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019B1 -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019B1
KR101724019B1 KR1020150029369A KR20150029369A KR101724019B1 KR 101724019 B1 KR101724019 B1 KR 101724019B1 KR 1020150029369 A KR1020150029369 A KR 1020150029369A KR 20150029369 A KR20150029369 A KR 20150029369A KR 101724019 B1 KR101724019 B1 KR 10172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viding
club
unit
ta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443A (ko
Inventor
유금
박원석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특정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 간의 동아리를 개설하여 환자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장기 입원 환자들의 재능을 다른 입원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은,
재능 기부의 정보를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태블릿PC와 공유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N스크린서비스부(100)와;
개인 정보와 재능 기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단말기(200)와;
동아리 개설 정보와 활동 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정보들을 N스크린서비스부에 제공하기 위한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장기간 특정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 간의 동아리를 개설하여 환자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장기 입원 환자들의 재능을 다른 입원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Win-win type talent donation application delivery system for long-term inpatient}
본 발명은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특정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 간의 동아리를 개설하여 환자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장기 입원 환자들의 재능을 다른 입원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서로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한 SNS 서비스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널리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특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내부 인트라넷을 통한 의사 소통의 공간도 발전하고 있으며, 활발하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누구나 예상하지 못한 사고나 질병으로 인하여 병원에 입원할 수 있는데, 짧은 시간 동안의 입원은 다행이지만, 장기간 입원해야 하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반복되는 따분한 일상과 사회와의 단절된 공간으로 인하여 고립감, 무능감 등 다양한 정서적 문제들과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병원 내에 존재하는 장기 입원 환자들 간의 의사 소통의 공간이 필요한 실정이지만, 병원 내에서는 상기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결국, 병원 내에 동아리를 만들어서 서로 의사 소통을 통해 취미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정서적 불안을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없음.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특정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 간의 동아리를 개설하여 환자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장기 입원 환자들의 재능을 다른 입원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은,
재능 기부의 정보를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태블릿PC와 공유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N스크린서비스부(100)와;
개인 정보와 재능 기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단말기(200)와;
동아리 개설 정보와 활동 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정보들을 N스크린서비스부에 제공하기 위한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한편, N스크린서비스부(100)는,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접속 주소를 판단하기 위한 접속주소판단부(110)와,
상기 접속되는 외부단말기의 접속 주소가 특정 병원 내의 주소가 아닐 경우에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접속차단부(120)와,
상기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아이디 및 비번을 획득하여 접속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속여부결정부(130)와,
접속된 아이디가 환자일 경우에 해당 환자단말기로부터 재능 기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개인재능기부정보획득부(140)와,
접속된 아이디가 동아리일 경우에 활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아리활동정보획득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장기간 특정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 간의 동아리를 개설하여 환자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장기 입원 환자들의 재능을 다른 입원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N스크린서비스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환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은,
재능 기부의 정보를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태블릿PC와 공유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N스크린서비스부(100)와;
개인 정보와 재능 기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단말기(200)와;
동아리 개설 정보와 활동 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정보들을 N스크린서비스부에 제공하기 위한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N스크린서비스부(100)는,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접속 주소를 판단하기 위한 접속주소판단부(110)와,
상기 접속되는 외부단말기의 접속 주소가 특정 병원 내의 주소가 아닐 경우에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접속차단부(120)와,
