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054B1 - Drone - Google Patents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054B1
KR101731054B1 KR1020160079938A KR20160079938A KR101731054B1 KR 101731054 B1 KR101731054 B1 KR 101731054B1 KR 1020160079938 A KR1020160079938 A KR 1020160079938A KR 20160079938 A KR20160079938 A KR 20160079938A KR 101731054 B1 KR101731054 B1 KR 10173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drone
wing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김진규
주식회사 엠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주식회사 엠엠피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102016007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54B1/en
Priority to CN201611054657.1A priority patent/CN107031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0Parts of fuselage relatively movable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46Arrangements of, or constructional features peculiar to, multiple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 B64F2700/626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having a wing structure enabling a stable flight and a landing unit enabling a photographing device additionally mounted to be efficiently installed in 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includes one or more wing units around a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ncludes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wing unit. The wing unit includes: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on with the coupling unit; and the one or more wing units generating propuls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Th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coupling unit and has a predetermined angle by using a connection means. The predetermined angle is changed by a user. Therefore, the drone enables the stable flight by being applied with a new wing structure. The drone also can be miniaturized in a transfer process of the drone by having the new wing structure and the landing unit and, therefore, can improve whole use efficiency of the drone.

Description

드론{Drone}Drone {Drone}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인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안정적인 운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날개 구조와, 드론에 촬영 장치 등이 효율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랜딩(landing) 수단을 구비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which is an unmanned airpl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es having a wing structure for enabling more stable operation and a landing means for efficiently mounting a photographing device, .

최근 군수산업에서 시작된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말한다.The drone, which was started in the recent military industry, refers to a plane or helicopter-shaped airplane fly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people burning.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하여 군사적,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drones have been widely used for military and commercial purposes.

다만, 드론 수요증가 추세로 인하여 드론의 비행 상공 교통량 증가가 예상되며, 그로 인하여 드론의 비행 중 충돌 및 추돌 가능성 증대되고 있다. 또한, 드론의 조정 미숙, 배터리 방전, 고장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드론의 추락 가능성도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드론의 사용에 따른 상기와 같은 위험성의 증대는 인명 또는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demand for drones, it is expected that the drones will increase the traffic volume over the flights,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collision during drone flight.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rones may fall due to the causes such as unevenness of drones, battery discharge, and failure.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risk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use of the drones may lead to personal injury or property damage.

또한, 드론은 근래 들어,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군사용 외에도,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drones have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ogistics delivery, disaster relief, broadcasting and leisure, as well as military,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simplicity, promptness and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드론은 여러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 조작의 미숙으로 인해추락의 우려가 높은 것 또한 현실이다. 그리고 드론 및 그에 속한 여러 부품들이 워낙 고가이므로, 드론의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심각할 수밖에 없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rones have many advantages, it is also realistic that there is a fear of falling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wind and immaturity of the driving operation. And because the drones and their parts are so expensive,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drones' damage is inevitable.

게다가, 드론이 추락하는 경우, 멀티콥터 드론 자체의 파손으로 인한 엄청난 경제적 피해 뿐 아니라, 대인 및 대물에 대한 2차 피해의 위험성 또한 심각하다.Moreover, when a dron crashes, the risk of secondary damage to people and objects as well as the enormous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breakage of the multi-copter drone itself is also serious.

이와 같은 이유로, 드론의 운항 안정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정성을 위해서 특히, 드론의 날개부와 랜딩부의 구조를 어떻게 설계할 것이냐가 중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stability of the drones has been emphasized, and in particular, how to design the structure of the drones' wings and landing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for this stability.

즉, 드론의 날개부의 구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이착륙 시에 드론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문제 및 이륙 후에 어느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운항 상의 문제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두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드론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at is, in designing the structure of the wing portion of the dron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the problem that the drones rise or fall at the time of takeoff and landing and the operational problems that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after takeoff.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그리고, 종래 드론의 날개부는 대부분 본체와 일체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드론의 운반과정에서 일체형은 파손 등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날개부의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Conventionally, the w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drone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In the course of carrying the drones, the integral type always contains the risk of break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of the wing portion that can improve such a danger is required something to do.

