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142B1 -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 Google Patents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142B1
KR101722142B1 KR1020160059384A KR20160059384A KR101722142B1 KR 101722142 B1 KR101722142 B1 KR 101722142B1 KR 1020160059384 A KR1020160059384 A KR 1020160059384A KR 20160059384 A KR20160059384 A KR 20160059384A KR 101722142 B1 KR101722142 B1 KR 10172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frame
asphalt
body cas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규
Original Assignee
(주)화인코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코왁 filed Critical (주)화인코왁
Priority to KR102016005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4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for heating or drying foundation, paving, or materials thereon, e.g. pa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파손된 아스팔트를 복구하기 위한 아스팔트 가열장치와 상기 아스팔트 가열장치를 차량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장치로 구성되어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캐스터를 결합한 상태로 이동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캐스터가 분리된 아스팔트 가열장치를 다수개 긴밀하게 연결한 상태로 이동이나 아스팔트 가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탑재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가열장치를 상차한 상태로 간편하게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각각의 아스팔트 가열장치를 차량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 후 작업하거나 다수개를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여 작업할 수 있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Heating apparatus for repairing asphalt and structure for loading the apparatus on a vehicle}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파손된 아스팔트를 복구하기 위한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를 차량에 상차하기 위한 탑재장치로 이루어지는 상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등에 포장된 아스팔트가 부분적으로 파손된 경우 상기 파손된 부분을 가열하여 걷어낸 후 재포장하여 복구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파손된 아스팔트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제공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08242호는 복수의 바퀴가 마련되어 있으면서 아스팔트를 용융시킬 수 있는 가열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몸체; 상기 가열수단에 연료를 제공하는 연료 공급부;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연료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연료를 혼합가스로 만들어 상기 가열수단에 공급하고 혼합가스를 점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혼합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단열부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나누고, 상기 하부공간은 복수의 점화구역으로 구획되면서 혼합가스를 점화할 수 있는 점화플러그와 가스공급노즐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공간에는 상기 복수의 점화구역에 각각 혼합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부스터 탱크가 마련되어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69237호는 지게차; 상기 지게차의 포크에 설치되어 열을 가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254955호는 보수가 필요한 아스팔트 도로 부분을 가열하여
일정 온도로 올리는 적외선 발열부; 상기 적외선 발열부를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뒷부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적외선 발열부가 지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적외선 발열부를 유압에 의해 움직이게 하는 적외선 발열부 작동장치부; 및 상기 적외선 발열부 작동장치부가 설치되는 차량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발열부는 가스통 보관부에서 공급되는 LPG와 공기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만들어진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기혼합펌프; 상기 가스공기혼합펌프에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인입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서 분기되어 가스에 분사되는 노즐이 있는 다수 개의 분사관을 포함한 분사관부; 상기 분사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이그네이터로 LPG에 점화 후 발생하는 화염을 받아 적외선 복사열로 변환시키면서 상기 분사관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적외선 발열체; 상기 적외선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앞쪽으로만 보내주는 열반사판; 상기 분사관부와 적외선 발열체와 열반사판이 설치되어 2개의 히팅존을 가지면서 상기 적외선 발열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 발열부 작동장치부가 후면에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외형을 이루는 챔버; 및 상기 적외선 발열부를 작동하지 않을 때 LPG의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08242호의 경우 아스팔트의 복구 위치에 따라 이동이 간편한 장점은 있으나, 이를 차량에 올리고 이동하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스팔트의 파손된 부분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하나의 가열장치로는 복구 부분 전체를 동시에 가열할 수 없는 경우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69237호의 경우 지게차에 설치되기 때문에 아스팔트 파손 현장으로 원거리 이동이 어렵고, 별도의 차량으로 가열장치를 이동후 지게차에 설치하더라도 항상 지게차를 대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의 파손된 부분이 길게 형성된 경우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254955호는 아스팔트 파손 현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보다 신속하긴 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의 파손된 부분이 길게 형성된 경우 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의 파손된 부분이 군데군데 떨어져 있어서 한 번에 가열이 어려운 경우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불편함이 있다. 더구나, 이 기술의 경우 적외선 발열부 작동장치부가 적외선 발열부를 수직과 수평으로 세우거나 상하 높이만 조절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적외선 발열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할 때에는 차량을 직접 움직여서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간편하게 상차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가열장치를 차량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 후 작업하거나 다수개를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의 수직 수평 조정뿐만 아니라 좌우 위치 조정을 가능하도록 한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의 가열시 아스팔트와 가열 면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열손실과 유독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는 하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의 상부를 통해 연소 가스가 공급되면서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로부터 개방된 하부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후 또는 좌우를 통해 결합 및 분리되면서 상기 바디 케이스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를 전후좌우로 배열하여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리프트 프레임;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내려놓도록 하는 리프트; 및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리프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쉬프터;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장치를 탑재장치에 연결시 상기 캐스터를 분리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을 리프트 프레임에 연결한 상태에서 이웃하는 상기 가열장치의 바디 케이스가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을 