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899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899B1
KR101727899B1 KR1020100118918A KR20100118918A KR101727899B1 KR 101727899 B1 KR101727899 B1 KR 101727899B1 KR 1020100118918 A KR1020100118918 A KR 1020100118918A KR 20100118918 A KR20100118918 A KR 20100118918A KR 101727899 B1 KR101727899 B1 KR 10172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rallax
images
display magnification
co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258A (ko
Inventor
이신혜
정하양
신승민
이진술
김동옥
김태윤
우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899B1/ko
Priority to US13/224,629 priority patent/US9088771B2/en
Priority to EP11190564.2A priority patent/EP2458880B1/en
Priority to JP2011257826A priority patent/JP5357238B2/ja
Priority to TW100143401A priority patent/TWI471820B/zh
Priority to CN201110384922.3A priority patent/CN102479052B/zh
Publication of KR2012005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제1 및 제2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표시배율 변경하는 입력에 따라, 제1 및 제2 이미지의 표시배율을 각각 변환한 제1 및 제2 변환 이미지에서 선택된 중심 객체를 기준으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난 객체를 기준 시차 범위 내로 이동시킨 제1 및 제2 보정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보정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보정된 3D 입체 이미지에서 표시배율 변경 입력에 대응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입체 이미지의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경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의 시차를 적정 범위로 보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입체 이미지의 확대나 축소시에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난 객체의 시차 범위를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여러 개의 이미지를 화상처리 과정을 통해 결합하여 3차원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경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입체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런데, 3D 입체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나타내므로, 3D 입체 이미지에 사용자의 시차 한계를 벗어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그 객체는 이중으로 보이게 되어, 쉽게 눈에 피로를 느끼게 하며, 어지러움 증세나 두통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특히, 3D 입체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차 한계를 벗어나는 객체가 존재하게 되는 현상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3D 입체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객체를 기준 시차 범위 내로 이동시켜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D 입체 이미지의 확대나 축소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에 대한 시차를 적정 범위로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제1 및 제2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표시배율 변경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의 표시배율을 각각 변환한 제1 및 제2 변환 이미지에서 선택된 중심 객체를 기준으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난 객체를 상기 기준 시차 범위 내로 이동시킨 제1 및 제2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정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보정된 3D 입체 이미지에서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및 제2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표시배율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의 표시배율을 각각 변환한 제1 및 제2 변환 이미지에서 선택된 중심 객체를 기준으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난 객체의 위치를 조절한 제1 및 제2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정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보정된 3D 입체 이미지에서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입체 이미지의 확대나 축소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객체를 기준 시차 범위 내로 이동시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에 대한 시차를 적정 범위로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D 입체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난 객체의 존재로 발생할 수 있는 어지러움 증세나 두통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5는 3D 입체 이미지에서 3차원 객체의 깊이와 피로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6은 3D 입체 이미지를 확대하는 경우 3D 효과 왜곡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는 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는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한 3D 촬영 모드에서 3D 입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2D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간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를 통해 생성가능한 3D 입체 이미지의 크기나 화소 등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 중 어느 하나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간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면에 배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에 사이에는 플래쉬(125)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플래쉬(125)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의 후면에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를 각각 제1 카메라(121b)와 제2 카메라(121c)라고 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를 통해 피사체(200)를 촬영하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21b)와 제2 카메라(121c)를 통해 각각 촬영한 제1 및 제2 이미지(205, 207)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b)와 제2 카메라(121c)가 통해 촬영한 제1 및 제2 이미지(205, 207)는 3D 입체 영상의 생성에 사용되는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에 대응한다. 