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960B1 - 스마트 자 - Google Patents

스마트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960B1
KR101728960B1 KR1020150135450A KR20150135450A KR101728960B1 KR 101728960 B1 KR101728960 B1 KR 101728960B1 KR 1020150135450 A KR1020150135450 A KR 1020150135450A KR 20150135450 A KR20150135450 A KR 20150135450A KR 101728960 B1 KR101728960 B1 KR 10172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smart
coupled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370A (ko
Inventor
임승민
Original Assignee
임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민 filed Critical 임승민
Priority to KR102015013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9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2Measuring whe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04M1/7252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대상체의 표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자{SMART TAPE MEASURE}
본 발명은 눈금 없이 스마트폰의 앱과 연동되어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는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주머니에 넣어 가볍게 휴대하고 다니기에 어려움이 있어 실생활, 특히 실외에서 길이를 측정해야 할 일이 있을 때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기존의 자는 측정된 수치를 일일이 기억해야 하거나 메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간혹 잘못된 수치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한 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보편화된 최근의 분위기를 감안하여 스마트폰을 활용해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2406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날로그적인 측정 방법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여 측정하는 느낌을 살림과 동시에 휴대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스마트 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대상체의 표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몸체에 접이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단자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근접한 단말기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인접한 대상체를 인식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대상체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이동하는 거리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대상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대상체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 소자로 입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단자가 수납되는 수납홈과, 상기 결합되는 이동단말기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이루고, 회전 시 상기 수납홈을 덮거나 개방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단자는 이동단말기의 오디오 포트에 결합되는 오디오 단자이며, 상기 오디오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스마트 자가 이동단말기에 연결되는 단계와, (b) 이동단말기로부터 스마트 자로 활성화 명령이 전달되는 단계와, (c) 스마트 자의 롤러가 대상체에 접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대응되는 측정값이 이동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d) 상기 스마트 자가 이동단말기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측정값이 이동단말기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를 이용한 대상체의 길이 측정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에 의하면 소형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자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종래의 자에 비해 가볍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에 의하면 측정된 길이가 스마트폰에 바로 입력이 되므로 측정된 수치를 일일이 기억하거나 메모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에 의하면 롤러 형태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물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체 표면의 길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 시스템의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스마트 자의 평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스마트 자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의 접촉면을 바라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를 이용한 대상체의 길이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스마트 자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자 시스템은 이동단말기와 스마트 자로 구성된다.
이동단말기(100)는 통신부(120), 제어부(140), 입력부, 출력부, 인터페이스부, 전원공급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스마트 자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입력부, 인터페이스부, 통신부 등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여 스마트 자가 측정한 대상체의 길이를 계산한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60),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자(200)는 근거리 통신부(220)와, 제어부(240)와, 연결부(260)와, 센싱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스마트 자(200)와 다른 장치 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20)에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스마트 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상황에 따라 근거리 통신부(220), 연결부(260), 센싱부(280) 등의 구동을 제어하며 이동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스마트 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연결부(260)는 몸체의 일면에서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단자(262)를 포함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연결단자(262)는 힌지 방식으로 구성되어 회전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몸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280)는 스마트 자를 길이 측정, 스마트 자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 지문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마트 자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0)에 장착된 스마트 자(200)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0)에 장착된 스마트 자(2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스마트 자(200)는 이동단말기(100)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일면은 이동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가 형성된 측면일 수 있다.
스마트 자(200)의 연결단자(262)는 이동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스마트 자(200)와 이동단말기(100)가 일체로 이동하며 대상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연결단자(262)는 오디오 I/O 포트에 연결되는 오디오 단자일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마트 자(200)의 상면에는 스마트 자(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버튼(201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270) 및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스위치(29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자(200)의 일면 또는 일 모서리에는 롤러(230)가 장착될 수 있다.
롤러(230)는 구 또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자(200)의 제어부(240)는 롤러(230)의 회전에 대응하여 대상체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은 스마트 자(200)의 제어부(240) 또는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1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200)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자(200)의 몸체는 상부 하우징(201)과 하부 하우징(202)이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01)에는 버튼(201a)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201a)은 기판(210)에 형성된 전원 스위치(211)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버튼(201a)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전원 스위치(211)가 눌리며 스마트 자(200)의 전원 또는 측정 기능을 on/off 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2)에는 모드 선택 스위치(290), 충전단자(250), 연결단자(262), LED(27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모드 선택 스위치(290)는 스마트 자(200)의 구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스마트자 모드와,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스마트자 모드에서는 롤러(230)를 이용해 대상체의 길이를 측정하며, 거리측정 모드에서는 광센서(232)를 통해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충전단자(250)는 스마트 자(200)의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에는 5 pin 단자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전단자(25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0 pin, 24 pin, Micro USB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단자가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하거나, 내장 배터리가 없이 이동단말기의 오디오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자(262)는 일단이 몸체에 힌지(263)로 결합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기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자유단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자(262)는 접힌 상태에서 수납홈(206)에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수납홈(206)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자(200)를 사용하고자 하는 때 연결단자(262)를 수납홈(206) 밖으로 꺼내 이동단말기(100)에 결합시키게 된다.
