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960B1 -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960B1
KR101726960B1 KR1020150177993A KR20150177993A KR101726960B1 KR 101726960 B1 KR101726960 B1 KR 101726960B1 KR 1020150177993 A KR1020150177993 A KR 1020150177993A KR 20150177993 A KR20150177993 A KR 20150177993A KR 101726960 B1 KR101726960 B1 KR 10172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rganic solvent
reaction
pellets
met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남
최진호
박병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inorganic compounds, e.g. ammonia
    • C01B3/042Decomposition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66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decomposition step
    • C01B2203/027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decomposition step containing a non-catalytic decomposi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6Controlling the process
    • C01B2203/1628Controlling the pressure
    • C01B2203/1638Adjusting the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는 내부 공간에 유기 용매 및 물이 저장되며,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고체 상의 펠릿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어 상기 유기 용매 및 상기 물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반응부와;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기 용매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유기 용매를 재처리하는 유기 용매 재처리부; 및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를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는 물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FOR SHIP AND HYDROGEN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분말을 유기물에 섞어 고체로 형성한 이후에, 필요한 경우에, 이를 일정량을 소수성(疏水性) 유기용매에 녹여 금속 분말을 재추출하고 물에 반응시켜 원하는 양의 수소를 취득할 수 있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소를 보관하기 위하여 수소저장 합금을 사용하거나 금속 분말을 물과 반응시켜 수소를 추출하였다.
수소저장합금은 가격이 비싸며 무겁고 상대적으로 고압의 보관용 압축 용기가 필요로 한다.
또한 금속 분말은 공기 중에서 빠르게 산화하여 보관성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금속 중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금속으로 나트륨과 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특히 마그네슘은 물과 반응성이 좋고 동일 원자 개수당 나트륨보다 2배의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나트륨이나 마그네슘은 공기 중 산소와 빠르게 반응하는 성질이 있어 수소 발생력을 잃기 쉽고 물과 만나면 격렬히 반응하여 수소 분자를 발생시키므로 금속상태로 다루는 것은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수소발생장치가 구비된 연료전지 시스템(특허출원 제10-2008-00183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분말을 유기물에 섞어 고체로 형성한 이후에, 필요한 경우에, 이를 일정량을 소수성 유기용매에 녹여 금속 분말을 재추출하고 물에 반응시켜 원하는 양의 수소를 취득할 수 있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는 내부 공간에 유기 용매 및 물이 저장되며,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고체 상의 펠릿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어 상기 유기 용매 및 상기 물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반응부와;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기 용매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유기 용매를 재처리하는 유기 용매 재처리부; 및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를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는 물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부는, 상기 반응부의 내부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기 용매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 1수위 측정기와,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 2수위 측정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펠릿은, 금속 분말과, 유기물이 설정된 비율로 믹싱하여 고체 상으로 굳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가스는, 투입되는 상기 펠릿의 개수에 따라 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은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고체 상의 펠릿을 형성하는 펠릿 형성 단계와; 상기 펠릿을 유기 용매 및 물이 저장되는 반응부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고, 상기 유기 용매 및 상기 물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반응 단계와;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는 유기 용매 재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용매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기 용매를 재처리하는 유기 용매 재처리 단계; 및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는 물 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물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를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는 물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 단계는, 상기 반응부와 연결되는 진공 형성부를 사용하여, 상기 반응부의 상기 내부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부의 내부에서, 제 1수위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용매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 2수위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펠릿 형성 단계에서,금속 분말을 유기물과 설정된 비율로 믹싱하고, 믹싱된 금속 분말을 유기물을 고체 상으로 형성하고, 설정된 형상을 이루도록 가공하여 상기 펠릿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빈응부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펠릿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금속 분말을 유기물에 섞어 고체로 형성한 이후에, 필요한 경우에, 이를 일정량을 소수성 유기용매에 녹여 금속 분말을 재추출하고 물에 반응시켜 원하는 양의 수소를 취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반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반응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는 크게, 반응부(100)와, 유기 용매 재처리부(200)와, 물 처리부(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반응부(100)는 내부 공간에 유기 용매(1) 및 물(2)이 저장되며,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고체 상의 펠릿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어 상기 유기 용매(1) 및 상기 물(2)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펠릿은, 금속 분말과, 유기물이 설정된 비율로 믹싱하여 고체 상으로 굳어져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2를 참조 하여, 상기 반응부(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반응부(10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반응부(100)의 상단에는 펠릿이 투입되는 펠릿 투입구(112)와, 수소 가스가 배출되는 수소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반응부(100)의 일측부에는 진공 유지 구멍(115)이 형성되고, 유기 용매 배출구(116)가 형성된다.
상기 반응부(100)의 타측부에는 물 주입구(114)가 형성되고, 유기 용매 주입구(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응부(100)의 하단에는 물 배출구(117)가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반응부(100)의 내부 공간에는 유기 용매 주입구(113)로부터 주입되는 유기 용매(1)와, 그 하부에 물 주입구(114)로부터 주입되는 물(2)이 저장된다.
