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343B1 -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로 코팅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로 코팅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343B1
KR101724343B1 KR1020150166056A KR20150166056A KR101724343B1 KR 101724343 B1 KR101724343 B1 KR 101724343B1 KR 1020150166056 A KR1020150166056 A KR 1020150166056A KR 20150166056 A KR20150166056 A KR 20150166056A KR 101724343 B1 KR101724343 B1 KR 10172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xtract
content
vegetables
metasequo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003A (ko
Inventor
강선철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06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65Low-molecular-weight organic substances, e.g. absorption of additives in the surfac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09D7/123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을 코팅제로 이용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메타세콰이어 나무의 잎 추출물과 구과 추출물로 각각 코팅된 2종의 PE 필름 소재의 포장재로 채소나 과일을 보관할 경우, 높은 항균성, 당도 증가, 드롭아웃 수 감소, 낮은 주스 함량변화, 낮은 총 페놀 함량 증가율, 적은 색 변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탁월하여, 채소 및 과일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그 유지비용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온에서도 병원균, 부패성 세균 등의 출현을 감소시키므로 부패의 진행을 줄일 수 있어 해당 업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로 코팅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Functional packaging film coated with Metasequoia tree extract for preserving fruit or vegetabl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을 코팅제로 이용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채소를 포함한 과채류들은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상당 기간을 자신들이 좋아하지 않는 환경 즉 높은 온도, 낮은 이산화탄소, 높은 습도 등에서 머무르게 된다. 이런 환경 하에서는 과채류들은 쉽게 노화되어 부패되기도 하며 제 맛을 유지하지 못하여 적정한 상품 가격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 가격을 유지하려면 인공적으로 그 환경을 적절하게 맞추어 주는데 섭씨 4도 내지 12도 정도가 되는 저온에서 보관한 상태로 유통되면 그 노화나 품질 열화 진행이 더디어진다. 저온 저장 이외에도 기체 조성을 조정하여 과채류의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도 추가된다. 이런 저장법은 인위적으로 그 환경을 조절하여 저장하므로, 조절환경 저장(Controlled Atmospheric Storage, CA)이라고 일컫는다. 기체 조성이나 온도를 인위적으로 맞추어서 저장한 상태에서 유통되면 이 과채류들은 소비자에게 싱싱하게 전달되지만 이런 환경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 또한 만만치 않다. 따라서 이 과채류를 포장용 비닐이나 필름에 싸서 유통시킨다. 이때 사용하는 포장재는 일반 포장재와는 다른 기능을 가져야 한다. 포장 필름 내부에서 미생물이 발현할 가능성을 억제해야 하며, 아울러 그 포장물 내부에 있는 과채류는 계속해서 호흡을 하고 있으므로 이 호흡을 조절하여 오랫동안 신선하게 남아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저장법은 과채류가 내놓는 기체로 인하여 약간 그 환경이 변한 상태에서 보관되는 것이므로 수정환경 저장(Modified Atmospheric Storage, MA)이라고 한다. CA나 MA 저장 모두 온도나 기체 조성 등 물리적인 환경을 변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오랫동안 사용해 오던 방법이었다. 물리적인 환경이 변화하면 그 환경이 대기 중의 환경과 달라져서 혐기성 또는 호기성 부패 미생물이 그 내부에서 활동할 기회를 갖게 되어 부패나 열화가 촉진되는 부작용을 야기한다.
한편, 한국등록실용 제0325130호에서는 '과일과 채소 등의 장기보관을 위한 기능성 선도유지 포장필름'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317468호에서는 '과일 또는 채소의 장기간 보관을 위한 가식성 포장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을 코팅제로 이용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메타세콰이어 나무로부터 추출한 무독성의 잎 추출물과 구과(cone) 추출물로 각각 코팅된 2종의 PE 필름 소재의 봉지에 포도를 장기간 보관한 결과, 높은 항균성, 당도 증가, 드롭아웃 수 감소, 낮은 주스 함량변화, 낮은 총 페놀 함량 증가율, 적은 색변화 등의 좋은 여러 가지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관능평가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된 일반 봉지에서 보관했던 포도보다 본 발명에서 개발한 메타세콰이어의 잎 추출물과 구과 추출물로 각각 코팅된 2종의 PE 필름 소재의 봉지에서 보관했던 포도가 훨씬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코팅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코팅제를 필름에 살포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을 이용하여 과일 또는 채소를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타세콰이어 나무의 잎 추출물과 구과 추출물로 각각 코팅된 2종의 PE 필름 소재의 포장재로 채소나 과일을 보관할 경우, 높은 항균성, 당도 증가, 드롭아웃 수 감소, 낮은 주스 함량변화, 낮은 총 페놀 함량 증가율, 적은 색 변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탁월하여, 채소 및 과일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그 유지비용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온에서도 병원균, 부패성 세균 등의 출현을 감소시키므로 부패의 진행을 줄일 수 있어 해당 업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메타세콰이어 나무의 잎 추출물(A) 및 구과 추출물(B)로 코팅된 PE 필름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낸다(기준자=5㎛).
