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964B1 -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964B1
KR101721964B1 KR1020150142075A KR20150142075A KR101721964B1 KR 101721964 B1 KR101721964 B1 KR 101721964B1 KR 1020150142075 A KR1020150142075 A KR 1020150142075A KR 20150142075 A KR20150142075 A KR 20150142075A KR 101721964 B1 KR101721964 B1 KR 101721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utton
drag
touch pane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민
우승현
안대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 받아 서로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1 터치 패널, 제 1 터치 패널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2 터치 패널 및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버튼이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PUT APPARATUS}
버튼의 레이아웃 변경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을 가지며,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기능 조작을 위해 다양한 입력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가 차량용 기능들을 보다 쉽게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일 측면은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 받아 버튼들의 레이아웃 변경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1 터치 패널; 제 1 터치 패널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2 터치 패널; 및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버튼이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버튼에 제 2 터치 패널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은,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터치 패널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은, 터치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터치 패널은 제 2 터치 패널에 마련된 버튼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가상의 터치 영역들로 구획되고, 가상의 터치 영역들 중 하나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은, 터치 입력이 수신된 가상의 터치 영역에 맵핑된 위치에 제 1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영역은, 제 2 터치 패널에 마련된 버튼들의 경계 또는 경계와 마주보도록 마련된 버튼들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에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은, 제 2 터치 패널 중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포함하며 제 1 터치 패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제 2 터치 패널과 이웃하는 영역에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을 기준으로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해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면적에 기초해 드래그 인식 영역이 구획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에 제 1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제 2 버튼에 제 2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은, 제 1 버튼의 위치에 제 2 버튼을 표시하고, 제 2 터치 패널은, 제 2 버튼의 위치에 제 1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은 제 1 터치 패널이 제 2 터치 패널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제 2 방향은 제 2 터치 패널이 제 1 터치 패널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에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버튼과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포함하며 제 1 터치 패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제 2 터치 패널과 이웃하는 영역에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을 기준으로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해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면적에 기초해 드래그 인식 영역이 구획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을 통해 제 1 버튼을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 점들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은, 핀치 아웃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버튼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을 통해 제 1 버튼을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 점들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핀치 인(pinch in)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은, 핀치 아웃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버튼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터치 패널에 롱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에는 제 1 터치 패널의 버튼 편집을 위한 기능 영역이 생성되고, 기능 영역에 마련된 기능 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에 기능 버튼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1 터치 패널; 제 1 터치 패널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2 터치 패널; 및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버튼이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도록 터치 패널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버튼에 제 2 터치 패널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은,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1 터치 패널 및 제 1 터치 패널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2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 및 제 2 터치 패널의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제 1 버튼에 제 2 터치 패널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에 제 1 터치 패널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됨과 동시에 제 1 버튼에 제 2 터치 패널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단계와, 구획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터치 패널의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터치 패널의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입력 장치의 개인화 설정 시 서로 다른 두 조작계, 터치 패널 간의 설정까지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보다 편리하고 자유롭게 입력 장치를 개인화 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입력 장치에 표시되는 버튼들의 레이아웃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조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8은 단일 터치 패널 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 변경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단일 터치 패널 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 변경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는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의 이동 방식의 여러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는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 교환 방식의 여러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개시된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이 본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측면에 따른 입력 장치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터치 패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들은 서로 정보 설정, 변경, 교환 등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입력 장치에 마련된 터치 패널들 간에 효과적인 정보 교환이 가능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의 효과적인 정보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는 복잡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항공용 조작계, 챠량용 조작계, 산업용 조작계 등에 응용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개시된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가 상용차의 조작계로 응용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도 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가 차량(100)의 스티어링 휠(14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과,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차륜(51, 