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409B1 -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409B1
KR101726409B1 KR1020160004023A KR20160004023A KR101726409B1 KR 101726409 B1 KR101726409 B1 KR 101726409B1 KR 1020160004023 A KR1020160004023 A KR 1020160004023A KR 20160004023 A KR20160004023 A KR 20160004023A KR 101726409 B1 KR101726409 B1 KR 10172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ies
terminal
por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충희
Original Assignee
한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충희 filed Critical 한충희
Priority to KR102016000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02J7/00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그룹을 전원으로 이용하고, 배터리 그룹의 배터리 각각을 개별적으로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용량 감소, 부피증가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은 회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브릿지에 의해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고,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 그룹; 및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을 연결하는 배선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Mobile device including battery}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그룹을 전원으로 이용하고, 배터리 그룹의 배터리 각각을 개별적으로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용량 감소, 부피증가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과 같은 소형 단말장치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단말장치들은 고속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보급으로 인해 활용도가 높아졌으며, 소형 단말장치들에 요구되는 사항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을 위한 무선네트워크, 와이파이를 통한 유무선 네트워크와 같이 사용자들이 이동중에도 네트워킹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항시 이용할 수 있는 소형 단말장치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외에도 소형 단말장치를 통해, 게임, 업무, 독서, 영상의 감상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성능의 단말장치들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고성능, 대화면의 단말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은 휴대할 수 있게 제작되기 때문에 대부분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고성능, 대화면과 같은 기기적 성능 유지를 위해 대용량의 배터리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량이 많은 소형 단말장치의 경우 배터리 소모가 극심하여 잦은 충전이 필요한 실정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 배터리를 소지하여 이용하는 실정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자주 충전하여 이용하고는 있으나, 배터리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불편함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고자 무선 충전을 통해 잦은 충전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 보급되었으나, 충전시간을 감소시키지는 못하는 실정이며, 근본적인 문제 해결책은 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106909(공개일 2004.12.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그룹을 전원으로 이용하고, 배터리 그룹의 배터리 각각을 개별적으로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용량 감소, 부피증가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은 회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브릿지에 의해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고,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 그룹; 및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을 연결하는 배선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그룹의 상기 배터리를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선의 연결 및 절체를 위한 스위치가 상기 배선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는 분기회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상기 배선 각각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연결되는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전극이 제1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전극이 상기 제1면과 다른 상기 단자 제2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는 외부전원단자와의 결합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외부전원단자의 제1장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외부전원단자의 상기 제1장치 전극과 별도로 구성되는 제2장치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장치는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그룹을 전원으로 이용하고, 배터리 그룹의 배터리 각각을 개별적으로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용량 감소, 부피증가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충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전원 공급을 위한 브릿지의 배선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충전을 위한 배선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포트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장치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단말본체(10)와 본체(10)에 탈부착되는 복수의 배터리(21, 22)로 구성되는 배터리그룹(20), 배터리(21, 22)의 상호 연결하고 배터리와 본체(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24) 및 배터리그룹(20)과 외부 충전장치(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충전포트(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본체(10)는 배터리그룹(20)의 탈부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탈부착된 배터리그룹(20)을 고정함과 아울러, 배터리그룹(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본체(10)는 전면에는 표시부(미도시), 입력부(미도시), 내부에 회로부가 구성된다. 이 단말본체(10)의 배면에는 배터리그룹(2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본체(10)의 배면을 덮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말본체(10)에는 결합된 배터리그룹(20)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원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25)가 마련된다. 그리고, 단말본체(10)와 배터리그룹(20)의 전기적 연결, 포트(25)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브릿지(24)가 마련된다.
