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716B1 - 스프링 탄성밴드 - Google Patents

스프링 탄성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716B1
KR101725716B1 KR1020160010956A KR20160010956A KR101725716B1 KR 101725716 B1 KR101725716 B1 KR 101725716B1 KR 1020160010956 A KR1020160010956 A KR 1020160010956A KR 20160010956 A KR20160010956 A KR 20160010956A KR 101725716 B1 KR101725716 B1 KR 10172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lood
spring
elastic band
hemost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민
성지현
박철우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A61F13/00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탄성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에 조임부가 형성되는 탄성밴드; 탄성밴드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제1 시트; 제1 시트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시트; 및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며, 압축부재는 조임부에 의해 탄성밴드가 지혈부위를 압박할 때,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에서 압축되고, 지혈부위를 향하여 팽창하여 제2 시트를 통하여 지혈부위를 압박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을 지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지혈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지혈부위에서 혈액이 출혈되는 것을 빠르게 방지하여 지혈함으로써 과다출혈과 불필요한 출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탄성밴드{Spring elastic band for hemostasis}
본 발명은 스프링 탄성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출혈부위를 지혈할 수 있는 스프링 탄성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야외 활동이 빈번해지면서 잦은 상처를 신속하게 보호하고자 일회용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밴드는 밴드본체의 중앙부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멸균거즈가 덧대어져 있다. 또한, 밴드본체의 양단부 일측면에는 점착재가 도포되어 보호테잎(이형필름)이 탈착가능하게 붙여져 있으며, 멸균거즈를 상처부위로 향하도록 하여 밴드본체의 양단을 피부에 고정함으로써 상처 등을 지혈할 수 있다. 그러나 일회용밴드는 작은 상처에 적합한 것으로서 수술이나 상처가 큰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지혈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술이나 상처가 큰 경우에는 출혈 부위를 손으로 직접 압박하거나, 출혈 부위 주변을 탄성력이 강한 도구를 이용하여 압박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의사나 간호사가 손으로 하는 압박의 경우에는, 환자 상황에 따라 30 분 이상을 압박해야 할 수 있다. 여자 간호사는 남자보다 힘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지혈을 위해 오랜 시간동안 압박을 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압의 세기가 중요하므로 전문지식이 있는 남자 의사가 지혈을 수행할 수 있으나, 지혈만을 위해서 오랜 시간 동안 남자의사가 시간을 소모한다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환자의 다른 상태를 살펴보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밴드 등을 이용하여 출혈 부위를 감고, 밴드의 탄성력에 의한 압력으로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하는 방식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강도조절이 어려워 사용이 쉽지 않아, 피가 통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환자가 밴드로 압박되는 부분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제기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454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혈용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454호에 개시되어 있는 지혈용 벨트는 하우징부재와 출혈부위를 감쌀 수 있는 제1 벨트부재와 제2 벨트부재를 구비하며, 하우징부재에는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한 가압부재가 설치되어, 가압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출혈부위를 직접 압박하는 지혈용 벨트이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454호에 개시되어 있는 지혈용 벨트는 상처의 위치에 따라서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혈부위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환부를 빠르게 지혈을 할 수 있는 스프링 탄성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는 양단에 조임부가 형성되는 탄성밴드; 탄성밴드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제1 시트; 제1 시트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시트; 및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며, 압축부재는 조임부에 의해 탄성밴드가 지혈부위를 압박할 때,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에서 압축되고, 지혈부위를 향하여 팽창하여 제2 시트를 통하여 지혈부위를 압박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을 지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시트는 지혈부위의 혈액을 흡수하는 혈액 흡수층과 혈액 흡수층의 배면에 결합되어 혈액 흡수층에서 흡수된 혈액을 케이스 내부로 전달하는 혈액 유도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혈액 흡수층은 지혈부위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을 구비하고, 오목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지혈부위의 혈액을 흡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탄성밴드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지혈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지혈부위에서 혈액이 출혈되는 것을 빠르게 방지하여 지혈함으로써 과다출혈과 불필요한 출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스프링의 압축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10)는 탄성밴드(100), 제1 시트(200), 제2 시트(300) 및 압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밴드(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양단부에 조임부(110)가 형성된다. 탄성밴드(100)는 신축성이 있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서 지혈부위를 압박하게 된다. 탄성밴드(100)의 양측 종단에는 형성되는 조임부(110)는 각각 숫 벨크로(거친 면)(111) 및 암 벨크로(부드러운 면)(112)가 부착되며, 암 벨크로(111)와 숫 벨크로(112)는 탄성밴드(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탄성밴드(100)는 지혈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지혈부위를 압박하는 강도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암 벨크로(111)는 숫 벨크로(112)보다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 벨크로(111)가 숫 벨크로(112)보다 길게 형성되면, 지혈부위를 감을 때, 암 벨크로(111)에 부착되는 숫 벨크로(112)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탄성밴드(100)의 탄성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시트(200)는 탄성밴드(100)의 일 영역에 결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 시트(200)는 탄성밴드(100)의 중앙에 배치되며, 열융착에 의해서 탄성밴드(1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시트(200)는 탄성밴드(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변형할 때 동일한 신축량을 유지하여 연결부위에서 응력의 불균형이 일어나 찢어지지 않도록 탄성밴드(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시트(300)는 제1 시트(200)에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시트(300)의 일측면은 지혈부위와 직접 맞닿는 부위로서 전면에는 혈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압축솜 또는 셀룰로오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의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압축솜의 전면에는 지혈부위를 소독할 수 있도록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소독약품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제2 시트(3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스프링(410)과 제2 시트(300) 사이에는 하중 전달판(330)이 구비될 수 있다. 