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973B1 -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973B1
KR101729973B1 KR1020160116891A KR20160116891A KR101729973B1 KR 101729973 B1 KR101729973 B1 KR 101729973B1 KR 1020160116891 A KR1020160116891 A KR 1020160116891A KR 20160116891 A KR20160116891 A KR 20160116891A KR 101729973 B1 KR101729973 B1 KR 10172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nsportation
prescription
terminal
monitor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호
Original Assignee
엠엘씨월드카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엘씨월드카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엘씨월드카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해 운송중인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운송번호, 화물사진, 상태정보, 및 운송구간을 포함한 화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화물운송을 관리하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안내 콘텐츠를 표시하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와, 상기 운송번호에 할당된 화물의 비상대처 메뉴얼을 화물의 이상상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중계 전송하며, 상기 문제가 발생된 화물에 대해 처방을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중계 전송하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화물 상태 정보와 비상대처 메뉴얼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받은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ocean air freights}
본 발명은 해상 화물 또는 항공 화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해 운반하는 화물에 문제 발생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프라인에서 선박 또는 항공기를 이용한 화물의 운송은 화주와 선사가 직접 거래하기 어려우므로, 통상 포워더(운송주선인, Freight Forwarder 또는N.V.O.C.C)를 통해 거래된다. 화주측면에서는 복잡한 국제화물유통관련 업무(수출업자인 경우), 화물 수령에 관련된 일체의 서류 작성 및 절차(수입업자인 경우)를 포워더가 대신하므로, 이와 관련된 인원,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어 본업인 생산 및 판매에 전념하거나 화물 유통 및 수령에 관한 조언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포워더는 다수의 송화인으로부터 위탁받은 선복교섭권을 활용하여 대형화된 화물양을 배경으로 운송인으로부터 화주에게 보다 유리한 레이트를 유도함으로써, "규모의 경제"의 이익을 위탁자와 함께 누릴 수 있다. 또한 수출입업자가 자신의 활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일관 수송 서비스를 받아들이기 위한 당해 상품의 물류비용부담력 또는 수급의 완급에 따라 최적수송시스템의 선택이 가능하다. 한편, 선사에게도 다수의 일반 화주를 직접 대하는 것보다 몇몇의 포워더를 상대함으로써 영업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송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에 포워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에 의하면 운송중인 해상 화물 또는 항공 화물의 이상 상태 등을 정확하게 확인할 방안이 미흡하다. 또한 운송중인 화물이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이상 상태 발생 시에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운송중에 물건이 파손되었을 시에 더 이상 파손되지 않고 운송 완료되도록 하는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된다. 나아가 희귀종의 국제보호동물을 운송 시에 동물의 거동이 이상하거나 아픈 등의 문제가 발생시에, 담당 수의사가 없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은, 선사나 운송사 등에 각각 산재되어 자사의 직원들만 사용하던 폐쇄된 프레임환경 하에서 구동되고 있어, 문제 발생시에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고, 전체적으로는 운송 관리 개발/운영/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단편적인 운송 서비스 제공으로 생산성이 저하되어 비효율적이였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1999-7003134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송중인 해상 화물 또는 항공 화물이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이상 상태 발생 시에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해 운송중인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운송번호, 화물사진, 상태정보, 및 운송구간을 포함한 화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화물운송을 관리하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안내 콘텐츠를 표시하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와, 상기 운송번호에 할당된 화물의 비상대처 메뉴얼을 화물의 이상상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중계 전송하며, 상기 문제가 발생된 화물에 대해 처방을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중계 전송하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화물 상태 정보와 비상대처 메뉴얼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받은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를 저장한 화물 상태 정보 저장부; 화물의 운송번호별로 화물 상태에 따라서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가 포함된 비상대처 메뉴얼이 저장된 비상대처 메뉴얼 저장부; 운송중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화물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문제 화물 열람 버튼이 포함된 관리자 메인 화면창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자 메인 화면창 제공부; 상기 문제 화물 열람 버튼을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리스트인 문제 화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 상기 문제 화물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물을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화물의 운송번호에 할당된 비상대처 메뉴얼을 추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 및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상태 정보는, 문제발생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문제발생등급을 포함하며, 상기 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는, 문제발생등급이 높은 화물의 순서대로 상위에 배치하여 정렬한 문제 화물 리스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는,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최상위 문제발생등급을 가지는 화물이 있는 경우, 최상위 문제발생등급을 가지는 화물에 할당된 비상대처 메뉴얼을 긴급처방 메뉴얼로서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상 대처 메뉴얼 저장부는, 각 비상대처 메뉴얼내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기상정보마다 각각 다르게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는,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운송구간의 기상정보를 기상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기상정보에 부합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처방 안내 콘텐츠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는, 각 운송구간별로 안내 메시지가 할당된 안내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는,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운송구간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운송구간에 할당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안내 메시지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는, 운송중인 화물이 위치한 운송구간의 변경이 있는 경우 운송구간을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는, 운송구간별로 화물의 이상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체크 항목을 할당하여 