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002B1 -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002B1
KR101722002B1 KR1020140145333A KR20140145333A KR101722002B1 KR 101722002 B1 KR101722002 B1 KR 101722002B1 KR 1020140145333 A KR1020140145333 A KR 1020140145333A KR 20140145333 A KR20140145333 A KR 20140145333A KR 101722002 B1 KR101722002 B1 KR 10172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urrent fixing
propeller
vane
v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9153A (en
Inventor
송지수
김부기
이동현
이지선
이희동
최순호
홍춘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002B1/en
Priority to PCT/KR2015/009692 priority patent/WO2016064091A1/en
Priority to JP2017522171A priority patent/JP6444501B2/en
Priority to ES15853182T priority patent/ES2767317T3/en
Priority to EP15853182.2A priority patent/EP3210876B1/en
Priority to CN201580057690.7A priority patent/CN107000825B/en
Publication of KR2016004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추진효율향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는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프로펠러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스팬의 길이 상이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 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거나 같다.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device is disclosed. The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urrent fixing wings disposed in front of a propeller and disposed radially around a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urrent fixing wings is different in length from the remainder and the span, and one current fixing wing selected arbitrarily among the current fixing wings is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current fixing wing, The length of the span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other current-carrying wings.

Description

추진 효율 향상 장치{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추진 효율 향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종래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류고정날개가 사용되고 있다. 전류고정날개는 통상 프로펠러가 회전하여 선체가 전진 주행하고 있을 때 선미부분의 물의 흐름을 프로펠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휘게 하여 프로펠러로 유입시킨다. 이때, 전류고정날개에 의해 생성된 회전류를 프로펠러가 흡수함으로써 프로펠러의 추진효율이 향상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conventional ships, current-stabilized vanes have been used. When the propeller is rotating and the hull is moving forward, the current-stabilizing vane is deflect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and introduced into the propeller. At this time,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the propeller is improved by absorbing the return current generated by the current stabilizing vane.

그러나 전류고정날개는 선박의 운항 중 저항으로 작용하여 선박의 저항 성능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fixing wing acts as a resistance during operation of the ship, which hinders th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ship.

공개특허공보 제10- 2010-0103982호(2010.9.29.)Open Patent Publication No. 10- 2010-0103982 (September 29, 20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류고정날개에 작용하는 저항이 감소되도록 구성된 추진효율향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device configured to reduce resistance acting on a current-carrying bla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프로펠러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스팬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 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peller, comprising: a current stabilizing vane disposed in front of a propeller and disposed radially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wherein the current stabilizing vanes include a left side region and a right side reg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urrent-carrying wings is different in length from the remainder and the span, and wherein one of the current-carrying wings is arbitrarily selected as a current-carrying wing, the other one of the curr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pan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current holding vane.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스팬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current fixing wings may be sequentially shorten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ixing wing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in the current fixing wing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개수는 세 개이며,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30이상 5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고, 중간에 위치하는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60도 이상 8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최하측에 위치하는 제 3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number of the current fixing vanes is thre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located on the uppermost one of the current fixing vanes is in the range of 30 to 50 degrees, and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third current fixing wing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may be in the range of 100 degrees to 120 degrees.

상기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9배 이상 1.1배 이하이고, 상기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8배 이상 1.0배 이하이며, 상기 제 3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6배 이상 0.8배 이하일 수 있다.Wherein a length of a span of the first current fixing wing is 0.9 times or more and 1.1 times or less a radius of the propeller and a length of a span of the second current fixing wing is 0.8 times or more and 1.0 times or less of a radius of the propeller, 3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current-carrying wing may be 0.6 times or more and 0.8 times or less the radius of the propeller.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개수는 두 개이며,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45이상 75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number of the current fixing blades is tw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rrent fixing vanes is in the range of 45 to 75 degrees,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The installation angle can range from 90 degrees to 120 degrees.