제어부(180)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미지(205, 207)에서 공통된 영역의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Stereoscopic 3D image)(21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3D 입체 이미지(Stereoscopic 3D image)란 모니터나 스크린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3D 입체 영상은,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이미지를 보고, 그 이미지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면,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대략 65㎜ 떨어져 있는 사람의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양안 시차는 모든 3차원 표시 장치가 기본적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제어부(180)에서 생성한 3D 입체 영상(210)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인화지와 장비를 이용하면 3D 입체 사진을 인화할 수도 있다. 정지 영상의 촬영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3D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3D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안경을 사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 (Stereoscopic)방식, 무안경 방식인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oscopic) 방식, 및 홀로그래픽(Holographic)을 사용하는 프로젝션 방식 등이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가정용 TV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주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에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패럴랙스 일루미네이션(parallax illumination) 방식 등이 사용된다. 렌티큘러 방식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자 앞에 하나의 좌우 간격에 해당하는 반원통형 렌티큘러 시트를 부착하여 좌우 각각의 눈에 좌우에 해당하는 영상만 보이도록 함으로써 입체를 느끼게 한다.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시차 장벽 뒤에 놓이게 함으로써 좌우에 각각 다른 영상이 보이게 함으로서 입체를 느끼게 한다. 그리고, 패럴랙스 일루미네이션 방식은 후면에 조명라인이 놓이고 전면에 LCD가 놓여 조명라인을 통해 밝혀진 LCD 라인이 좌우에만 보이게 함으로써 입체를 구현한다. 이외에도, 인간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요소 중 몇 가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외에 다른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3D 입체 이미지에서 3차원 객체의 깊이와 피로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3D 입체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에 대한 깊이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존 의학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눈 사이의 거리(d)와 눈이 위치하는 영상 평면에서 관측하는 3D 객체(220)까지의 거리(z)가 주어진 경우, 이를 바탕으로 3D 객체(220)를 관측할 때 시선의 수렴 각도(θ)가 대략 1.5°가 넘으면 눈이 피로를 느낀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즉, 눈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3D 객체에 초점을 맞추어 응시하게 되면 θ값이 커지므로 눈이 피로해지고, 눈에서 멀리 있는 3D 객체를 관측하는 경우 θ값이 매우 작아지므로 눈의 피로를 덜 느끼게 된다. 따라서, 3D 입체 이미지에서 3D 객체는 θ값이 적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배치되어야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3D 입체 이미지를 확대하는 경우 3D 효과 왜곡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좌안 이미지(233)와 우안 이미지(235)의 시차를 이용하여 표시한 3D 입체 이미지(230)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3D 입체 이미지(230)에서 중심 객체간의 거리가 d1 이라고 가정한다.
만일, 이러한 3D 입체 이미지(230)를 확대하게 되면, 도 6의 (b)와 같이 확대된 좌안 이미지(243)와 확대된 우안 이미지(245)를 이용하여 확대된 3D 입체 이미지(24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확대된 좌안 이미지(243)와 확대된 우안 이미지(245)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중심 객체의 거리 d2가 되어 확대전 보다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확대된 3D 입체 이미지(240)에 기준 시차를 벗어나는 객체가 존재하여 이중으로 보이거나 쉽게 눈에 피로를 느끼게 되어 3D 효과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확대된 3D 입체 이미지(240)에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의 시차 범위를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3D 입체 이미지를 축소하는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3D 효과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3D 모드가 선택되거나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어부(180)는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00).
3D 입체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3D 입체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것과 같이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S305), 제어부(180)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각각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표시배율로 변환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생성한다(S310).
제어부(180)는 표시배율을 변환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에서 기준 시차범위를 벗어나는 객체가 기준 시차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위치를 이동시킨다(S315). 이때, 중심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중심 객체를 기준으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난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중심 객체를 영시차(zero parallax)로 이동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근거리에 있는 객체와 원거리에 있는 객체에 대해 동시에 표시배율을 변화시키는 경우 등과 같이, 기준 시차를 벗어난 모든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 전체 혹은 일부 객체를 2D 이미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객체의 이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홀(hole) 영역을 적절한 보간법을 사용하여 보간하여, 보정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생성한다(S320). 홀 영역은 홀 영역의 주변 픽셀 값이나 보조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보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보정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한 보정된 3D 입체 이미지에서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25).
