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050B1 -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 Google Patents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050B1
KR101726050B1 KR1020150085245A KR20150085245A KR101726050B1 KR 101726050 B1 KR101726050 B1 KR 101726050B1 KR 1020150085245 A KR1020150085245 A KR 1020150085245A KR 20150085245 A KR20150085245 A KR 20150085245A KR 101726050 B1 KR101726050 B1 KR 101726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opening
decaying
tune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328A (ko
Inventor
한상환
오승보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05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4B1/98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동조액체감쇠장치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에 채워져 진동을 흡수하는 질량체로서의 액체를 포함하는 동조액체감쇠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이 구조물의 각각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DISTURBED TUNED LIQUID DAMPER}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분산형 동조 액체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이나 바람, 기계장비 등에 의한 건축 구조물의 움직임에 따라, 2개 이상의 층에 분산설치 된 액체가 각기 다르게 출렁이며, 건축 구조물의 진동 감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조 액체 감쇠기 (Tuned Liquid Damper)는 경계층(Boundary Layer)안 액체의 마찰로 에너지를 소산(dissipation)하여 진동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댐퍼로서 얕은 물 이론(Shallow??water theory)에 근거한다. 경계층은 액체의 점성, 속도, 거리와 관련 있는 것으로 수조 본체의 재질과는 무관하다. 동조 액체 감쇠기 는 철골 혹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공동주택, 주상복합건물 등에 적용된다.
건축 구조물 높이의 증가는 건물의 유연성 증가로 인한 구조적 감쇠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지진이나 바람 등의 횡력에 의해 건물에 수평 진동이 발생하며, 건물의 상층부로 갈수록 진동이 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구토 및 어지럼 증상 등의 불쾌감 유발과 신뢰성 및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건물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댐퍼(Damper)를 설치한다. 댐퍼는 질량체의 관성력에 의한 힘을 이용해 건물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질량형 댐퍼(Tuned Mass Damper, TMD)와, 액체의 출렁임을 이용해 건물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형 댐퍼(Tuned Liquid Damper, TLD)로 구분된다. 질량형 댐퍼는, 스프링의 강성을 조절하여 구조물의 주기에 동조시키는 것으로 추가적인 부가 설비가 필요하며, 액체형 댐퍼는 수조 본체 내의 액체 수위를 조절하여 건물의 주기에 동조시키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액체형 댐퍼는 구조물의 고유 주기와 액체형 댐퍼 안 액체의 고유 주기를 일치시키고 이를 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이다. 이는 건축물 내진 보강 및 진동 제어에 활용된다.
한국 공개 특허 2014??0004938호에서는 진동 감쇠율 조절이 가능한 액체형 댐퍼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액체형 댐퍼는 최상층에 집약하여 설치하여 구조물의 진동 시 제진 유체가 수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진동을 감쇠시킨다. 이러한 집약된 액체형 댐퍼는 설치 공간에 제약이 따르므로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조하중에만 효과를 발휘하고 지진과 같은 가속도의 형태가 복잡한 하중에 대해서는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수조 본체가 수용되어 구조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이 구조물의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되어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조액체감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건물의 고유 주기와 동조액체감쇠유닛의 고유 주기를 불일치 시킴과 동시에, 각 층에 분산된 동조액체감쇠유닛이 서로 다른 고유 주기를 갖도록 하여 각기 다른 거동을 보이게 함으로써 마찰력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여,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조액체감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조액체감쇠장치는 수조 본체 에 수용되어 구조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를 포함하는 동조액체감쇠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이 구조물의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슬라브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으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구가 상기 슬라브에 구비되고, 상기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조절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건물의 보와 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을 상기 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수조 본체 내부 공간은 격자 무늬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개구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들의 액체는 상호간 소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요소를 더 포함하고, 개폐요소에 의해 수조 본체 내부 공간들에는 다른 높이의 액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조액체감쇠장치는, 수조 본체 및 상기 수조 본체에 수용되어 구조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를 포함하는 동조액체감쇠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서로 다른 고유 주기를 가짐으로써 각기 다른 거동을 보이게 함으로써 마찰력을 유지하여 상기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의 고유 주기는 상기 동조액체감쇠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의 고유 주기와 불일치 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구조물의 각 층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슬라브 하부 또는 보와 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수조 본체 및 수조 본체에 수용되어 구조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이 구조물의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되어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조액체감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의 고유 주기와 동조액체감쇠유닛의 고유 주기를 불일치 시킴과 동시에, 각 층에 분산된 동조액체감쇠유닛이 서로 다른 고유 주기를 갖도록 하여 각기 다른 거동을 보이게 함으로써, 마찰력을 유지해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조액체감쇠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의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된 동조액체감쇠유닛을 포함하는 동조액체감쇠장치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동조액체감쇠유닛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슬라브 하부에 설치된 동조액체감쇠유닛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4, 5 및 6은 10층 모델 건물에 대한 동조액체감쇠장치 설치 전과 후의 지반운동에 대한 층 변위를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양상(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각각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된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을 포함하는 동조액체감쇠장치(100)를 나타내고,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B)의 슬라브 하부에 설치된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4, 5 및 6은 10층 모델 건물(B)에 대한 동조액체감쇠장치(100) 설치 전과 후의 지반운동에 대한 층 변위를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한 것이다.