상기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9배 이상 1.1배 이하이고, 상기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65배 이상 0.85배 이하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first current fixing wing may be 0.9 to 1.1 times the radius of the propeller 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second current fixing wing may be 0.65 or more and 0.85 or less of the radius of the propeller.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최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에서 최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current fixing vanes may be arranged in the forward direction sequent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ixing vanes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n the lowermost current fixing vane.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의 전후 거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직경의 0.05배 이상 0.15배 이하일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distances of one of the current fixing vanes and the other current fixing vanes directly below the current fixing vanes may be 0.05 times or more and 0.15 times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propeller.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각각 후퇴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urrent-stabilizing vanes may each have a recessed shape.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서 코드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The current fixing wings may be shortened in the same radius around the rotation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ixing wings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in the current fixing wing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스팬의 길이가 상이하고,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 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거나 같게 형성함으로써, 유입류의 유속에 대응하여 전류고정날개들에 작용하는 저항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추진효율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radially disposed current-carrying wings is different in length from the remainder to the span, and one of the current-carrying wings, selected arbitrarily among the current-carrying wings, By forming the span long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wing,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current-carrying wings is reduced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of the influent flow and the propulsion efficiency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전류고정날개들이 없는 나선(barehull) 상태에서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반류의 유속 분포를 프로펠러의 회전면에 나타낸 도면으로 프로펠러에서 전방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수행된 실험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추진효율향상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비교예와 실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비교예와 실험예에 대한 추력감소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side view of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2 is a rear view of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propeller showing a flow velocity distribution of a counter current flowing into a propeller in a barehull state in which there are no current-
4 is a view showing experimental data performed in the course of deriving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ative example and an experimental example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shown in FIG. 5,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thrust reduction coefficients for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perimental example of FIG. 6;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1 is a side view of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of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추진효율향상장치(100)는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을 포함한다.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은 프로펠러(20)의 전방에 배치되고 프로펠러(20)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100 includes current fixing wings 110, 120, and 130. The electric current stabilizing vanes 110, 120 and 130 are arranged in front of the propeller 20 and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rotation axis X of the propeller 20.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은 프로펠러(20)로 유입되는 유동을 프로펠러(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도하여 프로펠러(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류를 발생시킨다. 전류고정날개에 의한 회전류는 프로펠러(20)로 유입되어 프로펠러(20)의 회전방향의 회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추진 효율을 향상시킨다.The current stabilizing vanes 110, 120 and 130 guide the flow introduced into the propeller 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peller 20 to generate a rotation curr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peller 20 . The rotating current due to the current stabilizing blade is introduced into the propeller 20 to reduce the rotating current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propeller 20, thereby improving the propulsion efficiency.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은 선체(10)의 스턴 보스(15)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current stabilizing vanes 110, 120 and 130 may be installed in the stern boss 15 of the hull 1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고정날개의 개수는 세 개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110)를 "제 1 전류고정날개(110)"라 하고, 중간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120)를 "제 2 전류고정날개(120)"라 하고, 최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장날개(130)를 "제 3 전류고정날개(130)"라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current fixing wings is thre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permost current fixing vane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and the intermediate current vane 120 as a "second current fixing vane 110" 120 ", and the lowermost current fault vane 130 is referred to as a "third current vane 130 ".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류고정날개의 개수는 세 개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current-stabilizing blades is three,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펠러(20)는 도 2와 같이 후방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는 모두 프로펠러(20)의 회전면(P)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프로펠러(20)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좌측 영역에 위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peller 20 rotates 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rear as in Fig. In this case,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re both provided on the propeller 20 among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of the rotation plane P of the propeller 20 Is located in the left region where it rotates upward.

이와 관련하여 프로펠러(20)의 회전면(P)의 우측 영역에서는 프로펠러(20)로 유입되는 유입류의 방향이 프로펠러(2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어 프로펠러(20)의 날개 단면에서 받음각이 증가되며, 받음각 증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추력이 발생된다.The direction of the inflow flowing into the propeller 20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20 in the right area of the rotation plane P of the propeller 20, And a relatively high thrust is generated due to an increase in the angle of attack.