또한, 드론의 랜딩부는 드론의 이착륙 시에 드론 본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최근의 드론의 경우에는 항공 촬영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촬영 장치가 구비된 형태로 구현되고 있는데, 이러한 촬영 장치가 제한된 드론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랜딩부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lso, the landing part of the dron serves to stably maintain the dron body during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recent drones, various types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are provided for aerial photographing. There has been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landing unit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mount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in a limited drone space.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2584호의 '다중 회전익 무인 항공기'발명은, 무인 항공기의 회전익의 피치 조절 없이 자세 및 방향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여 기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대형의 메인로터를 배제하여 치명적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익 주위의 상승기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02584 discloses a multi-rotary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control the attitude and direction without adjusting the pitch of the rotor blade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atal safety accident an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rising air current around the rotor blades.

다만,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단순히 큰 구조를 가지는 메인로터를 배제하여 안정적인 운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익(회전 날개)의 구조만 제시하고 있을 뿐, 상기에서 언급한 무인 항공기(드론)의 전체적인 문제점 및 기타 장치(촬영 장치 등)와의 호환성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nly the structure of a rotor (rotary blade) that allows a stable operation by excluding a main rotor having a large structure is merely suggested, and the overall problem of the unmanned airplane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n alternative solution for solving the compatibility problem with other apparatuses (photographing apparatuses, etc.).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드론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드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할 것이다.Therefore, development of a drone capable of efficiently solving the overall problem of the dron mentioned abov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정적인 운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날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부수적으로 장착이 되는 촬영 장치 등이 효율적으로 드론 내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랜딩 수단을 가지는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nes having a wing structure for stable operation and having a landing device for efficiently install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본체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날개부가 구비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날개부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 유닛과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날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연결 수단을 통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소정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having at least one wing portion around a main body, the main body including a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wing portion is fastened, And at least one vane unit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wherein the connection unit has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is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the predetermined angle is changed by the user.

또한,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이착륙시에 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랜딩(landing)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딩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and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from a ground when taking-off and landing, wherein the landing unit is provided in a pair facing each other, A second unit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a third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unit and contacting the ground.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과의 접힘 동작을 통해 상기 제3 유닛이 상기 지면 방향 또는 상기 본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unit is directed toward the paper surface direction or the body direction through the folding operation with the first unit.

또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접힘 동작에 따라 상기 지면 방향으로 향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과 평행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rst unit is changed to a state of being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or in a state of being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또한, 상기 본체는, 하부면에 소정의 장치가 수납되는 수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 수단은,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수납되는 소정의 장치가 고정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in body includes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device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receiving means is coupled with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redetermined receiving device is formed .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날개 유닛 각각은,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각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의 일부가 겹치도록 결합 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one or more vane units includes a propeller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at a different angle of engagement such that a part of the rotation radius of each propeller overlaps.

또한, 상기 날개 유닛 각각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날개 유닛의 결합 각도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vane units is installed so that the angle of engagement of the vane units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main body is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에 따르면, 새로운 날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안정적인 운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drone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ble operation can be achieved by adopting a new wing structure.

또한, 새로운 날개 구조 및 랜딩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드론의 운반 과정에서 소형화가 가능하여 드론의 전체적인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ew wing structure and the landing unit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dron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drones.

또한, 드론 본체에 장착되는 부수적 장비(촬영 장치 등)가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부수적 장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nstall additional equipment (photographing apparatus, etc.) mounted on the drone main body in a limited space,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auxiliary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날개부 구성 및 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의 일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날개부 구성 및 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수납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의 일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부를 구비한 드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구비되는 랜딩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랜딩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구비되는 랜딩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날개 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 of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ng portion of the drone and the fastening portion fasten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g structure of a drone and a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 of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iving means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on with a land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landing portion provided on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a landing portion of a dr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landing portion provided on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dron unit of a dr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purposes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any particular mode of disclosure,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or" having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overall construc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ottom of the dro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은 본체(100), 날개부(200) 및 수납 수단(300)를 포함한다.1, a dro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wing portion 200, and a receiving means 300. As shown in FIG.

