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640B1 -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 Google Patents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640B1
KR101730640B1 KR1020167022242A KR20167022242A KR101730640B1 KR 101730640 B1 KR101730640 B1 KR 101730640B1 KR 1020167022242 A KR1020167022242 A KR 1020167022242A KR 20167022242 A KR20167022242 A KR 20167022242A KR 101730640 B1 KR101730640 B1 KR 10173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ata
signal
matrix
precoding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087A (ko
Inventor
지아링 리
웬 가오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6010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65Feed forward of transmit weights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ining sequences per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5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power constraints at power amplifier or emission constraints, e.g. constant modulu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제1채널의 제1시간 슬롯에서 제1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단계(705), 제2채널의 제2시간 슬롯에서 제2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는 단계(710),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단계(715),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720)를 결정하는 단계, 제1데이터에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프리코딩된 제1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725), 제2데이터에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프리코딩된 제2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730), 상기 프리코딩된 제1데이터와 상기 프리코딩된 제2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제3신호를 생성하는 단계(735), 및 상기 제1채널과 제2채널 상에서 상기 제3신호를 전송하는 단계(740)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제1신호를 전송하는 단계(605),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는 단계(610), 및 상기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제거하고 상기 제1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615)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도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A MULTIPLE-IN-MULTIPLE-OUT NETWORK-CODED AMPLIFY-AND-FORWARD RELAYING SCHEME FOR THREE NODE BIDIRECTIONAL COOPERATION}
본 발명은 드래프트 IEEE 802.11n 표준의 양방향 전송(통신)을 지원하는 3노드 협력 구조에 관한 것이다.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응용에서, 데이터는 서버로부터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수신기로 전송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멀티캐스트 시스템은 서버가 동일한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기로 동시에 전송하는 시스템이며, 여기서 수신기는 최대 모든 수신기의 서브세트를 형성하거나 수신기 전부를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은 서버가 동일한 데이터를 모든 수신기로 동시에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즉, 멀티캐스트 시스템은 정의상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수 개의 노드를 구비하는 멀티캐스트(다운링크)와 멀티액세스(업링크) 채널을 고려해 보자. IEEE 802.11n 드래프트 표준에서, 역방향(RD: reverse direction) 프로토콜이 전송 기회(TXOP) 내에 양방향 트래픽 흐름의 고속 스케줄링을 위해 도입된다. 역방향 프로토콜은 TXOP를 획득한 노드가 TXOP의 제어 하에 여전히 있으면서 다른 노드로 역방향 전송을 허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노드들 사이에 채널 상태가 부적절(불량)한 경우, 2개의 노드들 사이의 전송이 불량해진다. 이러한 불량은 데이터율 및/또는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IEEE 802.11n 드래프트 표준에서, 역방향(RD: reverse direction) 프로토콜은 도 1에서와 같이 제안되었다. IEEE 802.11n 드래프트 표준의 역방향 프로토콜은 2개의 노드들 사이의 양방향 전송만을 스케줄링한다. 각 노드는 소스 노드(source node)와 목적 노드(destination node)이다. IEEE 802.11 WLAN 표준에서 3노드 양방향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프로토콜은 종래에 없었다. 도 1은 반이중방식(half-duplex)의 릴레이 노드(RN: relay node)를 사용하여 종래의 단방향 협력을 도시한다. 도 1a는 노드1이 데이터(S1)를 노드2와 RN에 전송(송신, 통신)하는 제1 통신 단계를 도시한다. 도 1b는 RN이 데이터(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1
)을 노드2에 전송(통신, 송신)하는 제2 통신 단계를 도시한다. 즉, RN은 데이터(S1)를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2
으로 노드2에 전송(통신,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미도시), 제3통신 단계에서, 노드2는 데이터(S2)를 노드1과 RN에 전송(송신, 통신)한다. 제4통신 단계에서, RN은 데이터(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3
)를 노드1에 전송(통신, 송신)한다. 즉, RN은 데이터(S2)를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4
로서 노드1에 전송(통신, 송신)한다. 따라서, 종래의 접근법에서는 노드1과 노드2를 지원하는데 반이중방식의 RN을 사용하여 완전한 통신을 하는데 4개의 단계(위상)가 존재한다.