반면 프로펠러(20)의 회전면(P)의 좌측 영역에서는 프로펠러(20)로 유입되는 유입류의 방향이 프로펠러(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어 프로펠러(20)의 날개 단면에서 받음각이 감소되며, 받음각 감소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추력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on the left side of the rotation plane P of the propeller 20, the direction of the inflow flowing into the propeller 20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20, and the angle of attack is reduced in the blade section of the propeller 20 , A relatively low thrust is generat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angle of attack.

따라서 프로펠러(20)의 회전면(P)의 좌측 영역에 전방고정날개들(110, 120, 130)을 위치시켜 프로펠러(20)로 유입되는 유입류에 프로펠러(2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의 흐름을 생성시킴으로써 프로펠러(20)의 날개 단면에서의 받음각이 증가되고 추진효율이 향상된다.Therefore, the fro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are positioned in the left area of the rotation plane P of the propeller 20, and the flow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peller 20 is applied to the inflows flowing into the propeller 20, The angle of attack at the blade section of the propeller 20 is increased and the propulsion efficiency is improved.

대안적으로, 프로펠러(20)는 도 2와 달리 후방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는 모두 프로펠러(20)의 회전면(P)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프로펠러(20)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우측 영역에 위치한다.Alternatively, the propeller 20 may rotate counterclockwise as viewed from the rear, unlike Fig. In this case,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re both provided on the propeller 20 among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of the rotation plane P of the propeller 20 Is located in the right region where it rotates upwar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는 각각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전류고정날개(110)부터 최하측에 위치하는 제 3 전류고정날개(130)에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스팬의 길이가 짧아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The length of the span is sequentially shortened in the direction to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located in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30. [

달리 표현하면,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는 모두 스팬의 길이가 상이하다. 그리고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것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다.In other words,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ll have different span lengths. And the arbitrarily selected one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has a longer span length than the other immediately below.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의 스팬의 길이는, 프로펠러(20)의 회전축(X)으로부터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의 팁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mean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X of the propeller 20 to the tip of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도 3은 전류고정날개들이 없는 나선(barehull) 상태에서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반류의 유속 분포를 프로펠러의 회전면에 나타낸 도면으로 프로펠러에서 전방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면에서의 반류의 유속은,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축(X)을 지나는 수직선(V)의 상측 구간을 0도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각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propeller in a rotating surface of a propeller, showing a flow velocity distribution of a counter current flowing into a propeller in a barehull state without current-stabilizing blades; FIG. 2 and 3, the flow velocity of the current of the propeller (20 in FIG. 1) on the rotational plane is a vertical line V passing the rotational axis X about the rotational axis X of the propeller 20 (see FIG. 1) As the angle increases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러한 반류의 유속 분포에서 회전축(X)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로 각각 유입되는 유입류의 유속은 증가한다.In this reverse flow velocity distribution, the inflows flowing into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radially about the rotation axis X, The flow rate of the flow increases.

이러한 유입류의 유속의 증가에 대응하여,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는 각각의 스팬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이 경우,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로 갈수록 유입류의 유속 증가에 따른 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In response to such an increase in the flow velocity of the influent flow,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spans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re sequentially shorten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an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the inflow to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다른 측면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면에서의 반류의 유속은,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고, 회전축(X)을 지나는 수직선의 하측 구간을 0도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각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2 and 3, the flow velocity of the counter current at the rotating surface of the propeller (20 in Fig. 1) is set such that the rotational axis X of the propeller (20 in Fig. 1) As the angle increases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러한 반류의 유속 분포에서 회전축(X)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3 전류고정날개(13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1 전류고정날개(110)로 각각 유입되는 유입류의 유속은 감소한다.In this reverse current flow rate distribution, the inflows flowing into the third current fixing wing 130, the second current fixing wing 120, and the first current fixing wing 110,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radial fashion about the rotation axis X, The flow rate of the flow decreases.

