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368B1 - 양면 다림판 - Google Patents

양면 다림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368B1
KR101728368B1 KR1020160009095A KR20160009095A KR101728368B1 KR 101728368 B1 KR101728368 B1 KR 101728368B1 KR 1020160009095 A KR1020160009095 A KR 1020160009095A KR 20160009095 A KR20160009095 A KR 20160009095A KR 101728368 B1 KR101728368 B1 KR 10172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ing
main body
housing
ironing board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이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범 filed Critical 이기범
Priority to KR102016000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2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 D06F81/04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with means for adjusting h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2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다림판에 관한 것으로서, 다림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하고, 다림판의 길이를 연장하여 길이가 긴 다림대상물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으며, 여성의류나 아동의류와 같이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의류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고, 바지의 엉덩이 부분이나 여성 블라우스의 가슴 부분 또는 셔츠의 가슴 부분을 다림질 하기에 최적화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은, 양면에 다림면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양면에 다림면이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절첩시키거나 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시켜 양면의 다림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면 다림판{both ironing board}
본 발명은 양면 다림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림판은 의류, 옷감 등을 다리기 위해서 다리미와 함께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다림질은 불편함을 많이 느끼는 가사일이다. 우리가 입는 옷은 그 형태나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평면 형태의 다림판은 여러 번 의류를 다람판에 곁대는 동작이 필요하고, 바지 엉덩이 부분이나 여성 블라우스 등 곡면이 많은 부분을 다리기에는 옷과 다림판의 형상적·형태적 유사성이 거의 없어 용이하게 다릴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양면 다림판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양면 다림판은 남성의 셔츠 사이즈에 맞게 개발되어 여성의류나 아동의류와 같이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의류를 다림질 할 때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70550호(2007.01.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림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하고, 다림판의 길이를 연장하여 길이가 긴 다림대상물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으며, 여성의류나 아동의류와 같이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의류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고, 바지의 엉덩이 부분이나 여성 블라우스의 가슴 부분 또는 셔츠의 가슴 부분을 다림질 하기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양면 다림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은, 양면에 다림면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양면에 다림면이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절첩시키거나 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시켜 양면의 다림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절첩부를 통해 연결부 측으로 절첩되며,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평면의 다림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입체적으로 굴곡이 형성된 곡면의 다림면이 형성된 다림면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다림면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회동안내홀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지지부에 장착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안내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하측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하측에 단차진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맞물림부, 상기 맞물림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측으로 회동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일측 저면이 상기 맞물림부에 의해 떠받쳐진 상태로 상기 맞물림부와 하우징의 사이에 고정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본체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은, 인체의 굴곡에 따라 입체적으로 형성된 본체부의 다림면과 다림면형성부의 다림면을 통해 의류의 앞면과 뒷면 뿐만 아니라 바지의 엉덩이 부분이나 여성 블라우스의 가슴 부분 또는 셔츠의 가슴 부분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부를 통해 다림판의 길이가 연장되어 사이즈가 큰 다림대상물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헤드부의 절첩 구조 및 다림면형성부의 활용을 통해 여성의류나 아동의류와 같이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의류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고정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고정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헤드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고정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에 적용된 고정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1)은 본체부(10), 헤드부(20), 절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의류나 옷감 등의 다림대상물(110)을 다림질 할 때 지지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의 폭과 두께 및 길이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양면을 사용하여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양면이 사용가능한 형태로 제작된다.
즉, 상기 본체부(10)는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평평한 평면의 다림면(1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입체적으로 굴곡이 형성된 곡면의 다림면(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의를 사람에게 착용된 것처럼 착용시켜 다림질 할 수 있다.
이때, 상의의 뒷면은 본체부(10)의 평면의 다림면(11)에 위치되고, 상의의 앞면은 본체부(10)의 곡면의 다림면(12)에 위치되어 상의의 특성에 맞는 다림질을 할 수 있다.
