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716B1 - 축입력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축입력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716B1
KR101722716B1 KR1020160130114A KR20160130114A KR101722716B1 KR 101722716 B1 KR101722716 B1 KR 101722716B1 KR 1020160130114 A KR1020160130114 A KR 1020160130114A KR 20160130114 A KR20160130114 A KR 20160130114A KR 101722716 B1 KR101722716 B1 KR 101722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ball
shaft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오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to KR102016013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55Magnetic sensor, e.g. hall generator, pick-up coi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59Light-sensitive detector, e.g. photoelectr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입력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의 끝단에 형성된 구 형상의 볼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어 외부기기를 조종하는 축입력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입력 컨트롤러{SHAFT INPUT CONTROLLER}
본 발명은 축입력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의 끝단에 형성된 구 형상의 볼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어 외부기기를 조종하는 축입력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외부기기를 조종하기 위한 스틱형 컨트롤러(컨트롤 스틱(항공기 조종용 등), 조이스틱(게임 조종용 등) 등)는 상하 좌우 또는 경사 방향으로 스틱(레버)을 움직일 수 있고, 그 이동 정보를 컴퓨터로 식별할 수 있다. 이로써 레버가 도달한 방향으로 이동체(항공기, 로봇, 자동차 등), 커서 또는 게임의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정보를 얻는 것이다.
즉, 적어도 두 방향의 자유도를 갖는 레버 상태 입력 장치이며 보통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가상현실에 적용하기 위한 컨트롤러의 경우, 한손 또는 양손으로 쥐고 스틱 및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하는 컨트롤러, 한손 또는 양손으로 쥐고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컨트롤러, 장갑 등의 착용형 컨트롤러, 몸에 부착시켜 근육을 감지하는 컨트롤러, 맨손을 그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손을 인식하는 컨트롤러(키넥트, 립모션 등) 등 다양한 컨트롤러가 공개되어 있다.
스틱 및 버튼을 조작하여 사용하는 컨트롤러의 경우, 직관적이면서 실감나는 조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컨트롤러, 장갑 등의 착용형 컨트롤러, 몸에 부착시켜 근육을 감지하는 컨트롤러, 맨손을 그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손을 인식하는 컨트롤러 등은 각각의 모션에 따른 많은 명령을 미리 숙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제작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86942]에서는 컨트롤 스틱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86942](공개일자: 2014년07월08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단가가 적으며 직관적이고 쉬운 조종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축의 끝단에 형성된 구 형상의 볼 움직임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어 외부기기를 조종하는 축입력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일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볼(120a)이 형성된 제1스틱부(100a); 일측 끝단에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a)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a)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제1하우징부(200a);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틱부(100a)는 상기 축(110)의 타측 끝단에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스틱부(100a)는 상기 축(110)의 타측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에 특정 형상의 체결부(191)가 형성된 연결부(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축입력 컨트롤러는 상기 연결부(190)의 체결부(191)과 대응되는 제4홈(50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90)의 체결부(191)가 상기 제4홈(5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4결합부(510) 다수가 형성된 조립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외부에 구비되며, 버튼, 스위치 및 터치패널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자세센서를 내장하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자세센서가 센싱한 자세정보를 추가하여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모션센서를 내장하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모션센서가 센싱한 모션정보를 추가하여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일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볼(120a)이 형성된 제1스틱부(100a);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a)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a)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 다수가 형성된 제2하우징부(200b); 상기 제2하우징부(200b)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2하우징부(200b)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되, 다수의 상기 제1스틱부(100a) 각각이 다수의 상기 제1결합부(210)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양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볼(120a)이 각각 형성된 제2스틱부(100b); 일측 끝단에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a)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a)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제1하우징부(200a);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양측 끝단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일측 끝단에, 일부가 개구된 구 형상의 제3홈(101)이 형성된 제3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구 형상의 제2볼(120b)이 형성되고, 상기 제3홈(101)과 대응되는 구 형상의 제3볼(130)이 상기 제3결합부(140)에 회동되도록 결합된 제3스틱부(100c); 일측 끝단에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2볼(120b)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2볼(120b)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제1하우징부(200a); 상기 제3스틱부(100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140)에 결합된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3볼(13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3스틱부(100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양측 끝단에, 일부가 개구된 구 형상의 제3홈(101)이 형성된 제3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구 형상의 제2볼(120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홈(101)과 대응되는 구 형상의 제3볼(130)이 상기 제3결합부(140)에 회동되도록 각각 결합된 제4스틱부(100d); 일측 끝단에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2볼(120b)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2볼(120b)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제1하우징부(200a); 상기 제4스틱부(100d)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140)에 결합된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3볼(13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3스틱부(100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양측 끝단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에 의하면,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볼이 형성된 스틱부와 결합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스틱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볼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생성된 전달신호로 외부기기를 조종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조종이 