이러한 유입류의 유속의 감소에 대응하여, 제 3 전류고정날개(13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1 전류고정날개(110)는 각각의 스팬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커진다. In response to such a reduction in the flow rate of the influent flow,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spans of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sequentially increase.

이 경우, 제 3 전류고정날개(13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1 전류고정날개(110)로 갈수록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이 향상된다. 참고로,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는 유입되는 유입류의 유속이 느릴수록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이 향상된다.In this case,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generate a rotating curr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propeller 20 The function is improved. For reference, as the flow velocity of the incoming inflow is slower, the function of generating the rotating curr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peller (20 in FIG. 1) is improv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은 반류의 유속 분포에서 제 1 전류고정날개(110)의 설치각(a)은 3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고, 제 2 전류고정날개(120)의 설치각(b)은 60도 이상 8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고, 제 3 전류고정날개(130)의 설치각(c)은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installation angle a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is in a range of 30 degrees or more and 50 degrees or less in the counter current flow velocity distribution shown in FIG. 3, The mounting angle (b) of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s (130) may be in a range of 10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여기서 설치각(a, b, c)은, 프로펠러(20)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고, 회전축(X)을 지나는 수직선(V)의 상측 구간을 0도로 하여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의 설치 위치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얻어지는 각도를 의미한다.Here, the installation angles a, b, and c are centered on the rotation axis X of the propeller 20, and the upper section of the vertical line V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X is 0, 120, and 13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가 각각 위와 같은 설치각(a, b, c)을 가지는 경우, 반류의 유속 분포에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have the above installation angles a, b, and c, respectively, Can be minimiz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수행된 실험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은 반류 조건에서 그리고 스테이터 1(Stator 1)의 설치각이 3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고, 스테이터 2(Stator 2)의 설치각이 60도 이상 8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스테이터 3(Stator 3)의 설치각이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스테이터 1(Stator 1), 스테이터 2(Stator 2) 및 스테이터 3(Stator 3)의 스팬의 길이가 프로펠러 반경의 1.0배인 조건에서,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스테이터 1(Stator 1), 스테이터 2(Stator 2) 및 스테이터 3(Stator 3)를 각각 프로펠러 반경의 0.1배 간격으로 등분하여 등분된 각 성분에 작용하는 저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experimental data performed in the course of deriving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tator 2 and the angle of the stator 1 when the angle of installation of the stator 1 is in the range of 30 degrees to 50 degrees and in the range of 60 degrees to 80 degrees 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stator 1 (Stator 1), the stator 2 (Stator 2) and the stator 3 (Stator 3)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peller (Stator 1), Stator 2 (Stator 2), and Stator 3 (Stator 3) are equally divided by 0.1 times the radius of the propeller, FIG.

이러한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터 1(Stator 1)의 경우 프로펠러 반경의 0.9배 이상에서 스테이터 1(Stator 1)에 작용하는 저항이 플러스로 전환되고, 스테이터 2(Stator 2)의 경우 프로펠러 반경의 0.8배 이상에서 스테이터 2(Stator 2)에 작용하는 저항이 플러스로 전환되며, 스테이터 3(Stator 3)의 경우 프로펠러 반경의 0.7배 이상에서 스테이터 3(Stator 3)에 작용하는 저항이 플러스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case of the stator 1,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stator 1 is switched to positive at 0.9 times or more of the radius of the propeller, and in the case of the stator 2, 0.8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stator 2 is changed to positive and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stator 3 is changed to plus in the case of the stator 3 at 0.7 times or more of the propeller radius .