연결단자(262)가 형성되는 면의 일단부에는 가이드 부재(20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3)는 스마트 자(200)에 결합되는 이동단말기(100)와 오버랩되며 결합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 부재(203)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동단말기(100)가 흔들려 연결단자(26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203)는 몸체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203)는 수납홈(206)을 덮고 열린 상태에서는 이동단말기(100)와 오버랩되어 결합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 부재(203)는 몸체의 위쪽 모서리와 아래쪽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단말기(100)의 윗면과 오버랩되는 부재와 아랫면과 오버랩되는 부재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3)는 수납홈(206)이 형성되는 몸체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203)는 수납홈(206)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닫힌 상태에서 수납홈(206)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203)를 펼칠 때 연결단자(26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단자(262)에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토크를 가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가이드 부재(203)가 연결단자(262)의 회전을 막는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LED(270)는 스마트 자(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LED(270)는 스마트 자(200)의 전원 상태 또는 구동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200)의 접촉면을 바라면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자(200) 몸체의 일 모서리에는 롤러(230)가 장착될 수 있다.
롤러(230)는 구 또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자(200)의 제어부(240)는 롤러(230)의 회전에 대응하여 대상체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은 스마트 자(200)의 제어부(240) 또는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1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자(200) 몸체에는 광센서(232)가 장착될 수 있다. 광센서(232)는 거리측정 모드 선택 시 광원을 이용하여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광센서(232)는 대상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대상체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대상체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 소자로 입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센서(232)가 대상체를 인식한 상태에서만 롤러(230)를 이용한 측정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즉,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체가 인접한 상태에서만 롤러(230)의 기능이 활성화 되어 불필요한 데이터가 수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200)를 이용한 대상체의 길이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자(200)가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길이 측정 기능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자(200)가 이동단말기(100)에서 분리되면 측정된 길이가 자동으로 저장되어 측정값을 별도로 메모하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해 스마트 자(200)를 이용한 대상체의 길이 측정 방법은 스마트 자(200)와 이동단말기(100)가 연결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스마트 자(200)에 활성화 명령이 전달되는 단계와, 스마트 자(200)의 롤러(230) 회전에 대응하여 측정값이 이동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와, 측정값이 이동단말기(100)에 저장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자(200)와 이동단말기(100)가 연결되는 단계는 물리적인 연결 뿐 아니라 통신부를 통한 온라인 연결 또한 포함한다. 이렇게 스마트 자(200)와 이동단말기(100)가 연결된 후 이동단말기(100)는 자동으로 스마트 자(200)에 활성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 자(200)의 길이측정 기능이 활성화된 후 롤러(230)가 회전하게 되면 스마트 자(200)의 제어부는 롤러(230)의 회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이동단말기(100)를 통해 측정값이 출력된다. 이 때 측정값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자(200)를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분리하면 측정값이 이동단말기(100)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측정값을 별도로 메모하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어지며, 측정값을 저장하지 않고 실수로 스마트 자(200)를 분리했을 경우에도 측정 데이터가 보존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0)에 장착된 스마트 자(200)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200)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자(200)는 기존의 줄자와 마찬가지로 줄을 잡아 당겨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마트 자(200)는 줄(281)과, 줄 고정 스위치(282)와, 원통형 기구(283)와, 탄성체(284)와, 회전 측정 매개체(285)와, 회전 수 측정 센서(286)와, 상태 표시 LED(28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줄(281)은 초기 상태에서 스마트 자(200) 내부에 있는 원통형 기구(283)에 감겨 있으며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원통형 기구(283)에서 풀리며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281)에는 눈금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줄(281)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원통형 기구(283)의 회전 또는 풀린 줄의 길이에 근거하여 물체의 길이가 측정된다. 눈금이 없이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으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다.
줄 고정 스위치(282)는 당겨진 줄(281)을 고정시키거나 다시 감아 재측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줄 고정 스위치(282)의 일면에는 줄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줄 고정 스위치(282)를 일 방향으로 밀면 돌기가 줄(281)에 압력을 가해 줄을 고정시키고 다시 반대 방향으로 밀면 줄(281)에 가하던 압력이 제거되어 줄(281)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원통형 기구(283)는 줄(281)이 감겨있는 원통형 기구로써 줄(281)의 끝에 탄성체(284)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줄(281)을 놓을 경우 줄이 자동으로 다시 감기게 된다.
회전 측정 매개체(285)는 원통형 기구(283)가 얼마나 회전했는지 측정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회전 측정 매개체(285)가 회전 수 측정 센서(286)를 지나는 횟수에 근거하여 회전각을 파악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물체의 길이를 파악하게 된다. 회전 측정 매개체(285)와 회전 수 측정 센서(286)는 자성체와 자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태 표시 LED(287)는 스마트 자의 상태에 따라 색깔이 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태 표시 LED(287)는 도 3에 도시된 LED(270)의 형태로 설치되거나 LED(270)와 병존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자에 의하면 소형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자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종래의 자에 비해 가볍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길이가 스마트폰에 바로 입력이 되므로 측정된 수치를 일일이 기억하거나 메모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에 의하면 롤러 형태의 디바이스를 이용해 물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체 표면의 길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이동단말기 120 : 통신부
140 : 제어부 160 : 디스플레이부
200 : 스마트 자 201 : 상부 하우징
201a : 버튼 202 : 하부 하우징
203 : 가이드 부재 210 : 기판
211 : 전원 스위치 230 : 롤러
232 : 광센서 250 : 충전단자
262 : 연결단자 263 : 힌지
270 : LED 281 : 줄
282 : 줄 고정 스위치 283 : 원통형 기구
284 : 탄성체 285 : 회전 측정 매개체
286 : 회전 수 측정 센서 287 : 상태 표시 LED
290 : 모드 선택 스위치