본체(100)는 드론(1) 전체를 지지하는데, 본체(100)의 각 일측에는 날개부(200)가 연결된다. 도 1에서는 본체(100)에 연결되는 날개부(200)가 4개인 경우를 도시하였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형상이 직육면체인 경우에는 각 측면에 날개부(200)가 연결되고 각 날개부(200)는 서로 마주보며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체(100)는 상기 직육면체가 아닌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에 따라 연결되는 날개부(200)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ain body 100 supports the entire drone 1, and the wing part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1, four wing portions 2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re shown. In the case where the main body 1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1, And each wing portion 200 may be provided facing each other. However, the body 100 may have a shape other tha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number of the wings 200 connected to the body 100 may vary.

또한, 본체(100) 내부에는 드론(1)의 운항에 필요한 각종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체(100) 내부에는 외부 조종자의 조종 수단과 통신하는 통신 수단, 드론(1)의 운항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devic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rones 1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hat is, inside the main body 100,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steering means of the external driv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s 1,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날개부(200)가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20)는 본체(100)와 날개부(20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100)의 일측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fastening part 120 for fastening the wing part 200 stably. Here, the fastening part 12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a means for stably fasten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wing part 200.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0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연결 유닛(210)과 날개 유닛(230)을 포함한다. 연결 유닛(210)은 본체(100)의 체결부(120)와의 체결을 위해 구비되고, 날개 유닛(230)은 연결 유닛(210)에 연결되어 드론(1)이 이동하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1, the wing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wing unit 200, and includes a connection unit 210 and a wing unit 230.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unit 210 is provided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part 12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wing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unit 210 so as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dron 1 .

또한, 연결 유닛(210)에는 연결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체결부(120)에 체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Also, the connecting unit 210 may be provided with connecting means, which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또한, 날개 유닛(230)은 하나의 날개부(200)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날개 유닛(230)은 하나의 연결 유닛(210)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 유닛(230)의 개수는 드론(1)의 원하는 이동 속도 성능이나 방향 전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wing units 230 may be provided in one wing 200. That is, one or a plurality of vane units 230 may be connected to one connection unit 210. The number of such wing units 230 may affect the desired moving speed performance or directional switching performance of the drone 1.

또한, 날개 유닛(230)의 끝단에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250)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펠러(250)는 다양한 형태로 날개 유닛(230)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회전축이 날개 유닛(230)의 연장 방향(연결 유닛(210)에 날개 유닛(230)이 연결되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ropeller 250 for generating a propelling force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vane unit 230. The propeller 250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in the blade unit 230. Generally the rotation axis is a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unit 230 extends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10, As shown in Fig.

또한, 수납 수단(300)은 본체(1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수납 수단(300)은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 같은 소정의 장치가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수납 수단(300)은 본체(100)와 같은 형상(도 1에서는 본체(100)와 같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부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The storage means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storage means 300 has a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apparatus such as a camera, such as a photographing apparatus, is stored. Preferably, the housing means 30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main body 100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like the main body 100 in FIG. 1) and ext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수납 수단(300)은 체결 수단(350)을 통해 본체(10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수납 수단(300)은 추가적으로 수납되는 소정의 장치들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 수단이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가 수납 수단(3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수단(미도시)이 수납 수단(300)의 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housing means 300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fastening means 350. In addition, the receiving means 300 may be formed with a fixing means inside or outside which the predetermined devices to be additionally accommodated can be fixed. Fixing means (not shown) for stably mounting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in the receiving means 3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means 3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의 날개부(200) 및 이와 체결되는 본체(100)의 체결부(120)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wing portion 200 of the dr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120 of the main body 100 fastened to the wing portion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날개부 구성 및 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의 일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날개부 구성 및 이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ng structure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astening unit to be fastened to the dron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ng of a drone and a fastening unit fasten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의 날개부(200)는 연결 유닛(210), 날개 유닛(230) 및 프로펠러(250) 외에도 연결 수단(205)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wing portion 200 of the dro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necting means 205 in addition to the connecting unit 210, the wing unit 230 and the propeller 250 can do.

여기서 연결 수단(205)은 날개부(200)가 본체(100)의 체결 수단(120)에 체결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210)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된 연결 수단(20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상기 체결 수단(120) 상에 형성된다.The connecting means 205 is a means for the wing portion 20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120 of the main body 100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ng unit 210 as shown in Figures 2 to 3 . Further, a space into which the protruding connection means 205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fastening means 120.