상기 반응부(100)의 내부 공간의 내벽에는, 유기 용매(1)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 1수위 측정기(2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수위 측정기(210) 하부에 위치되도록 반응부(100)의 내부 공간의 내벽에는, 물(2)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 2수위 측정기(220)가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2수위 측정기(210,220)를 통해, 유기 용매(1)와 물(2)의 수위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물 공급부 및 유기 용매 공급부를 통해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유기 용매 재처리부(200)는 반응부(100)에 연결되고, 상기 유기 용매(1)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설정된 농도인 저농도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물 처리부(300)는 반응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물(2)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를 설정된 저농도로 유지하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반응부(100)는, 상기 반응부(100)의 내부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물과 금속이 만나 반응 후 발생하는 수소는 공기 중의 산소와 폭발적으로 반응하므로 반응부(100)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응부(100)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부(100)에 진공 형성부(400)를 연결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 및 방법은 일반 선박을 비롯한, 잠수함과 같은 특수함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은 펠릿 형성 단계 -> 반응 단계 -> 유기 용매 재처리 단계 -> 물 처리 단계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상기 펠릿 형성 단계에서는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고체 상의 펠릿을 형성한다.
즉, 금속 분말을 유기물과 설정된 비율로 믹싱한다. 이어, 믹싱된 금속 분말을 유기물을 고체 상으로 형성한 이후, 설정된 형상을 이루도록 가공하여 상기 펠릿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펠릿이 형성된 이후, 반응 단계에서는 상기 펠릿을 유기 용매 및 물이 저장되는 반응부(100)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고, 상기 유기 용매(1) 및 상기 물(2)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어, 유기 용매 재처리 단계에서는 반응부(100)에 연결되는 유기 용매 재처리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용매(1)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기 용매를 재처리한다.
그리고, 물 처리 단계에서는 반응부(100)에 연결되는 물 처리부(300)를 사용하여, 상기 물(2)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를 설정된 농도로 유지한다.
다음은, 상기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금속 분말을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며 유기용매에 잘 녹는 유기물에 일정 비율로 섞어 반죽을 한 이후, 고체 상으로 굳혀 이를 다시 펠릿으로 가공한다.
이는 보관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사용하여, 소수성(疏水性) 유기 용매와 물이 섞인 반응부에 원하는 양만큼 넣어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유기 용매(2)는 물(1)보다 밀도가 작으면서, 펠릿을 이루는 유기물을 잘 녹이고, 펠릿에 섞인 금속과 반응하지 않으며, 물에는 녹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끓는점이 펠릿을 이루는 유기물보다 낮은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펠릿이 반응부(100)에 들어가면 먼저 유기 용매(1)와 만나 유기물이 유기 용매에 녹아 들어가면서 펠릿 안에 있던 금속 분말이 해리된다.
상기 해리된 금속 분말은 중력에 이끌려 물과 만나게 되고 금속 이온이 물(2)과 반응하면서 수소가 발생한다.
상기 펠릿은 금속 분말과 유기물 사이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펠릿 1개당 수소 발생량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기 용매(2)에 녹을 수 있는 유기물의 양은 유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응부(100) 안의 물 역시 금속과 반응할 수 있는 양 역시 유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응부(100) 내의 유기 용매(1)와 물(2)은 연속적으로 재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물과 섞이지 않고 물 위에 떠 있는 유기 용매 중 일부를 따로 모아 끓여 유기 용매를 회수하고, 이를 다시 반응로 안으로 넣어주는 방식을 통해 유기 용매 내에 녹아 있는 유기물의 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응로(100) 안의 물을 일부 반응로 외부 재처리 장치로 모으고 이를 가열하여 석출되는 금속 수화물을 따로 모으고 물은 회수하여 반응로 안으로 다시 넣어 줄 수 있다.