리프트 프레임에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는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에 걸어 잠그거나 풀기 위한 걸쇠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을 연결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바디 프레임을 밀어내는 가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후단은 상기 리프트의 전단에 축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축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쉬프터는 좌우로 놓이는 레일;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레일과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연결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장치는 탑재장치로부터 분리시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가 상기 캐스터 또는 바디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히터로 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탱크 장착부가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면서 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탱크와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로부터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의 좌우로 연소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하기 위한 분배관; 상기 분배관의 분기된 각 하단에 연결되고, 전후로 다수개의 가스 분출구가 형성된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에 캐스터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캐스터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과 결합 돌기를 관통하여 결합 핀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부 외측에 탈착되고,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단과 아스팔트 노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막아주는 스커트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열장치를 상차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작업하는 한편, 각각의 가열장치를 차량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 후 작업하거나 다수개를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장에서 아스팔트의 파손 형태나 위치 또는 개수에 맞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에 의하면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열장치의 수직 수평 조정뿐만 아니라 좌우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좌우 위치 조정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에 의하면 아스팔트의 가열시 아스팔트와 가열 면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열손실과 유독가스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유독가스로 인한 주민의 불편함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된 가열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장치의 캐스터 분리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장치의 히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장치의 스커트 패널 분리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차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차구조 중 탑재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차구조 중 바디 프레임과 리프트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를 결합한 상태로 이동하는 가열장치(100)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캐스터가 분리된 가열장치를 다수개 긴밀하게 연결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탑재장치(2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탑재장치(200)를 통해 다수개의 가열장치(100)를 간편하게 상차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가열장치(100)를 탑재장치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 후 작업하거나 다수개를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캐스터는 가열장치로부터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가열장치는 탑재장치를 통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탑재장치는 차량으로부터 좌우 위치 조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장치와 그 실시 예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열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바디 케이스(110), 상기 바디 케이스의 상부를 통해 연소 가스가 공급되면서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로부터 개방된 하부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120),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130)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후 또는 좌우를 통해 결합 및 분리되면서 상기 바디 케이스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캐스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 케이스(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이중 구조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단열재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20)는 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면서 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탱크와 연결되는 연결구(121), 상기 연결구로부터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의 좌우로 연소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하기 위한 분배관(122), 상기 분배관의 분기된 각 하단에 연결되면서 전후로 다수개의 가스 분출구(123a)가 형성된 헤드(123) 및 상기 헤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점화 플러그(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21)는 예를 들어 바디 케이스 위에 설치되는 가스 탱크 또는 차량에 설치된 가스 탱크와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가열장치(100)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바디 케이스 위에 설치되는 가스 탱크를 이용하여 연소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탑재장치를 통해 상차한 상태에서는 차량에 설치되는 별도의 대용량 가스 탱크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연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123)는 예를 들어 전후로 긴 통 형태로 형성하되, 아랫면을 둥글게 형성하면서 상기 아랫면과 측면을 통해 절개된 슬릿 형태의 가스 분출구가 전후 등간격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디 프레임(130)은 상기 탑재장치의 리프트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 케이스의 상부 외곽을 따라 사각틀 형태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바디 프레임(131)에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설치되는데, 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를 이용하여 걸 수 있도록 고리(131)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131)는 바디 프레임(130)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 캐스터(140)는 가열장치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후 또는 좌우를 통해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다. 즉, 상기 캐스터(140)는 가열장치를 탑재장치에 연결시 분리하고, 탑재장치로부터 분리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캐스터(140)를 결합 및 분리하는 이유는 상기 가열장치를 탑재장치에 연결시 상기 캐스터(140)에 의해 가열장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캐스터(140)를 바디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터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 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과 결합 돌기를 관통하여 결합 핀(142)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장치(100)는 탑재장치(200)를 이용하여 상차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바디 프레임(130) 및 캐스터(140)를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실시가 가능하다.