하중 전달판(330)은 복수의 통공(331)이 형성되고, 스프링(420)이 압축되어 복원되는 하중을 제2 시트(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복수의 통공(331)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밴드(100)가 지혈부위를 감싸서 조일 때에, 압축부재(400)는 제1 시트(200) 및 제2 시트(300) 사이에서 압축되며, 다시 지혈부위를 향하여 팽창하고, 제2 시트(300)로 지혈부위를 압박하는 것으로서 스프링(410) 및 스프링(410)을 지지하는 케이스(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4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420) 내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케이스(420)와 함께 축방향을 따라 압축되거나 팽창된다. 케이스(420)는 스프링(410)을 지지하고 보호하면서 케이스(420) 내부에 혈액을 수용시키고, 혈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혈부위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탄성밴드(100)의 일측면과 압축부재(400)에 이형지(500)가 부착된다. 이형지(500)는 제1 이형지(510) 및 제2 이형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이형지(510)는 압축부재(400)와 탄성밴드(10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제2 이형지(520)는 탄성밴드(100)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사용전에 탄성밴드(100)와 압축부재(400)의 노출면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500)는 제1 이형지(510)와 제2 이형지(520)가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스프링의 압축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2 시트(300)는 지혈부위의 혈액을 흡수하는 혈액 흡수층(310), 혈액 흡수층(310)의 배면에 결합되어 혈액 흡수층(310)에서 흡수된 혈액을 케이스(420) 내부로 전달하는 혈액 유도층(320)과 혈액 유도층(320) 및 스프링(410)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410)에서 스프링(410)의 복원력이 혈액 흡수층(310)과 혈액 유도층(320)에 전달되는 역할을 하는 하중 전달판(330)을 포함하며, 혈액 유도층(320)과 혈액 유도층(320)은 전체적으로 지혈부위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혈액 흡수층(310)은 지혈부위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면에 엠보싱(311)이 형성된다. 엠보싱(311)은 지혈부위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지혈부위의 혈액을 흡수하기에 유리하다. 이때, 엠보싱(311)의 표면에는 소독층(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소독층은 지혈부위를 살균할 수 있는 소독제 성분이 포함된다.
혈액 유도층(320)은 혈액 흡수층(310)과 접촉하여 배치되고, 스프링(410)의 탄성방향을 향하여 복수의 혈액 유도홀(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혈액 흡수층(310)에 흡수된 혈액은 혈액 유도홀(321)을 따라 케이스(420)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혈액 유도층(320)은 곡면으로 형성된 판상의 탄성부재, 즉 판상의 탄성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혈액 유도층(320)이 판상의 탄성 스프링으로 형성되면, 스프링(4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혈액 유도층(320)을 압착함으로써 혈액 유도층(320)에 의해서 추가로 지혈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지혈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하중 전달판(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410)과 혈액 유도층(320)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410)의 복원력이 혈액 흡수층(310)과 혈액 유도층(320)에 전달되어 출혈부위의 지혈을 증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중 전달판(330)은 판면에 복수의 통공(331)을 통해서 혈액 유도층(320)으로 유도된 혈액이 케이스(420)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여 혈액 유도층(320에 흡수된 혈액의 흐름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중 전달판(330)은 스프링(310)의 복원력으로 인한 펀칭에 저항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는 하드 플레이트(hard plate)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부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410) 및 케이스(420)를 구비한다.
스프링(4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420)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압축되고 복원되면서, 제2 시트(300)에 가해지는 복원력으로 지혈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지혈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410)은 코일 스프링으로 설명하였으나,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원력에 의해서 제2 시트(300)를 압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420)는 자바라 형식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라바 형식의 주름이 형성되면, 양단부에 형성된 조임부가 서로 체결되고, 지혈부위를 압박하면서 케이스(420)는 축방향을 따라 스프링(410)과 함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420) 내부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혈액 유도층(320)으로부터 유입된 혈액을 수용하여 혈액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밴드(100) 및 압축부재(400)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케이스(420)의 양측 종단은 각각 제1 시트(200)와 혈액 유도층(320)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견고한 체결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420)는 탄성밴드(100)의 신장, 스프링(410)의 압축 및 복원에서도 제1 시트(200) 및 제2 시트(300)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프링 탄성밴드(10)는 탄성밴드(100)의 지혈부위를 향하는 면에 접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스프링 탄성밴드(10)는 일회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혈액 흡수층(310)은 지혈부위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면에 엠보싱(311)이 형성된다. 엠보싱(311)은 지혈부위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지혈부위의 혈액을 흡수하기에 유리하다. 이때, 엠보싱(311)의 표면에는 소독층(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소독층은 지혈부위를 살균할 수 있는 소독제 성분이 포함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탄성밴드 110 : 조임부
111 : 숫 벨크로 112 : 암 벨크로
200 : 제1 시트 300 : 제2 시트
310 : 혈액 흡수층 320 : 혈액 유도층
330 : 하중 전달판 400 : 압축부재
410 : 스프링 420 : 케이스