이상, 상기의 구성 및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금속 분말을 유기물에 섞어 고체로 형성한 이후에, 필요한 경우에, 이를 일정량을 소수성 유기용매에 녹여 금속 분말을 재추출하고 물에 반응시켜 원하는 양의 수소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펠릿의 개수를 통해 필요한 수소의 양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펠릿 내부의 금속 이온이 쉽게 산화하지 않아 보관이 편리하고 펠릿이 물과 닿더라도 겉을 싸고 있는 금속 분말이 물과 쉽게 반응할 수 없어 안전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반응부
200 : 유기 용매 재처리부
300 ; 물 처리부
400 : 진공 형성부

Claims (10)

  1. 내부 공간에 유기 용매 및 물이 저장되며,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고체 상의 펠릿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어 상기 유기 용매 및 상기 물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기 용매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유기 용매를 재처리하는 유기 용매 재처리부; 및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를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는 물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상기 반응부의 내부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기 용매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 1수위 측정기와,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 2수위 측정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은,
    금속 분말과, 유기물이 설정된 비율로 믹싱하여 고체 상으로 굳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가스는,
    투입되는 상기 펠릿의 개수에 따라 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6.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고체 상의 펠릿을 형성하는 펠릿 형성 단계;
    상기 펠릿을 물과 함께 상기 물보다 밀도가 작고 소수성이어서 상기 물의 상부에 분리된 층을 이루며 상기 펠릿에 포함된 유기물만을 녹일 수 있는 유기 용매가 저장되는 반응부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고, 상기 유기 용매 및 상기 물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반응 단계;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는 유기 용매 재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용매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기 용매를 재처리하는 유기 용매 재처리 단계; 및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는 물 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물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를 설정된 농도로 유지하는 물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단계는,
    상기 반응부와 연결되는 진공 형성부를 사용하여, 상기 반응부의 상기 내부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의 내부에서,
    제 1수위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용매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 2수위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형성 단계에서,
    금속 분말을 유기물과 설정된 비율로 믹싱하고,
    믹싱된 금속 분말을 유기물을 고체 상으로 형성하고,
    설정된 형상을 이루도록 가공하여 상기 펠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펠릿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KR1020150177993A 2015-12-14 2015-12-14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KR10172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93A KR101726960B1 (ko) 2015-12-14 2015-12-14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93A KR101726960B1 (ko) 2015-12-14 2015-12-14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960B1 true KR101726960B1 (ko) 2017-04-26

Family

ID=5870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993A KR101726960B1 (ko) 2015-12-14 2015-12-14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9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61A (ko) 2019-07-24 2021-02-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선박의 수소 생산 장치 및 수소 생산 방법
KR20210071190A (ko) 2019-12-05 2021-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를 이용한 수소발생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91B1 (ko) 2005-01-07 2008-06-11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수소발생재료, 수소의 제조장치 및 연료전지
JP2010195658A (ja) 2009-02-27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水素ガス発生装置
JP2013501698A (ja) 2009-08-12 2013-01-17 ソシエテ ビック マグネシウムおよび珪素を含む組成物を用いた水素生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91B1 (ko) 2005-01-07 2008-06-11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수소발생재료, 수소의 제조장치 및 연료전지
JP2010195658A (ja) 2009-02-27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水素ガス発生装置
JP2013501698A (ja) 2009-08-12 2013-01-17 ソシエテ ビック マグネシウムおよび珪素を含む組成物を用いた水素生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61A (ko) 2019-07-24 2021-02-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선박의 수소 생산 장치 및 수소 생산 방법
KR20210071190A (ko) 2019-12-05 2021-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를 이용한 수소발생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iemann et al. A review on lithium combustion
Huang et al. Preparation of Al-Ga-In-Sn-Bi quinary alloy and its hydrogen production via water splitting
Yu et al. Advanced preparation and processing techniques for high energy fuel AlH3
KR20170100027A (ko) 용융 핵연료 염과, 관련된 시스템 및 방법
CN110741444A (zh) 熔盐反应堆
KR101726960B1 (ko) 선박용 수소 발생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소 발생 방법
Huang et al. Analysis of the aluminum reaction efficiency in a hydro-reactive fuel propellant used for a water ramjet
Hong et al. Rate enhancement of hydrogen generation through the reaction of magnesium hydride with water by MgO addition and ball milling
Huang et al. Study of different Al/Mg powders in hydroreactive fuel propellant used for water ramjet
Li et al. Production of an Mg/Mg2Ni lamellar composite for generating H2 and the recycling of the post-H2 generation residue to nickel powder
Desigan et al. Dissolution of nuclear materials in aqueous acid solutions
Uchiyama et al. Catalyze hydrolysis reaction for hydrogen generation by Mg/Mg2Ca nanolamellar structure in Mg–Ca alloys
Chao et al. Reaction of magnesium hydride with water to produce hydrogen
Nizovskii et al. Material for compact hydrogen cartridges based on commercial aluminium alloys activated by Ga-in eutectics
Brack et al. Synthesis of activated ferrosilicon-based microcomposites by ball milling and their hydrogen generation properties
KR20140072602A (ko) 중성의 염화나트륨 수용액 가수분해 반응으로부터 고속 수소생산을 위한 마그네슘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001118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hydrogen and system for producing power
US9837175B2 (en) Method for chemically stabilizing uranium carbide compounds,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2069558A (ja) 水素発生用燃料及び水素発生装置及び水素発生方法
Chervyakov et al. Oxidative dissolution of triuranium octoxide in carbonate solutions
Fuelling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Solubility of Metallic Magnesium in Molten MgCl2-KCl-NaCl
KalaThirumalaikumaran et al. Mini-channel two phase flow of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with silver catalyst
Wang et al. The thermal stability of fluorine modified and nickel modified aluminum-based active fuel
Kozin et al. Kinetics and mechanism of interaction of aluminum and magnesium of Al-Mg-Bi ternary system with water
JPS60224098A (ja) 酸化プルトニウムおよび、または酸化ネプツニウムの溶解方法と溶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