52)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과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된 구동 장치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는 본체(1)의 일 측에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71)에는 밖을 내다 보거나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는 윈도우(72)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72)는 한쪽에서만 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가 스티어링 휠(14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 내부에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200)가 설치된 스티어링 휠(140)이 마련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20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터치 패널들(210, 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 패널들(210, 220)은 서로 정보 설정, 변경, 교환 등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 1 터치 패널(210), 제 1 터치 패널(210)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 2 터치 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은 차량(100)의 기능 조작을 위한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에는 경적 버튼, 도어 열림 버튼, 도어 닫힘 버튼, 비상 깜박이 버튼, 실내등 버튼, 전화 받기 버튼, 볼륨 조정 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에 마련되는 버튼의 예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1 터치 패널(210)에 제 1-1 버튼(211), 제 1-2 버튼(212) 및 제 1-3 버튼(213)이 마련되고, 제 2 터치 패널(220)에 제 2-1 버튼(221), 제 2-2 버튼(222) 및 제 2-3 버튼(223)이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에 버튼들이 마련되는 방식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도 4에서는 입력 장치(200)가 제 1 터치 패널(210)과 제 2 터치 패널(22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장치(200)가 제 1, 2 터치 패널(210, 220) 외에 다른 터치 패널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에 마련된 버튼들은 입력 장치(200)에 마련된 버튼들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거나, 차량(100)의 기능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는 검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중 하나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터치는 검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중 하나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는 싱글 터치뿐만 아니라 멀티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는 포인트 터치뿐만 아니라 드래그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는 롱 터치와 숏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롱 터치와 숏 터치는 입력 장치(200)의 제조 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조작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조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POT)을 통해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핀치 인(pinch in) 입력을 통해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핀치 아웃 입력은 복수의 터치 점들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터치 입력일 수 있으며, 핀치 인 입력은 복수의 터치 점들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핀치 아웃 입력 또는 핀치 인 입력을 통해 단일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들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특정 터치 패널에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버튼들이 배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드래그 터치 입력(DT)을 통해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2 버튼(212)이 제 2 터치 패널(220)에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2 버튼(212)을 통해 입력되는 드래그 터치의 입력 각도를 조절해 제 1-2 버튼(212)의 이동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하 관련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드래그 터치를 통해 제 1 터치 패널(210)에 표시되는 버튼이 제 2 터치 패널(220)에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에 표시되는 버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에 포함되는 입력 장치(200)는, 후술할 입력 장치(200)의 구성들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입력 장치(2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제 1 터치 패널(210)과, 제 2 터치 패널(220)과, 메모리(230)와,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입력은 차량(100)의 기능 조작을 위한 터치 입력 또는 입력 장치(200)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은 제어 대상의 기능 제어를 위한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터치 패널(210)은 제 1-1 버튼(211), 제 1-2 버튼(212) 및 제 1-3 버튼(213)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 2 터치 패널(220)은 제 2-1 버튼(221), 제 2-2 버튼(222) 및 제 2-3 버튼(223)을 표시할 수 있으나, 표시 가능한 버튼들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은 입력 장치(200)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터치 입력에 따라 변경된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1 버튼(211)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220)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1 버튼(211)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 1-1 버튼(211)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220)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2 버튼(222)과 제 1-1 버튼(211)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입력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입력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로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범용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입력 장치(200)에서 검출되는 터치 신호,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연속적인 터치 신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명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터치 포인트의 개수, 터치의 종류, 터치의 방향 또는 터치의 길이 등에 대응되는 터치 신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명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터치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버튼들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알려져 있는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입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입력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40)는 입력 장치(200)의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메모리(230)에 저장된 입력 장치(200)의 제어 프로그램 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프로세서, 입력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롬(ROM), 입력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입력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240)의 롬과 램은 메모리(230)의 롬과 램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력 장치(200)의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터치 패널(210)에 마련된 버튼들 중 하나의 버튼에 핀치 아웃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핀치 아웃 입력에 대응해 해당 버튼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 1 터치 패널(21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 1 터치 패널(210)에 마련된 버튼들 중 하나의 버튼에 핀치 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핀치 인 입력에 대응해 해당 버튼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 1 터치 패널(21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 1 터치 패널(210)에 마련된 버튼들 중 하나의 버튼에 제 2 터치 패널(220)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버튼이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도록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은 해당 버튼이 제 2 터치 패널(220)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해당 