3개의 단계를 가지는 네트워크 코딩된 3노드 양방향 협력{즉, RN에서 노드들(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로부터 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직교(분리)함)은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서 디코드 및 전달(Decode-and-Forward), 소프트 디코드 및 전달(Soft Decode-and-Forward), 및 증폭 및 전달(Amplify-and-Forward), 및 L1=L2=1이고 LR=2 등일 때 경우를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Li (여기서 i=1, 2, R)는 노드1, 노드2 및 RN에서 안테나의 수를 각각 나타낸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은 노드들에 임의의 개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MIMO 경우에 대해 증폭 및 전달(Amplify-and-Forward)을 사용한다. 이것은 출원인에 알려진 임의의 공보에서 해결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노드는 스테이션(STA),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단말, 듀얼 모드 스마트 폰,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IEEE 802.11n 드래프트 표준 하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균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그러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 및 수 개의 노드를 구비하는 멀티캐스트(다운링크) 및 멀티 액세스(업링크) 채널을 고려해 보자. IEEE 802.11n 드래프트 표준에서, 역방향(RD) 프로토콜이 전송 기회(TXOP) 내에 양방향 트래픽 흐름의 신속한 스케줄링을 위해 도입된다. 역방향 프로토콜은 TXOP를 획득한 노드가 TXOP의 제어 하에 여전히 있으면서 다른 노드로 역방향 전송을 허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2개의 노드들 사이에 채널 상태(채널 조건)가 이들 사이에 신속하고 신뢰할만한 전송(통신)을 제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 않을 때에는, 제3 노드, 반이중방식의 릴레이 노드(RN)를 통한 협력이 전송(통신)을 지원하는데 수반될 수 있다. 이들 2개의 노드들 사이에 전송이 제3 노드, 반이중방식의 릴레이 노드(RN)를 통한 협력을 수반할 때에는 상황이 더 복잡해지고, 무선 네트워크 코딩이 시스템 처리량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 노드는 소스 노드와 목적 모드이다.
본 발명에서, 도 2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코딩이 시스템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스템에 도입되어 양방향 협력과 합성(combining)된다. 본 발명은 3노드 양방향 협력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NCAF: network-coded amplify-and-forward) 릴레이 구조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3노드 양방향 협력 구조에서, 2개의 노드, 즉 노드1 및 노드2는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이고, RN은 노드1과 노드2 사이의 양방향 전송을 지원하는 릴레이 노드이다. 릴레이 노드(RN)는 노드1과 노드2로부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이 2개의 신호를 이들 모두를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와 합성하여 혼합된 신호를 직교 채널 상에서 두 노드에 브로드캐스트한다. 각 노드(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는 다른 노드로부터 원하는 신호의 전송(통신)과, RN으로부터 혼합된 신호의 전송(통신)을 수신한다. 각 노드는 송신된(전송된, 통신된) 신호의 지식에 기초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공동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공정은 도 3에 도시되고, 이는 아래에 더 기술된다. 본 발명은 상기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NCAF) 릴레이 구조를 기술할 뿐만 아니라, 아래 2개의 경우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가 주어질 때 RN에서 총 전력 제약(power constraint)에 따라 양방향 협력 시스템의 순간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RN에서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설계 문제를 해결한다:
(1) RN에서 직접 링크의 CSI가 없는 경우: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로부터 RN으로의 채널의 CSI와, RN으로부터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로의 채널의 CSI만이 RN에 알려져 있다. 2개의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CSI는 RN에 알려져 있지 않다.
(2) RN에서 직접 링크의 CSI를 가지는 경우: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로부터 RN으로의 채널의 CSI와, RN으로부터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로의 채널의 CSI, 및 2개의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CSI는 RN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NCAF) 릴레이 구조에서, RN은 종래의 증폭 및 전달 협력에서와 같이 하나의 노드로부터 다른 노드로 증폭된 수신된 신호를 더 이상 전달하지 않는다. 대신, RN은 이들을 제일 먼저 프리 코딩 매트릭스로 곱합으로써 2개의 노드로부터 2개의 수신된 신호를 합성한다. 이후, RN은 양방향 트래픽 흐름의 혼합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합성된 신호를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한다. 각 종단 노드는 RN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노드들은 송신한(전송한, 통신한) 신호의 지식에 기초하여 원하는 신호를 공동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에는 여전히 협력의 다양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NCAF 릴레이 구조는 미래의 IEEE 802.11 드래프트 초고처리량(VHT: Very High Throughput) 표준에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NCAF 릴레이 구조의 이점은 단지 단순한 처리, 즉 선형 프리코딩이 릴레이 노드(RN)에서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를 사용하여 종래의 협력과 호환가능하다. 본 발명의 NCAF 릴레이 구조는 또한 RN이 RN에 구비된 불충분한 개수의 안테나로 인해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을 때 문제를 해결하며 임의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항상 실현가능하다.
제1채널의 제1시간 슬롯에서 제1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2채널의 제2시간 슬롯에서 제2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단계,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데이터에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프리코딩된 제1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데이터에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제2프리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코딩된 제1데이터와 상기 프리코딩된 제2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제3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채널 및 제2채널 상에서 상기 제3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제1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2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제거하고 상기 제1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2신호를 공동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도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판독될 때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최상으로 이해된다. 본 도면은 이하 간략히 설명된 이하 도면을 포함한다.
도 1은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반이중방식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전송 측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 블록도;
도 3b는 노드1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수신 측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 블록도;
도 3c는 노드2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수신 측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스 노드에서 빔성형 없이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를 위한 집합적으로 간략화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스 노드에서 빔 성형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를 위한 집합적으로 간략화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도;
도 6은 노드(소스와 목적 노드)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
도 7은 릴레이 노드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
도 2는 반이중방식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a는 노드1이 노드2와 RN에 데이터(S1)를 전송(송신, 통신)하는 제1 통신 단계를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제2 통신 단계에서, 노드2는 데이터(S2)를 노드1 및 RN에 전송(송신, 통신)한다. 도 2c에 도시된 제3통신 단계에서, RN은 노드1과 노드2로 전송(통신)하기 위해 데이터(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5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6
)를 합성(혼합)한다. 데이터(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7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8
)는 데이터(S1)와 데이터(S2)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된다. 데이터((
Figure 112016078780966-pat00009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0
)의 합성은 f(S1+S2)이다. 단계의 수는 4개의 단계로부터 3개의 단계로 감소되었다. 데이터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하는 것에 더하여 빔 성형 매트릭스가 데이터에 더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주목된다.