우선, 상기 아스팔트 가열장치(100)는 탑재장치(200)로부터 분리시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150)가 상기 캐스터 또는 바디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히터로 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탱크 장착부(160)가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150)는 캐스터를 통해 연결시 캐스터와 함께 분리되고 결합되겠지만, 바디 프레임을 통해 연결할 때에는 별도로 결합 및 분리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스 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160)는 도 1과 같이 가열장치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 간편하게 가스 탱크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바디 케이스(110)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단과 아스팔트 노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막아주는 스커트 패널(170)을 간편하게 착탈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스커트 패널(170)은 바디 케이스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패널(170)의 상부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바디 케이스에는 고리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커트 패널(170)이 설치됨으로써 아스팔트를 가열시 발생하는 유독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데, 상기 스커트 패널에 의해 가둬진 유독가스는 히터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완전 연소되기 때문에 환경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를 상차하기 위한 구조로서 탑재장치(200)와 그 실시 예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탑재장치(200)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장치를 전후좌우로 배열하여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리프트 프레임(210),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내려놓도록 하는 리프트(220) 및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리프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쉬프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 프레임(210)은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가열장치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열장치의 바디 프레임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田'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리프트 프레임(210)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설치되는데, 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에 걸어 잠그거나 풀기 위한 걸쇠(2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 프레임(2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을 연결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바디 프레임을 밀어내는 가압 핀(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 핀(212)은 상기 바디 프레임을 리프트 프레임으로부터 밀어내는 작용을 통해 앞서 설명된 고리로부터 걸쇠가 풀리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트 프레임으로부터 바디 프레임의 유동을 막아 차량 이동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220)는 실시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후단 하부가 축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후단 상부와 연결되는 제1 실린더(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린더(221)의 작동시 하부의 축을 중심으로 리프트 프레임의 상부를 밀거나 당기면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내리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과 제1 실린더(221)는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하여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프터(230)는 실시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놓이는 레일(231),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232) 및 상기 레일과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연결되는 제2 실린더(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쉬프터(230)는 차량에 고정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레일 위에서 상기 리프트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리프트 프레임과 그에 결합된 가열장치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100)를 상기 탑재장치(200)에 연결할 때에는 상기 캐스터(140)를 분리 후 상기 바디 프레임을 리프트 프레임에 연결한 상태에서 이웃하는 가열장치의 바디 케이스(110)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의 파손된 부분이 넓고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탑재장치에 연결한 상태로 일괄적인 사용이 필요한 경우를 위해 상기 가열장치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을 리프트 프레임에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는 고리(131)가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에 걸어 잠그거나 풀기 위한 걸쇠(2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상기 바디 프레임과 리프트 프레임을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 및 탑재장치를 이용한 상차구조에 의하면 상기 탑재장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상차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작업하는 한편, 각각의 가열장치를 탑재장치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 후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재장치로부터 분리한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탑재장치에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보다 넓은 면적의 파손부위를 한 번에 복구할 수 있으며, 상기 탑재장치로부터 각 가열장치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현장의 아스팔트 파손 형태나 위치 또는 개수에 맞춰 간편하게 배열 및 위치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다수개의 가열장치를 차량에 상차한 상태에서 가열장치의 수직 수평 조정뿐만 아니라 좌우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좌우 위치 조정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의 가열시 아스팔트와 가열 면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열손실과 유독가스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유독가스로 인한 주민의 불편함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0: 가열장치
110: 바디 케이스
120: 히터 121: 연결구
122: 분배관 123: 헤드
123a: 가스 분출구 124: 점화플러그
130: 바디 프레임 131: 고리
140: 캐스터 141: 결합돌기
142: 결합 핀
150: 손잡이 160: 장착부
170: 스커트 패널
200: 탑재장치
210: 리프트 프레임 211: 걸쇠
212: 가압 핀
220: 리프트 221: 제1 실린더
230: 쉬프터 231: 레일