버튼이 제 2 터치 패널(220)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버튼과 서로 교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터치 패널(220)에 마련된 버튼들 중 하나의 버튼에 제 1 터치 패널(210)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버튼이 제 1 터치 패널(210)에 표시되도록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 1 터치 패널(210)에 대한 설명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제 1 터치 패널(210)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일 터치 패널 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식 및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일 터치 패널 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단일 터치 패널 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단일 터치 패널 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1 버튼(211)을 통해 제 1-1 버튼(211)을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 점들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핀치 아웃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210)은 핀치 아웃 입력에 대응하여 제 1-1 버튼(211)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치 아웃 입력을 수행하는 멀티 터치 중 하나의 터치가 제 1-2 버튼(212)에서 종료되면, 제 1-1 버튼(211) 영역의 크기는 제 1-2 버튼(212) 영역까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 1-1 버튼(211)이 확대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제 1-1 버튼(211)에 핀치 인 입력이 수신되면 제 1-1 버튼(211) 영역의 크기가 축소되어 표시되고, 제 1-1 버튼(211) 영역이 축소된 영역에 제 1-2 버튼(212)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핀치 아웃 입력을 수행하는 멀티 터치 중 하나의 터치가 제 1-3 버튼(213)에서 종료되면, 제 1-1 버튼(211) 영역의 크기는 제 1-3 버튼(213) 영역까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 1-1 버튼(211)이 확대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제 1-1 버튼(211)에 핀치 인 입력이 수신되면 제 1-1 버튼(211) 영역의 크기가 축소되어 표시되고, 제 1-1 버튼(211)이 축소된 영역에 제 1-2 버튼(212)과 제 1-3 버튼(213)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패널(210)에 롱 터치(LT)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210)에는 제 1 터치 패널(210)의 버튼 편집을 위한 기능 영역(A)이 생성될 수 있다. 기능 영역(A)에는 제 1 터치 패널(210)에 추가 가능한 버튼들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영역(A)에는 제 1-4 버튼(214), 제 1-5 버튼(215) 및 제 1-6 버튼(216)들을 포함하는 버튼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능 영역(A)에 마련된 기능 버튼들(214, 215, 216)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210)에 해당 기능 버튼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1 버튼(211)에서 제 1-5 버튼(215)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1 버튼(211)과 제 1-5 버튼(215)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제 1 터치 패널(210)에 제 1-5 버튼(215)이 생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5 버튼(215)에서 제 1-1 버튼(211)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식은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을 이동시키거나 교환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의 의도가 버튼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인지 교환시키기 위한 것인지 여부는 별도로 마련된 설정 버튼을 통해 구별할 수 있으며, 제조사에 의해 최초로 프로그래밍된 바에 의해 해당 터치 입력의 의도가 단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터치 입력의 의도가 단일하게 결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할 것이며, 복수의 터치 패널들 중 제 1 터치 패널(210)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도 10 내지 12는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의 이동 방식의 여러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 내지 15는 복수의 터치 패널들 사이에서 버튼 교환 방식의 여러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은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을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어 버튼을 이동시키는 방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2 터치 패널(220)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2 버튼(212)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220)의 터치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2 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터치 패널(220)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마련된 버튼들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가상의 터치 영역들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가상의 터치 영역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마련된 버튼들의 경계 또는 경계와 마주보도록 마련된 버튼들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터치 패널(220)에는 제 2-1 버튼(221), 제 2-2 버튼(222) 및 제 2-3 버튼(223)이 마련될 수 있는데, 제 2 터치 패널(220)은 제 2-1 버튼(221), 제 2-2 버튼(222) 및 제 2-3 버튼(22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A1 내지 A4 영역들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A2 영역과 A3 영역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마련된 버튼들의 경계를 포함하며, A1 영역과 A4 영역은 버튼의 경계와 마주보도록 마련된 버튼의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가상의 터치 영역들 중 하나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제 1 버튼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2 터치 패널(220)은 터치 입력이 수신된 가상의 터치 영역에 맵핑된 위치에 제 1-2 버튼(21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1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 1-2 버튼(212)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 표시 패널의 제 1-2 버튼(212)이 제 2 표시 패널의 제 2-1 버튼(221)의 상단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A2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 1-2 버튼(212)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2 버튼(212)이 제 2-1 버튼(221)과 제 2-2 버튼(222)의 사이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A3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 1-3 버튼(213)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2 버튼(212)이 제 2-2 버튼(222)과 제 2-3 버튼(223) 사이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10의 경우). 또한, A4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 1-4 버튼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2 버튼(212)이 제 2-3 버튼(223)의 하단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는 제 1터치 패널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어 버튼을 이동시키는 방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1 버튼(211)에 제 2 터치 패널(220)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패널(220)의 지점에 제 1-1 버튼(211)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터치 패널(210)의 1-1 버튼에 복수 개의 드래그 인식 영역들 중 하나의 드래그 인식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패널(220)의 지점에 제 1-1 버튼(211)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터치 패널(210)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포함하며 제 1 터치 패널(2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제 2 터치 패널(220)과 이웃하는 영역에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드래그 인식 영역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을 기준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인식 영역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해 버튼들 사이에 이동 가능한 경우의 수 대로 구획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드래그 인식 영역들의 크기는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들의 면적에 기초해 조절될 수 있다.