상기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아이디 및 비번을 획득하여 접속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속여부결정부(130)와,
접속된 아이디가 환자일 경우에 해당 환자단말기로부터 재능 기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개인재능기부정보획득부(140)와,
접속된 아이디가 동아리일 경우에 활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아리활동정보획득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환자단말기(200)는,
N스크린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재능기부어플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어플다운로드부(210)와,
재능기부어플에서 제공되는 재능 기부 입력창을 제공하기 위한 재능기부설정부(220)와,
재능기부어플에서 제공되는 활동 동아리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아리리스트정보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는,
동아리 개설 입력창을 동아리 개설을 요청한 환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개설입력창제공부(310)와,
개설된 동아리별 활동 정보 입력창을 환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활동정보입력창제공부(320)와,
상기 입력된 활동 정보를 획득하여 N스크린서비스부로 제공하기 위한 활동정보제공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는,
특정 병원 내에서 활동 중인 동아리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특정 환자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환자단말기(200)에서,
제공된 개인 정보에는 환자의 병명과 입원실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인용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발명으로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은 N스크린서비스부(100)와; 환자단말기(200)와;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N스크린서비스부(100)는 재능 기부의 정보를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태블릿PC와 공유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동아리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로 제공하지만, 스마트폰만의 서비스로 구축될 경우에 아직 스마트폰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의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N스크린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병원 내 단말기는 물론 편의 공간마다 비치된 태블릿 피씨를 이용하여 동아리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입원실 내부마다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TV를 통해서 병원 내의 업데이트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는 동아리 개설 정보와 활동 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정보들을 N스크린서비스부에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N스크린서비스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스크린서비스부(100)는 접속주소판단부(110)와, 접속차단부(120)와, 접속여부결정부(130)와, 개인재능기부정보획득부(140)와, 동아리활동정보획득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접속주소판단부(110)는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접속 주소를 판단하게 되는데, 접속되는 외부단말기의 접속 주소가 특정 병원 내의 주소가 아닐 경우에 접속차단부(120)를 통해 접속을 차단하게 된다.
왜냐하면, 병원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에 한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타 외부 접속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여부결정부(130)는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아이디 및 비번을 획득하여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여기서 정의하는 외부단말기는 병원 내 존재하는 외부단말기들을 의미한다.
상기 개인재능기부정보획득부(140)는 접속된 아이디가 환자일 경우에 해당 환자단말기로부터 재능 기부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즉, 사전에 단말기들로부터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와 비번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접속되는 아이디가 환자임이 판별되면 재능 기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동아리활동정보획득부(150)는 접속된 아이디가 동아리일 경우에 활동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즉, 접속되는 아이디가 동아리에서 운영하는 서버 혹은 단말기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가 동아리에서 운영하는 서버 혹은 단말기로 판별되면 동아리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활동 정보들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환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자단말기(200)는 어플다운로드부(210)와, 재능기부설정부(220)와, 동아리리스트정보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플다운로드부(210)는 N스크린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재능기부어플을 다운로드받기 위하여 구성되며, 다운로드된 어플을 탑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재능기부설정부(220)는 재능기부어플에서 제공되는 재능 기부 입력창을 제공하게 되는데, 재능 기부의 종류, 시간, 활동 내역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동아리리스트정보제공부(230)는 재능기부어플에서 제공되는 활동 동아리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환자들이 개인적으로 재능을 기부할 수도 있지만, 동아리 활동을 통해 기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입할 동아리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의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는 개설입력창제공부(310)와, 활동정보입력창제공부(320)와, 활동정보제공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설입력창제공부(310)는 동아리 개설 입력창을 동아리 개설을 요청한 환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별도의 개설을 위한 양식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획득하여 동아리를 개설하게 된다.