가능하면서도,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틱부에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보다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스틱부의 끝단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체결부를 조립부에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총기류, 낚시대, 조종간, 핸들 등)의 직관적인 컨트롤러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에 버튼, 스위치 및 터치패널 등의 조작부를 구비함으로써, 손으로 쥐고 사용하면서도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보다 다양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하우징부에 자세센서를 내장함으로써, 손으로 쥐고 사용하면서도 자세정보에 따른 보다 다양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하우징부에 모션센서를 내장함으로써, 손으로 쥐고 사용하면서도 모션에 따른 보다 다양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스틱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된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스틱부 끝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도 3의 스틱부 끝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도 5 두 세트가 조립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7은 도 5 두 세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부가 회동됨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8은 도 7에서 하우징부 및 스틱부가 회동됨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10은 도 9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12는 도 11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14는 도 13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스틱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된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틱부 끝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스틱부 끝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 두 세트가 조립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5 두 세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부가 회동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하우징부 및 스틱부가 회동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스틱부와 하우징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끝단에 볼(120a, 120b)이 형성된 스틱부(100a, 100b, 100c, 100d)와 결합되는 하우징부(200a, 20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틱부에 형성된 볼(120a, 120b)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외부기기를 조종하는 축입력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제1스틱부(100a), 제1하우징부(200a), 감지부(300) 및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한다.
제1스틱부(100a)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일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볼(120a)이 형성된다.
상기 축(110)은 상기 제1볼(120a)을 움직이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제1볼(120a)은 자유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축(110)을 이동시킴에 따른 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축(110)과 상기 제1볼(120a)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200a)는 일측 끝단에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a)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축(110)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제1볼(120a)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하나의 제1스틱부(100a)와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210)가 하나 형성된다.
즉, 하나의 제1스틱부(100a)와 하나의 제1하우징부(200a)가 결합된 형태로 컨트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 운동을 감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일 축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즉, 마우스의 볼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유사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볼(120)이 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생성부(400)는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외부기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300)는 제1스틱부(100a)의 축(110) 외측 끝단의 상, 하, 좌, 우, 경사방향 움직임 뿐 아니라, 축(11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축(11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오토바이 경주 게임을 예로 들면, 오토바이 조종을 위한 핸들의 방향 조작(좌회전, 우회전) 및 스로틀을 당기고 푸는 조작(축(1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 반시계방향 회전)까지 가능한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상기 제1스틱부(100a)는 상기 축(110)의 타측 끝단에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80)는 그립감을 높이고, 상기 축(11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제1스틱부(100a)에만 손잡이부(180)가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추후 설명할 제3스틱부(100c)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상기 제1스틱부(100a)는 상기 축(110)의 타측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에 특정 형상의 체결부(191)가 형성된 연결부(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축입력 컨트롤러는 상기 연결부(190)의 체결부(191)과 대응되는 제4홈(50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90)의 체결부(191)가 상기 제4홈(501)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4결합부(510) 다수가 형성된 조립부(500)를 더 포함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90)는 상기 조립부(500)에 조립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스틱부(100a) 와 제1하우징부(200a)가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어, 현실감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191)가 조립부(50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축(1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축(11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체결부(190)가 납작한 원형, 납작한 타원형, 원 또는 타원의 일부가 잘린 기둥형, 다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상기 조립부(500)의 상측과 하측에 제4홈(501)이 각각 형성되어, 연결부(190)가 상측에 하나, 하측에 하나가 연결된 일자형 연결구조의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측, 후측 등 입체적인 연결구조가 가능하도록 제4홈(501)이 다수 형성된 조립부(500)를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다양한 구조의 맞춤형 컨트롤러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제1스틱부(100a)에만 연결부(190)가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추후 설명할 제3스틱부(100c)에도 형성되어, 상기 조립부(500)에 조립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외부에 구비되며, 버튼, 스위치 및 터치패널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버튼 또는 터치패널을 구비할 수 있고,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조이스틱, 사용자설정 등의 입력을 수행하는 각각의 모드로 전환 시키는 모드전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스위치, 송수신모드 선택 스위치, 페어링 스위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자세센서를 내장하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자세센서가 센싱한 자세정보를 추가하여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세센서는 상기 제1하우징부(200a)의 자세를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부(210)의 제1홈(201)이 개구된 방향이 어느 방향을 가리키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세정보를 센싱한다.