또한, 바지가 착용된 본체부(10)의 곡면의 다림면(12)은 돌출된 형태이므로 돌출 되도록 제작된 바지의 앞부분을 다림질함에 있어 용이한 다림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지의 뒷부분 뿐만 아니라 측면부분을 효과적으로 다릴 수 있다.
그리고, 바지의 앞부분에 형성된 주름 등을 효과적으로 다림질 할 수 있으며, 평면의 다림면(11)을 통해서는 바지의 엉덩이 부분을 특성에 적합하게 효율적으로 다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20)는 의류의 특정부위를 효율적으로 다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바지의 엉덩이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 또는 여성 블라우스나 셔츠의 가슴에 해당되는 부분을 다림질 하기에 최적화된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는 다시 연결부(21)와 다림면형성부(22)로 나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21)와 다림면형성부(22)는 절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연결부(21)는 다림면형성부(22)가 상기 다림면형성부(22)가 절첩될 경우 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회전장치(100)를 통해 본체부(10)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의 양측면 상부에 상기 다림면형성부(22)와의 결합을 위한 단차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다림면형성부(22)의 양측면 상부에는 연결부(21)와의 결합을 위한 단차홈(223)이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21)의 일단과 다림면형성부(22)의 일단은 접촉되며 상기 각 단차홈(211,223)이 상기 접촉되는 부분에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차홈(211,223)의 측벽에는 후술되는 절첩부(30)가 연결부(21)와 다림면형성부(22)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다림면형성부(22)는 상기 절첩부(30)를 통해 연결부(21) 측으로 절첩되거나 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다림면형성부(22)는 양면을 사용하여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양면이 사용가능한 형태로 제작된다.
즉, 상기 다림면형성부(22)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평평한 평면의 다림면(22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입체적으로 굴곡이 형성된 곡면의 다림면(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1)은 상기 다림면형성부(22)가 절첩되었을 경우, 상기 평면의 다림면(221)이 연결부(21) 및 본체부(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곡면의 다림면(222)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작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1)은 상기와 반대 구조 즉, 다림면형성부(22)가 절첩되었을 경우 상기 곡면의 다림면(222)이 연결부(2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평면의 다림면(221)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곡면의 다림면(222)은 세탁소에서 사용하는 우마 기능을 함에 따라,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곡면의 다림면을 통해 블라우스의 가슴에 해당되는 부위나 바지의 엉덩이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 등 곡면이 많은 의류를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으며, 아동의류와 같이 크기가 작은 의류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평면의 다림면(11)과 다림면형성부(22)의 평면의 다림면(221)이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사이즈가 큰 다림대상물(110)도 상기 본체부(10)와 헤드부(20)에 안착시켜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부(10)와 헤드부(20)는 지지다리부(7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부(70)는 두개의 바가 “X” 형태로 교차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바(71)의 상단은 상기 본체부(10)의 저면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바(72)의 상단은 헤드부(20)를 구성하는 연결부(21)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본체부(10)와 헤드부(20)를 지지하는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10)와 헤드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림대상물(110)의 길이가 길거나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 본체부(10)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는 경우에도 본체부(10)와 헤드부(20)가 전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71,72)의 하단에는 지면에 안착 및 지지되는 받침부(711,721)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부(70)의 중앙부분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148129호, 높낮이 조절장치(9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와 헤드부(20)의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에 맞게 본체부(10)와 헤드부(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90)를 통한 본체부(10)와 헤드부(20)의 높낮이 조절은 지지부(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는 어느 하나의 지지다리부(70) 상면에 단순 안착된 형태이고, 상기 연결부(21)의 저면은 다른 하나의 지지다리부(70)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연결부(21)에 좌,우 방향, 즉 360°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평면의 다림면(11)과 곡면의 다림면(12)을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0)에 의류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평면의 다림면(11)과 곡면의 다림면(12)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어, 의류의 앞면과 뒷면을 용이하게 다림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21)의 상,하 회동과 본체부(10)의 좌,우 회전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093095호, 양면판용 회전장치(100)가 적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첩부(30)는 연결부(21)와 다림면형성부(22)를 연결 및 절첩시키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연결부(21)의 단차홈(211) 측벽에 피스나 힌지축 등의 회동안내장치(80)를 통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다림면형성부(22)의 단차홈(223) 측벽에 피스나 힌지축 등의 회동안내장치(89')를 통해 결합된다.
