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246B1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246B1
KR101729246B1 KR1020150097644A KR20150097644A KR101729246B1 KR 101729246 B1 KR101729246 B1 KR 101729246B1 KR 1020150097644 A KR1020150097644 A KR 1020150097644A KR 20150097644 A KR20150097644 A KR 20150097644A KR 101729246 B1 KR101729246 B1 KR 10172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ing service
user terminal
video
service server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410A (ko
Inventor
이길수
허봉규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6000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IDEO AND VOICE SHARING SERVICES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을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 간에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활용 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단말간의 카메라 영상이나 음성을 공유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방식의 2개의 단말간의 카메라 공유를 위한 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식은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음성 통화 중에 예컨대 발신 단말에서 카메라를 켜서 착신 단말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착신 단말에서 발신자의 영상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계속 단말을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업무용으로 다른 일을 동시에 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예컨대, 공사 현장이나 소방, 군경, 조선소, 해양 구조 작업 등과 같이 계속 손으로 업무를 하면서 현장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다른 단말로 전송하여 공유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을 단순히 전송만할 수 있을 뿐, 다수의 사용자들간에 공유하는 방법도 없고 다수의 참여자들간에 음성 컨퍼런싱을 하면서 영상을 공유할 수는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즉, 현장에서 발생한 영상에 대해 다수의 전문가 또는 협업이 필요한 사람들간에 동시에 영상 공유를 하면서 음성회의를 하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 간에 영상 및 음성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손으로 작업을 수행하면서 영상 및 음성을 공유할 수 있고 원격지의 다른 단말들이 이를 공유하고 필요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참여자간에 동일한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면서 참여자간의 음성을 믹싱하여 제공하도록 하면서 상호 대화를 하면서 협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제1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들과의 연동을 제어하고, 가입자 관리 및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단말기와의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미디어 세션을 관리하는 미디어 세션 관리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영상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릴레이(relay)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릴레이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모든 단말기 사이에서 컨퍼런스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믹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간에 지원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의 코덱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미디어 트랜스코더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녹화/녹음 처리부; 및 가입자 데이터, 참여 방 관리, 운영관리 데이터, 로그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영상 신호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직접 전송하고, 음성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 간에 영상 및 음성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손으로 작업을 수행하면서 영상 및 음성을 공유할 수 있고 원격지의 다른 단말들이 이를 공유하고 필요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참여자간에 동일한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면서 참여자간의 음성을 믹싱하여 제공하도록 하면서 상호 대화를 하면서 협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현장, 조선소 등과 같이 손으로 작업을 하면서 원격지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실시간으로 영상 및 음성공유를 통해 협업을 할 수 있고 빠른 해결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전화 및 출장방문 등으로 통해 해결했던 문제들을 실시간으로 영상 및 음성공유를 통해 즉시 해결을 할 수 있으며, 소방관, 군경과 같이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지휘본부로 전달하고 지휘본부에서 지시 또는 지령을 내려서 빠른 의사 결정 및 조치 수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방식의 2개의 단말간의 카메라 공유를 위한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 제1 사용자 단말기(20), 제2 사용자 단말기(3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와 결합한다.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30)는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서 종래 알려져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컴퓨터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와 결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 즉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의미하며, 제2 사용자 단말기(30)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와 결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이동 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도 2에서는 하나만을 나타내었으나 2개 이상의 복수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40)는, 예컨대 웨어러블 카메라, 이어셋, 헤드셋, 웨어러블 글라스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영상 또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는 종래 알려져 있는 디바이스를 말한다. 즉,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4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영상이나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예컨대 작업장 같은 곳에서 사용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면서 영상과 음성을 획득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영상 및 음성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서 영상을 획득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와 음성을 획득하는 이어셋(earset)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4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와 결합하여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4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WiFi), 통신망(LTE/3G/4G/5G) 등과 같은 종래 알려져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와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30)와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와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기(30)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제1 사용자 단말기(20)와 결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 전송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40)의 제어 신호는 예컨대 화면 확대/축소, 영상 녹화, 음성 녹음 등과 같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기(30)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단말 인터페이스부(11), 미디어 세션 관리부(12), 영상 릴레이 관리부(13), 음성 믹싱부(14),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5), 녹화/녹음 처리부(16) 및 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한다.
단말 인터페이스부(11)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20,30)들과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가입자(공유자, 참여자)를 관리하고, 또한 서비스 제공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처리를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의 전체적인 시나리오와 로직을 저장하며 이를 통해 단말기(20,30)과의 연동을 수행한다.
미디어 세션 관리부(12)는 사용자 단말기(20,30)와의 미디어 세션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30)간에 송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해 관계되는 사용자 단말기(20,30)들에 대한 예컨대 RTP/TCP, RTP/UDP 등과 같은 미디어 세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릴레이 관리부(13)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영상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는 릴레이(relay)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음성 믹싱부(14)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모든 단말기 사이에서 컨퍼런스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미디어 트랜스코더부(15)는 단말기(20,30) 간에 지원하는 영상 혹은 음성 코덱이 상이할 경우 실시간 코덱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상이한 기종의 단말간에도 영상/음성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녹화/녹음 처리부(16)는 단말기(20,30)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수단이다.
데이터베이스(17)는 가입자 데이터 저장, 참여 방 관리, 운영관리 데이터, 로그 관리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수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웨어러블 디바이스(40)와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기(20)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고 공유 서비스가 준비되었음을 알린다(S100).
한편, 제2 사용자 단말기 중 첫번째 단말기인 제2-1 사용자 단말기(31)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S110), 공유 서비스에 참여 가능한 리스트를 조회하여 어떤 단말기와 공유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인지를 선택하여 참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20).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참여 요청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참여자가 입장하였음을 알리고(S130)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이에 따라 공유 서비스를 시작할 것을 알리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도 제2-1 사용자 단말기(31)로 공유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S140,S150).
그러면,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160,S170).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수신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2-1 사용자 단말기(31)로 전송한다(S180).
제2-1 사용자 단말기(31)의 사용자는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모니터링하다가 예컨대 영상을 확대해 보고 싶은 경우 영상 확대를 위한 제어 신호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190). 제어 신호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 전송된다(S200,S210).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40)는 제어 신호 즉 영상 확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S220), 확대된 영상 신호를 다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20)와 제2-1 사용자 단말기(31)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부터의 영상, 음성 신호를 공유하는 도중 또 다른 제2 사용자 단말기인 제2-2 사용자 단말기(32)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S220), 참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30).
이후,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참여 요청이 있음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알리고,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2-2 사용자 단말기(32)로 전송한다(S250,S260). 이 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영상 및 음성 신호는 제2-1 사용자 단말기(31)로도 전송되고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40)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 신호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를 통해 제2-1 및 제2-1 사용자 단말기(31,32)들에게 함께 공유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1 사용자 단말기(32) 사용자가 예컨대 영상 녹화 신호를 제어 신호로서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면(S270),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이에 따라 영상 녹화를 시작한다(S29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40),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기(20,30)간의 신호 전송 방법은 다음과 같이 4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첫번째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40) 중에서 웨어러블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신호는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또는 LTE/3G/4G/5G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이어셋을 통해 음성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블루투스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이 때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이어셋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동통신망과 VoLTE 혹은 3G/4G/5G와 같은 기존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고, 웨어러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채널 혹은 무선 랜(WiFi) 즉, 데이터패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에게 마찬가지 방식으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음성 신호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30) 모두의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자간 컨퍼런스(회의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두번째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40)와 제1 사용자 단말기(20)와의 영상 및 음성 신호는 첫번째 방법과 동일하되, 사용자 단말기(20,30)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간의 영상 및 음성 신호 전송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웨어러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와 이어셋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 모두를 이동통신망의 데이터채널 혹은 무선랜(WiFi)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같은 방식으로 제2 사용자 단말기(30)에게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도, 음성 신호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30) 모두의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자간 컨퍼런스(회의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세번째 방법은,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영상과 음성 신호를 동시에 획득하는 방식이다. 즉,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웨어러블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동시에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또는 LTE/3G/4G/5G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이동통신망의 데이터채널 혹은 무선랜(WiFi)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같은 방식으로 제2 사용자 단말기(30)에게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도, 음성 신호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30) 모두의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자간 컨퍼런스(회의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네번째 방법은, 웨어러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신호는 직접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로 전송되도록 하고, 이어셋에 의해 획득되는 음성 신호는 블루투스로 제1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때 제1 사용자 단말기(20)는 이어셋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이동통신망과 VoLTE 혹은 3G/5G로 기존 전화망을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10)는 음성 신호는 기존 전화망(VoLTE 혹은 3G, 5G)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30)로 전달하고 영상 신호는 이동통신망의 데이터채널 혹은 WiFi와 연동하여 전달한다. 이 경우에도, 음성 신호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30) 모두의 음성 신호를 믹싱하여 다자간 컨퍼런스(회의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멀티미디어 공유 서버
20...제1 사용자 단말기
30...제2 사용자 단말기
40...웨어러블 디바이스