저장한 체크 항목 저장부; 및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송구간에 할당된 체크 항목을 추출하여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체크 항목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하여 화물이 운송중에 각 운송 구간별로 화물의 이상상태의 항목을 체크함으로써, 운송중인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또한 운송 구간별로 체크 포인트를 설정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업무지연 및 문제발생을 조기에 감지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운송중인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담당자 단말기의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가 발생된 화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의 화물 상태 정보 입력 화면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메인 화면창이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 화물 리스트가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처 메뉴얼이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담당자 단말기의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ISSUE)가 발생된 화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의 화물 상태 정보 입력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하여 화물이 운송중에 각 운송구간별로 할당된 화물의 이상 상태의 항목을 체크하여, 운송중인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운송 구간별로 체크 포인트를 설정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업무지연 및 문제발생을 조기에 감지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400),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400)은,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과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간에, 또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와 관리자 단말기(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4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4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하여 운송되는 화물의 운송구간별로 화물의 이상상태를 체크하여,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이를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보고하는 운송 담당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위성폰, 선박 무전 통신 단말기, 항공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문제가 된 화물에 대한 대처법을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이를 열람한 운송 담당자가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해 운송중인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운송번호, 화물사진, 상태정보, 및 운송구간을 포함한 화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화물운송을 관리하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그인 과정을 거쳐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에 로그인한 후, 화물의 운송번호, 화물사진, 상태정보, 및 운송구간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물 상태 정보를 운송 담당자로부터 입력받아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운송중인 화물인 골동품이 파손된 경우 파손된 골동품 화물의 사진이 실시간으로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또한 운송중인 화물인 동물이 상처를 입은 경우 동물의 상처부위의 사진이 실시간으로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처방 안내 콘텐츠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운송중인 화물인 골동품이 파손된 경우, 골동품의 파손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송 담당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되어 화물 파손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운송중인 화물인 동물이 상처를 입은 경우, 동물의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치료방법과 동물이 놀라지 않도록 하는 동물 주변 온도 환경을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송 담당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운송할 수 있게 된다.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IMS;Irregularity Monitoring System server)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IMS;Irregularity Monitoring System server)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부터 각 운송구간별로 운송중인 화물의 문제 발생 여부를 보고받고, 이에 대한 대처 메뉴얼들을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이 중에서 어느 하나 선택된 대처 메뉴얼을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와, 운송번호에 할당된 화물의 비상대처 메뉴얼을 화물의 이상상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중계 전송한다. 그리고 문제가 발생된 화물에 대해 처방을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여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 중계 전송한다. 이러한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와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화물의 문제 발생여부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중계받아, 문제된 화물이 더 나빠지지 않도록 처방할 수 있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모니터링 서버를 거쳐서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관리자 단말기(300)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화물 상태 정보와 비상대처 메뉴얼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화물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화물의 상태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비상대처 메뉴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선택받은 처방 안내 콘텐츠를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화물의 파손 정도를 화물 상태 정보내의 사진 등을 참고하여 파악한 후,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일일이 처방 안내 콘텐츠를 입력하는 것은 번거롭기 때문에, 본 발명은 문제 발생된 화물에 대처할 수 있는 비상대처 메뉴얼을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관리자는 이러한 비상대처 메뉴얼 내의 복수의 처방 안내 콘텐츠 중에서 적합한 처방 안내 콘텐츠만을 선택하도록 구현함으로서, 관리자의 업무 부하를 최소가 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메인 화면창이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 화물 리스트가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처 메뉴얼이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설명에서, 운송 구간이라 함은, 화물이 운송될 때 운송 거점 중간 도시와 같이 운송중에 임시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지역적인 위치 구간이라 할 것이다.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상태 정보 저장부(210), 비상대처 메뉴얼 저장부(220), 관리자 메인 화면창 제공부(230), 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240),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250), 및 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안내 메시지 저장부(270), 체크 항목 저장부(280), 및 체크 항목 전송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 상태 정보 저장부(210)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운송번호, 화물사진, 상태정보, 및 운송구간을 포함한 화물 상태 정보를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메모리이다.