즉, 연결 유닛(210)에 돌출되어 형성된 연결 수단(205)이 상기 체결 수단(120) 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날개부(200)와 체결부(120)가 체결될 수 있다. 연결 유닛(210)에 돌출되어 형성된 연결 수단(205)과 체결 수단(120) 내에 형성된 홈이 각각 암수 타입으로 이루어져 연결 유닛(210)과 체결부(120)가 체결될 수 있다.That is, the wing portion 200 and the coupling portion 12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coupling means 205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means 120. The connecting means 205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unit 210 and the grooves formed in the connecting means 120 are both male and female so that the connecting unit 2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can be fastened.

또한, 연결 수단(205) 또는 체결 수단(120) 내에 형성된 홈의 형상에 따라 날개부(200)는 체결 수단(120)에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 수단(205) 또는 체결 수단(120) 내에 형성된 홈의 형상은 결합 각도가 조정될 수 있는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연결 수단(205)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 수단(120) 내에 형성된 홈은 복수개의 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ng means 205 or the fastening means 120, the wing portion 200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astening means 12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ng means 205 or the fastening means 120 is such that the angle of engagement can be adjusted. For this purpose, the connecting means 205 may be of a type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the grooves formed in the fastening means 12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 spaces.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230) 내부에는 하나 이상(도 3에서는 날개 유닛이 2개)의 날개 유닛(250)과 연결 수단(205)을 이어주는 구체적인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연결 유닛(230)의 내부 구조는 일 예이고 내부 구조가 필수 요소는 아니라고 할 것이다.3, concrete means for connecting one or more wing units 250 (two wing units in FIG. 3) and the connecting means 205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unit 230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230 shown in FIG. 3 is an example,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not essential.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의 수납 수단(350)에 대해 도 4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receiving means 350 of the drone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수납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의 일부이다.Fig. 4 is a part of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iving means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수단(300)은 본체(100) 하부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 수단(300)은 본체(100) 하부면과 같은 면적을 가지면서 본체(100) 하부면에 체결 수단(35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수단(350)은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수납 수단(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형태로 본체(100)에 체결 수단(35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4, the receiving means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housing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fastening means 350 with the same area a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fastening means 35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350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fastening means 350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means 300. [ .

이러한 형태의 체결 수단(350)을 통해 드론(1)의 사용자는 편리하게 수납 수단(300)을 드론(1)에 장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서, 운반이 어려운 드론(1)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dron 1 can conveniently mount or separate the storage means 300 to or from the drones 1 through this type of fastening means 350 to effectively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the difficult to transport drones 1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landing)부(400)를 구비하는 드론(1)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drone 1 having a landing part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부를 구비한 드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구비되는 랜딩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랜딩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구비되는 랜딩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having a land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landing portion provided on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landing portion provided on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landing por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은 랜딩부(400)를 구비한다. 랜딩부(400)는 드론(1)의 이륙 및 착륙시에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본체(10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나, 특히 드론(1) 운항 특성상(경량화 및 방해 가능한 구조물을 최소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을 이루는 랜딩부(400)는 서로 마주보며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ron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nding part 400. The landing part 400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part that stably supports the main body 100 from the ground at the time of taking-off and landing the drones 1, but in particular, Are minimized). The pair of landing parts 400 may b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또한, 랜딩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5, the landing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exten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또한, 랜딩부(400)는 본체(100)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제1 유닛(410), 제1 유닛(410)에 연결되어 확장되는 제2 유닛(420) 및 제2 유닛(420)에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제3 유닛(430)을 포함한다.The landing unit 400 includes a first unit 41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 second unit 420 connected to the first unit 41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unit 420, And a third unit 430 in contact with the ground.

특히, 제2 유닛(420)은 제1 유닛(410)과의 접힘 동작을 통해 제3 유닛(430)이 지면 방향 또는 본체(100)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420)은 접힘 동작을 통해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 유닛(410)과 일직선이 되거나, 그 일부가 제1 유닛(410)의 두 개의 프레임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econd unit 4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hird unit 430 is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or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folding operation with the first unit 410. 6 to 8, the second unit 420 may be in line with the first unit 410 of two frames through the folding operation, or may be part of the first unit 410 of the first unit 410 Lt; / RTI > frames.

