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750B1 - Ship rising dynamic-stability - Google Patents
Ship rising dynamic-st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2750B1 KR101722750B1 KR1020140109629A KR20140109629A KR101722750B1 KR 101722750 B1 KR101722750 B1 KR 101722750B1 KR 1020140109629 A KR1020140109629 A KR 1020140109629A KR 20140109629 A KR20140109629 A KR 20140109629A KR 101722750 B1 KR101722750 B1 KR 101722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weight member
- center
- ship
- grav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by transfer of solid balla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4—Bilge k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은, 선체, 및 일단부가 선체에 결합되며 선체 하방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선체의 선저면 하측으로 돌출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ip having improved restoring force.
The ship having improved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ull, and a weight member coupled to the hull at one end and pivoting downwardly of the hull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ull.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시 선체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신속하게 선체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구조의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선박의 무게중심은 선체의 중앙 근처에 위치하며, 부력중심은 물에 잠긴 부분의 중간 정도의 깊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무게중심과 부력중심에 각각 작용하는 모멘트는 선체가 기울어졌을 때 선박의 복원력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부력중심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모멘트보다 작을 경우, 선체는 복원력을 잃고 전복된다.In general,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hip is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hull, and the center of buoyancy is located at a depth about halfway between the submerged parts. The moment acting o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buoyancy determin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ship when the hull is tilted. In other words, if the moment acting on the center of buoyancy is less than the moment acting on the center of gravity, the hull will overturn and lose its restoring force.
선박의 복원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무게중심을 아래로 낮추어 부력중심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모멘트보다 크도록 해야 한다. 무게중심을 낮추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내부에 평형수(ballast water)를 채우는 것이다.To restore the ship's resilience, lower the center of gravity down so that the moment acting on the center of buoyancy is greater than the moment acting on the center of gravity. The most common way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is to fill the ballast tank with ballast water.
그러나, 선체가 심하게 기울어져 긴급히 복원력을 회복해야 하는 경우, 평형수의 유입속도가 선체의 전복속도를 이기지 못하여 선박이 전복될 가능성이 높다.However, if the hull is severely tilted and the restoration force must be restored urgently, the inflow speed of the ballast water can not overcome the rollover speed of the hull, and the ship is likely to overtur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상 시 선체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신속하게 선체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구조의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ing force of a structure capable of rapidly restoring the restoring force of a ship by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hip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은, 선체, 및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선체 하방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의 선저면 하측으로 돌출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a hul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ull and pivoted under the hull, Member.
상기 웨이트부재는 중량이 편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선체에 고정된 상기 일단부보다 상기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부의 중량이 클 수 있다.The weight member may be formed to be biased in weight, and the weight of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ull may be larger than the one end fixed to the hull.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만입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부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선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해치부재, 및 상기 선체에 고정되며 상기 해치부재와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해치부재를 개폐하는 윈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기 수납공간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선체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A hatch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hull so as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nd a wire fixed to the hull and connected to the hatch member, And a winch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the hatch member by releasing the weight member, and the weight member may be pivoted downwar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storage space.
상기 웨이트부재는 쌍을 이루며,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weight members may be paired and the one end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ull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가 균형을 잃고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 선체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신속하게 선체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ull is out of balance and severely inclin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ll can be lowered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hull can be quickly resto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ip from overturning, and the ship can be stably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선체가 복원력을 회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al view of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ing force shown in FIG. 1. FIG.