도1, 2 및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조액체감쇠장치(100)는 수조 본체(111) 및 상기 수조 본체(111)에 수용되어 구조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L)를 포함하는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을 포함하고,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이 구조물의 각각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되어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은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안의 액체(L)가 진동으로 인한 출렁임이 발생할 때, 액체(L)안의 경계층(Boundary Layer)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진동 에너지를 소산하는 기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을 포함하는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는 건물(B)의 최상층을 새로 만들어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B)의 전 층에 분포시키는 것이다.
그에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는 건물(B)에 장착이 쉽고, 층고나 건물(B)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 풍하중 및 지진 하중에 대비하여 설계가 되지 않은 노후 건물(B)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내풍 및 내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B)일 수 있고, 일 실시예의 동조액체감쇠장치(100)의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은 상기 건물(B)의 각 층의 보와 보 사이의 공간 또는 슬라브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이 건물(B)의 각 층의 내벽 상 측 등 기타 다른 여유 공간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은 격벽(112)을 포함하여, 격벽(112)에 의해 내부 공간이 격자 무늬로 구획될 수 있으며, 격벽(112)의 하부에는 개구(113)가 구비되어 내부 공간들의 액체(L)가 상호간 소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조액체감쇠유닛(110)에 액체(L)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구(114)가 슬라브에 구비될 수 있고, 액체(L)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조절 센서(115) 및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을 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수조 본체(111)는 내부에 액체(L)를 수용할 수 있고, 수조 본체(111)는 구조물 내부 상 측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FRP)) 또는 콘크리트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수조 본체(111)에 수용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L)로는 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비중이나 점도로 설정된 카올린 점토,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등의 가중재나 벤토나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등의 점성 증가재가 첨가된 겹흙탕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조 본체(11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112)이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이 격자 무늬로 구획되어 복수 개의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를 형성하는 것은, 통상의 건물(B) 고유 진동수는 액체(L)의 질량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하므로, 복수 개의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를 구성하여 각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에 액체(L)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건물(B)의 1차 고유 진동뿐만 아니라 2차 이상의 고유 진동에 대한 감쇠 효과를 기대하기 위함이다. 액체(L)의 고유 주기를 조절하여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어 그 진동 감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2를 참조한 경우 수조 본체(111)는 격벽(112)에 의하여 8개의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로 구획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조 본체(111)는 격벽(112)에 의하여 임의의 수의 수조로 구획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격벽(112)에는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수조 본체(111) 내에 수용된 액체(L)는 격벽(112)으로 구획된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에 수용된 액체(L)의 높이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수조의 액체(L)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하나의 수조와 같이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수조(1111), 제2수조(1112), 제3수조(1113), 제4수조(1114)에 수용된 액체(L)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제5수조(1115), 제6수조(1116), 제7수조(1117), 제8수조(1118)에 수용된 액체(L)의 높이들과는 각각 다르게 조절한 경우, 제1수조(1111), 제2수조(1112), 제3수조(1113), 제4수조(1114)는 하나의 수조로서 제5수조(1115), 제6수조(1116), 제7수조(1117), 제8수조(1118)와 구별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개구(1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개폐요소에 의해 수조 본체(111) 내부 공간들에는 다른 높이의 액체(L)가 수용될 수 있다. 개폐 요소로는 도어(door) 또는 밸브(valv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른 설비에 의하여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액체(L)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조절 센서(115)에 의하여 수시로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에 수용된 액체(L)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수조(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에 수용된 액체(L)의 양을 일정하게 하여 원하는 저감 효과가 언제든 발현될 수 있도록 수위 조절 센서(115)를 통하여 액체(L)의 양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액체(L)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동조액체감쇠유닛(110)에 액체(L)를 공급하기 위해 슬라브에 구비된 취수구(114)를 통하여 액체(L)를 공급함으로써 액체(L)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은 고정 요소(116)를 통해 건물(B)의 보 또는 슬라브에 고정 설치 될 수 있다. 