Claims (9)

  1. 이동단말기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단자;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대상체의 표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 및
    상기 롤러 회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전원 또는 측정 기능의 on/off를 위한 버튼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롤러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스마트자 모드와 상기 롤러의 일측에 장착되는 광센서를 통해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드 선택 스위치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단자가 수납되는 수납홈과, 상기 결합되는 이동단말기와 오버랩되도록 상기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와, 전원 상태 또는 구동 모드에 따라 다른 색광을 발하도록 형성되는 LED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자는 일단이 상기 몸체에 힌지로 결합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기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자유단을 이루어 상기 몸체에 접이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분리되면 측정값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한 대상체를 인식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대상체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이동하는 거리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대상체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대상체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대상체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 소자로 입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이루고, 회전 시 상기 수납홈을 덮거나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이동단말기의 오디오 포트에 결합되는 오디오 단자이며, 상기 오디오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
  9. 삭제
KR1020150135450A 2015-09-24 2015-09-24 스마트 자 KR10172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50A KR101728960B1 (ko) 2015-09-24 2015-09-24 스마트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50A KR101728960B1 (ko) 2015-09-24 2015-09-24 스마트 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70A KR20170036370A (ko) 2017-04-03
KR101728960B1 true KR101728960B1 (ko) 2017-04-20

Family

ID=5858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450A KR101728960B1 (ko) 2015-09-24 2015-09-24 스마트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3813B (zh) * 2022-02-28 2023-09-01 河南省计量测试科学研究院 一种可实现自校准的拉绳式位移传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4931A (ja) * 2007-03-28 2008-10-09 Funai Electric Co Ltd 携帯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064A (ko) 2000-01-18 2000-05-06 황순옥 줄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4931A (ja) * 2007-03-28 2008-10-09 Funai Electric Co Ltd 携帯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70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027B1 (ko) 날숨 센싱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281806B1 (ko) 퍼스널 로봇
CN103748793B (zh) 接近传感器
KR100800859B1 (ko) Hmd 정보 단말기에서 키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831240B2 (en) Bluetooth device and audio 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2789581A (zh) 基于笔输入装置和电子装置间的距离控制屏幕属性的电子装置及控制其的方法
US10076254B2 (en) Optical communication with optical sensors
KR102367932B1 (ko) 전자 장치의 레이어드 액세사리 케이스 및 그의 거치 장치
EP2859405A1 (en) Adapter for eyewear
WO2006075416A1 (ja) 操作体、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CN110647209B (zh) 一种旋钮组件、终端、自动化控制系统
KR102221468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101728960B1 (ko) 스마트 자
KR20190080516A (ko) 두루마리 타입의 디지털 터치 노트
US10434431B2 (en) Toy building system and peripheral assemblage thereof
KR2022006175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06887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82373A (ko) 센서모듈의 탈착이 가능한 비콘
CN106325542A (zh) 一种具备投影键盘功能的鼠标及其实现方法
KR102228151B1 (ko) 스마트 스크린 원격 조작 장치
US107259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usage method thereof
WO2012177370A1 (en) Wireless input device
EP418490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170139743A (ko) 스마트폰 터치기능을 클릭 버튼으로 활용하며 마우스 기능을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