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hull.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the ship with improved restitution force of FIG. 6.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ation fo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to FIG. 5,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ation for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ing forc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해상에 부유하며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통상의 선박으로, 용도에 따라 화물선, 수송선, 컨테이너선, 여객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선체(10)가 균형을 잃고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 선체(10)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신속하게 선체(10)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선체(10)와, 선체(1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웨이트부재(20)를 포함한다.1 and 2, a
선체(10)는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의 본체로, 외측 형상이 유선형(流線型)으로 형성되어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체(10)의 일 측에는 웨이트부재(20)가 결합된다.The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20a)가 선체(10)에 결합되며, 선체(10) 하방으로 하강하거나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선체(10)의 선저면(10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선저면(10a)이라 함은 선체(10)의 최하위 바닥면을 의미하며, 웨이트부재(20)는 하강하거나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선저면(10a)의 외측, 특히, 선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웨이트부재(20)의 일부가 선저면(10a)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선체(10)의 중량 배치가 바뀌게 되며, 이로 인해, 선체(10)의 무게중심이 선체(10)의 부력중심보다 아래 쪽으로 낮추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의 복원력이 신속하게 회복되어 선체(10)가 전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다.One
이하, 웨이트부재(2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선저면(1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웨이트부재(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중량체로, 선체(10)의 길이 방향(도 1의 x 방향 참조)을 따라 배치되되 일단부(20a)가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해,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20a)가 선저면(10a) 중앙에 힌지(hinge) 결합되고 타단부(20b)는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0c)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가 별도의 지지부(21)를 통해 선저면(10a)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웨이트부재(20)는 타단부(20b)가 걸쇠, 후크(hook)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체(10)에 결속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은 비상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웨이트부재(20)를 선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웨이트부재(20)가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웨이트부재(20)는 선체의 폭 방향(도 1의 y 방향 참조)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The
또한, 웨이트부재(20)는 중량이 편향되게 형성되어, 선체(10)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되는 일단부(20a)보다 선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부(20b)의 중량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웨이트부재(20)의 타단부(20b) 중량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웨이트부재(20)의 회동 시 선체(10)의 무게중심이 더욱 아래로 낮추어질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웨이트부재(20)의 타단부(20b)가 일단부(20a)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20a)와 타단부(20b)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되 타단부(20b)의 중량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이러한 웨이트부재(20)는 쌍을 이루어 선체(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 때, 각각의 웨이트부재(20)는 선체(10)에 결합되는 일단부(20a)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체(1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20a)가 선체(10)의 앞 쪽, 즉, 선수 쪽에 결합되고, 타 측에 결합되는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20a)가 선체의 뒤 쪽, 즉, 선미 쪽에 결합된다. 웨이트부재(20)의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선수와 선미의 균형을 맞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체(10)의 무게중심을 직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s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e operation of the
도 3 내지 도 5는 선체가 복원력을 회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hull.
본 발명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선체(10)가 균형을 잃고 기울어진 경우, 웨이트부재(20)를 선저면(10a)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선체(10)의 무게중심(G)을 선체(10)의 부력중심(B)보다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의 복원력을 신속하게 회복시켜 선체(1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다.The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선체가 평형을 유지할 때 무게중심과 부력중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3,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buoyancy when the hull is maintained in equilibrium.
해상에 부유하는 선체(10)는 기본적으로 중력과 부력의 영향을 받으며, 중력의 작용점인 무게중심(G)은 선체(10)의 중앙 근처에 위치하고, 부력의 작용점인 부력중심(B)은 대략적으로 물에 잠긴 부분의 중간 정도의 깊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선체(10)는 무게중심(G)이 부력중심(B)보다 위쪽에 위치한다.The center of gravity G, which is the point of action of gravity, is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선체(10)가 동요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무게중심(G)과 부력중심(B)이 선체(10)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무게중심(G)과 부력중심(B)에 각각 작용하는 모멘트가 서로 평형을 이루어 선체(10)는 균형을 유지하며 부유하게 된다. 이 때, 웨이트부재(20)는 선저면(10a) 중앙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타단부(20b)는 체결수단에 의해 선체(10)에 결속된다.The center of gravity G and the center of buoyancy B are located on the center line of the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는 선체가 외부 자극에 의해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어졌을 때 무게중심과 부력중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보다 선체가 좀 더 오른쪽으로 기울어졌을 때 무게중심과 부력중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a)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buoyancy when the hull is slightly inclined to the right due to the external stimulus, and Fig. 4 (b) (a)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buoyancy when the hull is more inclined to the right.