만일,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선택된 경우(S330),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35). 예컨대, 화면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3D 입체 이미지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부분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동작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40).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표시배율이 변환된 3D 입체 이미지에서 기준 시차를 벗어난 객체의 시차를 적정 범위로 보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의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3D 입체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3D 입체 이미지(400)에서 원거리에 있는 객체를 포함하는 부분(403)을 확대하는 경우와 근거리에 있는 객체를 포함하는 부분(405)을 확대하는 경우, 확대할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서로 다른 중심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한 중심 객체를 기준으로 다른 객체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중심 객체를 영시차(zero parallax)로 이동시키고, 중심 객체의 이동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다른 객체를 이동시켜 시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9의 (a)와 같은 3D 입체 이미지(410)에서 한 부분(415)를 선택하여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된 3D 입체 이미지(4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확대 비율에 따라 시차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3D 효과도 커지게 된다. 만일, 확대된 3D 입체 이미지(420)에 포함된 모든 객체가 기준 시차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3D 입체 이미지를 보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확대된 3D 입체 이미지(420)에서 한 부분(425)을 다시 확대하여,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확대한 3D 입체 이미지(430)를 표시하는 경우, 시차(d5)는 더욱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시차(d5)가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사용자에게 눈의 피로감과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과정에 따라 3D 입체 이미지를 보정하여 표시해야 한다.
또한, 확대 비율이 너무 커서 보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3D 입체 이미지 대신 전체나 혹은 일 부분을 2D 이미지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이미지 분할 와핑(warping)을 통해 시차를 조절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혹은 깊이를 조절하는 화면(500)에는 좌안 이미지(503)와 우안 이미지(505)가 동시에 표시된다. 좌안 이미지(5030와 우안 이미지(505)에서 사용자가 시차 혹은 깊이(depth)를 조절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하면, 선택한 부분에 대해서 메시(mesh)가 생성되고, 생성된 메시의 교점을 나타내는 마크(mark)가 표시된다.
메시상의 포인터는 이미지의 에지(edge) 성분들 중 임의의 임계치 이상인 점들로 나타내며, 각 위치 포인터는 이웃한 포인터들과 연결되어 하나의 면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형성된 우안 혹은 좌안의 이미지에서 포인터들을 터치한 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포인터들은 3D 이미지를 형성할 때, 깊이감이 들어가게 된다.
깊이감에 대한 표시는 이미지 우측편에 있는 컬러 바(510)를 통해서 auto convergence 시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깊이를 표시하여 준다. 반대로 사용자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릴 경우, 이미지는 auto convergence 시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나오도록 한다. 상대적인 깊이뿐만 아니라, 전체 이미지에 대한 깊이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auto convergence시 형성되는 전체 깊이 맵을 3차원 히스토그램(513)으로 표시하고, 변경사항이 적용된 3차원 깊이 히스토그램(515)을 하단에 표시한다. 분활 와핑된 영역에 대한 깊이감 반영은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 중 어느 한 이미지에만 반영해도 다른 이미지에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든 분활 영역의 깊이를 자유롭게 할 경우, 3D 입체 이미지가 부자연스러워지므로, 깊이 변경에 제한을 가지게 된다. 즉, 두 객체가 겹쳐 있을 경우, 뒤의 객체가 앞의 객체보다 나와 보이거나, 앞의 객체가 뒤의 객체보다 뒤에 있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컬러 바(510)는 주변의 객체의 깊이 값을 참조하여 최대 깊이 변화를 줄 수 있는 제한표시를 가지게 하여, 사용자가 이 깊이 범위를 넘어서 깊이를 설정할 수는 없도록 한다. 3D 효과가 깨질 수 있는 영역을 분할 와핑 방법을 통해서 적정 레벨까지만 돌출되거나 들어가 보이게 한다.
도 11은 3D 깊이나 시차를 조절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이미지가 표시되는 3D 모드 화면(600)에서, 3D 깊이 설정 메뉴(610)를 제공할 수 있다.