시스템 모델과 일부 표시법이 제일 먼저 도입된다. Xi는 노드i(i=1,2, R이고, 노드R은 RN을 나타낸다)로부터 전송된 신호이다. Qi는 노드i에서의 빔성형 매트릭스이고, 이것은 빔성형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항등 매트릭스(identity matrix)이다. Hij는 노드j로부터 노드i로 채널 매트릭스이다. Yij 및 Nij는 노드j로부터 노드i로 수신된 신호 및 잡음이고, 요소들은 분산 σ2 n을 가지는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산된 가우시안(Gaussian)인 것으로 가정된다. Wi는 RN에서 YRi에 적용된 프리코딩 매트릭스이다. 총 전송된 전력은 노드i(i=1,2)에서 Pi이고, RN에서 PR이다.
RN은 제1시간 슬롯에서 노드1로부터 YR1= HR1Q1X1 + NR1을 수신하고, 제2시간 슬롯에서 노드2로부터 YR2= HR2Q2X2 + NR2을 수신한다. 여기서 RN은 그 방송 신호로 가중된 수신된 신호를 혼합한다:
XR = W1YR1 + W2YR2 = W1HR1Q1X1 + W2HR2Q2X2 + W1NR1 + W2NR2.
하나의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에서 수신 및 디코딩이 일례로서 사용된다. 물론, 복조는 수신 종단에서 수행된다. 다른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에서의 처리는 이와 유사하다. 노드1은 제2시간 슬롯에서 노드2로부터 Y12= H12Q2X2 + N12을 수신하고, 제3 시간 슬롯에서 RN으로부터 Y1R= H1RXR + N1R을 수신하며, 즉 Y1R = Η1RW1HR1Q1X1 + H1RW2HR2Q2X2 + H1RW1NR1 + H1RW2NR2 + N1R이다. 매트릭스 형태는,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1
이고, 즉 Y1 = D1X1 + A1X2 + B1N1 이고, 여기서 Y1 = [Y12 Y1R]T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2
C2L1 ×1, 0Ni × Nj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3
CLi×Lj는 제로 매트릭스이고, IN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4
CN ×N은 항등 매트릭스이다. 노드1에서, X1은 알려져 있으나, X2는 알려져 있지 않아서 검출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N1=[N12 NR1 NR2 N1R]T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5
C2(L1 + LR )×1은 노드1에서의 잡음 벡터이고, 매트릭스,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6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7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8
은 알려진 것으로 가정된다. X1의 지식에 기초하여, 노드1은 Z1 = Y1 - D1 X1 = A1X2 + B1N1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Z1은 신호(X2)에 대해서와 동등한 수신된 신호이고, A1은 신호(X2)에 대해서와 동등한 채널 매트릭스이다. 여기서 노드1은 공동으로 X2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Z2 = A2X1 + B2N2 이고, 여기서 Z2, A2, B2 및 N2는 그 대응하는 부분에서 아래첨자 "1"과 "2"를 교환하고 "N1"과 "N2"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다.
문제는 W1과 W2(여기서 Wi
Figure 112016078780966-pat00019
CLR × LR, i=1, 2)를 결정하고, RN에서 전송 전력 제약에 따라 시스템의 순간 용량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W1과 W2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이다. 즉,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0
(여기서 tr(X)은 매트릭스 X의 트레이스를 나타낸다)에 따라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1
을 최대화하도록 W1과 W2를 결정한다. Qi(i=1, 2)를 유니테리 매트릭스(unitary matrix)라고 하면, 이 제약은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2
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제1 경우에, 노드i로부터 RN으로 그리고 RN으로부터 노드j로 채널(링크)의 CSI는 RN에서 이용가능한 것으로 가정된다. 노드i 및 노드j(i,j = 1, 2 그리고 i ≠ j) 사이의 링크(채널)의 CSI는 이용가능하지 않다. 이 시나리오에서 내부 정보의 부재로 인해 f 그 자체 대신에 f의 상한을 최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수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3
에 따라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4
을 최대화하도록 W1과 W2를 결정한다.
제2 경우에, 노드i로부터 RN으로, RN으로부터 노드j로 그리고 노드i로부터 노드j로 채널의 CSI는 RN에 이용가능한 것으로 가정되며, 여기서 i, j = 1, 2이고 i ≠ j 이다. 이 시나리오에서, 설계 문제는 (2)에 따라 (1)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특이값 분해(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이론에 의하여, 채널(링크)은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5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6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7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8
으로 분해될 수 있고, 여기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29
는 유니테리 매트릭스이고;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0
(여기서, i, j = 1, 2, R)은 특이값 매트릭스이다. 특히,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1
(i, j = 1, 2, R)(여기서 (·)T 및 (·)H는 매트릭스의 트랜스포즈(transpose) 및 공액(conjugate) 트랜스포즈 연산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2
을 한정하고, T = (tij)(여기서 i, j = 1,..., LR)을 나타낸다.