이러한 접힘 동작을 통해, 제2 유닛(420)은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3 유닛(430)이 본체(100) 부근으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다시 지면을 향해 랜딩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통상 드론(1)은 휴대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운반 용이성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인데, 상기와 같은 랜딩부(400)의 접힘 과정을 통해 이동 및 운반 편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folding operation, the second unit 420 can cause the third unit 430,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to move to the vicinity of the main body 100 or to carry out the landing operation again toward the ground. In other words, as mentioned above, the dragon 1 usually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despite the importance of portability. The folding process of the landing unit 400 as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improve the ease of movement and transportation .

또한, 상기 제2 유닛(420)의 접힘 동작은 드론이 이륙한 후 운항 중인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랜딩부(400) 상에 구동 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드론(1)이 운항할 때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운항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ls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420 may be performed while the drones are in operation after the take-off. In this case, a driv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anding unit 400. In this case, the resistance of the wind can be minimized when the drones 1 are operated, an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during opera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상기 제2 유닛(420)의 접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1 유닛(410)도 본체(100)와의 연결 부분에서 접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유닛(420)만의 접힘 동작으로는 최적으로 랜딩부(400)가 접히는 상태를 이룰 수 없으므로, 부가적으로 제1 유닛(410)도 본체(100)와의 결합 부분에서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으로 랜딩부(400)가 운항 최적합인 접힘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lik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420, the first unit 410 can also be fol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main body 100. That is, since the folding operation of only the second unit 420 can not achieve the optimum folding state of the landing unit 400, the first unit 410 also performs a folding operation at the connecting portion with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landing part 400 can be optimally folded as shown in FIG.

또한, 제1 유닛(410)의 접힘 동작은, 제2 유닛(420)의 접힘 동작에 따라 종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유닛(420)의 접힘 동작(접힘 각도의 변화)에 따라 비례하여 제1 유닛(410)의 접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최적의 접힘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Further,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irst unit 410 may be dependent on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420. [ That is,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irst unit 410 can be performed in proportion to the folding operation (change in the folding angle) of the second unit 420, and the optimum folding state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opera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의 날개부(200)에 대해 도 9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Finally, the wing portion 200 of the drone 1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날개 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dron unit of a dr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1)의 날개부는, 하나 이상의 날개 유닛(230-1, 230-2, 230-3)의 끝단에 구비되는 프로펠러(250-1, 250-2, 250-3) 각각의 회전 반경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9, the wing of the dron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peller 250 provided at an end of one or more vane units 230-1, 230-2, and 230-3, -1, 250-2, and 250-3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즉, 하나의 날개부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날개 유닛(230-1, 230-2, 230-3)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프로펠러(250-1, 250-2, 250-3)의 회전 반경이 서로 겹치도록 하면서,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여러 개의 프로펠러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더 강력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propellers 250-1, 250-2, and 250-3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vane units 230-1, 230-2, and 230-3 formed in one vane portion have rotation radii A plurality of propellers can be provided in a limited space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so that more powerful propulsive force can be generated.

다시 말해서, 다수 개 날개 유닛(230-1, 230-2, 230-3)의 연결 유닛(210)에 대한 결합각도 조절만으로, 제한된 공간 내에 최대한 많은 프로펠러(250-1, 250-2, 250-3)를 구비할 수 있고, 결국 전체적으로 드론(1)의 상하 또는 좌우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only by adjusting the coupling angle of the plurality of wing units 230-1, 230-2 and 230-3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unit 210, the maximum number of propellers 250-1, 250-2, 250- 3).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vertical or lateral thrust force of the drone 1 as a whole.

다만, 다수 개의 프로펠러(250-1, 250-2, 250-3) 구비를 위해, 다수 개 날개 유닛(230-1, 230-2, 230-3)의 연결 유닛(210)에 대한 결합각도는 해당 드론(1)의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각도의 조절에 따라 여러 프로펠러(250-1, 250-2, 250-3)가 구비될 수는 있으나, 전진, 후진 또는 상하 이동 사양에 따라 최적의 날개 유닛(230-1, 230-2, 230-3)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propellers 250-1, 250-2, and 250-3, the coupling angle of the plurality of vane units 230-1, 230-2, and 230-3 to the coupling unit 210 is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one 1. In other words, although the propellers 250-1, 250-2 and 250-3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coupling angle, the optimum wing units 230-1 and 230-2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2, and 230-3 may be determined.