도 2는 C-PE(구과 추출물), L-PE(잎 추출물), U-PE(대조군 PE)에서의 4개의 실험세균의 log(cfu/ml)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에러 바는 3회 반복실험(n=3)의 평균값±SD를 가리킨다.
도 3은 7일간 25±1℃에서 대조군 PE(A), L-PE(B), C-PE(C) PE 필름에 포장된 포도를 나타낸다. D는 대조군 PE에 포장된 포도 내 곰팡이를 보여준다.
도 4는 각기 다른 PE 필름(C-PE, L-PE, 대조군 PE)이 첫째 날 및 마지막 날(7일) 포도 주스 함량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에러 바는 3회 반복실험(n=3)의 평균값±SD를 가리킨다.
도 5는 각기 다른 PE 필름(C-PE, L-PE, 대조군 PE)에서의 첫째 날 및 마지막 날(7일) 포도 내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을 나타낸다. 에러 바는 3회 반복실험(n=3)의 평균값±SD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코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코팅제에서, 상기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은 메타세콰이어 나무 메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타세콰이어 나무 70% 메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코팅제에서, 상기 메타세콰이어 나무는 메타세콰이어 나무 구과(cone) 또는 잎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코팅제를 필름에 살포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코팅제를 필름에 살포하고 건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코팅제는 400~600㎍/㎠로 살포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로 살포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을 이용하여 과일 또는 채소를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을 이용하여 과일 및 채소를 보관한 경우 높은 항균성, 당도 증가, 드롭아웃 수 감소, 낮은 주스 함량변화, 낮은 총 페놀 함량 증가율, 적은 색변화 등의 좋은 여러 가지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
메타세콰이어 나무(M. glypostroboides)의 잎과 구과(cone)는 2013년 10월 대구대학교에서 수집하였으며 처음으로 형태적 특성을 동정하고 생명공학과 도서관 내에 데이타베이스화하였다.
생리활성 화합물 추출
상기 식물의 잎과 구과로부터의 생리활성 화합물 추출은 Bajpai 등의 공정(Bajpai 등, Food chemistry, 2007, 105(3): 1061-1066)을 통해 수행하였다. 간단히 기술하면, 건조시킨 메타세콰이어 나무의 잎과 구과를 분쇄한 다음, 50g의 건조분말을 상온에서 3일간 70%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회전식 진공증발기(EYELA N1000, 일본)을 사용하여 농축시켰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은 각각 C-PE(구과 추출물) 및 L-PE(잎 추출물)로 기재하였다.
구과 및 잎 추출물의 PE 필름 코팅화
PE 필름은 거칠기(roughness)와 접착성(adhesiveness)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일렌(xylene)으로 처리하였다. 구과와 잎 추출물(5%) 각각은 필름에 최종 농도가 500 ㎍/cm2 되도록 도포하였다. 상기 필름은 상온에서 4시간 건조한 후 항균활성 평가 및 포도 샘플 포장을 위해 사용하였다. 추출물과 PE 필름 결합의 효율성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코팅된 PE 필름을 시각화하여 확인하였다.