노드1과 노드2 사이의 직접 링크의 CSI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경우, W1= V2R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3
UH R1이고 W2= V1R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4
UH R2라 하고, 여기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5
은 결정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닫힌 형태의 솔루션이 없다. 그러나,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6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7
는 뉴튼의 방법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풀릴 수 있다.
나아가, 문제의 진술은 이하 형태로 다시 쓸 수 있으며, 여기서 표기법은 접근법이 도입된 후에 설명될 것이다.
λ≥0 (5)
Sλ = q (6)
에 따라
f2(λ)를 최소화하도록 λ를 결정한다 (4)
라그랑지안 함수(Lagrangian function)는,
L(λ, μ) = f2(λ) - μ T(Sλ - q) (7)
이며, 여기서 μ는 라그랑지안 승수(multipliers)를 포함하는 벡터이다. 뉴튼의 방법을 사용하여 λ를 풀기 위해 다음 반복 접근법이 사용된다:
단계 1: λ0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8
(0, max_λ)을 초기화한다.
단계 2: 각 반복 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39
을 푼다.
단계 3: 그 다음 반복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0
을 취한다.
단계 4: 만약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1
또는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2
이라면, 단계 1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5로 진행한다.
단계 5: 만약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3
< 임계값이라면, 종료한다. 그렇지 않으면, k=k+1로 하고, 단계 2로 진행한다.
단계 4에서, 주어진 x=(x1, ..., xM)T가 열 벡터(column vector)이거나 길이(M)이고, length(x)=M,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4
, 및 sign(x) = (sign(x1),..., sign(xM))T.
조건 αi는 "Li ≥LR일 때 또는 Li < LR이고 Li(Li - 1)≥ LR이 만족될 때"로 한정되고, 조건 βi는 "Li < LR 및 Li(Li - 1) ≤ LR - 1이 만족될 때"로 한정된다. 그리하여 3가지 경우의 솔루션이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경우 1: α1과 α2가 존재할 때,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5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6
는 각각 상수로 곱해진 항등 매트릭스이고, 즉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7
, λ1, λ2 ≥ 0이다. 반복 접근법에서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8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49
, 여기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0
(i = 1,... , M),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1
, 및 M=min(L1, L2, LR)이다. f2(λ)의 헤시안(Hessian) 및 그래디언트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2
, 여기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3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4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5
.
일반적인 경우 2: α1 및 β2가 존재할 때,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6
은 상수로 곱해진 항등 매트릭스이고, 즉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7
, λ1≥0이고; 한편,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8
(여기서 λ2,i≥0, i= 1,..., LR)은 대각선 매트릭스이다. 반복 접근법에서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078780966-pat00059
여기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0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1
(i=1, L, M),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2
, 및 M= min(L1, L2, LR)이다.
그리고,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3
이고, 여기서, Re{·}와 Im{·}은 변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취하는 함수이고, s 2는 선형 수식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4
로부터 오며, 즉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5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6
및,
여기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7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8
.
일반적인 경우 3: β1 및 β2가 존재할 때,
Figure 112016078780966-pat00069
(여기서, λ1,i≥0, i= 1, L, LR)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0
(여기서, λ2,i≥0, i= 1, L, LR)은 대각선 매트릭스이다. 반복 접근법에서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1
,
여기서,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2
(여기서, i = 1, L, M), 및 M= min(L1, L2, LR).
그리고,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3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4
, 여기서 Re{·}와 Im{·}은 변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취하는 함수이고, s 1s 2는 선형 수식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5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6
로부터 오며, 즉 각각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7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8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79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0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1
.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2
, 및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3
을 표시한다. 이들은 에르미트 매트릭스(Hermitian)이고,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4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5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6
와 함께 유니테리 매트릭스이며,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7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8
은 대각선 매트릭스이다.
Figure 112016078780966-pat00089
Figure 112016078780966-pat00090
라 하자. 문제는 노드1과 노드2 사이의 직접 링크의 CSI가 이용가능할 때
Figure 112016078780966-pat00091
을 결정하는 것이고, 노드1과 노드2 사이의 직접 링크를 위한 CSI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RN은 상기와 동일한 형태이며, 솔루션을 찾는 반복적인 접근법은 λR2,i 및 λR1,i를 λM1,i 및 λM2,i로 각각 단순히 대체함으로써 상기 3개의 경우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설계 문제에서, 두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는 RN에 트레이닝 시퀀스를 송신(전송, 통신, 전달)하며, 이에 RN은 입력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RN은, 또한 RN으로부터 이들 각각으로 채널(링크)을 추정하기 위해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를 위한 트레이닝 시퀀스(들)를 송신(전송, 통신, 전달)하고 또한 RN이 사용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송신, 전달, 통신)할 것을 요구한다.