배터리그룹(20)은 복수의 배터리(21, 22)가 브릿지(24)에 의해 직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각각의 배터리그룹(20)이 단말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브릿지(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단말본체(10)에 결합된 배터리들(21, 22)는 상호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그룹(20)은 동일한 전압을 출력하는 같은 단자전압을 가지는 배터리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터리그룹(20)이 단말본체(10)에 결합되면, 배터리그룹(20)은 브릿지(24)에 의해 단말본체(10)에 구성되는 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충전된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배터리 그룹(20)의 각 배터리(21, 22)는 각각 외부 충전장치와 연결되어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배터리 그룹(20)의 각 배터리(21, 22)는 브릿지(24)에 의해 포트(25)에 각각 연결되거나, 브릿지(24)를 경유하지 않고 각각의 배선(27)이 구성되어 포트(2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배터리(21, 22)는 서로 독립된 배선(27)에 의해 외부충전장치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 그룹(20)은 본체(10)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각각의 배터리(21, 22)는 브릿지(24)에 의해 하나의 배터리팩과 같이 본체(10)의 회로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본체(10)에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그룹(20)의 각 배터리(21, 22)는 같은 출력 단자전압을 가지는 배터리(21, 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21, 22)는 브릿지(24)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된 단말장치와 동일하게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반면, 충전시에는 각각 독립된 선로를 통해 각각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력 공급은 병렬로 연결되어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하여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된 경우와 유사하지만, 전력의 충전시는 배터리(21, 22)가 각각 별도로 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체(10)에는 각 배터리(21, 22)와 각각 연결되기 위한 포트(25)가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포트(25)를 분기시켜 독립된 배선(27)을 통해 배터리(21, 22)에 전력이 분리되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브릿지(24)는 회로의 연결을 위한 스위칭 소자, 단자 및 배선(27)으로 구성되어, 본체(10)에 전원공급시 배터리그룹(20)의 배터리(21, 22)들을 병렬로 연결하고,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그룹(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본체(10)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브릿지(24)는 다수의 배터리(21, 22)로 구성된 배터리그룹(20)을 하나의 전원으로 구성되게 한다. 또한, 배터리그룹(21, 22)의 충전시에는 각각의 배터리(21, 22)와 포트(25) 사이에 독립적인 배선(27)을 제공하여 배터리그룹(20)의 배터리(21, 22)들이 외부 전원에 의해 각각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 배터리(21, 22)들의 충전을 위한 배선(27)에는 스위칭소자가 연결될 수 있으며, 각 배터리(21, 22)의 충전상태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배터리(21, 22)별로 외부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스위칭 소자의 제어신호는 본체(10)의 회로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릿지(24)는 배터리(21, 22)에 구성되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포트(25)는 외부 전원장치와 배터리(21, 22)를 중계하여 외부 전원장치로부터의 전원이 배터리(21, 22) 각각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포트(25)는 마이크로 USB 5핀 포트와 같이 공용화된 포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배터리(21, 22)별로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포트(25)는 외부전원장치와 하나의 단자부에 의해 연결되고, 이를 분기하는 분기회로에 의해 각 배터리와 연결되는 배선(27)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포트(25)의 단자 형태를 변형하여 각 배터리(21, 22)와 연결되는 배선(27)에 동시에 접속되어 각 배선(27)을 통해 배터리(21, 22)별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브릿지와 배터리의 배선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 도 2는 전원 공급을 위한 브릿지의 배선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충전을 위한 배선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그룹(20)은 복수의 배터리(21, 22)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은 각각의 배터리(21, 22)가 외부전원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충전과 방전을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당업자라면 충방전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회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를 참조하면, 배터리(21, 22)에는 출력단자들(+,-, N)이 구성되는 보호회로부(23a, 23b)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21, 22)는 니켈카드뮴(Ni-Cd), 리튬이온(Li+), 산화철(Fe)와 같은 금속물질을 이용한 배터리(21, 22)나 이의 등가 배터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과전류, 발열에 의한 손상을 보호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보호회로부(23 : 23a, 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보회회로부(23a, 23b)는 배터리(21, 22)의 충방전시, 과전류, 과열에 반응하여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본체(10) 또는 배터리(21, 22)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온도정보를 본체(10)의 보호회로(1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내부에는 배터리(21, 22)의 온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또는 소자가 보호회로(23) 내에 마련되며, 외부에 구성되는 N 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 N단자(N)는 브릿지(24a)의 회로 구성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구성되는 보호회로부(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N단자(N)로부터 출력되는 온도신호가 보호회로부(11)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브릿지(24a)는 본체(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위해 제1배터리(21)와 제2배터리(22)가 병렬연결되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병렬연결된 배터리들(21, 22)의 출력라인(29)을 본체(10)의 회로부(12)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브릿지(24a)는 제1배터리(21)의 부극성단자(-)를 서로 연결하고, 정극성단자(+)를 서로 연결하여 병렬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반면, 도 3을 참조하면, 브릿지(24b)는 충전을 위해 외부전원장치와 연결되는 독립된 배선(27 : 27a, 27b)를 제공한다. 이 독립된 배선(27) 중 제1배선(27a)은 제1배터리(21)의 정극성 단자(+)와 부극성단자(-)에 연결되고, 제2배선(27b)는 제2배터리(22)의 정극성 단자(+)와 부극성단자(-)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포트(25 : 25a, 25b)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각각의 배선(27)을 통해 제1배터리(21)와 제2배터리(22)에 각각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제1 배선(27a)과 제2배선(27b)에는 스위치(SW1, SW2)가 각각 구성되어, 제1배선(27a) 또는 제2배선(27b)에 연결된 배터리(21, 22)의 충전완료 또는 과열과 같은 손상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거나, 충전이 필요한 경우 회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SW1, SW2)의 제어신호는 회로부(12)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경우와 달리 배터리를 각각 구성하고 이들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전원공급시에는 하나의 배터리와 동일하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충전시에는 각 배터리를 독립적으로 충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하나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비해 큰 전력을 충전에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된 