도 2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실험데이터를 기초로, 제 1 전류고정날개(110)의 스팬의 길이는 프로펠러(20) 반경(R)의 0.9배 이상 1.1배 이하이고, 제 2 전류고정날개(120)의 스팬의 길이는 프로펠러(20) 반경(R)의 0.8배 이상 1.0배 이하이며, 제 3 전류고정날개(130)의 스팬의 길이는 프로펠러(20) 반경(R)의 0.6배 이상 0.8배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2,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is 0.9 times or more and 1.1 times or less the radius R of the propeller 20, and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10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0.8 times the radius R of the propeller 20 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is greater than 0.6 times the radius R of the propeller 20 by 0.8 Times or less.

이 경우,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로 유입되는 유입류에 의한 저항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istance due to the influent flowing into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can be effectively reduced.

한편,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는 후퇴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은 각각 후연이 회전축(X)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이 프로펠러(20)와 최대한 근접하게되어 전류고정날개에서 발생되는 프로펠러(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류가 프로펠러(20)로 바로 유입될 수 있어 추진효율이 향상된다.Meanwhile,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may have a recess shape. At this time, the current holding vanes 110, 120, and 130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X,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ar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propeller 20, so that the curr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peller 20 generated in the current- So that the propulsion efficiency is improved.

한편, 회전축(X)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R)에서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의 코드 길이는 순차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여기서 코드 길이는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의 횡단면에서 전연에서 후연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de lengths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t the same radius R around the rotation axis X can be sequentially shortened have. Here, the cord length refers to the length from the leading edge to the trailing edge in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current holding vanes 110, 120 and 130.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의 코드 길이가 짧다는 것은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로 유입되는 유입류에 대한 접촉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의 코드 길이가 길다는 것은 전류고정날개(110, 120, 130)로 유입되는 유입류에 대한 접촉면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shortened cord length of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means that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incoming current flowing into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is small. Conversely, a long cord length of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means that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incoming current flowing into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is larg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면(P)에서의 반류의 유속은, 프로펠러(도 1의 20)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축(X)을 지나는 수직선(V)의 상측 구간을 0도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각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2 and 3, the flow velocity of the current of the propeller (20 in FIG. 1) on the rotation plane P is determined by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X about the rotation axis X of the propeller As the angle increas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or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upper side of the voltage V is 0 degree.

이러한 반류의 유속 분포에서 회전축(X)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로 각각 유입되는 유입류의 유속은 증가한다.In this reverse flow velocity distribution, the inflows flowing into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radially about the rotation axis X, The flow rate of the flow increases.