파도, 조류, 바람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선체(10)가 균형을 잃고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선체(10)의 무게중심(G)은 위치 변화가 없지만 부력중심(B)은 위치가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선체(10)가 기울어지더라도 선체(10)의 중량 배치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무게중심(G)은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력은 물에 잠긴 부분의 부피에 비례하므로, 선체(10)가 기울어 물에 잠긴 부분에 해당하는 부피의 형상이 바뀌면 부력중심(B)의 위치도 바뀌게 된다.When the
선체(10)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 오른쪽으로 잠긴 부분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부력중심(B)은 선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좀 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부력중심(B')이 무게중심(G)보다 오른쪽에 위치한 경우, 상방으로 작용하는 부력중심(B')의 모멘트와 하방으로 작용하는 무게중심(G)의 모멘트에 의해 선체(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쪽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선체(10)는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 때, 부력중심(B')과 무게중심(G)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이 넓을수록 강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center of buoyancy B 'moved to the right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center of gravity G, the moment of buoyancy center B' And the mo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G acting downward acts on the direction of turning the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부력중심(B')이 무게중심(G)보다 왼쪽에 위치한 경우, 상방으로 작용하는 부력중심(B')의 모멘트와 하방으로 작용하는 무게중심(G)의 모멘트에 의해 선체(10)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쪽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선체(10)는 더욱 기울어져 전복될 위험이 있다.4B, when the center of buoyancy B 'moved to the right is positioned to the left of the center of gravity G, the moment of the buoyancy center B' acting upward and the moment of the buoyancy center B ' The moment acts on the direction of turning the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도 4의 (b) 상태에서 선체가 복원력을 회복할 때 무게중심과 부력중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FIG. 5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buoyancy when the hull restores the restoring force in the state of FIG. 4 (b).
선체(10)가 기울어져 전복될 위험이 있는 경우, 웨이트부재(20)는 힌지축(20c)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선저면(10a)의 외측에 수직으로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웨이트부재(20)는 선체(10)에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20a)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선수와 선미의 균형이 유지되며 선체(10)의 무게중심(G)이 중심선 상에서 직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re is a risk that the
직하방으로 이동한 무게중심(G')은 부력중심(B')보다 왼쪽에 위치하되 아래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방으로 작용하는 부력중심(B')의 모멘트와 하방으로 작용하는 무게중심(G')의 모멘트에 의해 선체(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쪽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선체(10)는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The center of gravity (G ') moved to the lower right position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buoyancy (B') but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refore, the moment acts on the direction of turning the
명세서 상에는 선체(10)가 폭 방향으로 요동하는 롤링(rolling)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선체(10)가 길이 방향으로 요동하는 피칭(pitching)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the rolling condition in which the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6 and 7, a description will be made in detail of a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itution streng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itution force of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선체(10)에 형성된 수납공간(11)에 웨이트부재(20)가 수납되며, 수납공간(11)은 해치부재(30)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선체(10)에 형성된 수납공간(11)에 웨이트부재(20)가 수납되고, 수납공간(11)이 해치부재(3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The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체(10)의 일 측에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된다. 수납공간(11)은 선저면(10a)의 중앙에 위치하며, 선저면(10a)으로부터 선체(10)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도면 상에는 수납공간(11)이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수납공간(1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1)은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납공간(11)은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웨이트부재(20)가 수납된다.Referring to Fig. 6, a