코팅된 PE 필름의 항균 활성
C-PE 필름 및 L-PE 필름의 항균 작용은 뮬러 힌톤 한천 배지(Mueller Hinton Agar Medium; 소고기 인퓨젼 30%, 카제인 가수분해물 1.75%, 녹말 0.15%, 한천 1.7%, pH 7)에서의 저지원법(zone of inhibition method)으로 확인하였으며, LB 배지(트립신 1%, 효모추출물 0.5%, 염화나트륨 1%, pH 7)에서의 4개의 식중독균(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젠스(Listeria monocytogens))에 대한 항균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지원법을 위해서 4개 식중독균의 100㎕ 접종원(107 세포/ml)을 각각의 플레이트에 도말하였다. C-PE 필름 및 L-PE 필름의 1cm2 조각을 플레이트에 놓고 37℃, 24 hr 동안 배양하였다. 추출물 코팅을 하지 않은 PE 필름의 1cm2 조각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항균 활성은 필름 조각 주변의 저지원의 출현으로 측정하였다.
액체 배지내 항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C-PE 필름 및 L-PE 필름 각각의 10개의 1cm2 조각을 10 ㎕의 실험 세균을 접종한 5ml의 LB배지를 포함하는 시험관에 넣었다. 시험관을 37℃, 24 hr 동안 120rpm 일정속도로 교반기에서 배양하였다. 각각의 PE 필름 조각이 대조구로 사용되었다. 배양후 콜로니형성단위(colony forming unit; cfu/ml)를 계산하였다.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의 독성 검사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여 메타세콰이어 나무의 잎과 구과 추출물의 독성 효과를 검사하였다. 약 20~25g 유사한 체중을 갖는 10마리의 마우스를 무작위적으로 각각 2마리씩 대조군과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독성검사 전 12시간 동안 먹이와 식수를 주지 않고, 그 다음 구과 추출물 및 잎 추출물을 50% 에탄올에 녹여 250㎕씩 마우스 구강에 다른 투여량(5mg/kg, 10mg/kg)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 마우스는 250㎕의 50% 에탄올을 투여하였다. 각 동물은 처음 6시간 동안, 그 후 24시간 동안 한 시간 간격으로, 이어서 7일 동안은 매 6시간 간격으로 생리적 활성 및 행동 변화 및 치사율을 관찰하였다.
코팅된 PE 필름 내 포도 샘플의 포장 및 저장
유사한 크기와 색깔을 가지는 포도 송이를 지역 마켓에서 구입하여 수돗물로 1차 세척 후 증류수로 씻었다. 각 필름 봉투에는 유사한 크기의 30개 포도가 들어가는 포도송이를 넣었다. 포장된 포도는 7일동안 25±1℃에서 저장하였다.
PE 필름에 포장된 포도 샘플의 세균수 검사
세균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C-PE, L-PE 및 대조구 PE 필름 봉투로 포장된 포도 샘플내의 cfu/g를 계산하였다. 포도 한 알씩을 각각의 다른 시간대(0,1,2,3,5,7일)에서 채취하여 무균상태로 무게를 잰 다음 세척후 3ml의 식염수(0.85% 염화나트륨)에 현탁시켜 10-10까지 시리즈로 희석시켰다. 각각의 희석액 100㎕를 LB 한천플레이트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후 콜로니를 세어서 cfu/g를 계산하였다.
당도( sugar content ), 드롭아웃 ( dropout ) 수 및 주스 함량
당도는 아타고(Atago Co., Ltd, 일본)사의 Master-α 장치에 포도 주스를 직접 삽입하여 측정하였다. 당도는 브릭스(Brix;°Bx)로 표현하였다. 포도송이에서 떨어진 드롭아웃은 각 시간대(0,1,2,3,5,7일)에서 수를 세어 결정하였다. 주스 함량 퍼센트는 처음과 마지막 날 각각 총 10개의 포도를 균질하게 분쇄하여 포도 주스를 얻었다. 각각의 균질액(homogenate)를 3중 무슬린(muslin) 천으로 여과시켜 완전히 착즙 후 최종적으로 주스 무게를 측정하였다. 주스 함량 퍼센트는 {[주스 무게(g)/과일 무게(g)]x100}으로 계산하였다.