2개의 기본 데이터 프레임 구조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다:
(1) RN은 도 4a 및 도 5a에서와 같이 수신하고 전달하는 트레이닝 시퀀스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한다.
(2) RN은 입력 채널 매트릭스를 추정하고, 이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곱하고, 그 결과 매트릭스를 양자화하며 이를 피드백한다. 이 RN은 또한 도 4b와 도 5b에서와 같이 RN으로부터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로 채널 상태(채널 조건)을 추정하기 위해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에 자기 자신의 트레이닝 시퀀스를 송신한다. 여전히 RN에서 RN으로부터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로 출력 채널의 CSI 및 RN에서의 직접 링크의 CSI와 같은,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다른 채널 추정이 존재한다. 이들은 제어 프레임 등과 같은 다른 프레임에 의해 수행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도 3a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전송 측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 블록도이다. 데이터(S1)는 제1시간 슬롯에서 노드1로부터 신호(X1)로서 RN으로 전송(통신)되고, 데이터(S2)는 제2시간 슬롯에서 노드2로부터 신호(X2)로서 RN으로 전송(통신)된다. RN은 이후 노드1과 노드2에 의해 수신하기 위해 이들 데이터를 프리코딩하고, 혼합(합성)하여, 프리코딩된 혼합된 데이터(XR)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한다. 물론, 프리코딩된 혼합된(합성된) 데이터는 변조된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도 3b는 노드1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수신 측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 블록도이다. 노드1은 노드2로부터 신호(Y12)를 수신하고, RN으로부터 신호(Y1R)를 수신하며, 공동 네트워크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한다. 물론, 디코딩된 데이터는 복조된다.
다시 도 3c를 참조하면, 도 3c는 노드2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의 수신 측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동작 블록도이다. 노드2는 노드1로부터 신호(Y21)를 수신하고, RN으로부터 신호(Y2R)를 수신하며, 공동 네트워크 및 채널 디코딩을 수행한다. 물론, 디코딩된 데이터는 복조된다.
즉, 전송 기회(TXOP)를 보유(소유)하는 노드의 관점으로부터, 노드는 데이터를 구비하는 제1신호를 전송(송신, 통신)하는 수단과, 제2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송 수단과 수신 수단은 트랜시버 또는 별개의 전송기 및 별개의 수신기 또는 임의의 균등 수단일 수 있다. 노드는 또한 트레이닝 시퀀스와 제1신호를 제거(공제)함으로써 제2신호를 공동으로 디코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노드는 또한 제1신호의 데이터에 제1빔성형 매트릭스(beamforming matrix)를 적용하고 제2신호의 데이터에 제2빔성형 매트릭스를 적용함으로써 제2신호를 디코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릴레이 노드(RN)의 관점으로부터, RN은 제1채널의 제1시간 슬롯에서 제1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제2채널의 제2시간 슬롯에서 제2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수단,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저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상기 제1채널과 제2채널의 공동 채널 용량을 각각 최대화한다),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제1데이터에 적용하는 수단,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제2데이터에 적용하는 수단, 상기 프리코딩된 제1데이터와 프리코딩된 제2데이터를 혼합(합성)함으로써 제3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제3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전송 수단과 수신 수단은 트랜시버 또는 별개의 전송기 및 별개의 수신기 또는 임의의 균등한 수단일 수 있다. RN은 또한 제1채널을 위한 제1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제2채널을 위한 제2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제3신호의 트레이닝 시퀀스 사이에 상기 제1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적(times), 및 제2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적을 삽입하는 수단, 및 삽입하는 수단이 실행되기 전에, 상기 제1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적을 양자화하는 수단과 제2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적을 양자화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RN은 또한 제1빔성형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수단, 제2빔성형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제3신호를 생성하기 전에, 제1빔성형 매트릭스를 제1데이터에 적용하고 제2빔성형 매트릭스를 제2데이터에 적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RN은 또한 상기 제3신호의 트레이닝 시퀀스 사이에 제1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1프리코딩된 매트릭스의 적, 및 제2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2프리코딩된 매트릭스의 적을 삽입하기 전에, 제1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1프리코딩된 매트릭스의 적에 제1빔성형 매트릭스를 적용하는 수단과, 제2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와 제2프리코딩된 매트릭스의 적에 제2빔성형 매트릭스를 적용하는 수단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소스 노드에서 빔 성형 없이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를 위한 집합적으로 간략화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이다. 