즉, 다수 개의 날개 유닛(230-1, 230-2, 230-3)의 구비에 따라 각 프로펠러(250-1, 250-2, 250-3)의 회전 반경의 겹침이 발생하고 이러한 겹침 현상에 의해 드론(1) 운항에 방해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 내에서 설계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plurality of vane units 230-1, 230-2, and 230-3, the overlapping of the turning radii of the propellers 250-1, 250-2, and 250-3 occurs, It will be possible to design within the extent that there will be no interference with the drone (1) operation.

또한, 하나의 날개부(200)에 구비될 수 있는 다수 개의 날개 유닛(230-1, 230-2, 230-3)의 개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날개 유닛(230-1, 230-2, 230-3) 중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날개 유닛(230-2)의 위치(연결 유닛(210)과의 결합각도)를 양 쪽에 위치하는 날개 유닛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ane units 230-1, 230-2, and 230-3 provided in one vane unit 200 is an odd number as shown in FIG. 9, the position of the wing unit 230-2 located at the center among the three wing units 230-1, 230-2, and 230-3 (the angle of engagement with the connecting unit 210)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blade units different from the blade units located on both sides.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 드론 100 : 본체
120 : 체결부 200 : 날개부
210 : 연결 유닛
230, 230-1, 230-2, 230-3 : 날개 유닛
250, 250-2, 250-2, 250-3 : 프로펠러
300 : 수납 수단
350 : 체결 수단 400 : 랜딩부
410 : 제1 유닛 420 : 제2 유닛
430 : 제3 유닛
1: Drone 100: Body
120: fastening part 200: wing part
210: connecting unit
230, 230-1, 230-2, 230-3: wing unit
250, 250-2, 250-2, 250-3: Propeller
300: storage means
350: fastening means 400:
410: first unit 420: second unit
430: the third unit

Claims (7)

본체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날개부가 구비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날개부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 유닛과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날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연결 수단을 통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소정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고,
상기 본체는, 하부면에 소정의 장치가 수납되는 수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 수단은,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수납되는 소정의 장치가 고정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날개 유닛 각각은,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전진과 후진 추진력 또는 상하 이동 추진력을 변경하기 위해 각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의 일부가 겹치도록 결합 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하고,
상기 날개 유닛 각각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날개 유닛의 결합 각도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In a dron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centered on the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wing portion is fastened,
Wherein the w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unit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portion and at least one wing unit coupled to the connecting unit to generate a propulsive force,
Wherein the connecting unit is engaged or disconnect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the predetermined angle is changed by the user,
The main body includes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device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storage means is formed with fixing means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astening means and to fix the predetermined device to be stored therein,
Wherein each of said one or more vane units includes a propeller and is coupled to said connection unit at a different angle of engagement such that a portion of the turning radius of each propeller overlaps to alter forward and backward propulsion or up-
Wherein each of the vane units is installed so that the angle of engagement of the vane units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main body is the sam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이착륙시에 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랜딩(landing)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딩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and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from the ground during take-off and landing,
The landing unit includes a first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second unit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a third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unit, the third unit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drones being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과의 접힘 동작을 통해 상기 제3 유닛이 상기 지면 방향 또는 상기 본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unit directs the third unit toward the paper surface direction or the body direction through a folding operation with the first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접힘 동작에 따라 상기 지면 방향으로 향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과 평행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unit is changed to a state of being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according to a folding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or parallel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79938A 2016-06-27 2016-06-27 Drone KR101731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938A KR101731054B1 (en) 2016-06-27 2016-06-27 Drone
CN201611054657.1A CN107031828A (en) 2016-06-27 2016-11-25 A kind of unmanned p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938A KR101731054B1 (en) 2016-06-27 2016-06-27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054B1 true KR101731054B1 (en) 2017-04-27