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한 드래그 인식 영역의 구획 방식은 아래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드래그 인식 영역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등 간격을 가지는 A5 내지 A8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1 버튼(211)에 A6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패널의 지점인 제 2-1 버튼(221)과 제 2-2 버튼(222) 사이 지점에 제 1-2 버튼(212)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드래그 인식 영역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과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된 버튼들의 중간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A9 내지 A12 영역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1 버튼(211)에 A10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패널의 지점인 제 2-1 버튼(221)과 제 2-2 버튼(222) 사이 지점에 제 1-1 버튼(211)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제 1, 2 터치 패널(210, 220)을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어 버튼을 교환하는 방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1 버튼(211)에 제 1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고, 제 2 터치 패널(220)의 제 2-2 버튼(222)에 제 2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 터치 패널(210)은 제 1-1 버튼(211)의 위치에 제 2-2 버튼(222)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 2 터치 패널(220)은 제 2-2 버튼(222)의 위치에 제 1-1 버튼(211)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1 버튼(211)과 제 2 터치 패널(220)의 제 2-2 버튼(222)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제 1 터치 패널(210)이 제 2 터치 패널(22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 2 방향은 제 2 터치 패널(220)이 제 1 터치 패널(21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는 제 1 터치 패널(210)을 통해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어 버튼을 교환하는 방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2 버튼(212)에 제 2 터치 패널(220)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패널(220)의 지점에 마련된 버튼과 제 1-2 버튼(212)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1 버튼(211)에 복수 개의 드래그 인식 영역들 중 하나의 드래그 인식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패널(220)의 지점에 마련된 버튼과 제 1-2 버튼(212)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터치 패널(210)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포함하며 제 1 터치 패널(2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제 2 터치 패널(220)과 이웃하는 영역에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드래그 인식 영역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을 기준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인식 영역은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해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 대로 구획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드래그 인식 영역들의 크기는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들의 면적에 기초해 조절될 수 있다.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한 드래그 인식 영역의 구획 방식은 아래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드래그 인식 영역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등 간격을 가지는 A13 내지 A 15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 버튼(212)에 A15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2 버튼(212)은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패널의 지점에 배치된 제 2-3 버튼(223)과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드래그 인식 영역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과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들의 중간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A16 내지 A 18 영역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 버튼(212)에 A16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면, 제 1-2 버튼(212)은 드래그 방향과 대응되는 제 2 패널의 지점에 배치된 제 2-1 버튼(221)과 서로 교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으로, 개시된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2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00)의 여러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제어 방법은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단계와(310), 제 2 터치 패널(220)의 드래그 터치 입력(DT)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320). 여기서,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 버튼은 도 4에 도시된 제 1-1 버튼(211), 제 1-2 버튼(212) 및 제 1-3 버튼(213)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1 버튼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단계는, 제 1 버튼에 제 2 터치 패널(220)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220)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하거나, 제 2 터치 패널(220)에 제 1 터치 패널(210)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됨과 동시에 제 1 버튼에 제 2 터치 패널(220)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터치 패널(210)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단계는,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단계와, 구획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드래그 터치 입력(DT)이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220)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 2 터치 패널(220)의 드래그 터치 입력(DT)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는, 제 2 터치 패널(220)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제 2 터치 패널(220) 중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140: 스티어링 휠
200: 입력 장치
210: 제 1 터치 패널
220: 제 2 터치 패널
230: 메모리
240: 제어부

Claims (36)

  1.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1 터치 패널;
    상기 제 1 터치 패널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터치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 1 버튼이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패널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상기 제 2 터치 패널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은,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을 표시하는 입력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은,
    상기 상기 제 2 터치 패널의 상기 터치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을 표시하는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 패널은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마련된 버튼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가상의 터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가상의 터치 영역들 중 하나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가상의 터치 영역에 맵핑된 위치에 상기 제 1 버튼을 표시하는 입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터치 영역은,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마련된 버튼들의 경계 또는 상기 경계와 마주보도록 마련된 상기 버튼들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은,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을 표시하는 입력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터치 패널과 이웃하는 영역에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을 구획하는 입력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입력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에 기초해 상기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입력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면적에 기초해 상기 드래그 인식 영역이 구획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입력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상기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되는 입력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제 1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제 2 버튼에 제 2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터치 패널은,