3D 깊이 설정 메뉴(610)에서 '3D depth' 항목이 선택된 경우,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나 특정 객체의 시차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화면(6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좌측에 표시된 스크롤 바(630)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의 깊이를 조절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 바를 업하는 경우 전체 화면에 표시된 객체의 깊이감이 커지고, 반대로 스크롤 바를 다운하는 경우, 전체 화면에 표시된 객채의 깊이감이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크롤 바의 위치에 따라 조절된 깊이감에 대응하여 각 객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객체를 멀티터치후 터치된 지점이 멀어지도록 드래그하는 입력(633, 635)에 따라, 도 13의 (b)에 도시한 특정 객체만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터치후 터치된 지점이 멀어지도록 드래그 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객체의 깊이감이 작아지고, 반대로 멀티터치후 터치된 지점이 가까와지도록 드래그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객체의 깊이감이 깊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롱 터치 입력을 특정 객체의 깊이감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객체의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로, 화면 상단에 3D 맵(640)을 표시할 수도 있다. 3D 맵(640)에 사용자가 조절하는 객체의 깊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현재 조절중인 객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키를 누르는 입력(653)이 있는 상태에서 특정 객체를 멀티터치후 터치된 지점이 멀어지도록 드래그하는 입력(655, 657)에 따라 특정 객체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멀티터치후 터치된 지점이 멀어지도록 드래그 하는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객체의 깊이감이 작아지고, 반대로 멀티터치후 터치된 지점이 가까와지도록 드래그하는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객체의 깊이감이 깊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스쳐 입력에 의해, 특정 객체의 깊이나 시차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3D 객체들을 포함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3D 이미지의 표시 배율을 변환하고,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3D 이미지에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3D 객체의 시차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제1 및 제2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3D 객체들의 시차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3D 객체가 상기 기준 시차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그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제1 및 제2 이미지에서 중심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중심 객체를 기반으로 상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3D 객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제1 및 제2 이미지 사이의 시차는, 상기 중심 객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심 객체를 영 시차로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3D 객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좌안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우안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모든 3D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 상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일부 3D 객체들을 2D 객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의 표시 배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한 경우,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제1 및 제2 이미지에 대응하는 2D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객체를 이동시켜 생성된 홀 영역을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 영역에 인접한 픽셀들을 참조하여 상기 홀 영역을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형태의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의 표시 배율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분할 와핑을 이용하여 상기 3D 이미지의 깊이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3D 이미지에서 선택된 객체만을 3D 객체로 표시하고, 나머지 객체는 2D 객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3D 이미지에 대응하는 입체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감 정보는, 수치, 그래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복수의 3D 객체들을 포함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3D 이미지의 표시 배율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3D 이미지에서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3D 객체의 시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제1 및 제2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3D 객체들의 시차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3D 객체가 상기 기준 시차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그 위치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표시 배율이 변환된 제1 및 제2 이미지에서 중심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중심 객체를 기반으로 상기 기준 시차 범위를 벗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3D 객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0118918A 2010-11-26 2010-11-2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7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918A KR101727899B1 (ko) 2010-11-26 2010-11-2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3/224,629 US9088771B2 (en) 2010-11-26 2011-09-02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11190564.2A EP2458880B1 (en) 2010-11-26 2011-11-24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257826A JP5357238B2 (ja) 2010-11-26 2011-11-25 携帯端末機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TW100143401A TWI471820B (zh) 2010-11-26 2011-11-25 行動終端機及其操作控制方法
CN201110384922.3A CN102479052B (zh) 2010-11-26 2011-11-28 移动终端及其操作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918A KR101727899B1 (ko) 2010-11-26 2010-11-2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258A KR20120057258A (ko) 2012-06-05