232: 슬라이더 233: 제2 실린더

Claims (9)

  1. 하부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의 상부를 통해 연소 가스가 공급되면서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로부터 개방된 하부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후 또는 좌우를 통해 결합 및 분리되면서 상기 바디 케이스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를 전후좌우로 배열하여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리프트 프레임;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내려놓도록 하는 리프트; 및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리프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쉬프터;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장치를 탑재장치에 연결시 상기 캐스터를 분리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을 리프트 프레임에 연결한 상태에서 이웃하는 가열장치의 바디 케이스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을 리프트 프레임에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는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에 걸어 잠그거나 풀기 위한 걸쇠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을 연결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바디 프레임을 밀어내는 가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후단은 상기 리프트의 전단에 축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축의 상부에서 상기 리프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쉬프터는 좌우로 놓이는 레일;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레일과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연결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탑재장치로부터 분리시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가 상기 캐스터 또는 바디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히터로 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탱크 장착부가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바디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면서 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탱크와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로부터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의 좌우로 연소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하기 위한 분배관;
    상기 분배관의 분기된 각 하단에 연결되고, 전후로 다수개의 가스 분출구가 형성된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 캐스터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캐스터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과 결합 돌기를 관통하여 결합 핀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부 외측에 탈착되고, 상기 바디 케이스의 하단과 아스팔트 노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막아주는 스커트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KR1020160059384A 2016-05-16 2016-05-16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KR10172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84A KR101722142B1 (ko) 2016-05-16 2016-05-16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84A KR101722142B1 (ko) 2016-05-16 2016-05-16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142B1 true KR101722142B1 (ko) 2017-04-03

Family

ID=5858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384A KR101722142B1 (ko) 2016-05-16 2016-05-16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186B1 (ko) * 2019-03-21 2020-03-02 아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열식 아스팔트 턴 오버 장치
WO2022005047A1 (ko) * 2020-06-29 2022-01-06 주식회사 바꿈 이동식 아스팔트 가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6515U (ko) * 1988-02-23 1989-09-19
CN2559677Y (zh) * 2002-08-02 2003-07-09 沈阳伟达机械有限公司 道路养护加热装置
WO2006008187A1 (en) * 2004-07-21 2006-01-26 Roads Europe Ltd Improved road repair systems
CN2900613Y (zh) * 2006-02-20 2007-05-16 李华平 蓝焰路面加热修补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6515U (ko) * 1988-02-23 1989-09-19
CN2559677Y (zh) * 2002-08-02 2003-07-09 沈阳伟达机械有限公司 道路养护加热装置
WO2006008187A1 (en) * 2004-07-21 2006-01-26 Roads Europe Ltd Improved road repair systems
CN2900613Y (zh) * 2006-02-20 2007-05-16 李华平 蓝焰路面加热修补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186B1 (ko) * 2019-03-21 2020-03-02 아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열식 아스팔트 턴 오버 장치
WO2022005047A1 (ko) * 2020-06-29 2022-01-06 주식회사 바꿈 이동식 아스팔트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142B1 (ko) 파손 아스팔트 복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열장치의 상차구조
US8992120B2 (en) Mobile applicator for thermo pavement marking
CN102458712B (zh) 锻造模具加热设备及使用方法
WO2008140301A1 (en) Burner system having premixed burners and flame transfer means
KR101254955B1 (ko)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장비
KR101710951B1 (ko) 배터리 연소시험 장치 및 방법
CN102210006A (zh) 减排系统
WO2021031470A1 (zh) 喷枪、燃烧器和控制方法
KR100892038B1 (ko) 이동식 화장 설비용 소각로
KR101141732B1 (ko) 아스팔트 바닥 가열 장치
CN201471102U (zh) 焊接前预热用加热器
US9085858B2 (en) Roa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94691B1 (ko) 제강 전로의 이동식 승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04371B1 (ko) 원주 용접부의 자동 예열장치
KR200493382Y1 (ko) 과열 방지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가스 토치
KR100708342B1 (ko) 가열식 아스팔트 유지보수 및 시공 성능개선 장치
KR200396561Y1 (ko) 가열식 아스팔트 유지보수 및 시공 성능개선 장치
TW202115347A (zh) 液體燃料燃燒裝置
JP2875492B2 (ja) スクリードの自動加熱装置
GB2344369A (en) Radiant heating device for use in repairing asphalt surfaces
US2146955A (en) Trailer support operating means
KR20110069237A (ko) 지게차를 이용한 아스팔트 가열장치
US3233605A (en) Apparatus for heating asphaltic pavement
CN115162102A (zh) 路面加热装置
KR100892035B1 (ko) 이동식 화장 설비용 소각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