이러한 유입류의 유속의 증가에 대응하여,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의 코드 길이는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이 경우,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로 갈수록 유입류의 유속 증가에 따른 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cord lengths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re sequentially shorten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of the flow rate of such an influent flow.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resistance due to an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the inflow to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한편,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의 설치각(a, b, c)은 각각 소정의 범위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100)는 각각의 설치각 범위에서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가 하나씩 설치되는 형태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angles a, b, and c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have predetermined ranges.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re installed one by one in each installation angle range,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설치각 범위에서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가 두 개 이상 설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설치각 범위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은 동일한 스팬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ore than one first current fixing vane 110, a second current fixing vane 120 and a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may be installed in each mounting angular range. In this case,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and 130 located in the respective installation angular ranges may have the same span length.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200)는 제 1 전류고정날개(210), 제 2 전류고정날개(2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230)를 포함한다.5 is a view showing a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urrent fixing vane 210, a second current fixing vane 220, and a third current fixing vane 230.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류고정날개(210), 제 2 전류고정날개(2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23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류고정날개(110), 제 2 전류고정날개(1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130)의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current clamping vane 210, the second current clamping vane 220 and the third current clamping vane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the first current clamping vane 110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vane 1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130,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3 전류고정날개(230), 제 2 전류고정날개(220) 및 제 1 전류고정날개(210)는 순차적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즉, 제 3 전류고정날개(230)는 가장 전방에 위치하고 제 2 전류고정날개(220)는 중간에 그리고 제 1 전류고정날개(210)는 가장 후방에 위치한다.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23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220 and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210 are sequentially disposed forward. That is,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230 is located at the frontmost position,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220 is located at the middle position, and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210 is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이와 같이 제 1 전류고정날개(210), 제 2 전류고정날개(2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230)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전류고정날개들(210, 220, 230)이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선체에 작용하는 저항이 감소된다.When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2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2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23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current fixing vanes 210 and 220 , 230)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hull is reduced.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추진효율향상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비교예와 실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비교예와 실험예에 대한 추력감소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comparative example and an experimental example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a thrust reduction coefficient for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perimental example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Baseline"(이하, "비교예"라 함)은 스테이터들이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FWD_Stator"(이하, "실험예"라 함)는 스테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험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효율향상장치(200)와 대응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ase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mparative example") shows the case where the stator is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nd "FWD_Stator" And the stator is sequentially arranged forward. Here, the experimental example corresponds to the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비교예와 실험예에 대해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저항 및 자항 성능을 해석하면, 각각에 대해 저항 및 자항 시 선체에 작용하는 저항이 도출되고, 도출된 저항들을 통해 도 7과 같은 추력감소계수(t)를 구할 수 있다.When the resistance and the self-performance are analyzed through the computational fluid analysis for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perimental example shown in FIG. 6,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hull in resistance and self-deflection is derived for each, The thrust reduction coefficient (t) can be obtained.

도 7을 참조하면, 실험예의 추력감소계수가 비교예의 추력감소계수보다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rust reduction coefficient in the experimental example is lower than the thrust reduction coefficient in the comparative example.

이러한 결과는 제 1 전류고정날개(210), 제 2 전류고정날개(2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230)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전류고정날개들(210, 220, 230) 사이에서 발생되는 벤추리 효과가 약화되어 선체에 걸리는 저항을 저감시키기 때문이다.The result is that when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210,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2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230 are locat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he current fixing vanes 210, 220, and 230 are weakened to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hull.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전류고정날개(210) 및 제 2 전류고정날개(220)의 전후 거리(D1) 및 제 2 전류고정날개(220) 및 제 3 전류고정날개(230)의 전후 거리(D2)는 각각 프로펠러(20)의 직경의 0.05배 이상 0.15배 이하일 수 있다.5, the front and rear distance D1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210 and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220 and the front and rear distance D1 of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220 and the third current fixing vane 230, (D2) may be 0.05 times or more and 0.15 times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propeller 20, respectively.

전류고정날개들(210, 220, 230) 사이의 전후 거리(D1, D2)가 위와 같은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류고정날개들(210, 220, 230)과 프로펠러(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전류고정날개들(210, 220, 230)에 의해 유도되는 유동이 프로펠러(20)로 충분히 유입되지 않아 추진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holding vanes 210, 220, 230 and the propeller 20 is increased when the forward and backward distances D1, D2 between the current holding vanes 210, 220, The flow induced by the fixed vanes 210, 220, and 230 may not sufficiently flow into the propeller 20, and the propelling efficiency may be reduced.

또한 전류고정날개들(210, 220, 230) 사이의 전후 거리가 위와 같은 범위보다 작은 경우 전류고정날개들(110, 120, 130) 사이에서 발생되는 벤추리 효과에 의해 선체에 걸리는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forward and backward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fixing vanes 210, 220, and 230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resistance to the hull may increase due to the venturi effect generated between the current fixing vanes 110, 120, have.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전류고정날개의 개수가 세 개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In the meantim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three current-stabilizing blades, but these a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례로서, 전류고정날개의 개수는 두 개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를 "제 1 전류고정날개"라 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장날개(130)를 "제 2 전류고정날개"라 한다.As an example, the number of the current fixing blades may be two.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per side current fixing blade is referred to as a "first current fixing blade", and the lower side current failure blade 130 is referred to as a "second current fixing blade".

