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153B1 -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 Google Patents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153B1
KR101731153B1 KR1020140188066A KR20140188066A KR101731153B1 KR 101731153 B1 KR101731153 B1 KR 101731153B1 KR 1020140188066 A KR1020140188066 A KR 1020140188066A KR 20140188066 A KR20140188066 A KR 20140188066A KR 101731153 B1 KR101731153 B1 KR 10173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il
storage tank
sensing
oi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7759A (en
Inventor
김성호
조진형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4018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153B1/en
Publication of KR2016007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는, 실외에 설치되어서 유류가 저장되는 유류저장탱크,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방유벽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유벽 내부의 제1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감지부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은 제2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류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방유벽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고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 받아 처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상기 제1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가 오는 날에는 상기 제2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기름 유출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빗물 유입이라고 판단하게 된다.The oil storage tank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oil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oil and installed in the outside of the oil storage tank and sensing the first water level inside the oil storage tank,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sensing a secon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wherein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comprises: a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oil storage tank for sensing and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interior of the oil storage tank of the oil storage tank; Wherein the transmitter generates a signal at the first level sensing unit on the day when it does not rain and the signal is generated by the second level sensing unit when it does not rain,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oil is flowing out.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rainwater is flowing.

Description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0001]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0002]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를 원격지에서 관리할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il storage tank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managing an oil storage tank installed outdoors from a remote location.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가 옥외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옥외 유류저장탱크는 사무공간과 떨어져 있어서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류저장탱크의 여러 가지 상태를 점검하고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건물 외부에 비가 오거나, 유류저장탱크 내부에 빗물이나 기름이 고여 있는지, 배수용 밸브를 열어야 할 시기인지, 밸브를 열어놓고 배수가 완료되어 밸브를 닫아야 할 시간이 되었는지, 보일러는 미연소 되고 있는데 기름은 파이프를 통하여 흐르고 있는 상태(파이프 누유 상태)인지를 점검 및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An oil storage tank for storing oil is installed outdoors. However, such an outdoor oil storage tank is separated from an office spa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In addition, the various states of the oil storage tanks must be capable of being checked and manipulated. For example, whether it is raining outside the building, whether there is rainwater or oil in the oil storage tank, when the drain valve should be opened, whether it is time to open the valve and close the valve after drainage is completed. It should be able to check and manage whether the oil is flowing through the pipe (pipe leakage).

한편, 주유소의 주유탱크나 대형 유류저장탱크는 PC 또는 서버 기반의 고가의 대형 관리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만, 이러한 관리 시스템의 경우 고가이고 대형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보일러 등에 사용되는 소형 유류저장탱크를 관리할 수 있는 소형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gas-filling tanks and large-scale oil storage tanks of petrol stations are equipped with expensive large-scale management systems based on PCs or servers, but these management systems are expensive and are applied to large-scale equipm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act device capable of managing small oil storage tanks used in boiler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옥외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il storage tank management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a oil storage tank installed outdoors from a remote plac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는, 실외에 설치되어서 유류가 저장되는 유류저장탱크,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방유벽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유벽 내부의 제1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 감지부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은 제2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류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방유벽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고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 받아 처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비가 오지 않는 날에는 상기 제1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가 오는 날에는 상기 제2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기름 유출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빗물 유입이라고 판단하게 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managing a storage tank of oil, comprising: a oil storage tank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to store oil, A first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sensing a first water level inside the oil wall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sensing a secon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wherein the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is installed in the oil storage tank, And a transmitte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signal sensed by the transmitter, wherein the transmitter generates a signal at the first level sensor on the day when it does not rain, The first level sensing unit generates a signal, and the receiving unit determines that oil leakage occurs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level sensing unit,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rainwater is flowing.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부 CPU 및 상기 송신부 CPU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수위 감지부, 상기 제2 수위 감지부,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배수를 위한 배수용 밸브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밸브 열림 감지부, 상기 유류저장탱크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유류 파이프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 스위치, 비가 오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빗물을 감지하는 빗물감지 스위치 및 상기 유류저장탱크에 연결된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연소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유량감지 스위치가 ON 상태에서 상기 보일러 연소 감지부에서 상기 보일러가 미연소 상태라고 감지되면, 상기 유류 파이프에 누유가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밸브 열림 감지부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배수용 밸브의 열림 시간을 산출하고, 배수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해당 배수 완료 예상 시간이 되면 밸브 닫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열림 감지부는, 상기 배수용 밸브의 손잡이의 회전으로 스위치의 접점을 ON 시켜서 밸브 열림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oil storage tank, a transmission unit CPU for processing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processed by the transmission unit CPU to the receiving unit And the like. Here,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valve open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pen state of the drain valve for draining the first level sensing unit, the second level sensing unit, and the oil storage tank, A rainwater sensing switch for sensing rainwater to detect whether rain is present, and a boiler combus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connected to the oil storage tank . If the boiler is detected to be in an unburned state in the boiler combustion detecting unit when the flow rate sensing switch is in the ON state, the receiving unit may determine that oil leakage has occurred in the oil pipe.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valve opening sensing unit, the receiving unit calculates the opening time of the drain valve, calculates the drain completion time, and generates a valve closing signal when the expected drain time is reached . The valve opening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a contact of the switch by rotating the handle of the drain valve to detect whether the valve is open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신부 CPU 및 상기 수신부 CPU에서 처리된 정보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부는, 상기 수신부 CPU에서 발생한 정보를 시각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수신부 CPU에서 발생한 정보를 알람 정보로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 receiv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data, and an informing unit for inform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receiving unit CPU.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ception unit CPU as time information, and an alarm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ception unit CPU as alarm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아래의 효과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옥외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를 관리하면서, 유류저장탱크 및 유류 공급용 파이프의 누유 여부, 배수용 밸브를 열고 닫아야 할 시기 등을 판단하고 경고하여 주기 때문에, 옥외 유류저장탱크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il storage tank and the oil supply pipe are leaking, the time when the drain valve is to be opened and clo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managing the outdoor oil storage tank more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의 송신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의 수신부의 블록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il storage tan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er of the oil storage tan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er of the oil storage tan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Quot;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100)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에서 송신부(11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수신부(130)의 블록도이다.Hereinafter, the oil storage tank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100 for manag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receiver 130. FIG.