즉, 상기 절첩부(30)는 상기 연결부(21)에 설치되는 회동안내장치(8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다림면형성부(22)가 연결부(21)의 상측으로 절첩되거나 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어, 사용자는 평면의 다림면(221)과 곡면의 다림면(222)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첩부(30)는 상기 연결부(21)의 단차홈(211) 및 다림면형성부(22)의 단차홈(223)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하 회동이 용이하도록 모서리 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다림면형성부(22)는 지지부(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4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 끝단이 상기 연결부(21)의 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장착구(미도시)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는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연결부(21)에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연결부(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림면형성부(22)가 원래의 위치로 회동 복귀되었을 경우, 다림면형성부(22)의 볼록한 다림면을 지지하여 본체부(10)와 헤드부(20)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헤드부(2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고정부(6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지지부(40)의 저면에는 거치부(50)가 고정부(60)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거치부(5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연결로드(51)와 상기 연결로드(51)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회동축(미도시) 및 상기 회동축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거치함으로 나뉘어 구성되며, 이러한 거치부(50)는 상기 지지부(4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51)와 회동축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ㄱ”형상 또는 “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의 저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회동축(52)이 끼움고정되는 끼움홈(미도시)이 장착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로드(51)와 수용부(53)는 상기 회동축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연결로드(51)의 길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3)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구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수용부(53)에 다림질에 필요한 다리미나 분무기 등 다양한 도구를 거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거치부(50)는 상기 지지부(40)에 설치되는 고정부(60)를 통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거치부(50)가 상측으로 회동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다시 하우징(61), 고정부(60)재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61)은 다시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611)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하부하우징(61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611)과 하부하우징(612)은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상부하우징(611)의 저면 가장자리 또는 내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612)의 상면 가장자리 또는 내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움고정되는 끼옴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611)과 하부하우징(612)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돌기와 끼움홈의 형성위치는 반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611)과 하부하우징(612)의 양측에는 감쌈홀(6111, 61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611)과 하부하우징(612)은 상기 지지부(4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0)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상부하우징(611)의 감쌈홀(6111)은 저부가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612)의 감쌈홀(6122)은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612)에는 후술되는 고정부재(62)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회동안내홀(6121)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62)는 상기 거치대를 실제 고정하는 것으로, 다시 후크(621), 회동부(622), 맞물림부(623), 레버(624)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후크(621)는 두개가 한쌍을 이루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611)과 하부하징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40)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후크(621)는 저부가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622)는 상기 후크(621)의 하단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동안내홀(61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상기 회동부(622)는 상기 하부하우징(612)의 전측과 후측으로 그네 운동 하듯이 회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부(622)는 대략 중앙부분이 상기 회동안내홀(6121)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윗 부분은 하우징(61)의 내부에 위치되며, 중앙부분의 아래 부분은 하부하우징(612)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623)는 회동부(622) 중 하부하우징(61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하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맞물림부(623)와 회동부(622)의 조합된 형상이 대략 '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612)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가 되며, 상기 하부하우징(612)의 저면과 맞물림부(623)의 사이에는 거치부(50)의 일부분이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624)는 