이때,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45도 이상 75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고,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설치각 범위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irst current fixing wing may be in a range of 45 degrees or more and 75 degrees or less,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econd current fixing wing may be in a range of 9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Such an installation angular range can be calculated in the manner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그리고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아래에 위치하는 제 2 전류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위에 위치하는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first current clamping vane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second current clamping vane.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second current vane located below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first current vane located above.

그리고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프로펠러의 반경의 0.9배 이상 1.1배 이하이고,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65배 이상 0.85배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스팬의 길이 범위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first current-impeller is not less than 0.9 times and not more than 1.1 times the radius of the propeller, 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second current impeller is not less than 0.65 times and not more than 0.85 times the radius of the propeller. The length range of such a span can be calculated in the manner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그리고 제 1 전류고정날개 및 제 2 전류고정날개는 후퇴익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d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and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may have a shape of a sinking shape.

그리고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코드 길이는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코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아래에 위치하는 제 2 전류날개의 코드의 길이는 위에 위치하는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코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And the cord length of the first current clamping vane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cord of the second current clamping vane.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cord of the second current vane located below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rd of the first current vane located above.

그리고 제 2 전류고정날개는 제 1 전류고정날개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류고정날개와 제 2 전류고정날개 사이의 거리는 프로펠러의 직경의 0.05배 이상 0.15배 이하일 수 있다.And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may be disposed forward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and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may be 0.05 times or more and 0.15 times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propell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선체
15 : 스턴 보스
20 : 프로펠러
100 : 추진효율향상장치
110 : 제 1 전류고정날개
120 : 제 2 전류고정날개
130 : 제 3 전류고정날개
10: Hull
15: Stern Boss
20: Propeller
100: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110: first current fixing blade
120: second current fixing blade
130: third current fixing blade

Claims (10)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프로펠러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스팬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 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거나 같고,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개수는 세 개이며,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9배 이상 1.1배 이하이고, 중간에 위치하는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8배 이상 1.0배 이하이며, 최하측에 위치하는 제 3 전류고정날개의 스팬의 길이는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의 0.6배 이상 0.8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
And a plurality of current stabilizing vanes disposed in front of the propeller,
Wherein the current fixing vanes are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propeller rotates upward in a left side region and a right side region of a rotating surface of the propell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urrent-carrying wings has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maining span,
One of the current fixing wings of the current fixing wings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span length of the other current fixing wings immediately below,
The number of the current fixing wings is three,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locat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current fixing vanes is at least 0.9 times and 1.1 times the radius of the propeller 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located at the middle, And the length of the span of the third current fixing blade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is 0.6 times or more and 0.8 times or less of the radius of the prope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스팬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 fixing vane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span length is sequentially shorten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ixing vane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in the current fixing vane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30도 이상 5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 2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60도 이상 8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 3 전류고정날개의 설치각은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tallation angle of the first current fixing vane is in a range of 30 degrees to 50 degrees and an installation angle of the second current fixing vane is in a range of 60 degrees or more and 80 degrees or less, And the angle is in the range of 100 degrees to 12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후퇴익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carrying wings have a shape of a retracting blade.
삭제delete 삭제delete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프로펠러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스팬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 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거나 같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최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에서 최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
And a plurality of current stabilizing vanes disposed in front of the propeller,
Wherein the current fixing vanes are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propeller rotates upward in a left side region and a right side region of a rotating surface of the propell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urrent-carrying wings has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maining span,
One of the current fixing wings of the current fixing wings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span length of the other current fixing wings immediately below,
Wherein the current fixing vanes are sequentially dispos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ixing vanes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n the lowermost current fixing vane.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프로펠러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스팬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 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거나 같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의 전후 거리는 상기 프로펠러의 직경의 0.05배 이상 0.1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
And a plurality of current stabilizing vanes disposed in front of the propeller,
Wherein the current fixing vanes are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propeller rotates upward in a left side region and a right side region of a rotating surface of the propell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urrent-carrying wings has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maining span,
One of the current fixing wings of the current fixing wings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span length of the other current fixing wings immediately below,
Where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stances of one of the current fixing vanes and the other current fixing vanes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current fixing vanes is 0.05 to 0.15 times the diameter of the propeller.
삭제delete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류고정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중 상기 프로펠러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스팬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전류고정날개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전류고정날개 보다 스팬의 길이가 길거나 같고,
상기 전류고정날개들은,
최상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는 전류고정날개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서 코드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효율향상장치.
And a plurality of current stabilizing vanes disposed in front of the propeller,
Wherein the current fixing vanes are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propeller rotates upward in a left side region and a right side region of a rotating surface of the propell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urrent-carrying wings has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maining span,
One of the current fixing wings of the current fixing wings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span length of the other current fixing wings immediately below,
The current-
Wherein the cord length is shortened at the same radius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ixing vane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current fixing vanes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KR1020140145333A 2014-10-24 2014-10-24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101722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33A KR101722002B1 (en) 2014-10-24 2014-10-24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PCT/KR2015/009692 WO2016064091A1 (en) 2014-10-24 2015-09-16 Propelling efficiency enhancing device
JP2017522171A JP6444501B2 (en) 2014-10-24 2015-09-16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ES15853182T ES2767317T3 (en) 2014-10-24 2015-09-16 Driv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EP15853182.2A EP3210876B1 (en) 2014-10-24 2015-09-16 Propelling efficiency enhancing device
CN201580057690.7A CN107000825B (en) 2014-10-24 2015-09-16 Propulsive efficiency improve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33A KR101722002B1 (en) 2014-10-24 2014-10-24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046A Division KR20160048731A (en) 2016-03-31 2016-03-31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53A KR20160049153A (en) 2016-05-09
KR101722002B1 true KR101722002B1 (en) 2017-04-03