Claims (3)

  1. 양단에 조임부가 형성되는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재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임부에 의해 상기 탄성밴드가 지혈부위를 압박할 때,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서 압축되고, 지혈부위를 향하여 팽창하여 상기 제2 시트를 통하여 지혈부위를 압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압축방향을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제2 시트에서 유입되는 혈액을 수용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시트는,
    지혈부위의 혈액을 흡수하는 혈액 흡수층과 상기 혈액 흡수층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혈액 흡수층에서 흡수된 혈액을 상기 케이스 내부로 전달하는 혈액 유도홀을 구비하는 혈액 유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탄성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흡수층은,
    지혈부위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지혈부위의 혈액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탄성밴드.
KR1020160010956A 2016-01-28 2016-01-28 스프링 탄성밴드 KR10172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956A KR101725716B1 (ko) 2016-01-28 2016-01-28 스프링 탄성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956A KR101725716B1 (ko) 2016-01-28 2016-01-28 스프링 탄성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716B1 true KR101725716B1 (ko) 2017-04-11

Family

ID=5858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956A KR101725716B1 (ko) 2016-01-28 2016-01-28 스프링 탄성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7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690A (ja) * 1993-05-20 1994-11-29 Nichiban Co Ltd 動脈止血方法および動脈止血用具
JP2005246027A (ja) * 2004-02-05 2005-09-15 Tomoe Shirai 止血用絆創膏
JP2006218109A (ja) * 2005-02-10 2006-08-24 Aso Seiyaku Kk 止血用貼付材
JP2008307301A (ja) * 2007-06-15 2008-12-25 Takura Hotai Kogyo Kk 止血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690A (ja) * 1993-05-20 1994-11-29 Nichiban Co Ltd 動脈止血方法および動脈止血用具
JP2005246027A (ja) * 2004-02-05 2005-09-15 Tomoe Shirai 止血用絆創膏
JP2006218109A (ja) * 2005-02-10 2006-08-24 Aso Seiyaku Kk 止血用貼付材
JP2008307301A (ja) * 2007-06-15 2008-12-25 Takura Hotai Kogyo Kk 止血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137A (en) Pliable and resilient sealing pad
US7658720B2 (en) Orthopedic appliance with moisture management system
WO2016163326A1 (ja) 止血器具
EP1382306A3 (en) Hemostatic device with inflatable balloon
JP6573309B2 (ja) 止血器具
KR200473635Y1 (ko) 압박 지혈밴드
TW553740B (en) Curable adhesive splints and methods
US20040092999A1 (en) Post-withdrawal venipuncture bruis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50108527A (ko) 화이머씨엑토미 쉴드
KR101725716B1 (ko) 스프링 탄성밴드
KR20060065675A (ko) 신체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요성 랩
JP2018526099A (ja) 固定要素を有する外科用絆創膏
KR101615317B1 (ko) 치질용 밴드
US20070093738A1 (en) Anatomical gluteal cleft medical dressing
KR20140032531A (ko) 지혈 장치
CN205514755U (zh) 四肢用止血夹
KR102502677B1 (ko) 정형외과용 플라스틱 스플린트
KR101536686B1 (ko) 자가접착 밴드를 이용한 지혈밴드
WO2004112666A1 (de) Wundverband
US20120330208A1 (en) Bandage for prevention of skin erosion
KR200404309Y1 (ko) 압박붕대
CN210811800U (zh) 一种下肢皮牵引带
JPH08631A (ja) 止血バンド
KR101966981B1 (ko) 일회용 브래지어
JP3237715U (ja) もぐさ線毛繊維層シート状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