웨이트부재(20)는 수납공간(11)에 수납되되 수납공간(11) 하부로 하강하거나 회동하여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 웨이트부재(20)가 수납공간(11)에 수납되되 회동하여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에 대해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20a)가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웨이트부재(20)는 일단부(20a)가 선체(10)에 고정된 지지부(2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20b)는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어 힌지축(20c)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웨이트부재(20)는 타단부(20b)가 선체(10)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웨이트부재(20)의 타단부(20b)가 선체(10)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웨이트부재(20)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타단부(20b)가 선체(10)에 결속될 수도 있다. 웨이트부재(20)의 타단부(20b)가 체결수단에 의해 선체(10)에 결속되는 경우, 비상 시 자동으로 선체(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The
웨이트부재(20)는 쌍을 이루어 수납공간(11)에 나란하게 수납되며, 각각의 웨이트부재(20)는 선체(10)에 결합되는 일단부(20a)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 웨이트부재(20)와 선체(10)를 연결하는 지지부(21) 또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부(21)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 상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웨이트부재(2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1)이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웨이트부재(20)의 총 길이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웨이트부재(20)가 회동하여 선저면(10a)의 외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선체(10)의 무게중심이 효과적으로 낮추어 질 수 있다. 또한, 웨이트부재(20)가 수납공간(11)에 수납됨으로써, 선체(10)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력으로 인한 웨이트부재(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선체(10)의 일 측에는 해치부재(30)가 결합된다. 해치부재(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선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공간(11)을 개폐한다. 다시 말해, 수납공간(11)은 해치부재(30)에 의해 개폐되며, 해치부재(30)가 수납공간(11)을 개방하면 웨이트부재(20)는 회동하여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부재(20)는 타단부(20b)가 선체(10)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해치부재(3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다가 수납공간(11)이 개방되면 회동하여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해치부재(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수납공간(11)을 개방하므로, 해치부재(30)의 중량 또한 선체(10)의 무게중심을 낮추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해치부재(30)는 일 측에 와이어(40)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
와이어(40)는 선체(10)와 해치부재(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선체(10)에 고정된 윈치부(41)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어진다. 즉, 윈치부(41)가 해치부재(30)와 연결된 와이어(40)를 풀면, 해치부재(30)는 수납공간(11)을 개방하고 웨이트부재(20)는 회동하여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반대로, 윈치부(41)가 와이어(40)를 감으면, 해치부재(30)는 수납공간(11)을 폐쇄한다. 이 때, 웨이트부재(20)는 별도의 동력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하여 수납공간(11)에 수납될 수 있다. 그러나, 웨이트부재(20)가 별도의 동력수단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웨이트부재(20)는 일 측에 와이어(40)가 연결되어 윈치부(41)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질 수도 있다. 윈치부(41)는 일 측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모터는 전기적으로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할 수 있다.The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8, a description will be made in detail of a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ship having an improved restoration fo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웨이트부재(20)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적어도 일부가 선저면(10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1)은 웨이트부재(20)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적어도 일부가 선저면(1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In the
도 8을 참조하면, 웨이트부재(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T)를 수용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T)는 선체(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평형수가 수용된 탱크로서, 평형수에 의해 고중량을 갖는다. 따라서, 웨이트부재(20)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T)를 수용할 경우, 별도의 중량체 없이도 웨이트부재(20)는 고중량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웨이트부재(20)를 선체(10)의 외측으로 약간만 돌출시키더라도 선체(10)의 무게중심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웨이트부재(2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며, 선체(10)에 설치된 승강모듈(5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즉, 웨이트부재(20)에 형성된 기어치와 승강모듈(50)에 형성된 기어치가 서로 치합함에 따라, 웨이트부재(20)는 선체(10)의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선체(10)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이 때, 밸러스트 탱크(T)는 웨이트부재(20)가 승강하면서 평형수를 유입하거나 유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밸러스트 탱크(T)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평형수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 밸러스트 탱크(T)는 웨이트부재(20)의 하강 시 평형수를 유입할 수 있다. 평형수를 추가로 유입함으로써, 웨이트부재(20)의 중량이 증가하여 선체(10)의 무게중심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밸러스트 탱크(T) 내부에 평형수가 가득 찬 경우, 밸러스트 탱크(T)는 웨이트부재(20)의 상승 시 평형수를 유출할 수 있다. 평형수를 유출함으로써, 웨이트부재(20)의 중량이 감소하여 웨이트부재(20)를 승강시키는 승강모듈(5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어치가 형성된 웨이트부재(20)의 외측면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웨이트부재(20)가 선체(10) 및 승강모듈(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그러나, 웨이트부재(20)에 형성된 기어치와 승강모듈(50)에 형성된 기어치가 서로 치합하여 웨이트부재(20)가 승강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웨이트부재(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gear teeth formed o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 10: 선체