Family

ID=5602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333A KR101722002B1 (en) 2014-10-24 2014-10-24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0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869A (en) * 2009-02-09 2010-08-19 Ryutai Techno Kk Propulsion performance enhancement device
JP2011121569A (en) 2009-12-14 2011-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Propulsion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of shi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999U (en) * 1983-05-23 1984-12-03 ユリイ・セルゲ−ビツチ・プンソン Guidance device
KR20100103982A (en) 2009-03-16 2010-09-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e-swirl stator of shi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869A (en) * 2009-02-09 2010-08-19 Ryutai Techno Kk Propulsion performance enhancement device
JP2011121569A (en) 2009-12-14 2011-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Propulsion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of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53A (en)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982A (en) Pre-swirl stator of ship
KR101425369B1 (en) appendage of duct with guide fin directed in center of radial
JP5081455B2 (en) Asymmetrical front wing of a ship
KR101722002B1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20160105182A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20160031790A (en) Propelling and steering system of vessel, and full spade rudder with twisted leading edge
JP5510798B2 (en) Ship propulsion performance improvement device
KR20160048731A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102260455B1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JP6444501B2 (en) Propulsion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KR102651091B1 (en) Duct apparatus of thruster for vessel
KR20150145982A (en) Pre-swirl Stator of Ship Stem
KR20120094763A (en) Ducted-propeller with pre-swirl stator for vessels
EP3424811A1 (en) Horizontal axis rotor and boat equipped with said rotor
KR20160106269A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101701741B1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20150132922A (en) Preswirl Stator of Ship Stem
KR102260440B1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20120068250A (en) Duct structure for ship
KR20210137337A (en) Full spade rudder having diverge type bulb
KR20160124416A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KR20190058120A (en) Preswirl stator with tilting function
KR101757471B1 (en) Propeller hub
KR101741428B1 (en) Pre-swirl stator structure
KR101616313B1 (en)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