도면을 참조하면,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100)는, 유류저장탱크(10)와 송신부(110) 및 수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device 100 for managing a oil storage tank includes a oil storage tank 10, a transmission unit 110, and a reception unit 130.

유류저장탱크(10)는 옥외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류가 저장된다.The oil storage tank 10 is installed outdoors, and a predetermined oil is stored.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100)는 유류저장탱크(10)에 설치되며, 송신부(110)와 수신부(130)로 이루어진다.The oil storage tank management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the oil storage tank 10 and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110 and a reception unit 130.

송신부(110)는 유류저장탱크(10) 내부 또는 일측이나 방유벽에 설치되어서, 유류저장탱크(10)의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송신부(110)는 유류저장탱크(10)의 상태를 감지하는 각종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부(13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시리얼 데이터로 만들어서 전송하는 송신부 CPU(111) 및 데이터 송신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mission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oil storage tank 10 or on one side or the oil wall to sense the state of the oil storage tank 10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data. In detail, the transmission unit 110 includes various sensing units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oil storage tank 10 and serial data for converting the state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nto data and processing them in the receiving unit 130,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17. The data transmission unit 117 includes a CPU 111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17. [

예를 들어, 감지부는 유류저장탱크(10)를 둘러싸고 있는 방유벽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112, 113), 유류저장탱크(10)에서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11)에 설치된 배수용 밸브(12)의 열림을 감지하는 밸브 열림 감지부(114), 유류저장탱크(10)에 유류를 공급하기 위한 유류 파이프(13)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 스위치(115), 비가 오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빗물을 감지하는 빗물감지 스위치(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level sensing unit 112, 113 for sensing the level of water in the oil pan surrounding the oil storage tank 10, a drain pipe 11 for draining rainwater from the oil storage tank 10, A flow rate sensing switch 115 for sensing the flow rate of the oil pipe 13 for supplying the oil to the oil storage tank 10, And a rainwater sensing switch 116 for sensing the rainwater so as to detect whether the rainwater is coming or not.