상기에서 예를 들었던, 오토바이 조종의 경우,
상기 제1하우징부(200a)의 제1홈(201)이 개구된 방향이 상측을 향한 상태로 제1스틱부(100a)를 조작할 경우, 화면의 줌인 줌아웃 등을 변경하도록 하고,
상기 제1하우징부(200a)의 제1홈(201)이 개구된 방향이 우측을 향한 상태로 제1스틱부(100a)를 조작할 경우, 오토바이를 조종하도록 하는 등
자세정보를 추가하여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하우징부(200a)에 자세센서가 내장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추후 설명할 제2하우징부(200b)에도 자세센서가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의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모션센서를 내장하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모션센서가 센싱한 모션정보를 추가하여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모션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각도 센서 등과 같이 제1하우징부(200a)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션센서는 위에서 나열한 센서 외에도 제1하우징부(200a)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떤 센서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모션센서에서 감지되는 제1하우징부(200a)의 3차원 움직임을 이용하면 모션 게임을 수행 하거나, 외부 장치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이동(에어마우스 기능)시키는 등 여러 가지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하우징부(200a)에 모션센서가 내장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추후 설명할 제2하우징부(200b)에도 모션센서가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제1스틱부(100a), 제2하우징부(200b), 감지부(300) 및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되,다수의 상기 제1스틱부(100a) 각각이 다수의 상기 제1결합부(210)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스틱부(100a)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일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볼(120a)이 형성된다.
상기 축(110)은 상기 제1볼(120a)을 움직이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제1볼(120a)은 자유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축(110)을 이동시킴에 따른 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축(110)과 상기 제1볼(120a)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200b)는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a)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a)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하나의 제1스틱부(100a)와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210)가 다수 형성된다.
즉, 다수의 제1스틱부(100a)와 하나의 제1하우징부(200a)가 결합된 형태로 컨트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두 개의 제1스틱부(100a)와 하나의 제1하우징부(200a)가 결합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감지부(300)는 상기 제2하우징부(200b)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1스틱부(100a)의 제1볼(120) 운동을 감지한다.
일 축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즉, 마우스의 볼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유사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볼(120)이 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생성부(400)는 상기 제2하우징부(200b)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외부기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300)는 제1스틱부(100a)의 축(110) 외측 끝단의 상, 하, 좌, 우, 경사방향 움직임 뿐 아니라, 축(11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축(11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오토바이 경주 게임을 예로 들면, 우측 제1스틱부(100a) 및 좌측 제1스틱부(100a)로는 오토바이 조종을 위한 핸들의 방향 조작(좌회전, 우회전)을 하고,
우측 제1스틱부(100a)로는 스로틀을 당기고 푸는 조작(축(1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 반시계방향 회전)을 하며,
좌측 제1스틱부(100a)로는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당기고 푸는 조작(축(1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 반시계방향 회전)하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제2스틱부(100b), 제1하우징부(200a), 감지부(300) 및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양측 끝단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스틱부(100b)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양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볼(120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축(110)은 상기 제1볼(120a) 두 개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제1볼(120a)은 자유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축(110)이 향하는 방향에 따른 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축(110)과 상기 제1볼(120a)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볼(120a) 두 개가 아령 형상으로 상기 축(110)과 연결된다.
제1하우징부(200a)는 일측 끝단에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a)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a)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제2스틱부(100b)의 일 측과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210)가 하나 형성된다.
즉, 하나의 제2스틱부(100b) 양 측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제1볼(120a)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형태로 컨트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양 손으로 하나의 제1하우징부(200a)씩 손으로 쥐고 컨트롤 할 수 있는 구조이다.
감지부(300)는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 운동을 감지한다.
일 축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즉, 마우스의 볼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유사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볼(120)이 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생성부(400)는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외부기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300)는 제2스틱부(100b)의 축(110) 외측 끝단의 상, 하, 좌, 우, 경사방향 움직임 뿐 아니라, 축(11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축(11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낚시 게임을 예로 들어, 왼손으로 낙시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릴을 잡았다고 가정하면, 우측 제1하우징부(200a)가 좌측 제1하우징부(200a) 보다 전방으로 가도록 우측 제1하우징부(200a)를 전방으로 밀면 낚시바늘을 던지고,
우측 제1하우징부(200a)가 좌측 제1하우징부(200a) 보다 후방으로 가도록 우측 제1하우징부(200a)를 후방으로 당기면 낚시대를 당기며,
우측 제1하우징부(200a)가 좌측 제1하우징부(200a)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낚시줄을 감거나 푸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감지부(300) 및 신호생성부(400)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제1하우징부(200a)가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각각의 신호생성부(400)가 외부기기로 각각 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하나의 신호생성부(400)가 메인이 되고, 다른 하나의 신호생성부(400)가 서브가 되어, 메인 신호생성부(400)가 각각의 신호생성부(4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외부기기로 전달하거나, 메인 신호생성부(400)가 서브 신호생성부(400)의 신호를 조합하여 생성된 신호를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제3스틱부(100c), 제1하우징부(200a), 감지부(300) 및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한다.