도 4a는 소스 노드로부터 트레이닝 시퀀스가 송신된 경우를 도시한다. RN은 트레이닝 시퀀스를 송신하지만, RN에 의해 송신된 트레이닝 시퀀스는 효율적으로 RN이 노드1과 노드2로부터 수신하고 복사하여 소스 노드(노드1 및 노드2)로 리턴한 트레이닝 시퀀스이다. 제3 단계에서, RN은 2개의 트레이닝 시퀀스 및 혼합된 데이터(XR)를 노드i에 전송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트레이닝 시퀀스에 그리고 혼합된 데이터(XR)에 적용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W1)는 T1(제1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되고, 프리코딩 매트릭스(W2)는 T2(제2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W1)는 또 혼합된 신호(XR)의 HR1X1에 적용되고, W2는 혼합된 신호(XR)의 HR2X2에 적용된다. HR1X1은 RN이 노드1(X1을 송신한 노드1)로부터 수신한 원하는 신호라는 것이 주목된다. 또한 HR2X2는 RN이 노드2(X2를 송신한 노드2)로부터 수신한 원하는 신호라는 것이 주목된다. 도 4b에서, 각 노드는 자기 자신의 트레이닝 시퀀스를 송신(전송, 통신)하며, RN은 또한 혼합된 데이터(XR)에 더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W1, W2)를 더 송신(전송, 통신)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RN에 의해 송신(전송, 통신)된 트레이닝 시퀀스(TR)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소스 노드에서 빔성형을 가지는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를 위한 집합적으로 간략화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이다. 도 5a는 소스 노드로부터 트레이닝 시퀀스가 송신된 경우를 도시한다. RN은 트레이닝 시퀀스를 송신하지만, RN에 의해 송신된 트레이닝 시퀀스는 효율적으로 RN이 노드1과 노드2로부터 수신하고 복사하여 소스 노드(노드1, 노드2)로 리턴한 트레이닝 시퀀스이다. 제3 단계에서 RN은 2개의 트레이닝 시퀀스 및 혼합된 데이터(XR)를 노드i에 전송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트레이닝 시퀀스에 그리고 혼합된 데이터(XR)에 적용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W1)는 T1(제1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되고, 프리코딩 매트릭스(W2)는 T2(제2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W1)는 혼합된 신호(XR)의 HR1X1에 더 적용되고, W2는 혼합된 신호(XR)의 HR2X2에 적용된다. HR1X1은 RN이 노드1(X1을 송신한 노드1)로부터 수신한 원하는 신호라는 것이 주목된다. 또한 HR2X2은 RN이 노드2(X2을 송신한 노드2)로부터 수신한 원하는 신호라는 것이 주목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트레이닝 시퀀스 및 혼합된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에 더하여, 빔성형 매트릭스(Q1)는 트레이닝 시퀀스(T1)에 적용되고, 빔성형 매트릭스(Q2)는 트레이닝 시퀀스(T2)에 적용된다. 빔성형 매트릭스(Q1)는 혼합된 신호(XR)의 X1에 더 적용되고, 빔성형 매트릭스(Q2)는 혼합된 신호(XR)의 X2에 적용된다. 도 5b에서, 각 노드는 자기 자신의 트레이닝 시퀀스를 송신(전송, 통신)하고, RN은 혼합된 신호(XR)에 더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W1, W2)를 더 송신(전송, 통신)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RN에 의하여 송신(전송, 통신)된 트레이닝 시퀀스(TR)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혼합된 신호(XR)에 적용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W1)는 혼합된 신호(XR)의 HR1X1에 더 적용되고, W2는 혼합된 신호(XR)의 HR2X2에 적용된다. HR1X1은 RN이 노드1(X1을 송신한 노드1)로부터 수신한 원하는 신호라는 것이 주목된다. 또한 HR2X2는 RN이 노드2(X2를 송신한 노드2)로부터 수신한 원하는 신호라는 것이 주목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혼합된 신호에 적용하는 것에 더하여, 빔성형 매트릭스(Q1)는 혼합된 신호(XR)의 X1에 더 적용되고, 빔성형 매트릭스(Q2)는 혼합된 신호(XR)의 X2에 적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노드(소스 및 목적 노드)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605에서 노드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신호(메시지)를 전송한다. 610에서, 노드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신호(메시지)를 수신한다. 615에서, 노드는, 노드에 의해 전송된 제1데이터와, 다른 노드(제1데이터에 대해서는 목적 노드 및 제3데이터에 대해서는 소스 노드)에 의해 전송된 제3데이터를 포함하는 합성된 신호(메시지)였던 제2신호(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에 적용되었던 프리코딩 매트릭스 및 트레이닝 시퀀스와 제1데이터가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제1데이터와 트레이닝 시퀀스를 제거(공제)함으로써 공동으로 디코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릴레이 노드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705에서 릴레이 노드는 제1채널의 제1시간 슬롯에서 제1신호(메시지)를 수신한다. 제1신호는 제1데이터와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한다. 710에서, 릴레이 노드는 제2채널의 제2시간 슬롯에서 제2신호(메시지)를 수신한다. 제2신호는 제2데이터와 제2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한다. 715에서 릴레이 노드는 채널의 공동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720에서 릴레이 노드는 채널의 공동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725에서, 릴레이 노드는 제1데이터에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한다. 730에서 릴레이 노드는 제2데이터에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한다. 735에서 릴레이 노드는 프리코딩된 제1데이터와 프리코딩된 제2데이터를 혼합(합성)함으로 제3신호를 생성한다. 740에서 릴레이 노드는 제1 및 제2채널 상에서 제3데이터를 전송(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통신, 송신)한다.