여기서, 수위 감지부(112, 113)는 방유벽 내부의 빗물 유입 및 유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수위 감지부(112)와 제1 수위보다 높은 고수위인 제2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감지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비가 안 오는 날에는 방유벽 내부의 수위가 올라가는 것은 기름이 유출된 것이기 때문에, 기름 유출 경보가 발생될 수 있는 최저 수위에 제1 수위 감지부(112)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2 수위 감지부(113)는 비가 올 때 방유벽 내부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빗물을 배수해야 할 높이가 되었을 때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유벽 내부에서 배수가 필요한 높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제1 수위 감지부(112)와 제2 수위 감지부(113)에서 검출된 신호는 송신부 CPU(111)의 포트로 전송되어 처리된 후 데이터 송신부(117)를 통해 수신부(130)로 전송된다. 그리고 수신부(110)에서는 비가 오지 않는 날 제1 수위 감지부(112)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기름 유출에 의하여 수위가 올라간 것이므로 점검 경보를 발생시키고, 비가 오는 날에는 제1 수위 감지부(112)에서는 경보가 발생하지 않고 제2 수위 감지부(113)에서 경보가 발생되며 배수용 밸브(12)를 개방시킨다.Here, the water level sensing units 112 and 113 are for sensing the inflow of rainwater and the oil leakage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barrier, and include a first water level sensing unit 112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112 for sensing a secon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And a water level sensing unit 113. Specifically, since the oil level has risen in the interior of the oil pan wall on the rainy day, the first water level sensing unit 112 is installed at the minimum water level at which the oil outflow alarm can be generated. The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113 senses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curtain wall rises when it rains and becomes a height at which rainwater should be drained. The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113 is installed at a height required for drainage inside the water curtain wall. The signals detected by the first water level sensing unit 112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113 are transmitted to the port of the transmission unit CPU 111 and process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unit 13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unit 117 do.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level sensor 112 which does not rain in the receiving unit 110, the level of the signal is raised due to oil spillage, so that an alarm is generated. On the rainy day, the first level sensor 112 An alarm is not generated and an alarm is generated in the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113 to open the drain valve 12.

밸브 열림 감지부(114)는 방유벽 내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용 밸브(12)가 열린 상태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송신부 CPU(11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수용 밸브(12)가 열린 상태에서는 개방시간이 수신부(130)에 표시되고, 또한, 수신부(130)는 배수용 밸브(12)의 개방시간을 계수하여 배수가 완료되는 시간에 밸브 닫음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밸브 열림 감지부(114)는 배수용 밸브(112)의 손잡이의 회전으로 스위치의 접점을 ON 시켜서 밸브 열림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alve opening sensing unit 114 senses a state in which the drain valve 12 is opened to drain the water inside the water blocking wal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CPU 111. [ When the drain valve 12 is opened, the opening time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unit 130. The receiving unit 130 counts the opening time of the drain valve 12, . The valve opening detection unit 114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valve is open by turning on the contact of the switch by rotating the handle of the drain valve 112.

유량감지 스위치(115)는 유류저장탱크(10)와 연결된 유류 파이프(13) 중간에 설치되며, 기름이 파이프(13) 내부를 흘러갈 경우, 접점이 ON되면서 해당 신호가 송신부 CPU(111)로 전달된다.The flow rate detecting switch 115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oil pipe 13 connected to the oil storage tank 10 and when the oil flows in the pipe 13, the contact point is turned on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CPU 111 .

빗물감지 스위치(116)는 비가 올 경우 접점이 ON되면서 해당 신호를 송신부 CPU(111)로 전달하고, 송신부 CPU(111)에서 처리된 후 수신부(130)로 전송된다.When the rainfall sensing switch 116 is turned on, the contact point is turned on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CPU 111, processed by the transmitter CPU 111, and then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30.

수신부(130)는 송신부(110)에서 전송된 신호를 비교하여, 빗물 고임이나 기름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처리한다. 또한, 수신부(130)는 데이터 수신부(132)와 수신부 CPU(131) 및 표시부(134)와 알람발생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수신부(132)는 송신부(110)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받아서 수신부 CPU(131)에 전달하고, 수신부 CPU(131)는 이와 같이 수신된 신호를 각 상태 별로 상황에 맞게 처리하여 표시부(134)와 알람발생부(135)를 통해서 제어에 필요한 출력을 발생한다.The receiving unit 130 compares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110 to detect whether rainwater spills or oil spills out and processes them. The receiving unit 130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132, a receiving unit CPU 131, a display unit 134,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135. The data receiving unit 132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110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receiving unit CPU 131. The receiving unit CPU 131 processes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each situation, (134)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135).

한편, 유량감지 스위치(115)가 ON된 경우, 즉, 유류 파이프(13)에 기름이 흐르고 있는 경우, 해당 신호가 수신부(130)에 입력되면, 수신부(130)에서는 보일러(14)가 연소되고 있는지를 보일러 연소 감지부(118)를 통해 감지하고, 유류 파이프(13)에서 누유가 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수신부(130)는 보일러(14)가 미연소 상태에서 유류 파이프(13)에 유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는 기름 유출 경보를 발생시킨다.When the flow rate sensing switch 115 is turned on, that is, when oil is flowing through the oil pipe 13, when the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ing unit 130, the boiler 14 is burned in the receiving unit 130 Is detected by the boiler combustion detecting unit 118,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il pipe 13 is leaked.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130 generates an oil outflow alarm when the oil flows into the oil pipe 13 while the boiler 14 is in the unburned state.