제3스틱부(100c)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일측 끝단에, 일부가 개구된 구 형상의 제3홈(101)이 형성된 제3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구 형상의 제2볼(120b)이 형성되고, 상기 제3홈(101)과 대응되는 구 형상의 제3볼(130)이 상기 제3결합부(140)에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축(110)은 상기 제2볼(120b)을 움직이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제2볼(120b)은 자유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축(110)을 이동시킴에 따른 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축(110)과 상기 제2볼(120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볼(120b) 내부에 자유운동을 하는 제3볼(130)이 제3홈(101)의 개구된 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제1하우징부(200a)는 일측 끝단에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2볼(120b)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2볼(120b)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하나의 제1스틱부(100a)와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210)가 하나 형성된다.
즉, 하나의 제1스틱부(100a)와 하나의 제1하우징부(200a)가 결합된 형태로 컨트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상기 제3스틱부(100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140)에 결합된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3볼(130) 운동을 감지한다.
일 축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즉, 마우스의 볼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유사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볼(120)이 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생성부(400)는 상기 제3스틱부(100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외부기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300)는 제1스틱부(100a)의 축(110) 외측 끝단의 상, 하, 좌, 우, 경사방향 움직임 뿐 아니라, 축(11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축(11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오토바이 경주 게임을 예로 들면, 오토바이 조종을 위한 핸들의 방향 조작(좌회전, 우회전) 및 스로틀을 당기고 푸는 조작(축(1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 반시계방향 회전)까지 가능한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입력 컨트롤러는 제4스틱부(100d), 제1하우징부(200a), 감지부(300) 및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양측 끝단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스틱부(100d)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양측 끝단에, 일부가 개구된 구 형상의 제3홈(101)이 형성된 제3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구 형상의 제2볼(120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홈(101)과 대응되는 구 형상의 제3볼(130)이 상기 제3결합부(140)에 회동되도록 각각 결합된다.
상기 축(110)은 상기 제2볼(120b) 두 개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제2볼(120b)은 자유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축(110)이 향하는 방향에 따른 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제2볼(120b) 내부에 자유운동을 하는 제3볼(130)이 제3홈(101)의 개구된 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축(110)과 상기 제2볼(120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으로 제3볼(13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2볼(120b) 두 개가 아령 형상으로 상기 축(110)과 연결된다.
제1하우징부(200a)는 일측 끝단에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2볼(120b)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2볼(120b)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부(200a)는 제2스틱부(100b)의 일 측과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210)가 하나 형성된다.
즉, 하나의 제2스틱부(100b) 양 측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제1볼(120a)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형태로 컨트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양 손으로 하나의 제1하우징부(200a)씩 손으로 쥐고 컨트롤 할 수 있는 구조이다.
감지부(300)는 상기 제4스틱부(100d)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140)에 결합된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3볼(130) 운동을 감지한다.
일 축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즉, 마우스의 볼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유사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볼(120)이 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호생성부(400)는 상기 제4스틱부(100d)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외부기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300)는 제1스틱부(100a)의 축(110) 외측 끝단의 상, 하, 좌, 우, 경사방향 움직임 뿐 아니라, 축(11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축(11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생성부(400)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낚시 게임을 예로 들어, 왼손으로 낙시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릴을 잡았다고 가정하면, 우측 제1하우징부(200a)가 좌측 제1하우징부(200a) 보다 전방으로 가도록 우측 제1하우징부(200a)를 전방으로 밀면 낚시바늘을 던지고,
우측 제1하우징부(200a)가 좌측 제1하우징부(200a) 보다 후방으로 가도록 우측 제1하우징부(200a)를 후방으로 당기면 낚시대를 당기며,
우측 제1하우징부(200a)가 좌측 제1하우징부(200a)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낚시줄을 감거나 푸는 전달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a: 제1스틱부 100b: 제2스틱부
100c: 제3스틱부 100d: 제4스틱부
101: 제3홈
110: 축
120a: 제1볼 120b: 제2볼
130: 제3볼
140: 제3결합부
180: 손잡이부 190: 연결부
191: 체결부
200a: 제1하우징부 200b: 제2하우징부
201: 제1홈
210: 제1결합부
300: 감지부
400: 신호생성부
500: 조립부
501: 제4홈
510: 제4결합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양측 끝단에, 구 형상의 제1볼(120a)이 각각 형성된 제2스틱부(100b);
    일측 끝단에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a)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a)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제1하우징부(200a);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10)에 결합된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제1볼(12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1하우징부(20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틱부(100b)의 양측 끝단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입력 컨트롤러.
