR (1) KR101731161B1 (ko)
CN (2) CN113126873A (ko)
WO (1) WO20161404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6977B2 (en) * 2001-12-03 2004-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reduction in computing devices using micro-sleep intervals
KR20060025481A (ko) * 2004-09-16 200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을 이용한 기상정보 서비스방법
CN101695065B (zh) * 2009-03-18 2015-07-1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自动更换皮肤的方法及装置
WO2011035442A1 (en) 2009-09-24 2011-03-31 Mobile Marketing Mé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201585038U (zh) * 2009-10-22 2010-09-15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机顶盒
EP3451123B8 (en) * 2010-09-24 2020-06-17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the same
CN102096879A (zh) * 2011-01-25 201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广告的发布方法及系统、终端
KR101574030B1 (ko) * 2011-07-15 2015-12-02 알까뗄 루슨트 안전한 그룹 메시징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483776B1 (ko) 2012-05-07 2015-01-26 이문상 락 스크린의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방법이 구현된 단말 장치
JP6059462B2 (ja) * 2012-08-03 2017-01-11 株式会社ミクシィ 携帯端末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234440B1 (ko) 2012-10-15 2013-02-18 김경형 스마트 디바이스의 잠금 화면 팝업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40115761A (ko) * 2013-03-22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315468B1 (ko) * 2013-04-30 2013-10-04 (주)버즈빌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모듈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0800A (ko)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엔비티파트너스 리워드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9307358B2 (en) * 2013-06-09 2016-04-05 Apple Inc. Non-intrusive region notification
CN104346739A (zh) * 2013-07-30 2015-02-11 承玉琴 广告投放的方法及设备
CN103458120B (zh) * 2013-08-27 2016-08-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事件处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9607319B2 (en) * 2013-12-30 2017-03-28 Adtile Technologies, Inc. Motion and gesture-based mobile advertising activation
CN103778362B (zh) * 2014-01-21 2017-07-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终端的解锁方法及通信终端
CN103986832A (zh) * 2014-05-20 2014-08-13 赵青松 一种智能手机的锁屏界面实现方法
KR20150004305A (ko) * 2014-11-28 2015-01-12 (주) 앱디스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서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53665B2 (en) 2019-07-16
JP2018508170A (ja) 2018-03-22
US20180081612A1 (en) 2018-03-22
US11099803B2 (en) 2021-08-24
CN113126873A (zh) 2021-07-16
CN107408002B (zh) 2021-03-02
US20190278547A1 (en) 2019-09-12
JP6741695B2 (ja) 2020-08-19
KR20160106227A (ko) 2016-09-12
WO2016140470A1 (ko) 2016-09-09
CN107408002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94506B (zh) 基于推送的地点更新
KR10134693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EP266978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508530A5 (ko)
WO2013159431A1 (zh) 触摸屏操作方法及装置
KR20140115761A (ko)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1371258A (zh) 通过在解锁图像上执行手势来解锁设备
EP2778958A1 (en) Web p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CN103019585B (zh) 触摸屏的单点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3873634A (zh) 终端功能设置方法及系统
CN108234744B (zh) 一种推送消息管理方法及移动终端
US9563330B2 (en) Method of operating a background content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8036068B1 (en) Digital alarm clock with user-selectable alarm sound source including from internet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475107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7632761B (zh) 一种显示内容查看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20121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101731161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20150002301A (ko) 부팅 시 정보 표시 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및 휴대 단말기
CN110865850B (zh) 一种双桌面终端的桌面配置方法及终端
CN106775396A (zh) 基于移动终端的输入操作方法和装置、移动终端
JP2013186810A (ja) 操作装置
CN104580568B (zh) 可切换和可配置交互的门廊电话
KR20120071308A (ko) 모바일 위젯 실행 방법
CN113296839A (zh) 应用唤起方法和装置、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