본 발명은 여러 형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나아가,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상에 유형적으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임의의 적절한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기계에 업로드되고 이 기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기계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s),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 입력/출력(I/O: input/output) 인터페이스(들)와 같은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서 구현된다. 컴퓨터 플랫폼은 또한 운영 시스템과 마이크로명령 코드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러 공정과 기능은 운영 시스템을 통해 실행되는 마이크로명령 코드의 일부 또는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부(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나아가,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와 프린팅 디바이스와 같은 여러 다른 주변 디바이스들이 컴퓨터 플랫폼에 연결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시스템 성분 및 방법 단계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므로, 시스템 성분들(또는 공정 단계들) 사이에 실제 연결은 본 발명이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주어진 개시 내용을 통해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이들 및 이와 유사한 구현 또는 구성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로 제1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신호는 제1데이터와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하는 제3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신호는 제1채널의 공동 채널 용량(joint channel capacity)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상기 제1데이터에 적용하고 제2채널의 공동 채널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제2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릴레이 노드에서 생성된 프리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상기 릴레이 노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상기 제1데이터에 적용한 결과와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상기 제2데이터에 적용한 결과는 상기 제3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제거하고 상기 제1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3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제1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를 곱함으로써 생성된 제1결과와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제2 추정된 채널 매트릭스를 곱함으로써 생성된 제2결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결과와 상기 제2결과는 상기 제1트레이닝 시퀀스와 상기 제3신호의 데이터 사이에 포함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빔성형 매트릭스는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상기 데이터의 제1부분에 적용되고 제2빔성형 매트릭스는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상기 데이터의 제2부분에 적용되는 방법.
  4. 전송기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송기는 제1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신호는 제1데이터와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인, 전송기를 위한 수단;
    수신기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하는 제3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신호는 제1채널의 공동 채널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상기 제1데이터에 적용하고 제2채널의 공동 채널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제2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릴레이 노드에서 생성된 프리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상기 릴레이 노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상기 제1데이터에 적용한 결과와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상기 제2데이터에 적용한 결과는 상기 제3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것인, 수신기를 위한 수단; 및
    프로세서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트레이닝 시퀀스를 제거하고 상기 제1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3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인, 프로세서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빔성형 매트릭스는 상기 제1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상기 데이터의 제1부분에 적용되고 제2빔성형 매트릭스는 상기 제2프리코딩 매트릭스와 상기 데이터의 제2부분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167022242A 2010-07-29 2010-07-29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KR101730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43655 WO2012015409A1 (en) 2010-07-29 2010-07-29 A multiple-in-multiple-out network-coded amplify-and-forward relaying scheme for three node bidirectional cooper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631A Division KR101650937B1 (ko) 2010-07-29 2010-07-29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087A KR20160102087A (ko) 2016-08-26
KR101730640B1 true KR101730640B1 (ko) 2017-05-11

Family

ID=437547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631A KR101650937B1 (ko) 2010-07-29 2010-07-29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KR1020167022242A KR101730640B1 (ko) 2010-07-29 2010-07-29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631A KR101650937B1 (ko) 2010-07-29 2010-07-29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014237B2 (ko)
EP (1) EP2599234B1 (ko)
JP (1) JP5971810B2 (ko)
KR (2) KR101650937B1 (ko)
CN (1) CN103039013B (ko)
WO (1) WO2012015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3065B1 (it) 2010-12-01 2013-10-04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signals.
WO2012044969A1 (en) 2010-10-01 2012-04-05 Andrew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signals
US9287964B2 (en) * 2013-03-11 2016-03-15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relay device with bounded delay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of symbols
CN103199959B (zh) * 2013-04-12 2016-08-03 南京邮电大学 一种协作通信中的网络编码方法
CN105723688B (zh) 2013-11-17 2018-09-07 射频数字信号处理公司 用于无线连网的方法和装置
WO2015095844A1 (en) 2013-12-20 2015-06-25 Ping Liang Adaptive precoding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830514B (zh) 2013-12-20 2019-04-26 射频数字信号处理公司 一种用于在频分双工无线网络中信道状态估计的方法及电路
CN107210783B (zh) * 2014-09-29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采用协作中继进行联合mimo传输和压缩来降低干扰的系统和方法
CN104486029B (zh) * 2014-10-31 2018-04-10 北京邮电大学 一种多天线双向中继高分集增益的网络编码传输方法
US9800311B2 (en) * 2014-12-30 2017-10-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eam 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for two-way multi-antenna relay system with physical network coding
WO2016115545A2 (en) * 2015-01-16 2016-07-21 Ping Liang Beamforming in a mu-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relays
US20170078014A1 (en) * 2015-09-15 2017-03-16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Bandwidth efficient cooperative two-way amplify-and- forward relay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6903A1 (en) * 2008-11-28 2010-06-03 Lee Namyoon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via relay having multiple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3744B2 (en) * 2001-06-10 2013-01-29 Aloft Media, Llc Method and system for robust, secure, and high-efficiency voice and packet transmission over ad-hoc, mesh, and MIMO communication networks