총 페놀 및 색 측정
각각 다른 필름 봉투에 포장된 포도(10g)를 20ml의 아세톤(80%)으로 균질하게 분쇄하여 페놀을 추출하였다. 균질액은 원심분리 후 다음 실험을 위하여 상징액을 -20℃에 보관하였다. 포도 주스 추출물 내 총 페놀량은 Folin-Ciocalteu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간략히 기술하면, 100㎕의 각 추출물을 Fc 용액(0.2N)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5분간 배양한 후 다시 2ml의 소듐 카보네이트(7.5%)를 첨가하여 다시 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물을 블랭크로 사용하여 76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갈릭산(Gallic acid; 0~200mg/L) 표준곡선으로부터 총 페놀 함량을 mg 갈릭산/g 포도로 나타내었다.
PE 필름 내 포도 색은 색도계(colorimeter; Croma meter CR-400, 일본)를 사용하여 각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장비는 표준 흰색 플레이트(L*=97.79, a*=-0.38, b*=2.05)로 조정하였다. L*, a*, b* 판독(reading)은 다른 시간대별로 각 PE 봉투의 3개 포도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기록하였다. L* 값은 0(흰색)에서 100(검정색)까지의 색 밝기(lightness)를 나타낸다. a* 값은 녹색(greenness)과 적색(redness)을 나타내며, +a*(100)에서 -a*(-100)의 범위는 녹색과 적색을 각각 나타냈다. b*는 청색(-b*)에서 황색(+b*)까지 나타낸다.
관능검사
외형, 맛, 텍스쳐, 향, 전반적 기호도(acceptibility) 같은 관능적 특성에 관한 관능검사를 다른 시간대에 5명의 훈련된 패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관능검사는 5점 등급으로 판단하였다(5-4:매우 좋음, 3-4:좋음, 3-2:보통, <1:나쁨).
통계 분석
모든 실험은 세 번 반복 실험으로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는 세 번의 독립 실험의 평균값으로 표현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편차, 회귀방정식, 상관계수를 계산하였다. 실험의 유의성 검정은 SPSS17 software를 사용하여 ANOVA(analysis of variance)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PE 필름의 코팅화 및 항균 활성 평가
본 발명자는 PE 필름에 메타세콰이어 나무의 구과와 잎 추출물을 코팅시키기 위하여 먼저 자일렌(xylene)으로 필름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필름의 거칠기와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소수성을 줄일 수 있었다. 이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PE 필름 표면에 나노입자가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결합함을 보여주었다. 구과 및 잎 추출물의 나노입자 크기는 각각 234±0.63nm 및 286.71±0.81nm로 관찰되었다.
다음 실험으로는 한천 확산법(정성 평가) 및 LB 배지액(정량 평가)에서의 실험 병원균(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및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젠스)에 대한 코팅된 필름의 항균 효율을 평가하였다. PE 필름에 코팅한 구과 및 잎 나노입자는 실험 세균에 대한 한천 확산법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주는 반면, 대조군 PE 필름(추출물 코팅을 하지 않은 PE 필름)은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LB 배지액에서의 log(cfu/ml)의 감소를 정량한 결과 대조구 PE와 비교하여 C-PE 및 L-PE가 log(cfu/ml)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도 2). 대조구 PE와 비교하여 C-PE가 3.45 log(cfu/ml)로 최대로 감소하여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젠스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2. 메타세콰이어 식물 추출물의 독성 검사
독성 검사 결과 구과 및 잎 추출물을 각각 5mg/kg, 10mg/kg 투여한 모든 실험동물의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 7일 동안 다른 시간대에서 체중, 온도 및 행동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상기 식물 추출물은 독성이 없으며, 식물 포장에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실시예 3. PE 필름에 포장된 포도 샘플의 세균 수 분석
PE 필름 봉투에 포장된 포도 샘플의 호기성 중온성(aerobic mesophilic) 세균 수 분석으로 코팅 필름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포장된 포도 내 세균 수(cfu/g)는 실험 2일째 대조구 PE 필름(7.8X103cfu/g) 실험 2일째와 실험 4일째의 C-PE(7.4X103cfu/g) 및 L-PE(9.2X103cfu/g)의 실험 4일째까지는 큰 증가 없이 유지되었다가 실험 7일째에서는 각각 5.3X106, 4.8X106 및 5.7X105 cfu/g로 증가하였다(표 1). C-PE 및 L-PE로 포장된 포도에서의 세균 지연발생이나 낮은 cfu/g 값(10배 감소)은 대조구 PE보다 높은 항균 효율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도 3에서 실험 7일째 대조구 PE에서의 포도 표면에 곰팡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Figure 112015115420665-pat00001
L* 값은 0(흰색)에서 100(검정색)까지의 색 밝기(lightness)를 나타냄
a* 값은 녹색(greenness)과 적색(redness)를 나타냄
+a*(100)에서 -a*(-100)의 범위는 녹색과 적색을 각각 나타냄
b*는 청색(-b*)에서 황색(+b*)까지 나타냄
실시예 4. 당도, 드롭아웃 수 및 주스 함량 분석
과일 당도는 저장기간 동안 건조에 의해 증가되고 또한 세균을 끌어들이는 주요 요소로 알려져 있다. 당도를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여 본 발명자는 실험구 및 대조구의 당도를 측정하였다. 표 1에서 당도는 대조구 PE에서 포도의 당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대조구 PE에서의 포도 당도가 20.1±0.4˚Bx인데 반해 코팅 필름의 경우는 19.3˚Bx로 초기보다 각각 11.67%와 7.2% 증가율을 보여주었다.