여기서, 보일러 연소 감지부(118)에서 보일러(14) 연소를 감지하여 신호를 지연부(133)로 전달하고, 지연부(133)는 연소 LED가 OFF 된 후에도 연소 LED가 ON 된 것과 동일하게 동작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보일러(14)가 꺼지더라도 유류저장탱크(10)측 유류 파이프(13) 내의 기름은 일정시간 동안은 흐름이 멈추기 않기 때문에, 일정 시간 지연시킴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ere, the boiler combustion detecting unit 118 senses the combustion of the boiler 14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delay unit 133. The delay unit 133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burning LED is turned on even after the burning LED is turned off State. Even if the boiler 14 is turned off, the oil in the oil pipe 13 on the oil storage tank 10 side does not stop flow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it is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to prevent malfunction.

표시부(134)와 알람발생부(135)는 제어에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유류저장탱크(10)의 유류 파이프(13) 중간에 설치된 유량감지 스위치(115)는 유류 파이프(13) 내부에서 기름이 유동하는 경우에 접점이 ON 되고, 해당 신호가 송신부(110)를 통해 수신부(130)로 전송된다. 그리고 수신부(130)는 전송된 신호와 보일러 연소 감지부(118)에서 감지된 신호(즉, 지연부(133)를 통해서 지연된 신호)를 비교하여 보일러(14)가 미연소 상태에서 기름이 흐르는 누유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누유 상태이면 경고를 발생시킨다.The display unit 134 and the alarm generating unit 135 display contents necessary for control and generate an alarm. The flow rate sensing switch 115 installed at the middle of the oil pipe 13 of the oil storage tank 10 turns on the contact when the oil flows inside the oil pipe 13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10 (130). The receiving unit 130 compares the transmitted signal with a signal sensed by the boiler combustion detecting unit 118 (that is, a signal delayed through the delay unit 133) so that the boiler 14 can receive the leaked oil State, and generates a warning if it is in a leakage state.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옥외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10)를 관리하면서 유류저장탱크(10) 및 유류 공급을 위한 유류 파이프(13)의 누유 여부, 배수용 밸브(12)를 열고 닫아야 할 시기 등을 판단하고 경고할 수 있어서, 유류저장탱크(10)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계속 상주하지 않고도 배수용 밸브를 ON/OFF 할 수 있고, 유류 공급을 위한 유류 파이프(13)에서 누유 발생을 감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il storage tank 10 installed outdoors while checking whether the oil storage tank 10 and the oil pipe 13 for supplying oil are leaked, when the drain valve 12 should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oil storage tank 10 can be more safely managed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drain valve can be turned on / off without the administrator staying there, and the leakage of oil can be monitored in the oil pipe 13 for supplying the oil.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유류저장탱크
11: 배수 파이프
12: 배수용 밸브
13: 유류 파이프
14: 보일러
100: 관리장치
110: 송신부
111: 송신부 CPU
112: 제1 수위 감지부
113: 제2 수위 감지부
114: 밸브 열림 감지부
115: 유량감지 스위치
116: 빗물감지 스위치
117: 데이터 송신부
118: 보일러 연소 감지부
130: 수신부
131: 수신부 CPU
132: 데이터 수신부
133: 지연부
134: 표시부
135: 알람발생부
10: Oil storage tank
11: drain pipe
12: Drain valve
13: Oil pipe
14: Boiler
100: management device
110:
111: Transmitter CPU
112: first water level sensing unit
113: second water level sensing unit
114: valve opening detection unit
115: Flow sensing switch
116: Rainwater detection switch
117: Data transmission unit
118: Boiler combustion detection unit
130:
131: Receiver CPU
132: Data receiving unit
133:
134:
135:

Claims (8)