SE0403218D0 (sv) * 2004-12-30 2004-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communication-
US7746815B2 (en) * 2005-09-23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forwa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perative relaying in an OFDM network
KR100922960B1 (ko) 2005-12-27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효율증대를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US8543070B2 (en) 2006-04-24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omplexity beam-steered MIMO OFDM system
US20080219251A1 (en) 2007-03-08 2008-09-11 Feng Xue Combining packets in physical layer for two-way relaying
KR101652608B1 (ko) 2007-08-27 2016-08-30 애플 인크. Mimo 기반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EP2207274B1 (en) 2007-11-02 2014-11-19 Fujitsu Limited Network encoding method and network encoding apparatus
US20100278169A1 (en) * 2007-11-13 2010-11-04 Nokia Corporation Bi directional decode and forward relay
US8542760B2 (en) * 2007-11-16 2013-09-24 Lingna Holdings Pte., Llc Full-rate distributed space-time code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s
EP2079209B1 (en) 2008-01-11 2010-03-03 NTT DoCoMo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hannel estimation in two-way relaying networks
WO2009096145A1 (ja) * 2008-01-29 2009-08-06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358807B2 (ja) * 2008-02-26 2013-12-04 横河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
US8275322B2 (en) * 2008-04-29 2012-09-2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Rateless coding for multiuser interference relay channel
US8306095B2 (en) * 2008-04-29 2012-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50251B2 (en) * 2008-08-15 2014-06-10 Sung-Hyuk Shi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etwork coding in 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system
WO2010026287A1 (en) * 2008-09-08 2010-03-11 Nokia Corporation Adaptive transmission modes for transparent relay
EP2180741A1 (en) * 2008-10-27 2010-04-28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deploying a network node
KR101513528B1 (ko) * 2008-12-04 201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송신장치, 및 통신 시스템
CN101800616B (zh) * 2009-02-10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数据中继装置、通信装置和方法
JP5473528B2 (ja) 2009-03-27 2014-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リレー局及び端末
US8750788B2 (en) * 2009-04-03 2014-06-10 Lg Electronics Inc. Multiple data stream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relay system
US8699589B2 (en) * 2009-07-06 2014-04-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ell joint codebook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11046413A2 (ko) * 2009-10-16 2011-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mimo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5551261B2 (ja) * 2009-10-25 2014-07-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中継局のバックホールダウンリンク信号復号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る中継局
US9281889B2 (en) * 2010-02-16 2016-03-08 Lg Electronics Inc. Relay nod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according to link operat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1112017A2 (en) * 2010-03-11 2011-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degradation of radio link qu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lays
US8948196B2 (en) * 2010-05-03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ing antenna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8934557B2 (en) * 2010-06-30 2015-0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tatistical joint precoding in multi-cell, multi-user MIMO
US8913540B2 (en) * 2010-07-13 2014-12-16 Thomson Licensing Triple-play protocol—a media access control layer protocol for transmissions in network-coded three node bidirectional cooperation
US9407344B2 (en) * 2011-10-16 2016-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in a base station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for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6903A1 (en) * 2008-11-28 2010-06-03 Lee Namyoon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via relay having multiple antenn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4237B2 (en) 2015-04-21
EP2599234A1 (en) 2013-06-05
CN103039013A (zh) 2013-04-10
US20130114650A1 (en) 2013-05-09
KR20160102087A (ko) 2016-08-26
WO2012015409A1 (en) 2012-02-02
JP2013536626A (ja) 2013-09-19
CN103039013B (zh) 2015-11-25
EP2599234B1 (en) 2018-03-28
JP5971810B2 (ja) 2016-08-17
US20150109992A1 (en) 2015-04-23
US9577722B2 (en) 2017-02-21
KR101650937B1 (ko) 2016-08-24
KR20130132733A (ko)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640B1 (ko) 3노드 양방향 협력을 위한 다중 입력-다중 출력 네트워크 코딩된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구조
EP29234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schemes for radio access virtualization
US8937899B2 (en) Amplify-and-forward relaying in communication systems
WO201805678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87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MU-MIMO transmission schemes based on outd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KR101081317B1 (ko) 릴레이 기반의 df 협력 무선 네트워크에서 분산형 μιμο 채널 프리코딩 및 디코딩 방법
US20120250606A1 (en) Enabling simultaneous transmissions in wireless network
Amah et al. Beamforming-based physical layer network coding for non-regenerative multi-way relaying
WO201814366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59666B1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코드북 기반의 협력적빔포밍 장치 및 방법
Sun et al. Degrees of freedom of asymmetrical multi-way relay networks
CN107959520B (zh) 一种全双工基站蜂窝网络的时隙干扰对齐方法
Cavalcante et al. Tensor-based approach to channel estimation in amplify-and-forward MIMO relaying systems
CN101785211A (zh) 用于分布式预编码的方法及装置
Wu et al. HybridCast: Joint multicast-unicast design for multiuser MIMO networks
US93253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lay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relay nodes
CN104967468B (zh) 利用中继节点的双向通信系统的操作方法和设备
WO2012113185A1 (zh) 一种发射信号预处理发送方法及装置
Fan et al. On the diversity-multiplexing tradeoff for multi-antenna multi-relay channels
Shin et al. Relay-aided space-time beamforming for interference networks with partial channel knowledge
US20190305832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ransmission protocol for use with same
JP575351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