비상대처 메뉴얼 저장부(220)는, 화물의 운송번호별로 화물 상태에 따라서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가 포함된 비상대처 메뉴얼이 저장된 메모리이다.
여기서 비상대처 메뉴얼은, 운송중인 화물의 문제 상태에 따른 처방 안내 콘텐츠가 저장된 메뉴얼로서, 예컨대, 제1화물의 비상대처 메뉴얼은, 제1화물의 약한단계 파손인 하위단계 파손에 대처할 수 있는 제1처방 안내 콘텐츠, 제1화물의 중간단계 파손인 중간단계 파손에 할당된 제2처방 안내 콘텐츠, 제1화물의 가장 많은 파손을 나타내는 상위단계 파손인 상위단계 파손에 할당된 제3처방 안내 콘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각 화물의 비상대처 메뉴얼은, 화물의 운송 등록시에 함께 등록되는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비상대처 메뉴얼 내의 각 처방 안내 콘텐츠는, 텍스트 문구,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과 같이 그 콘텐츠 형식에 제한이 없을 것이다.
참고로 화물 상태 저장부, 및 비상대처 메뉴얼 저장부(2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관리자 메인 화면창 제공부(230)는, 관리자의 로그인을 거친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송중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화물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문제 화물 열람 버튼(56)이 포함된 관리자 메인 화면창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자 메인 화면창은, 워크 프로세스 열람 버튼(51), 지연 리스트 열람 버튼(52), 관리대기 리스트 열람 버튼(53), 메뉴얼 열람 버튼(54), 관리자 환경설정 버튼(55), 및 문제 화물 열람 버튼(56)을 포함할 수 있다.
워크 프로세스 열람 버튼(51)은, 화물의 각 구간별 배송 현황인 워크 프로세스 리스트(WORK PROCESS LIST)를 열람할 수 있는 버튼이다. 워크 프로세스 열람 버튼(51)이 클릭되면 업무 진행 상황을 각 구간별로 분류하여 표시되어 이어 업무 처리 상황 체크에 유용하다.
지연 리스트 열람 버튼(52)은, 관리해야 할 관리 항목들 중에서 처리가 지연된 지연 리스트(DELAY LIST)를 열람할 수 있는 버튼이다. 지연된 건수는 지연 리스트 표시 필드(58)에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관리대기 리스트 열람 버튼(53)은, 관리자별로 기준 처리 항목 중에서 관리처리 대기중인 항목의 리스트(To-Do LIST)를 열람할 수 있는 버튼이다. 관리처리 대기중인 건수는 관리대기 표시 필드(57)에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메뉴얼 열람 버튼(54)은, 운송중인 화물별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비상대처 메뉴얼을 열람하고 검색할 수 있는 버튼이다.
관리자 환경설정 버튼(55)은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환경값들을 설정받는 버튼이다.
문제 화물 열람 버튼(56)은, 운송중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화물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버튼이다.
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240)는, 문제 화물 열람 버튼(56)을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리스트인 문제 화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각 운송구간에서 문제가 된 화물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것이다. 화물의 문제가 된 구간에 "ERROR"버튼 형태로 표시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 화물 리스트에는, 수신한 문제 화물의 리스트이외에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에게 전송한 전송 이력까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운송 담당자로부터 문제가 된 화물의 문제발생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문제발생등급을 입력받아 화물 상태 정보에 포함시켜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240)는, 문제발생등급이 높은 화물의 순서대로 상위에 배치하여 정렬한 문제 화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발생등급이, 화물의 파손 단계에 따라서 가장 약한 등급인 1단계 파손등급, 중간단계 파손 등급인 2단계 파손등급, 가장 심한 파손 등급인 3단계 파손 등급으로 구별된다고 할 때, 가장 높은 문제발생등급인 1단계 파손등급을 가지는 화물의 리스트를 최상위에 배치하고, 2단계 파손등급의 화물, 3단계 파손등급의 화물 순서대로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이렇게 문제발생의 정도가 심한 화물을 상위에 배치함으로써, 관리자의 눈에 바로 띄어서 즉시 대처 지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비상 대처 메뉴얼 제공부는, 문제 화물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물을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화물의 운송번호에 할당된 비상대처 메뉴얼을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문제 화물 리스트 중에서 "KPD121577"의 운송번호(Invoice No.)를 가지는 문제 화물의 운송 1구간이 선택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KPD121577"의 문제 화물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비상대처 메뉴얼을 추출하여, 해당 화물의 화물 상태 정보와 함께 제공해줄 수 있다. 비상대처 메뉴얼에는 다양한 처방 안내 콘텐츠들이 예시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따라서 관리자는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화물 상태 정보를 열람하고, 그에 적합한 처방 안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처방 안내 콘텐츠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된다.