배터리를 각각 충전함으로써 짧은 시간 안에 충전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모바일 장치에 흔히 쓰이는 리튬이온, 니켈-카드뮬, 산화철 충전지의 경우 일정 전압, 일정 전류 이상을 공급하는 경우 과열 및 폭발이 발생될 수 있어, 충전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높은 전압, 큰 전류를 공급하기 곤란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체 용량을 배터리의 수에 따라 분할하여 충전하는 경우 높은 전압, 큰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더라도 빠른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배터리(21, 22) 별로 수명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소손된 또는 수명이 다한 배터리만 교체할 수 있어 배터리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4는 포트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종래의 충전포트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의 포트(25)는 외부전원장치의 단자부(40)와 끼움 결합됨으로써 단자부(40)에 구성되는 단자(41)의 전극(42)과, 포트(25)에 구성되는 단자(31)의 전극(32)이 상호 접촉하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포트(25)의 단자(31)와 충전을 위한 배선(27) 사이에 분기회로를 형성하고, 분기회로에 각각의 배터리(21, 22)와 연결되는 배선(27)을 구분하여 연결함으로써, 배터리(21, 22)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b)와 같이 각각의 배선(27a, 27b)이 각각 외부 전원장치의 전극과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포트(125)의 단자(131)의 양면에 각각 제1단자(132a), 제2단자(132b)를 대향하게 형성하고, 제1단자(132a)와 제2단자(132b)에 각각의 배선(27a, 27b)이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단자(132a, 132b)가 직접 제1 및 제2배터리(21, 22)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전원장치의 단자(140)도 포트(125)의 단자에 대응되도록 포트 제1단자(132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장치단자(141a) 및 제1장치전극(142a)와, 포트 제2단자(132b)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장치단자(141b) 및 제2장치전극(142b) 구비하도록 단자(14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140)가 포트(125)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제1단자(132a)와 제1장치전극(142a)이 접촉되고, 제2단자(132b)와 제2장치전극(142b)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하나의 배선 또는 단자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하나의 배선을 통해서는 충전이 가능하며, 단자가 하나인 경우에 비해 더 큰 전력을 용이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보호회로부
12 : 회로부 20 : 배터리 그룹
21, 22 : 배터리 23 : 보호회로
24 : 브릿지 25 : 포트
27 : 배선 31 : 포트단자
32 : 전극 41, 141 : 전원단자
42, 142 : 전원전극 40, 140 : 외부전원 단자

Claims (6)

  1. 회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브릿지에 의해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고, 외부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 그룹; 및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을 연결하는 배선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그룹의 상기 배터리를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되,
    전원 공급시에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가 병렬 연결되고,
    충전시에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가 각각 독립된 배선을 통해 상기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선의 연결 및 절체를 위한 스위치가 상기 배선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분기회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연결되는 배선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상기 배선 각각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연결되는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전극이 제1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전극이 제2면에 형성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외부전원단자와의 결합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외부전원단자의 제1장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외부전원단자의 상기 제1장치 전극과 별도로 구성되는 제2장치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60004023A 2016-01-13 2016-01-13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KR10172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23A KR101726409B1 (ko) 2016-01-13 2016-01-13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23A KR101726409B1 (ko) 2016-01-13 2016-01-13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409B1 true KR101726409B1 (ko) 2017-04-13

Family

ID=5857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023A KR101726409B1 (ko) 2016-01-13 2016-01-13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4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6909A1 (en) 2002-11-12 2004-06-03 Browning Robert L. Device for incontinence and method of use
KR20070000268A (ko) * 2005-06-27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 배터리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복수개 배터리 절환 제어 방법
KR100750197B1 (ko) * 2006-06-08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68380A (ko) * 2009-12-16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충전 제어 장치
KR20130133557A (ko) *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직렬 또는 병렬 전환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6909A1 (en) 2002-11-12 2004-06-03 Browning Robert L. Device for incontinence and method of use
KR20070000268A (ko) * 2005-06-27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 배터리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복수개 배터리 절환 제어 방법
KR100750197B1 (ko) * 2006-06-08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68380A (ko) * 2009-12-16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충전 제어 장치
KR20130133557A (ko) *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직렬 또는 병렬 전환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7742C (zh) 用于电子设备的备用电池装置及充电方法
US6404168B1 (en)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devices
JP6750445B2 (ja) 電池パック及び充電プラグ
CN101828317B (zh) 电池组件、及电池系统
US9537331B2 (en) Battery pack
JP4191781B1 (ja) 電池パック
US9643506B2 (en) Portable backup charger
WO2018143562A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 방법
CN103001275B (zh) 电池包、电子装置及电池包布置
US20080191662A1 (en) Charging/discharging apparatus
EP2239810A1 (en) Battery pack and secondary battery system
TW201105002A (en) Battery systems and operational methods
JP2010148223A (ja) カスケード電力供給装置
TWM346971U (en) Mobile power bank
US20090265570A1 (en) Battery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1789255U (zh) 电池组
JP2001169470A (ja) 緊急補助充電装置
CN104756281A (zh) 电池组和用于控制电池组的充电的方法
CN103166251B (zh) 备用电池充电电路
KR101726409B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CN211018382U (zh) 用于移动终端的多电源供电的切换装置
JP6932607B2 (ja) 直流給電システム
CN210467933U (zh) 一种双路输出充电电池
CN208723568U (zh) 一种锂电池组充放电保护装置
KR102331063B1 (ko)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