고정용 철물 또는 캐미컬 앵커(chemical anchor) 등이 고정 요소(116)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른 설비에 의하여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이 건물(B)의 보 또는 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조액체감쇠장치(100)는,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이 구조물의 각각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고유 주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이 다른 거동을 보이게 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마찰력을 유지하여 구조물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지진력 또는 진동에 효율적으로 대처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에 의해 단조 주파수 진동뿐만 아니라 광대역 주파수 진동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의 고유 주기를 상기 동조액체감쇠장치(100)가 설치된 구조물의 고유 주기와 불일치 시킴으로써 보다 더 효과적으로 구조물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지진력 또는 진동에 효율적으로 대처 할 수 있다.
건물(B)의 고유 주기와 동조액체감쇠장치(100)의 고유 주기를 불일치 시킴과 동시에, 각 층에 분산된 동조액체감쇠유닛(110)이 각기 다른 거동을 보이게 함으로써 일정수준 이상의 마찰력을 유지하여, 지진력이나 진동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4, 5 및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를 고층 건물(B)에 분산 설치하였을 때의 배치 상태에 따른 효과를 알 수 있다.
도4의 (a)에는 10층 건물(B)에 동조액체감쇠장치를 미설치한 경우가 나타나고, 도4의 (b)는 상기와 같은 경우 지반운동에 대한 건물(B)의 각 층의 변위를 나타낸다.
도5의 (a)에는 10층 건물(B)의 최상부에만 동조액체댐퍼(10)를 설치한 경우가 나타나고, 도5의 (b)는 상기와 같은 경우 지반운동에 대한 건물(B)의 각 층의 변위를 나타낸다.
도6의 (a)에는 10층 건물(B)의 각 층에 분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를 설치한 경우가 나타나고, 도6의 (b)는 상기와 같은 경우 지반운동에 대한 건물(B)의 각 층의 변위를 나타낸다.
상기 실험에서, 건물(B)에 동조액체감쇠장치를 미설치한 경우 건물(B)의 최고층부의 지반운동에 대한 변위는 도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8.26cm이나, 건물(B)의 최상부에만 동조액체댐퍼(10)를 설치한 경우 건물(B)의 최고층부의 지반운동에 대한 변위는 도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8.13cm이다. 따라서, 건물(B)의 최고층부에만 동조액체댐퍼(10)를 설치한 경우 건물(B)에 동조액체감쇠장치를 미설치한 경우에 비해 지반운동에 의한 건물(B)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건물(B)의 각 층에 분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를 설치한 경우 건물(B)의 최고층부의 지반운동에 대한 변위는 도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6.89cm이다. 따라서, 이 경우 동조액체감쇠장치를 미설치한 경우에 비해 지반운동에 의한 건물(B)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건물(B)의 최고층부에만 동조액체댐퍼(10)를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도 훨씬 효과적으로 지반운동에 의한 건물(B)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건물(B)의 각 층에 분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를 설치한 경우 건물(B)의 모든 층의 지반운동에 대한 변위가, 동조액체감쇠장치를 미설치한 경우 또는 동조액체댐퍼(10)를 건물(B)의 최상부에만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줄어듬을 도6의 (b)를 통하여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도6의 (a)에 나타난바와 같이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100)을 설치한 경우, 광대역 진동 원인인 지반운동에 대하여 미설치 또는 건물(B) 최상부에만 동조액체댐퍼(10)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진동 저감효과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110 : 동조액체감쇠유닛
111 : 수조 본체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 수조
112 : 격벽
113 : 개구
114 : 취수구
115 : 수위 조절 센서
116 : 고정 요소

Claims (11)

  1. 동조액체감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수조 본체; 및
    상기 수조 본체에 수용되어 구조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
    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이 상기 구조물의 다른 높이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키고,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수조 본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구획된 상기 내부 공간들에 수용된 액체가 상호간 소통되도록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경우, 상기 내부 공간들에 수용된 액체는 다른 높이로 상기 수조 본체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내부 공간들에 수용된 액체는 같은 높이로 상기 수조 본체에 수용될 수 있는, 동조액체감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슬라브 하부에 구비되는, 동조액체감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으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구가 상기 슬라브에 구비되고, 상기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조절 센서가 구비되는, 동조액체감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건물의 보와 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동조액체감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을 상기 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를 더 포함하는, 동조액체감쇠장치.