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260)는, 상기에서와 같이 비상대처 메뉴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처방 안내 콘텐츠를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수신한 처방 안내 콘텐츠를 표시하게 되고, 운송 담당자는 표시된 처방 안내 콘텐츠를 열람하고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하여 화물의 파손 등이 더 이상 진전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조치할 수 있다.
한편, 문화재가 파손되었거나, 국제보호동물이 아픈 경우 등과 같이 긴급한 상황의 경우, 이를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에 보고하고 그 후에 관리자로부터 처방 안내 콘텐츠의 선택이 있을 때까지 기다리면,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우선적으로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관리자 단말기(300)의 대처 처방 이전에 자체적으로 적절한 처방 안내를 먼저 우선적으로 제공해주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250)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최상위 문제발생등급을 가지는 화물이 있는 경우, 최상위 문제발생등급을 가지는 화물에 할당된 비상대처 메뉴얼을 긴급처방 메뉴얼로서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수신한 비상대처 메뉴얼을 표시하게 되고, 이러한 비상대처 메뉴얼에는 각종 처방 안내 콘텐츠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운송 담당자는 이러한 처방 안내 콘텐츠들을 열람하여 적절한 처방 안내 콘텐츠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조치를 직접 우선적으로 취할 수 있다.
한편, 해상이나 항공 운송 중에 각 운송구간의 날씨 등과 같은 기상상황에 따라서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대처 방식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습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운송구간에서의 대처법과 습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운송구간에서의 대처법이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비상 대처 메뉴얼 저장부는, 각 비상대처 메뉴얼내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기상정보마다 각각 다르게 할당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250)는,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운송구간의 기상정보를 기상관제센터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기상정보에 부합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처방 안내 콘텐츠로서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운송구간의 기상정보에 따른 정확한 처방 안내가 가능해져, 화물의 파손 진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운송중인 화물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화물이 위치하는 운송 구간이 바뀌게 되면 유의해야할 주의점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화물의 운송에 의하여 운송 구간이 바뀌게 되면, 해당 운송 구간에 부합하는 주의점을 전달해줄 필요가 있다. 예컨대, 운송 중에 건조 지역에서 다습 지역으로 운송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화물의 보관 방법이 달라질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운송 담당자에게 즉각적으로 전달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는, 각 운송구간별로 안내 메시지가 할당된 안내 메시지 저장부(270);를 포함하며, 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260)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운송구간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운송구간에 할당된 안내 메시지(화물 보관법 등)를 안내 메시지 저장부(270)로부터 추출하여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운송 구간마다 화물의 이상 여부를 체크해야 할 항목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건조지역의 운송 구간에서는 화물의 표면도를 체크해야 하며, 다습지역의 운송 구간에서는 화물의 외곽 변형도를 체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화물의 이상 여부를 체크(문제 발생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화물 운송 구간별로 각각 다른 체크 항목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운송 담당자에게 그대 그때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는, 운송중인 화물이 위치한 운송구간의 변경이 있는 경우 운송구간을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한다.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는, 운송구간별로 화물의 이상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체크 항목을 할당하여 저장한 체크 항목 저장부(280)와,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운송구간에 할당된 체크 항목을 추출하여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체크 항목 전송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 모니터링 서버(200)는, 화물의 운송 구간이 변경될 때마다 화물의 문제 여부를 체크할 체크 항목을 그때 그때마다 실시간으로 운송 담당자 단말기(100)에 전송해주어, 정확한 체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운송 담당자 단말기
200:화물 모니터링 서버
210:화물 상태 정보 저장부
220:비상대처 메뉴얼 저장부
230:관리자 메인 화면창 제공부
240: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
250: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
260: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

Claims (7)

  1. 해상 또는 항공을 통해 운송중인 화물에 문제가 발생시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운송번호, 화물사진, 상태정보, 및 운송구간을 포함한 화물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화물운송을 관리하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안내 콘텐츠를 표시하는 운송 담당자 단말기;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와, 상기 운송번호에 할당된 화물의 비상대처 메뉴얼을 화물의 이상상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중계 전송하며, 상기 문제가 발생된 화물에 대해 처방을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중계 전송하는 화물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화물 상태 정보와 비상대처 메뉴얼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받은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를 저장한 화물 상태 정보 저장부;
    화물의 운송번호별로 화물 상태에 따라서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가 포함된 비상대처 메뉴얼이 저장된 비상대처 메뉴얼 저장부;
    운송중에 문제 발생된 화물의 화물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문제 화물 열람 버튼이 포함된 관리자 메인 화면창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자 메인 화면창 제공부;