상기 고정부(60)의 회동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맞물림부(623)의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후크(621), 회동부(622), 맞물림부(623), 레버(6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부(50)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60)를 통해 거치부(50)를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624)를 헤드부(20)가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 회동부(622)와 맞물림부(623)가 헤드부(20)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5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수용부(53)가 하부하우징(612)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레버(624)를 당겨 수용부(53)의 일부분이 상기 맞물림부(623)와 하우징(61)의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다림판(1)은 상기 고정부(60)를 통해 하부하우징(612)의 저면에 수용부(53)를 고정하여 수용부(53)에 다림질에 필요한 다리미나 분무기 등 다양한 도구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 측이 아닌 지지부(40) 측에서 다림면형성부(22)에 바지를 씌우는 방식으로 안착하여 다림질 하고자 하나 상기 거치부(50)가 방해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레버(624)를 헤드부(20)가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 수용부(53)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여 거치부(50)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거치부(50)가 방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양면 다림판 10 : 본체부
20 : 헤드부 21 : 연결부
211,223 : 단차홈 22 : 다림면형성부
30 : 절첩부 40 : 지지부
50 : 거치부 51 : 연결로드
53 : 수용부 60 : 고정부
61 : 하우징 611 : 상부하우징
6111,6122 : 감쌈홀 612 : 하부하우징
6121 : 회동안내홀 62 : 고정부재
621 : 후크 622 : 회동부
623 : 맞물림부 624 : 레버
70 : 지지다리부 80 : 회동안내장치
90 : 높낮이 조절장치 100 : 양면판용 회전장치

Claims (5)

  1. 양면에 다림면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양면에 다림면이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절첩시키거나 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시켜 양면의 다림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절첩부를 통해 연결부 측으로 절첩되며,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평면의 다림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입체적으로 굴곡이 형성된 곡면의 다림면이 형성된 다림면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다림면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회동안내홀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지지부에 장착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안내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하측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하측에 단차진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맞물림부, 상기 맞물림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측으로 회동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일측 저면이 상기 맞물림부에 의해 떠받쳐진 상태로 상기 맞물림부와 하우징의 사이에 고정되는 양면 다림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09095A 2016-01-26 2016-01-26 양면 다림판 KR10172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095A KR101728368B1 (ko) 2016-01-26 2016-01-26 양면 다림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095A KR101728368B1 (ko) 2016-01-26 2016-01-26 양면 다림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68B1 true KR101728368B1 (ko) 2017-04-19

Family

ID=5870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095A KR101728368B1 (ko) 2016-01-26 2016-01-26 양면 다림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060A (zh) * 2019-03-08 2019-05-10 岭南师范学院 一种具有内部清洁功能的节能型熨烫一体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59B1 (ko) * 2010-09-10 2011-08-03 (주)아이지베스트 회전식 입체 다리미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59B1 (ko) * 2010-09-10 2011-08-03 (주)아이지베스트 회전식 입체 다리미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060A (zh) * 2019-03-08 2019-05-10 岭南师范学院 一种具有内部清洁功能的节能型熨烫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8127B2 (en) Steam ironing and/or smoothing appliance comprising an ironing board that can be immobilized in various tilted positions
JP6321198B2 (ja) 折り畳み可能な台を備えた衣類処置装置
KR101234163B1 (ko) 휴대용 다리미
CN205557149U (zh) 带定位机构的熨烫板组件及熨烫装置
CN205242139U (zh) 一种熨衣板
JP2014507211A (ja) リトラクタブルアイロン蒸気発生器
KR101728368B1 (ko) 양면 다림판
WO2003023123A1 (en) An ironing board
US2738909A (en) Laundry and clothespin carrier
US7266915B2 (en) Double-sided ironing board
US11178989B2 (en) Garment hanger and garments including a hanger
KR20050021173A (ko) 양면 다림판
KR200257517Y1 (ko) 다리미 보관케이스를 구비하는 개량된 다리미 받침대
KR200313491Y1 (ko) 양면 입체 다림판
US2432251A (en) Garment hanger
CN206635549U (zh) 烫衣板和挂烫机
CN208517711U (zh) 挂烫机
CN220013146U (zh) 一种可周向转动的熨烫设备
KR20130055484A (ko) 다리미장 시스템
KR20210130353A (ko) 접이식 보관이 가능하고 열전도율과 열반사성이 높은 스탠드형 스팀 다림판
CN208857550U (zh) 一种带架子的烘干机
US957537A (en) Ironing-board.
KR20030026477A (ko) 다리미 보관케이스를 구비하는 개량된 다리미 받침대
CN209669547U (zh) 洗衣机的箱体、预洗盆的安装结构和洗衣机
JPS5914000Y2 (ja) アイロ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