드롭아웃은 포도 질의 중요한 지표로 앱시스산 증가와 연관되어 있다. 대조구 PE에서는 실험 2일째 처음으로 포도가 송이에서 떨어지고 실험 7일째 최고조(6±1)에 도달하였다(표 1). 반면, C-PE 및 L-PE에서는 실험 4일째 처음 드롭아웃이 관찰되었고 실험 마지막 날에 2.66±0.6 및 3.8±1의 드롭아웃 수로 대조구 PE보다 작게 나타났다(표 1).
포도 질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주스 함량으로, 이는 온도에 따라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주스 함량이 줄어든다. 포도의 신선도 관점에서 높은 주스 함량이 포도의 고품질을 입증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포도 주스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구 PE의 포도 주스 함량이 실험 7일째 경과 후 6.875±0.46% 감소한 반면, C-PE 및 L-PE의 포도 주스 함량은 각각 3.95±0.29와 4.56±0.41 감소하였다(도 4). 이는 포도 저장을 위해 코팅한 필름이 효율적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5. 전체 페놀 및 포도 (표면)색 측정
포도 내 페놀 함량의 증가는 과일 질이 떨어짐을 나타낸다. 정상 생리 조건에서는 페놀 함량은 평형상태에 존재하지만, 세균감염 같은 병리적 조건에서는 페놀 함량이 증가하여 세균에 의해 야기된 스트레스를 극복한다. 또한 페놀 함량은 저장 기간 동안 포도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진단 변수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5는 갈릭산을 표준물질로 하여(y=0.033X-0.024, R2=0.998) 페놀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구 PE에서의 포도의 총 페놀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7일째 최대에 달하였다(453.7±10.26 mg 갈릭산/g 포도). C-PE 및 L-PE에서의 포도의 페놀 화합물은 7일의 저장기간 동안 각각 421.33±4.5, 423.4±8.08 mg 갈릭산/g 포도값을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해 코팅 필름이 페놀 함량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저장 동안 포도의 색 변화는 과일의 부패를 나타내며 이로써 포도 질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포도 색 변화를 조사하였고 상기 결과는 표 1에서 보여주었다. 대조구 PE에서의 L*값은 2일까지 변화가 없다가 이후 증가추세를 보였다. C-PE 및 L-PE와 비교하여 대조구 PE에서 L*값 변화가 가장 높았다.
a*의 초기값과 비교하여 실험 7일의 a*값은 대조구 PE에서 감소하였으나 C-PE 및 L-PE에서는 증가하였다. b*값은 7일간 저장 기간 동안 모든 포장 포도에서 증가하였다. 대조구 PE와 L-PE에서 색 변화가 큼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관능평가
외형, 맛, 텍스쳐, 향 및 전반적 기호도(acceptibility) 관점에서의 관능평가 결과는 표 2에 보여주었다. 코팅 필름과 비교하여 대조구 PE 필름에서의 포도의 전반적인 관능 특성이 현저히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대조구 PE에서의 포도의 전반적 기호도(2.6±0.62)는 '보통'인 반면, C-PE 및 L-PE에서의 포도의 경우는 '좋음'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5115420665-pat00002
관능평가는 5점 등급으로 판단하였음(5-4:매우 좋음, 3-4:좋음, 3-2:보통, <1:나쁨).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메타세콰이어 나무의 구과(cone) 또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코팅제를 500㎍/㎠로 필름에 살포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 필름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7. 제6항의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을 이용하여 과일 또는 채소를 보관하는 방법.