    상기 문제 화물 열람 버튼을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리스트인 문제 화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
    상기 문제 화물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물을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화물의 운송번호에 할당된 비상대처 메뉴얼을 추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 및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처방 안내 콘텐츠를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대처 메뉴얼 저장부는,
    각 비상대처 메뉴얼 내의 처방 안내 콘텐츠를 기상정보마다 각각 다르게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는, 문제가 발생된 화물의 운송구간의 기상정보를 기상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기상정보에 부합하는 처방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처방 안내 콘텐츠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는,
    각 운송구간별로 안내 메시지가 할당된 안내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방 안내 콘텐츠 전송부는,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운송구간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운송구간에 할당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안내 메시지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물 상태 정보는,
    문제발생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문제발생등급을 포함하며,
    상기 문제 화물 리스트 제공부는, 문제발생등급이 높은 화물의 순서대로 상위에 배치하여 정렬한 문제 화물 리스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대처 메뉴얼 제공부는,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물 상태 정보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최상위 문제발생등급을 가지는 화물이 있는 경우, 최상위 문제발생등급을 가지는 화물에 할당된 비상대처 메뉴얼을 긴급처방 메뉴얼로서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는, 운송중인 화물이 위치한 운송구간의 변경이 있는 경우 운송구간을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화물 모니터링 서버는,
    운송구간별로 화물의 이상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 체크 항목을 할당하여 저장한 체크 항목 저장부; 및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송구간에 할당된 체크 항목을 추출하여 상기 운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체크 항목 전송부;
    를 포함하는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KR1020160116891A 2016-09-10 2016-09-10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KR10172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891A KR101729973B1 (ko) 2016-09-10 2016-09-10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891A KR101729973B1 (ko) 2016-09-10 2016-09-10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973B1 true KR101729973B1 (ko) 2017-04-26

Family

ID=5870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891A KR101729973B1 (ko) 2016-09-10 2016-09-10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273B1 (ko) 2021-08-12 2022-05-02 (주)비엔에스로지스틱 화물 운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187651A (zh) * 2022-12-14 2023-05-30 深圳技术大学 一种到港船舶上货物状态的监装报告生成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273B1 (ko) 2021-08-12 2022-05-02 (주)비엔에스로지스틱 화물 운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187651A (zh) * 2022-12-14 2023-05-30 深圳技术大学 一种到港船舶上货物状态的监装报告生成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US11227244B2 (en) Flexible store fulfillment
KR102309820B1 (ko)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동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1566679A (zh) 用于实时和在线货运管理的方法、系统、设备和程序
CN108734231B (zh) 用于报关信息与货物监管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16256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ight delivery and pick-up
KR102378606B1 (ko) 전자적 재고 추적 시스템 및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80150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r Delivery of Retail Products
KR102410341B1 (ko) 중앙 집중식 물류 모니터링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105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etailed delivery tracking
KR102354731B1 (ko) 온라인 플랫폼 상의 서비스와 모듈을 관리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US10332058B1 (en) Real time communication for carrier operations
US989237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auditing shipment items
US20160104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anagment of object transmission
KR20120095564A (ko) 배송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29973B1 (ko) 해상 항공 화물 관리 시스템
KR20220110455A (ko) 모듈 구현을 위한 데이터 생성 및 수정을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1061A (ko) 풀필먼트 센터 우선순위 값에 기초한 아웃바운드 예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9946A (ko) 개선된 모바일 작업자 추적을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JP2021513131A (ja) 分割出荷コミュニケーション処理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装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05636B1 (ko) 주유소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767185B1 (ko) 실시간 자산관리서버를 구비하는 통합형 복화운송시스템
Kumar et al. Risk assessment for the security of inbound containers at US ports: a 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approach
KR102381457B1 (ko) 모듈식의 플랫폼에서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0872A (ko) 레이턴시 메트릭을 계산하고 사용자 실험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