실외에 설치되어서 유류가 저장되는 유류저장탱크;
상기 유류저장탱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방유벽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부;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내부 또는 상기 방유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전송 받아 처리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방유벽 내부에서 제1 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서, 비가 오지 않는 날에 수위가 감지되면 기름 유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1 수위 감지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은 제2 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서, 비가 오는 날에 수위가 감지되면 빗물 유입이라 판단하여 빗물 배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수위 감지부;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배수를 위한 배수용 밸브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밸브 열림 감지부;
상기 유류저장탱크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유류 파이프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 스위치;
비가 오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빗물을 감지하는 빗물감지 스위치; 및
상기 유류저장탱크에 연결된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연소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기름 유출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수위 감지부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빗물 유입이라고 판단하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
An oil storage tank installed outdoors to store oil;
A sensing unit installed to sense the level of water inside the oil sump installed to surround the oil storage tank;
A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oil storage tank or at one side of the oil wall to transmit a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Lt; / RTI >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to sense a first water level inside the oil wall and generating an oil outflow alarm when a water level is detected on a rainless day;
A second water level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secon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and generate a rainwater drain signal when the water level is detected on a rainy day,
A valve opening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ning state of a drain valve for draining the oil storage tank;
A flow rate sensing switch for sensing a flow rate of the oil pipe for supplying oil to the oil storage tank;
A rainwater sensing switch for sensing rainwater to detect whether rain is coming; And
A boiler combus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connected to the oil storage tank;
Lt; / RTI >
Wherein the receiving unit determines that oil leakage occurs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level sensing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rainwater is flowing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level sen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부 CPU; 및
상기 송신부 CPU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er may further comprise:
A transmitter CPU for process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processed by the transmission unit CPU to the recep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il storage tan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유량감지 스위치가 ON 상태에서 상기 보일러 연소 감지부에서 상기 보일러가 미연소 상태라고 감지되면, 상기 유류 파이프에 누유가 발생했음을 판단하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unit determines that oil leakage has occurred in the oil pipe when the boiler combustion detecting unit detects that the boiler is in an unburned state when the flow rate sensing switch is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밸브 열림 감지부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배수용 밸브의 열림 시간을 산출하고, 배수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해당 배수 완료 예상 시간이 되면 밸브 닫음 신호를 발생시키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ption unit calculates the opening time of the drain valve when the sens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valve opening sensing unit and calculates the expected drain time to drain the oil, Tank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열림 감지부는, 상기 배수용 밸브의 손잡이의 회전으로 스위치의 접점을 ON 시켜서 밸브 열림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opening sensing unit is configured to turn on the contact of the switch by rotation of the handle of the drain valve to detect whether the valve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신부 CPU; 및
상기 수신부 CPU에서 처리된 정보를 알려주는 알림부;
를 포함하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 data receiver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 receiv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data; And
An informing unit informing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receiving unit CPU;
And an oil storage tan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수신부 CPU에서 발생한 정보를 시각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수신부 CPU에서 발생한 정보를 알람 정보로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
를 포함하는 유류저장탱크 관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ception unit CPU as time information;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ceiving unit CPU as alarm information;
And an oil storage tank.
KR1020140188066A 2014-12-24 2014-12-24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KR101731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066A KR101731153B1 (en) 2014-12-24 2014-12-24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066A KR101731153B1 (en) 2014-12-24 2014-12-24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59A KR20160077759A (en) 2016-07-04
KR101731153B1 true KR101731153B1 (en) 2017-04-27

Family

ID=5650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066A KR101731153B1 (en) 2014-12-24 2014-12-24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1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780B (en) * 2017-03-31 2019-11-08 西安长庆科技工程有限责任公司 A kind of prevention of station in oilfield accident sewage and contro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39Y1 (en) * 2001-08-28 2002-07-27 김기호 Water Detect and Alarm System for Oil Storage Tan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39Y1 (en) * 2001-08-28 2002-07-27 김기호 Water Detect and Alarm System for Oil Storage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59A (en)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5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 leak detection
US11591777B2 (en)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leaks using a system of flow rate sensors and smart valves
US8237576B2 (en) Manhole security system
KR101444242B1 (en) Monitoring system for control device in a remote place having the self diagnosis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AU2012214105B2 (en) Wirelessly networked fluid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05194829A (en) Box door opening detection system, method thereof, and control apparatus
KR101731153B1 (en) Management apparatus for oil tank
KR20160080354A (e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wireless between inside of manhole and outside of manhole
GB2500270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sewerage system
FR2922015A1 (en) Water system management and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use in e.g. hotel's toilet, has water presence sensors detecting water leakage in water pipes and structured parts of building and abnormal presence of water outside pipes
EP2662501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leak protection of a supply water installation
CA2831753A1 (en) Determination of pipe blockages through the monitoring of ambient acoustics
US9109349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5824623B2 (en) Gas shut-off device
JP5195644B2 (en) Gas shut-off system
US11608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CN105425839A (en) Intelligent household emergency waterproof system
US9360871B1 (en) Integrated fluid flow management apparatus
KR101426781B1 (en) Oil Leakage Sens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clined Drilling Hole and Device Oil Stock Management Device using the same
KR102353543B1 (en) Groundwater and soil real-time oil leak det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530958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aster
JP3193651U (en) Kerosene leak monitor
JP2006240655A (en) Underground tank management system
NO20151698A1 (en) Remote controlled valve with time delay function
CN104933835A (en) Valve networking alar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