  6. 삭제
  7. 삭제
  8. 동조액체감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수조 본체; 및
    상기 수조 본체에 수용되어 구조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액체;
    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서로 다른 고유 주기를 가짐으로써 각기 다른 거동을 보이게 함으로써 마찰력을 유지하여 상기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키며,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수조 본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구획된 상기 내부 공간들에 수용된 액체가 상호간 소통되도록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경우, 상기 내부 공간들에 수용된 액체는 다른 높이로 상기 수조 본체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내부 공간들에 수용된 액체는 같은 높이로 상기 수조 본체에 수용될 수 있는, 동조액체감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의 고유 주기는 상기 동조액체감쇠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의 고유 주기와 불일치하는, 동조액체감쇠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이고,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구조물의 각 층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에 발생되는 횡진동을 저감시키는, 동조액체감쇠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동조액체감쇠유닛은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슬라브 하부 또는 보와 보 사이에 배치되는, 동조액체감쇠장치.
KR1020150085245A 2015-06-16 2015-06-16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KR101726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45A KR101726050B1 (ko) 2015-06-16 2015-06-16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45A KR101726050B1 (ko) 2015-06-16 2015-06-16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28A KR20160148328A (ko) 2016-12-26
KR101726050B1 true KR101726050B1 (ko) 2017-04-12

Family

ID=5773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45A KR101726050B1 (ko) 2015-06-16 2015-06-16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3795A (zh) * 2018-01-02 2018-06-22 广东省建筑科学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建筑结构减振控制的主动伺服格栅阻尼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2306A (zh) * 2018-01-02 2018-06-29 广东省建筑科学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建筑结构的分隔布局耗能减振阻尼装置
CN112878526B (zh) * 2021-01-26 2022-06-17 青岛国信海天中心建设有限公司 一种调谐液态阻尼系统及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9232B2 (ja) * 1988-06-09 1998-03-18 清水建設株式会社 構造物の振動抑制装置
JPH02120472A (ja) * 1988-10-28 1990-05-08 Asahi Chem Ind Co Ltd 床または屋根と一体化した中低層建築用振動抑制装置
JPH08128225A (ja) * 1994-10-28 1996-05-21 Shimizu Corp 二重架構式構造物
KR20120058821A (ko) * 2010-11-30 2012-06-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구조물용 액체 기둥 진동 흡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3795A (zh) * 2018-01-02 2018-06-22 广东省建筑科学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建筑结构减振控制的主动伺服格栅阻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28A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050B1 (ko) 분산형 동조액체감쇠장치
CN104005492A (zh) 流砂型混合消能减震阻尼装置
KR100823625B1 (ko) 동조 질량-유체 복합감쇠기
CN109826334A (zh) 一种圆柱形调谐液柱阻尼器
KR101824318B1 (ko) 광대역 건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동조액체감쇠기 삽입형 중공슬래브 및 이에 포함되는 중공부재
KR101557700B1 (ko) 진동수 및 감쇠 조절이 가능한 건축 구조물의 양방향 액체 댐핑 장치
KR101574200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격벽식 분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27742B1 (ko) 비내력벽용 액체 댐핑 장치
KR102332393B1 (ko) 주상복합 건축물의 동조 액체 감쇠기
KR200494920Y1 (ko) 건물 내진 성능 보강용 액체댐퍼조립체
Nanda Application of tuned liquid damper for controlling structural vibration
RU2013113693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20130700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20130697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657484C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со стенами блоч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RU2018105955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19141442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18110137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19128826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19139600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20130169A (ru) Малошу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ейсмостойких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зданий
RU2018109065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18106814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2018110542A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KR20140004938A (ko) 건축 구조물의 능동형 액체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