10a: 선저면 11: 수납공간
20: 웨이트부재 20a: 일단부
20b: 타단부 20c: 힌지축
21: 지지부 30: 해치부재
40: 와이어 41: 윈치부
50: 승강모듈 B, B': 부력중심
G, G': 무게중심 T: 밸러스트 탱크1: Ship having improved resilience 10: Ship
10a: line bottom 11: storage space
20:
20b: the
21: Support 30: Hatch member
40: wire 41: winch part
50: lift module B, B ': buoyancy center
G, G ': Center of gravity T: Ballast tank
Claims (4)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선체 하방으로 하강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의 선저면 하측으로 돌출되는 웨이트부재;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웨이트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웨이트부재는 내부에 평형수가 수용된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기 선체의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선체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상기 웨이트부재가 승강하면서 상기 평형수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되,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강시 평형수를 유입하고, 상승시 평형수를 유출하는 복원력이 향상된 선박.hull;
A weight member coupled at one end to the hull and descending below the hul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weight member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ull; And
And a lift module installed on the hull to lift the weight member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weight member includes a ballast tank in which a ballast water is received,
The weight member is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ull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ull or ris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hull,
Wherein the ballast tank is configured to allow the weight member to flow in and out of the ballast while rising and falling,
Wherein the ballast tank introduces the ballast water when the weight member descends and has an improved restoring force for discharging the ballast water when the ballast tank 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9629A KR101722750B1 (en) | 2014-08-22 | 2014-08-22 | Ship rising dynamic-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9629A KR101722750B1 (en) | 2014-08-22 | 2014-08-22 | Ship rising dynamic-stab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351A KR20160023351A (en) | 2016-03-03 |
KR101722750B1 true KR101722750B1 (en) | 2017-04-03 |
Family
ID=5553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9629A KR101722750B1 (en) | 2014-08-22 | 2014-08-22 | Ship rising dynamic-sta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2750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42960Y2 (en) * | 1971-09-27 | 1976-10-19 | ||
JPS63251393A (en) * | 1987-04-06 | 1988-10-18 | Keinosuke Kita | Capsizing preventive measure for ocean-going ship |
KR20050062758A (en) | 2005-04-01 | 2005-06-27 | 김재석 | Device to reduce the rolling of the vessel |
KR20130042248A (en) * | 2011-10-18 | 2013-04-2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Rolling cycle control apparatus of vessel |
KR101461997B1 (en) * | 2011-11-29 | 2014-11-1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Moon pool structure of vessel |
-
2014
- 2014-08-22 KR KR1020140109629A patent/KR101722750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351A (en) | 2016-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72119A (en) | Vertical rising boat lift | |
US20080008528A1 (en) | Failsafe watercraft lift with convertible leveling system | |
US9701374B2 (en) | Self-righting device for life raft | |
WO2018023946A1 (en) | Yacht with submersible compartment | |
ES2612265T3 (en) | Submarine | |
KR101722750B1 (en) | Ship rising dynamic-stability | |
US1299186A (en) | Ship-stabilizer. | |
FR3062844A1 (en) |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A PROPULSE ENGINE FROM THE BRIDGE OF A BEARING SHIP | |
KR101186257B1 (en) | A Crane Vessel With A Flotage And A Stabilization Method Thereof | |
WO2014148882A1 (en) | A floatation apparatus | |
JP7570738B2 (en) | Rolling reduction boat | |
KR101599366B1 (en) | Life-raft release unit | |
KR101562140B1 (en) | Float of Waterborne Construction | |
JP2013144529A (en) | Ship | |
KR101302992B1 (en) | Lifeboat | |
US1089338A (en) | Life-raft. | |
US1195863A (en) | Safety-boat | |
US316881A (en) | dobbins | |
US1107632A (en) | Life-saving appliance for use at sea. | |
US1363166A (en) | Life-saving device | |
US664769A (en) | Life-boat. | |
JP7345164B2 (en) | life raft | |
BR202021011519U2 (en) | PROVISION APPLIED IN DEFENSE FOR VESSELS AND JET SKIS | |
CN213229062U (en) | Facility is stabilized to surface of water | |
US1402155A (en) | Submarine to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