  9.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일측 끝단에, 일부가 개구된 구 형상의 제3홈(101)이 형성된 제3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구 형상의 제2볼(120b)이 형성되고, 상기 제3홈(101)과 대응되는 구 형상의 제3볼(130)이 상기 제3결합부(140)에 회동되도록 결합된 제3스틱부(100c);
    일측 끝단에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2볼(120b)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2볼(120b)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제1하우징부(200a);
    상기 제3스틱부(100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140)에 결합된 상기 제3스틱부(100c)의 제3볼(13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3스틱부(100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
    를 포함하는 축입력 컨트롤러.
  10.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110)의 양측 끝단에, 일부가 개구된 구 형상의 제3홈(101)이 형성된 제3결합부(140)를 포함하는 구 형상의 제2볼(120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홈(101)과 대응되는 구 형상의 제3볼(130)이 상기 제3결합부(140)에 회동되도록 각각 결합된 제4스틱부(100d);
    일측 끝단에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2볼(120b)과 대응되며 일부가 개구된 제1홈(201)이 형성되어,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2볼(120b)이 상기 제1홈(20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제1하우징부(200a);
    상기 제4스틱부(100d)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부(140)에 결합된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제3볼(130) 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상기 제4스틱부(100d)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전달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4스틱부(100d)의 양측 끝단에 제1하우징부(200a)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입력 컨트롤러.
KR1020160130114A 2016-10-07 2016-10-07 축입력 컨트롤러 KR10172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114A KR101722716B1 (ko) 2016-10-07 2016-10-07 축입력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114A KR101722716B1 (ko) 2016-10-07 2016-10-07 축입력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716B1 true KR101722716B1 (ko) 2017-04-03

Family

ID=5858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114A KR101722716B1 (ko) 2016-10-07 2016-10-07 축입력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285A (ja) * 1996-01-23 2000-04-11 クヴアナ エイエスエイ 船舶用の操作及び操縦桿
JP2007159801A (ja) * 2005-12-14 2007-06-28 Sega Corp 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憶媒体およびゲーム装置
KR20090059980A (ko) *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통합조작스위치
KR20140086942A (ko) 2014-06-12 2014-07-08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컨트롤 스틱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285A (ja) * 1996-01-23 2000-04-11 クヴアナ エイエスエイ 船舶用の操作及び操縦桿
JP2007159801A (ja) * 2005-12-14 2007-06-28 Sega Corp 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憶媒体およびゲーム装置
KR20090059980A (ko) *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통합조작스위치
KR20140086942A (ko) 2014-06-12 2014-07-08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컨트롤 스틱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904B2 (en) Dynamically balanced multi-degrees-of-freedom hand controller
US10520973B2 (en) Dynamically balanced multi-degrees-of-freedom hand controller
CN111512114B (zh) 用于对空指令提供触觉反馈的控制器的多轴常平架安装座
EP3496831B1 (en) Input apparatus for a computer
US10324487B2 (en) Multi-axis gimbal mounting for controlle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the null command
US20050277470A1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ophisticated character
US10688387B2 (en) Articulated gaming controller
US20080004114A1 (en) Video game controller with compact and efficient force feedback mechanism
US20060111180A1 (en) Touch-control game controller
KR102574997B1 (ko) 게임 컨트롤러
CN111527469A (zh) 动态平衡式多自由度手持控制器
US9020644B2 (en) Pistol-grip for intuitive control of a robotic or virtual hand
US20110306423A1 (en) Multi purpose wireless game control console
US20100311504A1 (en) Controller for a Games System
US20120021834A1 (en) Controller
KR101722716B1 (ko) 축입력 컨트롤러
US8579707B2 (en) Angling joystick and gaming device having same
EP3962614B1 (en) Multiaxis manipulation control device
JP2006051383A (ja) コントローラ及びコントローラ用拡張ユニット
JP2007331089A (ja) ロボットの操縦システム
EP2952234A1 (en) A control device for console-based videogames
US20210331065A1 (en) A multi, single-axis game controller
KR20080005307U (ko) 컴퓨터용 마우스
JPH0817988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TW200524282A (en) Manipul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