KR101727899B1 true KR101727899B1 (ko) 2017-04-18

Family

ID=4547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918A KR101727899B1 (ko) 2010-11-26 2010-11-2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8771B2 (ko)
EP (1) EP2458880B1 (ko)
JP (1) JP5357238B2 (ko)
KR (1) KR101727899B1 (ko)
CN (1) CN102479052B (ko)
TW (1) TWI4718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9379B2 (en) * 2004-04-29 2012-12-25 Neonode Inc. Light-based touch screen
US9152258B2 (en) * 2008-06-19 2015-10-06 Neonode Inc. User interface for a touch screen
WO2011121397A1 (en) * 2010-04-01 2011-10-0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lecting a stereoscopic imaging viewpoint pair
JP5586377B2 (ja) * 2010-08-17 2014-09-10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2256110A (ja) * 2011-06-07 2012-12-2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81720B1 (ja) * 2011-09-20 2013-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映像処理装置及び立体映像処理方法
JP2013097593A (ja) * 2011-11-01 2013-05-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498954B (en) * 2012-01-31 2015-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ng an object in an image
WO2013125122A1 (ja) * 2012-02-23 2013-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制御装置、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制御方法
CN103312863A (zh) * 2012-03-08 2013-09-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视频的呈现方法及装置
US20150070477A1 (en) * 2012-03-30 2015-03-12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176586B2 (en) 2012-06-29 2015-1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ouch panel device with tactile sense presenting function
CN102883120B (zh) * 2012-07-24 2016-07-20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双画面图像显示装置及控制方法
KR101971624B1 (ko) * 2012-07-25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TWI478046B (zh) * 2012-12-28 2015-03-21 Qisda Corp 數位相機操作方法以及使用此方法之數位相機
CN103049175B (zh) * 2013-01-22 2016-08-10 华为终端有限公司 预览画面呈现方法、装置及终端
CN103970458A (zh) * 2013-01-30 2014-08-06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对多个条件的取值进行调节的方法和系统
KR20150121127A (ko) * 2013-02-19 2015-10-28 리얼디 인크. 양안 응시 이미징 방법 및 장치
US10394434B2 (en) 2013-02-22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proximity motion using sensors
US10261612B2 (en) 2013-02-22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proximity motion using sensors
US9239661B2 (en) * 2013-03-15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a head mounted display
WO2014163214A1 (en) * 2013-04-01 2014-10-0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changing screen display direction and method thereof
TWI547142B (zh) 2013-04-02 2016-08-2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引導的3d顯示器適配
CN103297501A (zh) * 2013-05-07 2013-09-11 杭州玄鸟数字技术有限公司 全息投影实时交互系统
WO2015027218A1 (en) * 2013-08-23 2015-02-26 The Schepens Eye Research Institute, Inc.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yopia
CN104461601B (zh) * 2013-09-25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参数值调整方法及电子设备
CN103631492B (zh) * 2013-09-27 2018-09-04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立体内容深度的方法及装置
KR20150042574A (ko) * 2013-10-11 201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45888B2 (en) * 2014-02-13 2020-11-24 Autodesk, Inc. Techniques for integrating different forms of input with different forms of output when interacting with an application
KR102271853B1 (ko) * 2014-03-21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WI566576B (zh) * 2014-06-03 2017-01-11 宏碁股份有限公司 立體影像合成方法及裝置
US9473764B2 (en) 2014-06-27 2016-10-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9911235B2 (en) * 2014-11-14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interaction in augmented reality
TWI556664B (zh) * 2014-11-24 2016-11-01 To achieve a wireless interac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initiator
JP2016115965A (ja) * 2014-12-11 2016-06-23 ソニー株式会社 医療用眼鏡型表示装、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DE102015100680B4 (de) * 2015-01-19 2016-10-13 Carl Zeis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Umgebungsdarstellung
KR102317820B1 (ko) * 2015-08-12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1889224B2 (en) * 2015-12-31 2024-01-30 C. Douglass Thomas Electronic cooking assistant
CN106484416B (zh) * 2016-09-30 2021-02-05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
CN107959846B (zh) * 2017-12-06 2019-12-03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影像显示设备及影像显示方法
JP7350510B2 (ja) * 2019-05-14 2023-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1280630B2 (en) * 2019-11-27 2022-03-22 Zoox, Inc. Updating map data
KR20220107831A (ko) * 2021-01-26 202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271451B (zh) * 2021-04-22 2023-02-28 武汉联影智融医疗科技有限公司 3d成像视差调整方法、控制设备和3d成像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772A (ja) 2002-09-27 2004-07-22 Sharp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記録方法、及び伝送方法