Claims (7)

  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제2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든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제1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들과의 연동을 제어하고, 가입자 관리 및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단말기와의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미디어 세션을 관리하는 미디어 세션 관리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영상 신호를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든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릴레이(relay)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릴레이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모든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컨퍼런스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믹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간에 지원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의 코덱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미디어 트랜스코더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녹화/녹음 처리부; 및
    가입자 데이터, 참여 방 관리, 운영관리 데이터, 로그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든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든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든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영상 신호를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직접 전송하고, 음성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비스 서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든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모든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097644A 2014-07-11 2015-07-09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29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84 2014-07-11
KR20140087584 201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410A KR20160007410A (ko) 2016-01-20
KR101729246B1 true KR101729246B1 (ko) 2017-04-21

Family

ID=5530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644A KR101729246B1 (ko) 2014-07-11 2015-07-09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725A (ko) 2019-12-02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호 녹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825252A (zh) * 2021-08-25 2021-12-2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视频95598电力客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410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997B2 (en) Virtual presence via mobile
US8351589B2 (en) Spatial audio for audio conferencing
EP2761809B1 (en) Method, endpoint,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video conference
US9094524B2 (en) Enhancing conferencing user experience via components
US20150097922A1 (en) System for enabling communications and conferencing between dissimilar computing devices including mobile computing devices
JP6815654B2 (ja)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2991325A1 (en) Remote conference realizing method and apparatus
US9516476B2 (en) Teleconferencing system, method of communication,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aster communication device
JPWO2008105429A1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970651B2 (en) Integrating audio and video conferencing capabilities
US20170048283A1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089541B2 (en)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with respect to multiple transport media
CN113766259A (zh) 一种信息同步系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72924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및 음성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2894825B1 (en) Conferencing system and conferencing method
KR102056807B1 (ko) 원격 화상 회의 시스템
US20210398537A1 (en) Transcription of communications
JP2005260348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US20090111444A1 (en) Sound in a conference communication session
JP2005341202A (ja) 携帯端末装置、通信切換プログラム、通信切換方法、及びテレビ会議システム
US9071681B1 (en) Inbound telephony orchestrator for hangout-based contact center platform
US11444821B2 (en) Method for conducting an audio and/or video conference
CN106657533B (zh) 通话处理方法及装置
JP201603960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20156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a telecon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