상기 활동정보입력창제공부(320)는 개설된 동아리별 활동 정보 입력창을 환자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즉, 환자단말기에 동아리별 활동 정보를 제공하여 자신이 제공받기를 원하는 재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활동정보제공부(330)는 입력된 활동 정보를 획득하여 N스크린서비스부로 제공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병원 내 존재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 정보들을 게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는 특정 병원 내에서 활동 중인 동아리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특정 환자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외부망을 통해 병원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 아닌 병원 내에 존재하는 환자단말기들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환자단말기(200)에서 제공된 개인 정보에는 환자의 병명과 입원실 정보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즉, 환자의 병명과 입원실 정보를 확인하게 되면 동일 병명을 앓고 있는 환자들끼지 동아리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해당 환자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재능 기부시에 병명 정보를 참조하여 어떠한 재능 기부가 타당한 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장기간 특정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 간의 동아리를 개설하여 환자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장기 입원 환자들의 재능을 다른 입원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 N스크린서비스부
200 : 환자단말기
300 :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

Claims (6)

  1.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재능 기부의 정보를 스마트폰, 컴퓨터단말기, 스마트TV, 태블릿PC와 공유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N스크린서비스부(100)와;
    개인 정보와 재능 기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단말기(200)와;
    동아리 개설 정보와 활동 정보를 등록하며, 등록된 정보들을 N스크린서비스부에 제공하기 위한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N스크린서비스부(100)는,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접속 주소를 판단하기 위한 접속주소판단부(110)와,
    상기 접속되는 외부단말기의 접속 주소가 특정 병원 내의 주소가 아닐 경우에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접속차단부(120)와,
    상기 접속되는 외부단말기들의 아이디 및 비번을 획득하여 접속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속여부결정부(130)와,
    접속된 아이디가 환자일 경우에 해당 환자단말기로부터 재능 기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개인재능기부정보획득부(140)와,
    접속된 아이디가 동아리일 경우에 활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아리활동정보획득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환자단말기(200)는,
    N스크린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재능기부어플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어플다운로드부(210)와,
    재능기부어플에서 제공되는 재능 기부 입력창을 제공하기 위한 재능기부설정부(220)와,
    재능기부어플에서 제공되는 활동 동아리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아리리스트정보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는,
    동아리 개설 입력창을 동아리 개설을 요청한 환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개설입력창제공부(310)와,
    개설된 동아리별 활동 정보 입력창을 환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활동정보입력창제공부(320)와,
    상기 입력된 활동 정보를 획득하여 N스크린서비스부로 제공하기 위한 활동정보제공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동아리게시판관리서버(300)는,
    특정 병원 내에서 활동 중인 동아리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특정 환자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환자단말기(200)에서,
    제공된 개인 정보에는 환자의 병명과 입원실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29369A 2015-03-02 2015-03-02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KR101724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69A KR101724019B1 (ko) 2015-03-02 2015-03-02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69A KR101724019B1 (ko) 2015-03-02 2015-03-02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443A KR20160106443A (ko) 2016-09-12
KR101724019B1 true KR101724019B1 (ko) 2017-04-06

Family

ID=5695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369A KR101724019B1 (ko) 2015-03-02 2015-03-02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0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727A (ja) 2002-02-22 2003-09-05 Fujitsu Ltd ベッドサイド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9020794A (ja) 2007-07-13 2009-01-29 Teijin Pharma Ltd 在宅医療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37B1 (ko) * 2012-06-04 2014-01-15 주식회사 미디어버튼 원활하게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727A (ja) 2002-02-22 2003-09-05 Fujitsu Ltd ベッドサイド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9020794A (ja) 2007-07-13 2009-01-29 Teijin Pharma Ltd 在宅医療支援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장기 입원 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안(2014.11.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443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799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9419959B2 (en) Dynamically mapping users to groups
CN107690792A (zh) 未经管理的移动设备的单点登录
CN106357609B (zh) 一种创建用户的方法和系统、公网服务器及私有云设备
CA29726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ermissions to access mobile device resources
US119911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dentity assurance score with ties to an ID-less and password-less authentication system
US10122701B2 (en) Cross-domain single login
CN108230083B (zh) 信息处理方法、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以及信息处理设备
Doukas et al. COMPOSE: Building smart & context-aware mobile applications utilizing IoT technologies
CA2892357A1 (en) Social authentication
US20230298121A1 (en) Network based rendering and hosting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an aggregator
Puliafito et al. Towards the integration between IoT and cloud computing: An approach for the secure self-configuration of embedded devices
US10440009B1 (en) Cross-device user identification and content access control using cookie stitchers
CN106254328A (zh) 一种访问控制方法及装置
US11206699B2 (en) Registering network devices using known host devices
Yadav et a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iot framework for healthcare application
US20160259935A1 (en) Lie vault
KR101724019B1 (ko) 장기 입원환자를 위한 상생형 재능기부 어플 제공시스템
Lee Dynamic data binding protocol between IoT medical device and IoT medical service for mobile healthcare
US20230097763A1 (en) Maintaining sessions information in multi-region cloud environment
EP30408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ermissions to access mobile device resources
JP2020087332A (ja) 遠隔診療支援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64634A1 (en) Data notification system for health data
US11651467B2 (en) Network based provision of rendering and hosting systems
KR102463405B1 (ko)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