JP2004349731A (ja) 2003-04-17 2004-12-09 Sharp Corp 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再生装置
US7371163B1 (en) 2001-05-10 2008-05-13 Best Robert M 3D portable gam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3790B2 (ja) * 1995-05-23 2005-06-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立体電子ズーム装置及び立体画質制御装置
TWI223780B (en) 2001-01-24 2004-11-11 Vrex Inc Method for zooming a stereoscopic image,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a computer usable medium, computer related product for use with a graphics display device, and program storage device readable by a machine and tangibly embodying a program of iK
WO2004093467A1 (ja) 2003-04-17 2004-10-28 Sharp Kabushiki Kaisha 3次元画像作成装置、3次元画像再生装置、3次元画像処理装置、3次元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59913B2 (ja) 2003-05-08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73049A (ja) * 2003-08-26 2005-03-17 Sharp Corp 立体映像再生装置および立体映像再生方法
JP2009516447A (ja) 2005-11-17 2009-04-16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3次元画像データを生成、転送および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04634B1 (ko) * 2005-12-19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방법
KR100894874B1 (ko) * 2007-01-10 2009-04-24 주식회사 리얼이미지 그물 지도를 이용한 이차원 영상으로부터의 입체 영상 생성장치 및 그 방법
JP2009246625A (ja) 2008-03-31 2009-10-22 Fujifilm Corp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811452B2 (ja) 2008-11-19 2011-11-0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355208B2 (ja) 2009-05-01 2013-11-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表示装置及びデジタルズーム補正方法
JP5491786B2 (ja) * 2009-07-21 2014-05-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方法
US9380292B2 (en) * 2009-07-31 2016-06-28 3Dmedia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3D) images of a scene
KR101626621B1 (ko) * 2009-12-30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WO2011123178A1 (en) * 2010-04-01 2011-10-06 Thomson Licensing Subtitles in three-dimensional (3d) presentation
GB2479784B (en) * 2010-04-23 2012-11-07 Nds Ltd Image scaling
JP5186715B2 (ja) 2010-06-14 2013-04-24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システム
US9565415B2 (en) * 2010-09-14 2017-02-07 Thomson Licensing Method of presen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with disparity adjustments
KR20120055991A (ko) * 2010-11-24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879713B2 (ja) * 2010-12-09 2016-03-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89825B2 (en) * 2011-04-12 2015-11-1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JP2012244396A (ja) * 2011-05-19 2012-12-10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09949A1 (en) * 2011-07-05 2013-01-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convergence of a stereoscopic image
KR101899972B1 (ko) * 2011-12-21 2018-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73759B1 (ko) * 2012-04-10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1163B1 (en) 2001-05-10 2008-05-13 Best Robert M 3D portable game system
JP2004207772A (ja) 2002-09-27 2004-07-22 Sharp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記録方法、及び伝送方法
JP2004349731A (ja) 2003-04-17 2004-12-09 Sharp Corp 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88771B2 (en) 2015-07-21
EP2458880A2 (en) 2012-05-30
EP2458880B1 (en) 2017-05-10
CN102479052B (zh) 2014-10-22
JP2012114920A (ja) 2012-06-14
CN102479052A (zh) 2012-05-30
JP5357238B2 (ja) 2013-12-04
US20120133645A1 (en) 2012-05-31
TWI471820B (zh) 2015-02-01
KR20120057258A (ko) 2012-06-05
TW201224993A (en) 2012-06-16
EP2458880A3 (en)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89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56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90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86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32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영상 표시방법
KR10172902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2333228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83096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KR2012004839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4040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15168A (ko) 3차원 영상의 편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05692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10764A (ko) 이동 단말기 및 3차원 영상 제어 방법
KR201100642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20057696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065074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037813A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1004861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3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9417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50068823A (ko) 이동 단말기
KR1016853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331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2013039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01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3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