Family

ID=5870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938A KR101731054B1 (en) 2016-06-27 2016-06-27 Dr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1054B1 (en)
CN (1) CN10703182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84A (en) * 2017-06-26 2019-01-04 (주)비씨디이엔씨 Double folding landing gear and Vibration-free gimbal device having it
KR20190005560A (en) * 2017-07-07 2019-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hybrid shooting system utilizing the cable robot and the drone
KR102199908B1 (en) * 2019-10-21 2021-01-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ulti-cop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854A (en) * 2017-10-27 2018-05-01 成都睿翼无人机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wer patrol unmanned machine
JP2019085104A (en) * 2017-11-06 2019-06-06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Flight unit and control method of flight unit
CN110641680B (en) * 2018-12-18 2021-07-23 深圳市格上格创新科技有限公司 Collapsible many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208B1 (en) * 2013-05-02 2014-02-25 주식회사 네스앤텍 Multi-rotor type small aircraft
KR101527544B1 (en) 2015-01-10 2015-06-10 최종필 The multi-rotor type folding dro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966657U (en) * 2012-10-24 2013-06-05 北京中科飞鸿科技有限公司 Multi-rotor craft capable of changing rotors
CN203937860U (en) * 2014-06-13 2014-11-12 张锦海 A kind of Y type model of an airplane helical mount
CN203975222U (en) * 2014-08-01 2014-12-03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Water quality sampling unmanned plane
CN104960666B (en) * 2015-05-26 2017-05-24 北京理工大学 Tilting vector control auxiliary system of flight vehicle provided with longitudinal double ducts
CN204871591U (en) * 2015-07-17 2015-12-16 零度智控(北京)智能科技有限公司 Aircraft retractable landing gear and aircraft
CN105292454A (en) * 2015-11-06 2016-02-03 极翼机器人(上海)有限公司 Multi-rotor-wing unmanned plane
CN205150231U (en) * 2015-12-08 2016-04-13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Novel folded piece of multiaxis aircraf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208B1 (en) * 2013-05-02 2014-02-25 주식회사 네스앤텍 Multi-rotor type small aircraft
KR101527544B1 (en) 2015-01-10 2015-06-10 최종필 The multi-rotor type folding dro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84A (en) * 2017-06-26 2019-01-04 (주)비씨디이엔씨 Double folding landing gear and Vibration-free gimbal device having it
KR102381007B1 (en) * 2017-06-26 2022-03-31 (주)비씨디이엔씨 Double folding landing gear and Vibration-free gimbal device having it
KR20190005560A (en) * 2017-07-07 2019-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hybrid shooting system utilizing the cable robot and the drone
KR101967802B1 (en) * 2017-07-07 2019-08-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hybrid shooting system utilizing the cable robot and the drone
KR102199908B1 (en) * 2019-10-21 2021-01-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ulti-co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31828A (en)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054B1 (en) Drone
EP3172130B1 (en) Aircraft with wing-borne flight mode and hover flight mode
US20210339861A1 (en) Airframe
CN204998752U (en) Folding unmanned aerial vehicle
ES2581549T3 (en) Vertical takeoff plane
US10805572B2 (en) Display with detachable screen
US9120560B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8967527B2 (en) Modular miniature unmanned aircraft with vectored-thrust control
CN111655578A (en) Fixed win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hybrid UAV
KR101646736B1 (en) Joined wing type unmanned aircraft
CN104691749A (en) Transversely staggered four-rotor aircraft
JP2016537234A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KR20170064399A (en) Drone Equipped With Multi-Function Landing Skid
WO2014025617A1 (en) Modular miniature unmanned aircraft with vectored-thrust control
US10933975B2 (en) Variable geometry airframe for vertical and horizontal flight
KR102162848B1 (en)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CN210852883U (en) Four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of collapsible arm
KR20160064413A (e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joined wings and delta wings
CN108910014B (en) Foldable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088208A (en) Boom mounting apparatus used for unmanned flying object and unmanned flying object using the same
CN211252988U (en) Wing assembly of aircraft and aircraft
CN207791154U (en) VTOL flight instruments and fixed-wing unmanned plane
CN205707327U (en) Portable electric four rotor unmanned aircraft
KR101883986B1 (en) Reconfigurable Modular Prefabricated UAV
CN203497169U (en) Plane-body-top interceptor of unmanned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