    상기 제 1 버튼의 위치에 상기 제 2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터치 패널은,
    상기 제 2 버튼의 위치에 상기 제 1 버튼을 표시하는 입력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터치 패널이 상기 제 2 터치 패널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2 터치 패널이 상기 제 1 터치 패널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16. 삭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버튼과 상기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되는 입력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을 통해 상기 제 1 버튼을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 점들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터치 패널은,
    상기 핀치 아웃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버튼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입력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을 통해 상기 제 1 버튼을 터치하는 복수의 터치 점들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핀치 인(pinch in)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터치 패널은,
    상기 핀치 인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버튼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하는 입력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패널에 롱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터치 패널에는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버튼 편집을 위한 기능 영역이 생성되고,
    상기 기능 영역에 마련된 기능 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터치 패널에 상기 기능 버튼이 생성되는 입력 장치.
  25.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1 터치 패널;
    상기 제 1 터치 패널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터치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고, 상기 제 1 버튼이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패널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상기 제 2 터치 패널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은,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을 표시하는 차량.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차량.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상기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되는 차량.
  29.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 1 터치 패널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제 2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터치 패널의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상기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단계와,
    상기 구획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버튼에 상기 제 2 터치 패널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패널의 제 1 버튼에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상기 제 1 터치 패널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버튼에 상기 제 2 터치 패널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3. 삭제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터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한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단계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인식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 패널의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36.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치 패널의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제 1 버튼이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제 2 터치 패널 중 상기 드래그 터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된 제 2 버튼과 상기 제 1 버튼이 서로 교환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42075A 2015-10-12 2015-10-12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KR101721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75A KR101721964B1 (ko) 2015-10-12 2015-10-12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75A KR101721964B1 (ko) 2015-10-12 2015-10-12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964B1 true KR101721964B1 (ko) 2017-04-11

Family

ID=5858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75A KR101721964B1 (ko) 2015-10-12 2015-10-12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9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335A (ja) * 2005-06-10 2006-12-2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CN101710269A (zh) * 2009-12-16 2010-05-19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调整软键盘布局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69676A (ko) * 2012-11-29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버튼 변경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335A (ja) * 2005-06-10 2006-12-2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CN101710269A (zh) * 2009-12-16 2010-05-19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调整软键盘布局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69676A (ko) * 2012-11-29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버튼 변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618B2 (en) Information playback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playback
EP2976699B1 (de) Informationswiedergabe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für den benutzer eines fahrzeugs
US10180727B2 (en) Method of launching an application and selecting the application target window
US10061508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dapting a view on a display unit
EP3000013B1 (en) Interactive multi-touch remote control
US9604542B2 (en) I/O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O device
CN106415469B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CN110395182B (zh) 具有电子后视镜的机动车
US10133473B2 (en)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082555B1 (ko)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779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타일을 정의하기 위한 이동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CN109558057B (zh) 输入设备和该输入设备的控制方法
US2020005815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system
US20190114066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721964B1 (ko)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EP2787427B1 (en) Process for the representation and/or handling of information in a car
EP2685361B1 (en) Vehicle graphical user interface arrangement
JP6147357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804767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EP2848447B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or handling information in a car
JP6400352B2 (ja) 車両周辺表示装置
KR102688103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에 대한 햅틱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2120416B2 (en) Technologies for gesture control of camera view selection for vehicle computing devices
US20230302991A1 (en) Vehicle ambient lighting
EP3125099B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