KR1020150166056A 2014-11-28 2015-11-26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로 코팅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724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551 2014-11-28
KR20140168551 2014-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003A KR20160065003A (ko) 2016-06-08
KR101724343B1 true KR101724343B1 (ko) 2017-04-07

Family

ID=5619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056A KR101724343B1 (ko) 2014-11-28 2015-11-26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로 코팅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92B1 (ko) 2019-12-23 2020-05-12 황봉주 과일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56A (ko)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한창제지 천연광물을 이용한 신선도 유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581A (ja) 1998-12-18 2000-06-27 Lion Corp 除菌及び消臭清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802A (ko) * 2006-01-20 2007-07-25 (주)원텍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살균 조성물 및 항균살균성 식품포장지
KR20110074181A (ko) * 2009-12-24 2011-06-30 정진희 식품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581A (ja) 1998-12-18 2000-06-27 Lion Corp 除菌及び消臭清浄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92B1 (ko) 2019-12-23 2020-05-12 황봉주 과일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003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bazi Application of carboxymethyl cellulose and chitosan coatings containing Mentha spicata essential oil in fresh strawberries
Aitboulahsen et al. Gelatin‐based edible coating combined with Mentha pulegium essential oil as bioactive packaging for strawberries
Yuan et al. Chitosan films and coatings containing essential oils: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and application in food systems
Sucharitha et al. Effect of chitosan coating on storage stability of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Guerreiro et al. The effect of alginate-based edible coatings enriched with essential oils constituents on Arbutus unedo L. fresh fruit storage
Gniewosz et a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ullulan film incorporated with meadowsweet flower extracts (Filipendulae ulmariae flos) on postharvest quality of apples
Moreira et al. Effectiveness of chitosan edible coatings to improve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 of fresh cut broccoli
Kubheka et al. Evaluating the efficacy of edible coatings incorporated with moringa leaf extract on postharvest of ‘Maluma’avocado fruit quality and its biofungicidal effect
Amiri et al. Postharvest quality of orange fruit as influenced by salicylic acid, acetic acid, and carboxymethyl cellulose coating
Kraśniewska et al. The application of pullulan coating enriched with extracts from Bergenia crassifolia to control the growth of food microorganis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peppers and apples
Hedayati et al. Effect of Coatings of Silver Nanoparticles and G um A rabic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Green Bell Pepper (C apsicum annuum)
Saha et al. Guar gum based edible coating on cucumber (Cucumis sativus L.)
CN102475121A (zh) 一种果蔬杀菌保鲜方法
Edusei et al. Extending postharvest life of green chilli pepper fruits with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Sun et al. Effect of chitosan coatings enriched with lauroyl arginate ethyl and montmorillonite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maintenance of minimally processed table grapes (Vitis vinifera L. Kyoho) during cold storage
EP4132293A1 (en) Fermented onion composition
KR101724343B1 (ko) 메타세콰이어 나무 추출물로 코팅된 과일 또는 채소 보관용 기능성 포장필름 및 이의 용도
Karimian et al. Physico-mechan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isolated soy protein film incorporated with peppermint essential oil on raw hamburger
Esfahani et al. Application of bio-nanocomposite films based on nano-TiO2 and cinnamon essential oil to improve the physiochemical, sensory, and microbial properties of fresh pistachio
Poonia Antimicrobial edible films and coatings for fruits and vegetables
Chen et al. Improving fresh strawberry shelf life and quality by using the fresh‐keeping paper embedded with oregano essential oil and tea polyphenols
Chandran et al. Quality evaluation of edible film coate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fruits
Santoso et al. Safety and quality assurance of tomato using aloe vera edible coating
Jebelli Javan et al. Effect of chitosan and Trachyspermum ammi essential oil on microbial growth, proteolytic spoilage, lipid oxidation and sensory attributes of chicken fille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Ghannam et al. Application of Gum Arabic as Edible Coating for Improving Postharvest Quality of Potato Tu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